KR19990003857U -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 - Google Patents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857U
KR19990003857U KR2019980010760U KR19980010760U KR19990003857U KR 19990003857 U KR19990003857 U KR 19990003857U KR 2019980010760 U KR2019980010760 U KR 2019980010760U KR 19980010760 U KR19980010760 U KR 19980010760U KR 19990003857 U KR19990003857 U KR 199900038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ower
wired remote
home appliances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영석
Original Assignee
황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석 filed Critical 황영석
Priority to KR2019980010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857U/ko
Publication of KR19990003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857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 H01R13/703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the switch being in series with coupling part, e.g. dead coupling, explosion proof coupling making use of a remote controlled switch, e.g. relais, solid state switch activ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1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ctuated by an accessory, e.g. cover, lock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영업장소 등에 설치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순차적으로 다구 멀티탭 콘센트에 접속하여 미관상 해치지 않은 곳에 설치하고 각각의 가전제품명을 순차적으로 적어둔 스티커가 부착된 유선 리모콘을 벽면이나 이용하기에 용이한 곳에 설치하여 다구 멀티탭 콘센트와 연결함으로써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일일이 해제하지 않아도 가전제품으로 인가되는 전체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거나 필요한 가전제품에만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제어되어져 전력의 손실을 방지하고 감전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저분한 가전제품의 플러그선을 정리하여 미관상 좋으며 일정한 거리에서도 가전제품에 대한 전원제어를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신뢰성을 갖도록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
본 고안은 유선리모콘이 설치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이나 영업장소 등에 설치된 TV, 오디오, 비디오, 전자렌지, 컴퓨터 등 (이하 가전제품이라 한다)의 플러그를 순차적으로 다구 멀티탭 콘센트에 접속하여 미관상 해치지 않는 곳에 설치하고 각각의 가전제품 명을 순차적으로 적어둔 스티커가 부착된 유선리모콘을 벽면이나 이용하기에 용이한 곳에 설치하여 다구 멀티탭 콘센트와 연결함으로써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일일이 해제하지 않아도 가전제품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필요한 가전제품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되어져 전력의 손실을 줄이고 감전사고에 대한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저분한 가전제품의 플러그선을 정리하여 사용자에게 가전제품에 대한 전원제어의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한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문명이 발전함에 의해 사용자는 더욱더 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게 되면서 가전제품의 다양한 발전이 급속도로 이루어지는 실정이다.
가정이나 영업장소에는 사용자가 편안한 생활을 하기 위해 다양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치 않는 가전제품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전원플러그를 일일이 해제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러움이 항상 내포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에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로써, 벽면(10)에 부착된 콘센트(11)에 가전제품(14)의 플러그를 접속하여 사용하는데 이는 사용자가 가전제품(14) 중 일부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해당되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직접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로 인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있고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서 해제하지 않고 가전제품내에 형성된 전원버튼으로만 전원차단함으로써 전력손실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미설명부호 13은 가전제품을 올려놓기 위한 장식장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2는 벽면(10)에 부착된 콘센트(11)에 멀티탭 콘센트(12)를 연결하고 이 멀티탭 콘센트에 가전제품(14)의 플러그를 접속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는 