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019U -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019U
KR19990003019U KR2019970016611U KR19970016611U KR19990003019U KR 19990003019 U KR19990003019 U KR 19990003019U KR 2019970016611 U KR2019970016611 U KR 2019970016611U KR 19970016611 U KR19970016611 U KR 19970016611U KR 19990003019 U KR19990003019 U KR 199900030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s
front panel
knob assembly
assembly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6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곤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6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019U/ko
Publication of KR199900030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019U/ko

Links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를 개시한다.
종래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노브들을 무리한 힘으로 눌러 작동시킬 경우에 노브들이나 택트 스위치가 쉽게 파손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사용도중에 노브 조립체가 파손될 경우에 노브 조립체의 교체가 불가능해져 사용자의 불만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본 고안은 설치구멍의 양쪽에 위치되도록 그 배면에 제 1 및 제 2 결합핀이 각각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결합핀의 외주면에 프론트 패널의 배면과 연결되는 보강 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과; 프론트 패널의 제 1 및 제 2 결합핀이 통과되게 끼워져 용착이 가능하도록 제 1 및 제 2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노브들의 작동 위치가 규제 가능하게 노브들의 배면과 소정 간격의 갭을 유지하도록 장착되는 스토퍼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따라서, 노브들의 작동 위치가 스토퍼 플레이트에 의해 정확하게 규제되어 노브들과 택트 스위치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뿐만 아니라, 노브들의 작동 불량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knob assembly)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 불량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은 그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기능선택노브가 장착되어 전자제품의 기능을 설정하게 되는 것으로, 전자제품의 예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를 살펴보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파워(power), 플레이(play), 이젝트(eject), 리뷰(review) 등과 같은 모드(mode)는 사용자에 의한 기능선택노브의 조작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자제품에 대한 하나의 예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는 본체(body: Bo)의 전면에 프론트 패널(front panel: Fp)이 장착되고, 이 프론트 패널(Fp)상에는
다수의 노브 조립체(Ka)가 장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브 조립체(Ka)의 조작에 의해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는 본체(Bo)의 바닥에 설치되는 하나의 회로기판(Cb)을 사용하여 전자회로를 구성하는 이른 바 원타입 회로기판(one type circuit board)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는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 조립체(10)는 다수의 노브(11)들이 텐션 리브(tension rib: 12)들에 의해 서포트 리브(support rib: 13)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노브 조립체(10)의 서포트 리브(13)에는 다수의 결합구멍(14)들이 형성되고, 노브(11)들의 배면에 푸셔(pusher: 15)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는 프론트 패널(20)의 전면에 노브 조립체(10)의 노브(11)들이 노출되도록 설치구멍(21)이 형성되며, 프론트 패널(20)의 배면에는 노브 조립체(10)의 결합구멍(14)들에 끼워져 통과되는 다수의 결합핀(22)들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20)의 결합핀(22)들은 노브 조립체(10)의 결합구멍(14)들에 통과되게 끼운 후에, 결합핀(22)들의 끝부분은 용착(溶着), 즉 녹여붙여 노브 조립체(10)와 프론트 패널(20)을 조립시킨다.
