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601U -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601U
KR19990003601U KR2019970017199U KR19970017199U KR19990003601U KR 19990003601 U KR19990003601 U KR 19990003601U KR 2019970017199 U KR2019970017199 U KR 2019970017199U KR 19970017199 U KR19970017199 U KR 19970017199U KR 19990003601 U KR19990003601 U KR 1999000360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act
tact switch
monitor
func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7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601U/ko
Publication of KR199900036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601U/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택트스위치(10)를 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보조기판(30)에 실장시켜 버튼수용홀(52)이 관통된 모니터외함(50) 내측에 상기 보조기판(30)을 결합고정시키는 한편, 버튼누름편(12)을 상기 택트스위치(10) 전방에 몰딩결합시키고 아울러 해당 기능표시(22)가 인쇄된 기능표시스티거(20)를 상기 모니터외함(50)의 버튼수용홀(52) 부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택트스위치(10)를 누름작동시키는 택트버튼(120)을 이용하지 않고도 택트스위치(10)를 직접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An operating structure for tact switch of a monitor)
본 고안은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택트스위치를 누름작동시키는 택트버튼을 이용하지 않고 택스위치를 직접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된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니터 전면부에는 명암조정을 비롯한 여러가지의 화면표시 조정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개의 조정버튼이 설치되어 있으며, 모니터 내부의 회로기판에 실장된 택트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조정버튼은 통상 택트구조인 택트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택트스위치를 작동시키는 택트버튼은 종래의 경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니터외함(150) 내측에 나사(134)결합되는 고정부재(130)의 탄성리브(1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모니터외함(150)의 버튼수용홀(152)에 작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으며, 일체로 돌출형성된 누름돌기(122)가 상기 택트버튼(120)의 누름동작에 따라 회로기판(140)에 실장되어 있는 택트스위치(110)를 누름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택트버튼(120)은 고정부재(130)를 중심으로 각 탄성리브(132)에 해당 택트버튼(120)이 개별 작동될 수 있도록 분활된 구조로 해당 버튼수용홀(152)에 수용 지지된 결합상태를 이루고 있으며, 각 택트버튼(120)이 수용된 모니터외함(150)의 버튼수용홀(152) 부위에는 해당 기능표시가 각인되어 있거나 혹은 기능표시가 색인된 별도의 장식판(미도시 함)을 부착시켜 해당 택트버튼(120)의 기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모니터외함(150) 내부의 회로기판(140)에 실장된 택트스위치(110)는 택트버튼(120)의 누름작동에 의해 전진이동되는 누름돌기(122)에 의해 누름접점되어 작동되는데, 이는 상기 택트버튼(120)이 직방향으로 정확히 누름작동되지 못할 때에는 상기 택트스위치(110)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모니터의 모델이 다를 경우 택트버튼(120)의 규격도 그에 맞게 달라져야 하므로 택트버튼(120)을 공용 규격화하기 불가능하였으며, 따라서 각 모니터 모델에 맞는 해당 규격의 택트버튼(120)을 전부 생산하여 관리 보관하여야 한다는 재고관리의 부담은 물론, 해당 모니터 모델마다 그에 맞는 택트버튼(120)의 금형을 제작하여 택트버튼(120)을 성형하므로 필요 이상으로 금형비용이 늘어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택트스위치를 누름작동시키는 택트버튼을 이용하지 않고도 택트스위치를 직접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택트스위치를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보조기판에 실장시켜 버튼수용홀이 관통된 모니터외함 내측에 상기 보조기판을 결합고정시키는 한편, 버튼누름편을 상기 택트스위치 전방에 몰딩결합시키고 아울러 해당 기능표시가 인쇄된 기능표시스티거를 상기 모니터외함의 버튼수용홀부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모니터외함의 버튼수용홀부위에 부착된 기능표시스티거의 해당 기눙이 인쇄된 작동부위를 누르게 되면, 택트버튼의 누름작동없이 상기 작동부위 안쪽의 택트스위치가 직접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아울러 택트스위치의 기능이 변경될 경우에는 그에 맞게 해당 기능표시가인쇄된 기능표시스티거를 교환하여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택트스위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택트스위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택트스위치 결합상태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택트스위치12 : 버튼누름편
20 : 기능표시스티커22 : 기능표시
30 : 보조기판32 : 나사
40 : 회로기판50 : 모니터외함
52 : 버튼수용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택트스위치(10)가 보조기판(30)에 실장되어 모니터외함(50) 내측에 조립되기 전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택트스위치(10)가 회로기판(40)에 직접적으로 실장되지 않고 별도의 보조기판(30)에 실장되어 상기 회로기판(40)에 보조기판(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택트스위치(10) 전방면에는 일정 두께로 몰딩되는 버튼누름편(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택트스위치(10)가 출입작동될 수 있도록 모니터외함(50) 전면부에는 해당 버튼수용홀(52)이 천공되어 있으며, 각 택트스위치(10)의 기능에 맞게 전면부에 해당 기능표시(22)가 인쇄되어 있고 후면부는 본딩면으로 처리된 기능표시스티커(20)가 상기 모니터외함(50)의 버튼수용홀(52) 부위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택트스위치(10)가 모니터외함(50)에 결합된 작동구조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방면에 택트스위치(10)가 작동신호될 수 있도록 실장된 보조기판(40)이 모니터외함(50)의 전면부 내측에 나사(32)체결되어 결합고정있으며, 이때 상기 보조기판(30) 전면부에 실장된 택트스위치(10)는 모니터외함(50)에 형성되어 있는 버튼수용홀(52) 내에 작동출입될 수 있도록 끼워져 있다.