플러그가 접속된 멀티탭 콘센트(12)의 일측에 가전제품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12a)가 설치되어져 있어 일시에 가전제품(14)의 전원을 전부 차단할 수 있으나 전원을 공급해야 되는 가전제품과 전원을 차단해야 되는 가전제품이 있을 경우에는 효율성이 없으며 전원을 차단해야 되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일일이 해제해야 되는 불편함과 사용자가 보이는 곳에 멀티탭 콘센트(12)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플러그선들의 지저분한 형태로 서로 엉켜 있어 미관상 좋지 않고 이로 인해 해당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이탈하기 위해서 엉켜있는 플러그선을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전원플러그를 콘센트에서 해제하지 않고 가전제품내에 형성된 전원버튼으로만 전원차단함으로써 전력손실이 여전히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도 3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콘센트 단자(15)가 구비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12)의 일측에 상기 다수의 콘센트 단자(15) 전부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메인 스위치(12a)가 구비되고, 각 콘센트 단자(15)에 대해 각각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서브스위치(12b∼12e)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전제품(14)의 플러그를 콘센트단자(15)에서 해제하지 않고 서브스위치(12a∼12e)로 각각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으나 상기 멀티탭 콘덴서(12)는 어느 한정된 공간이나 장소에서만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고 어느 일정한 거리가 있는 출입문과 같은 벽면에 설치할 수 없어 이 또한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는 사용자가 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은 플러그를 콘센트에서 해제해야 되는 번거러움과 불편함이 항상 초래하였고 이로 인한 감전사고 위험성이 내포되었으며, 플러그선의 엉킴으로 인한 미관상 좋지않았을 뿐만 아니라 어느 일정한 거리가 있는 장소에서는 활용할 수 없는 문제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치유하기 위해 연구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가정이나 영업장소 등에 설치된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순차적으로 다구 멀티탭 콘센트에 접속하여 미관상 해치지 않은 곳에 설치하고 각각의 가전제품 명을 순차적으로 적어둔 스티커가 부착된 유선 리모콘을 벽면이나 이용하기에 용이한 곳에 설치하여 다구 멀티탭 콘센트와 연결함으로써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일일이 해제하지 않아도 가전제품으로 인가되는 전체 전원을 공급 및 차단시키거나 필요한 가전제품에만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제어되어져 전력의 손실을 방지하고 감전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뿐만 아니라 지저분한 가전제품의 플러그 선을 정리하여 미관상 좋으며 일정한 거리에서도 가전 제품에 대한 전원제어를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신뢰성을 갖도록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콘센트에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멀티탭 콘센트에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3은 전원의 개별차단이 가능한 종래의 다구 멀티탭 콘센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실시되어지는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면 11 : 콘센트
12 : 다구 멀티탭 콘센트 13 : 장식장
14 : 가전제품 15 : 콘센트단자
17, 18 : 플러그 19 : 케이블
20 : 유선리모콘 20a : 과부하차단기
21 : 스티커 SW : 메인스위치
SW1∼SW4 : 스위치
이러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명백해질 것이다.
즉,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도 및 회로도로써, 다수의 콘센트 단자(15)가 구비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12)에 있어서, 상기 다구 멀티탭 콘센트(12)는 상기 벽면(10)에 부착된 콘센트(11)에 직접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17)가 배면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구 멀티탭 콘센트(12)의 측면 일측에는 가전제품(14)의 전체 및 각각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유선리모콘(20)이 케이블(19)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선리모콘(20)은 이상전원과 같은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차단기(20a)가 구비되고 상기 가전제품(14)의 전체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메인스위치(SW)가 구비되며. 각 가전제품(14)의 각각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SW1∼SW4)가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SW1∼SW4)에 해당되는 상기 가전제품(14) 명을 적어둔 스티커(21)가 상기 스위치(SW∼SW4)의 상부에 각각 부착되어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12)의 측면 일측에는 상기 벽면(10)에 매립되어 있는 콘센트(11)와 상기 가전제품(14)간의 거리가 떨어져 있을 경우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19)가 구비되어진다.
