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583A - 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and Transmission System - Google Patents

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and Transmis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583A
KR19990001583A KR1019970024957A KR19970024957A KR19990001583A KR 19990001583 A KR19990001583 A KR 19990001583A KR 1019970024957 A KR1019970024957 A KR 1019970024957A KR 19970024957 A KR19970024957 A KR 19970024957A KR 19990001583 A KR19990001583 A KR 19990001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frame
transmitted
decoding
enco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4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0220B1 (en
Inventor
후쿠나가시게루
나카이토시히사
Original Assignee
사와무라시코우
오끼뎅끼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와무라시코우, 오끼뎅끼고오교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와무라시코우
Priority to KR1019970024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220B1/en
Publication of KR19990001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5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22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Abstract

복호화 장치의 수신능력에 의해 부호화효율에 격차가 있었다.There was a difference in encoding efficiency due to the reception capability of the decoding apparatus.

복호화 장치로부터 통지되는 부호화 데이터에 관한 각 시점의 수신결과에 의해서 복호화 장치의 수신능력을 추정하고, 해당 추정결과에 의해서 예측부호화 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참조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갱신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각 복호화 장치의 수신능력에 따라서 참조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게 된다.The reception capability of the decoding apparatus is estimated based on the reception results at each time point regarding the encoded data notified from the decoding apparatus, and adaptively updated reference data as a reference when predictive encod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 This makes it possible to update the reference data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capability of each decoding apparatus.

Description

부호화 장치, 복호화 장치 및 전송시스템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and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화상전송시스템, 화상부호화 장치 및 화상복호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화상전송에 있어서의 프레임탈락이나 저속촬영 등에 의한 화상 품질저하에 대한 개선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transmission system, an image encoding apparatus, and an image decoding apparatus, and can be applied, for example, to improvement of image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frame dropping or low speed photography in image transmission.

최근, 텔레비젼 전화시스템, 텔레비젼 회의시스템, 또는 비디오온디맨드(VOD: Video On Demand)시스템등의 네트워크를 전송로로 하는 화상신호의 전송시스템이 보급되면서, 이것에 수반하여 화상부호화방법의 국제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a video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ing a network such as a television telephone system, a television conferencing system, or a video on demand (VOD) system has become widespread,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work of a video encoding method is accompanied by this. This is going on.

화상부호화방법은 프레임내 부호화와 프레임간 부호화를 병용하는 것과, 프레임내 부호화만을 사용하는 것의 2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The image encoding method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using intraframe coding and interframe coding together and using only intraframe coding.

이 중에서, 프레임내 부호화방식과 프레임간 부호화방식을 병용하는 것은, ITU -T 권고 H. 261이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등의 동화상통신/ 축적용의 부호화방식에 적용되고 있다. 도 2는 시간 순으로 늘어놓은 프레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ITU-T 권고 H. 261에서는, 도 2와 같이 정기적으로 프레임내 부호화(I 프레임 a, i)를 행하지만, 그 사이의 P프레임(프레임간 부호화프레임) (b∼h, j∼)에 대한 앞(前)프레임을 참조화상으로 한 프레임간 부호화를 행함으로써, 시간적변화에 관계되는 용장도(冗長度)를 제외시키고 있다. 이하, 프레임내 부호화한 프레임을 I프레임이라고 부르고, 프레임간 부호화한 프레임을 P프레임이라고 부르기로 한다.Among these, the combination of the intra-frame coding method and the inter-frame coding method is applied to a coding method for moving picture communication / accumulation such as ITU-T Recommendation H. 261 or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2 shows an example of frames 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In ITU-T Recommendation H. 261, intra-frame encoding (I frames a and i) is performed periodically as shown in FIG. 2, but for P frames (inter-frame encoded frames) (b to h and j to) therebetween. By performing inter-frame encoding using the preceding frame as a reference picture, redundancy related to temporal change is excluded. Hereinafter, the frame encoded in the frame is called I frame, and the frame encoded between frames is called P frame.

한편, 프레임내 부호화만을 사용하는것은,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등의 정지화상용 부호화방식을 연속이용하여, 도3과 같이 전(全)프레임에 대하여 프레임내 부호화를 행한다.On the other hand, only intra-frame encoding is used, in-frame encoding is performed for all the frames as shown in Fig. 3 by using a continuous picture coding method such as JPEG (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H. 261은 앞프레임을 참조하여 프레임간 부호화를 행하기 때문에, 모든 프레임이 확실하게 순서대로 전송될 필요가 있다. 전화회선이나 ISDN 회선과 같이 상대와의 회선을 확립하고 나서 데이터전송을 행하는 경우에는, 데이터가 도중에서 빠지는 일이 없이 차례로 상대에게 도착하기 때문에 문제는 없지만, 이서네트등의 LAN이나 ATM에서는 회선을 확립하지 않고, 작은 데이터단위(패킷이나 셀)로 분할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패킷이 도중에서 빠지거나, 경로의 차이로 인해 순서가 바뀌거나 하는 일이 있다.Since H. 261 performs inter-frame encoding with reference to the preceding frame, all frames need to be transmitted reliably in order. When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after establishing a line with a partner, such as a telephone line or an ISDN line, there is no problem because data arrives at each other in sequence without dropping out of the way, but LAN and ATM such as Ethernet Since the data is divided into small data units (packets and cells) without being established, the packets may be dropped in the middle, or the order may be changed due to differences in paths.