따라서, 노브(11)들의 조작에 따라 텐션 리브(12)들이 탄성변형(彈性變形)되면서 푸셔(15)에 의해 회로기판(Cb)의 상면에 장착되는 택트 스위치(tact switch: Sw)가 눌려져 작동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는, 사용자가 프론트 패널(20)의 전방에서 노브(11)들을 눌러 작동시킬 경우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노브(11)들이나 택트 스위치(Sw)가 쉽게 파손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사용자가 노브(11)들을 무리한 힘으로 눌러 작동시킬 경우에는, 텐션 리브(12)들이 소성(塑性)에 의해 탄성변형 후에 원상태로 복원되지 못하여 노브 조립체(10)의 기능이 상실되거나 구조적으로 취약한 텐션 리브(12)들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노브(11)들이 무리한 힘으로 작동될 경우에 푸셔(15)가 택트 스위치(Sw)를 강하게 눌러주기 때문에 택트 스위치(Sw)가 빈번하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제품의 사용도중에 노브 조립체(10)가 파손될 경우에는, 노브 조립체(10)의 교체가 불가능해져 사용자의 불만 원인으로 크게 작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노브들의 작동 위치가 정확하게 규제되어 파손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노브들의 작동 불량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제품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노브 조립체(knob assembly) 31; 노브
32; 텐션 리브(tension rib) 33; 서포트 리브(support rib)
34; 결합구멍 35; 푸셔(pusher)
40; 프론트 패널(front panel) 41; 설치구멍
42; 결합핀 45a,45b; 제 1 및 제 2 결합핀
50; 스토퍼 플레이트(stopper plate) 51a,51b; 제 1 및 제 2 결합구멍
Cb; 회로기판(circuit board) Sw; 택트 스위치(tack switch)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다수의 노브들이 텐션 리브들에 의해 서포트 리브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노브들의 배면 하부에 푸셔가 형성되는 노브 조립체와, 노브들이 용착에 의해 설치되도록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과, 노브들의 푸셔에 의해 작동되는 택트 스위치가 장착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에 있어서, 설치구멍의 양쪽에 위치되도록 그 배면에 제 1 및 제 2 결합핀이 각각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결합핀의 외주면에 프론트 패널의 배면과 연결되는 보강 리브가 각각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과; 프론트 패널의 제 1 및 제 2 결합핀이 통과되게 끼워져 용착이 가능하도록 제 1 및 제 2 결합구멍이 각각 형성되고, 노브들의 작동 위치가 규제 가능하게 노브들의 배면과 소정 간격의 갭을 유지하도록 장착되는 스토퍼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브 조립체(30)는 다수의 노브(31)들이 텐션 리브(32)들에 의해 서포트 리브(33)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노브 조립체(30)의 서포트 리브(33)에는 다수의 결합구멍(34)들이 형성되며, 서포트 리브(33)는 노브(31)들의 배면 하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노브 조립체(30)는 다수의 노브(31)들이 서포트 리브(33)에 연결되어 하나의 조합품으로 제작되며, 노브 조립체(30)는 합성수지를 소재로하여 성형에 의해 노브(31)들을 원형 및 타원형, 기타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노브(31)들의 배면 하부에 푸셔(35)가 각각 형성되고, 푸셔(35)는 회로기판(Cb)의 상면에 장착되는 택트 스위치(Sw)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는 프론트 패널(40)의 전면에 노브 조립체(30)의 노브(31)들이 노출되어 설치되도록 설치구멍(41)이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40)의 배면에는 노브 조립체(30)의 결합구멍(34)들에 끼워져 통과되는 다수의 결합핀(42)들이 돌출 형성된다.
프론트 패널(40)의 결합핀(42)들은 노브 조립체(30)의 결합구멍(34)들에 통과되게 끼운 후에, 결합핀(42)들의 끝부분은 용착, 즉 녹여붙여 노브 조립체(30)와 프론트 패널(40)을 조립시킨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40)의 배면에는 설치구멍(41)의 양쪽에 위치되도록 제 1 및 제 2 결합핀(45a,45b)이 각각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결합핀(45a,45b)의 외주면에 프론트 패널(40)의 배면과 연결되는 보강 리브(46)가 각각 형성되며, 보강 리브(46)는 제 1 및 제 2 결합핀(45a,45b)에 의해 변형이 방지된다.
한편, 노브(30)들의 후방에 작동 위치가 규제되도록 스토퍼 플레이트(stopper plate: 50)가 장착되는 것으로, 스토퍼 플레이트(50)의 양쪽에는 프론트 패널(40)의 제 1 및 제 2 결합핀(45a,45b)이 서로 대응되어 통과되게 끼워지도록 제 1 및 제 2 결합구멍(51a,51b)이 각각 형성된다.
스토퍼 플레이트(50)의 제 1 및 제 2 결합구멍(51a,51b)을 통과한 제 1 및 제 2 결합핀(45a,45b)의 끝은 용착되고,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결합핀(45a,45b)에 의해 노브(31)들의 후방에 스토퍼 플레이트(50)가 장착된다.
또한, 스토퍼 플레이트(50)는 노브(31)들의 배면이 전체적으로 지지되도록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때 스토퍼 플레이트(50)는 그 전면과 노브(31)들의 배면 사이에 노브(31)들의 작동이 가능하게 소정 간격의 갭(gap: G)이 유지되도록 장착된다.
여기에서, 노브(31)들의 배면과 스토퍼 플레이트(50)의 전면 사이에 형성되는 갭(G)은 노브(31)들의 푸셔(35)에 의해 택트 스위치(Sw)가 작동할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노브(31)들이 초기 위치에서 푸셔(35)에 의해 택트 스위치(Sw)를 작동시키는 작동 위치로 눌려지면서 스토퍼 플레이트(50)에 의해 노브(31)들의 작동 위치가 정확하게 규제되는 것이다.