상술된 바와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텔레비젼, 비디오, 오디오 및 휴대폰 충전장치등과 같은 가전제품(14)을 상기 다구 멀티탭 콘센트(12)의 콘센트 단자(15)에 각각 접속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중에 비디오 및 오디오의 전원만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콘센트 단자(15)에 접속되어 있는 플러그를 일일이 해제하지 않고 상기 유선리모콘(20)에 설치된 스위치(SW1∼SW4)중에 해당 스위치를 오프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의 불폄함과 전력손실 및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건물의 신,개축시에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용이한 벽면이나 출입구에 설치된 전등스위치부분에 상기 유선 리모콘(20)을 설치하면 더욱 유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다구 멀티탭 콘센트와 유선리모콘을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콘센트에 접속되어 있는 가전제품의 플러그를 일일이 해제하지 않아도 가전제품으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키거나 필요한 가전제품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되어져 전력의 손실이 방지되는 효과와 또한 감전사고에 대한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갖으며, 지저분한 가전제품의 플러그선을 정리하여 미관상좋으며 일정한 거리에서도 가전제품에 대한 전원제어를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신뢰성을 갖는 효과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2)

  1. 다수의 콘센트 단자(15)가 구비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12)에 있어서,
    상기 다구 멀티탭 콘센트(12)는 상기 벽면(10)에 부착된 콘센트(11)에 직접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17)가 배면측에 구비되고 상기 다구 멀티탭 콘센트(12)의 측면 일측에는 가전제품(14)의 전체 및 각각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유선리모콘(20)이 케이블(19)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선리모콘(20)은 이상전원과 같은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과부하차단기(20a)가 구비되고 상기 가전제품(14)의 전체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메인스위치(SW)가 구비되며, 각 가전제품(14)의 각각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SW1∼SW4)가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SW1∼SW4)에 해당되는 상기 가전제품(14)명을 적어둔 스티커(21)가 상기 메인스위치(SW) 및 상기 스위치(SW1∼SW4)의 상부에 각각 부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
KR2019980010760U 1998-06-20 1998-06-20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 KR199900038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760U KR19990003857U (ko) 1998-06-20 1998-06-20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760U KR19990003857U (ko) 1998-06-20 1998-06-20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857U true KR19990003857U (ko) 1999-01-25

Family

ID=4208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760U KR19990003857U (ko) 1998-06-20 1998-06-20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85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7998A3 (ko) * 2008-02-29 2009-12-03 Kim Sun Young 콘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07998A3 (ko) * 2008-02-29 2009-12-03 Kim Sun Young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7454B8 (en) Combined control/connector for cordless electrical appliances
KR19990003857U (ko) 유선리모콘이 연결된 다구 멀티탭 콘센트
KR101376132B1 (ko)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가전기기의 대기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멀티 콘센트 장치
KR200258405Y1 (ko) 케이블 고정용 수납구
WO2004001903A3 (en) Knitted electrical conductor fabric
KR200419219Y1 (ko) 전기 플러그가 꽂히지 않은 경우에 콘센트의 내부와 외부가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콘센트를 구비하는 멀티탭
KR20100114701A (ko) 절전형 멀티 콘센트 어셈블리
KR200372972Y1 (ko) 전기설비 상시.절전콘센트 설치 시스템
KR200401695Y1 (ko) 멀티탭
KR200303780Y1 (ko) 보빈콘센트가 내장된 배선정리함
KR200356509Y1 (ko) 다목적 전원 콘센트
KR200285097Y1 (ko) 배선 덕트용 커버
KR200211503Y1 (ko) 멀티 콘센트
KR200278382Y1 (ko) 벽고정용 콘센트
KR200161378Y1 (ko) 착탈형 콘센트의 취부구조
CN2534699Y (zh) 智能插座
KR200330986Y1 (ko) 어댑터가 구비된 멀티탭
CN215266953U (zh) 一种带照明功能的插线板
KR200185341Y1 (ko) 전원코드용 전원 온/오프 장치
KR19980023241U (ko) 멀티형 콘센트
KR200209889Y1 (ko) 배선덕트가 구비된 책상용 이중 콘센트
KR200189080Y1 (ko) 전원연결용 콘센트를 일체로 형성한 전기제품
KR200177031Y1 (ko) 과부하방지용 콘센트
WO2011049411A2 (ko) 대기전력 차단기가 구비된 멀티 탭
CN2750517Y (zh) 内置电子安全保护的电源扩展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