그리고, 택트스위치(10) 전방면에는 모니터외함(50) 전방면보다 조금 돌출되도록 일정 두께의 버튼누름편(12)이 몰딩되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버튼누름편(12)이 몰딩결합된 택트스위치(10)가 작동출입될 수 있도록 버튼수용홀(52)이 천공된 모니터외함(50) 전방면의 버튼수용홀(52) 부위에는 해당 기능표시(22)가 인쇄되어 있는 기능표시스티커(20)가 본딩결합되며, 이때 상기 기능표시스티커(20)의 해당 기능표시(22) 부위는 상기 버튼수용홀(52)에 수용된 택트스위치(10)와 동일 직방향을 이루어 누름작동력이 정확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택트스위치 작동구조는, 택트스위치(10)를 누름작동시키는 택트버튼(도 3의 120)을 없애고 모니터외함(50)의 버튼수용홀(52) 부위에 부착시킨 기능표시스티거(20)를 눌러 압착시켜서 상기 택트스위치(10)를 직접적으로 누름작동시킬 수 있다.
즉, 기능표시스티커(20)에 인쇄된 해당 기능표시(22) 부위를 누르게 되면, 기능표시(22) 부위가 압착되면서 버튼누름편(12)과 함께 보조기판(30)에 실장되어 있는 택트스위치(10)를 누름작동시켜 해당 작동신호가 회로기판(40)에 전달될 수 있으며, 특히 택트스위치(10)가 모니터외함(50)에 부착시킨 기능표시스티커(20)쪽으로 돌출된 작동구조를 이룸으로써 택트버튼 없이도 상기 택트스위치(10)를 직접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오동작이 거의 없이 정확한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고, 택트버튼이 없어짐에 따라 모니터 모델별도 규격이 따른 여로 종류의 택트버튼을 제작하는 데 따른 비용낭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 모델이 변경되어 택트버튼(도 3의 120)의 해당 기능표시가 바뀔 경우에는 그에 맞게 해당 기능표시(22)가 인쇄된 기능표시스티거(20)를 교환하여 부착시켜 사용하면 되므로, 모니터외함(50)의 버튼수용홀(52) 부위에 기능표시를 새로 각인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택트버튼 작동구조에 의하면, 택트스위치를 누름작동시키는 택트버튼을 이용하지 않고도 택트스위치를 직접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택트스위치가 항상 정확하게 작동될 수 있으며, 특히 모니터 모델에 따라 규격이 각기 다른 택트버튼이 없어짐에 따라 해당 규격에 맞는 여러종류의 택트버튼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공정 및 제작공정이 불필요하게 됨은 물론 택트버튼을 관리 보관할 필요가 없어져 관리비용도 줄어들고, 아울러 모니터 모델이 변경되어 택트스위치의 해당 기능을 바뀔 경우에도 각인공정 대신에 해당 기능표시가 인쇄된 기능표시스티커만 교환하여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택트스위치(10)를 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보조기판(30)에 실장시켜 버튼수용홀(52)이 관통된 모니터외함(50) 내측에 상기 보조기판(30)을 결합고정시키는 한편, 버튼누름편(12)을 상기 택트스위치(10) 전방에 몰딩결합시키고 아울러 해당 기능표시(22)가 인쇄된 기능표시스티거(20)를 상기 모니터외함(50)의 버튼수용홀(52) 부위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KR2019970017199U 1997-06-30 1997-06-30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KR1999000360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199U KR19990003601U (ko) 1997-06-30 1997-06-30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199U KR19990003601U (ko) 1997-06-30 1997-06-30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601U true KR19990003601U (ko) 1999-01-25

Family

ID=69686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199U KR19990003601U (ko) 1997-06-30 1997-06-30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60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3601U (ko) 모니터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JP2000299567A (ja) 押しボタン連の取付構造
GB2393496A (en) Unlocking a battery compartment cover of a wireless computer mouse by pushing downwards on an actuating piece
PL1545177T3 (pl) Ramka centrująca i moduł ją obejmujący
KR20040059682A (ko) 전자레인지 콘트롤러의 버튼장치
JP2005191029A (ja) 操作ボタン及び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気機器
KR200155492Y1 (ko) 전자제품용 작동버튼과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구조
JP3751167B2 (ja) 電子機器のフロントパネル構造
KR200235382Y1 (ko) 인쇄회로기판유동방지기구
JPS5816212Y2 (ja) 表示用プリント基板の構造
KR920004121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버턴판
JPH079416Y2 (ja) 電子機器用筐体
KR200164858Y1 (ko) 인쇄회로기판(pcb) 장착위치 가이드구조
KR100888868B1 (ko) 전자제품용 버튼장치
JPH0418146Y2 (ko)
KR19990024779U (ko) 호환성을 갖는 버튼
JP3093293U (ja) 多連スイッチノブ取付構造
JPH0877870A (ja) 押釦スイッチおよびその押釦スイッチを用いたプリント基板組立
JP2023037154A (ja) 電子機器
KR200158540Y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우어스위치 취부구조
KR19980024443U (ko) 발광다이오드가 일체화된 푸쉬버튼 조립체
CN1833475B (zh) 固定装置
KR20070014618A (ko) Pcb 일체형 컨트롤 버튼 어셈블리
JPH09161588A (ja) 押釦スイッチ
JP2000200524A (ja) 操作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