상기한 노브 조립체(30)는 다수의 노브(31)들이 서포트 리브(33)에 연결되어 하나의 조합품으로 제작된 것을 나타냈으나, 노브 조립체(30)는 하나의 노브가 단일 구성품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프론트 패널(40)의 전방에서 노브 조립체(30)의 노브(31)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눌러 작동시키게 되면, 노브(31)들의 조작에 따라 텐션 리브(32)들이 탄성변형되면서 푸셔(35)에 의해 회로기판(Cb)의 택트 스위치(Sw)가 눌려져 작동된다.
이와 같이 노브 조립체(30)의 노브(31)들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노브(31)들의 배면이 스토퍼 플레이트(50)의 전면에 지지되고, 이에 따라 노브(31)들의 작동 위치가 정확하게 규제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노브(31)들이 초기 위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게 되면, 노브(31)들은 텐션 리브(32)들의 탄성변형에 의해 푸셔(35)가 택트 스위치(Sw)를 작동시키는 작동 위치로 작동되고, 이때 노브(31)들의 배면이 스토퍼 플레이트(50)에 지지되면서 더 이상 노브(31)들이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요컨대, 노브(31)들은 푸셔(35)가 택트 스위치(Sw)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텐션 리브(32)들을 기준으로하여 초기 위치에서 작동 위치로 어느 정도 회전되는데, 이러한 노브(31)들의 회전은 스토퍼 플레이트(50)에 의해 규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노브 조립체(30)의 노브(31)들이 스토퍼 플레이트(50)에 의해 택트 스위치(Sw)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 위치로 정확하게 작동되므로, 노브(31)들과 택트 스위치(Sw)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다.
특히, 본 고안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노브(31)들을 무리한 힘으로 눌러 작동시킬 경우에도, 노브(31)들의 회전이 스토퍼 플레이트(50)에 의해 작동 위치까지만 이루어지면서 작동 불량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에 의하면, 노브들의 작동 위치가 스토퍼 플레이트에 의해 정확하게 규제되어 노브들과 택트 스위치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뿐만 아니라, 노브들의 작동 불량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노브들이 텐션 리브들에 의해 서포트 리브와 일체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노브들의 배면 하부에 푸셔가 형성되는 노브 조립체와, 상기 노브들이 용착에 의해 설치되도록 설치구멍이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노브들의 푸셔에 의해 작동되는 택트 스위치가 장착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설치구멍(41)의 양쪽에 위치되도록 그 배면에 제 1 및 제 2 결합핀(45a,45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핀(45a,45b)의 외주면에 프론트 패널(40)의 배면과 연결되는 보강 리브(46)가 각각 형성되는 프론트 패널(40)과;
    상기 프론트 패널(40)의 제 1 및 제 2 결합핀(45a,45b)이 통과되게 끼워져 용착이 가능하도록 제 1 및 제 2 결합구멍(51a,51b)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노브(31)들의 작동 위치가 규제 가능하게 상기 노브(31)들의 배면과 소정 간격의 갭(G)을 유지하도록 장착되는 스토퍼 플레이트(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2019970016611U 1997-06-30 1997-06-30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199900030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611U KR19990003019U (ko) 1997-06-30 1997-06-30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6611U KR19990003019U (ko) 1997-06-30 1997-06-30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019U true KR19990003019U (ko) 1999-01-25

Family

ID=6968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6611U KR19990003019U (ko) 1997-06-30 1997-06-30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01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3019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19990001429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19990001418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19990018616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200163937Y1 (ko) 전자제품의 노브 이탈 방지구조
KR19990013593U (ko) 전자제품용 노브
KR19990003027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KR19990018614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19990018624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100353327B1 (ko) 다접점 스위치
KR19990009678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KR200160484Y1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KR20000012466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18626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19990024006U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장치
KR19990016665U (ko) 전자제품용 프론트 패널의 노브 구조
KR19990009671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KR19990018625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조립구조
KR19990005576U (ko) 전자제품의 노브 조립체
KR930002070Y1 (ko) 일체형 다기능 푸쉬버튼 장치
KR0124466Y1 (ko) 카스테레오의 택트스위치 작동구조
JPH0755734Y2 (ja) 操作ノブの取付構造
KR970002535Y1 (ko) 푸시버튼 조작장치
KR19990009677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KR19990001419U (ko) 전자제품용 노브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