일반적으로는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송신측에서 패킷을 통해서 번호를 부가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 순서를 바꾸어 놓거나, 도착되지 않은 패킷의 재송요구를 송신측에 반송하거나 하는 프로토콜(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rotocol in which a sender adds and transmits a number through a packet, changes the order at the receiver, or sends a request for retransmission of an unarrived packet to the sender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etc.) ) To improve network reliability.

그렇지만, 네트워크의 동작이 불안정하고 패킷이 빈번하게 탈락되는 경우에는, 상기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재송처리를 하면 지연이 축적되기 때문에, 동화상의 실시간전송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특히 새로운 화상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하다면, 낡은 데이터를 일부러 재송하여 표시하는 것보다도, 저속촬영이 되더라도 새로운 데이터를 표시하는 쪽이 좋은 경우도 있다.However, when the operation of the network is unstable and packets are frequently dropped, delays are accumulated when retransmission processing using the above protocol is not suitable for real-time transmission of moving images. In particular, if new image data can be displayed, it may be better to display new data even if time lapse is taken, rather than retransmitting and displaying old data on purpose.

또한, 다지점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에 사용하는 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는, 1회의 패킷송신으로 복수지점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런데, 이 장치에 있어서, 1지점에의 패킷전송시에 탈락이 생긴 경우에 상술의 프로토콜과 같은 재송처리를 하면, 타지점의 네트워크에 관하여는 최초의 패킷이 정상적으로 도착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같은 패킷을 재송해야 되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부하가 현저하게 상승해 버린다. 그래서, 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에서는 재송처리를 하지 않은 프로토콜(UDP: User Datagram Protocol 등)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고, 패킷의 탈락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In addition, broadcast and multicast used when transmitting data to multiple points are devices for transmitting data to multiple points in one packet transmission. In this apparatus, however, if a dropout occurs during packet transmission to one point, retransmission processing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protocol causes the same packet to be received even though the first packet has arrived normally with respect to the network of the other point. Since it is necessary to retransmit, the load on the network increases significantly. Therefore, in broadcast or multicast, it is common to use a protocol (UDP: User Datagram Protocol, etc.) that has not been retransmitted, and the probability of packet dropping is increasing.

또한,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패킷분할하여 전송할 때 뿐만 아니라 회선을 확립하여 전송할 때도 데이터의 오류율이나 탈락율이 높아지는 경향이다. 특히, 수신측에서 오류를 검출하더라도, 에러정정능력 이상의 오류가 있는 경우는, 다른 부분을 정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어느 구간의 데이터를 폐기하는 방법도 쓰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탈락은 유선네트워크에 비해서 크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using a wireless network, the error rate and dropout rate of the data tends to increase not only when the packet is divided and transmitted but also when the circuit is established and transmitted. In particular, even if the receiving side detects an error, when there is an error exceeding the error correction capability, a method of discarding data in any section is used, in order to process other portions as normal, so that the dropout of data is larger than in a wired network.

이 밖에, 송수신 단말간의 처리속도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는 문제도 있다. 예를 들면, 수신단말의 처리속도쪽이 느린 경우 전(全)화상프레임을 복호처리하여 표시하면, 처리를 기다리는 프레임데이터가 축적되어 지연이 커진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는 수신측이 적응적으로 저속촬영을 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수법으로 프레임을 프레임간 부호화하면, 앞프레임의 복호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현프레임을 복호할 수 없고, 저속촬영이 자유롭게 행해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cessing speed between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terminals is not necessarily identical. For example, when the processing speed of the receiving terminal is slow, when all image frames are decoded and displayed, frame data waiting for processing is accumulated and the delay is increased. Therefore, in such a case, it is necessary for the receiving side to adaptively time-lapse photography. By the way, when a frame is encoded between frames by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urrent frame cannot be decoded when there is no decoded data of the previous frame, and low-speed photography is not freely performed.

도 4에 H. 261인 경우의 프레임탈락의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프레임 e가 도중에서 탈락하거나 처리가 늦어져서 복호하지 못했을 경우, 다음의 I 프레임 i가 도착할 때까지는 그 간의 P프레임(f, g, h)은 복호할 수 없다.4 shows an example of frame dropout in the case of H.261. Here, when frame e is dropped out in the middle or processing is delayed, decoding is not possible until the next I frame i arrives, and the frame P (f, g, h) therebetween cannot be decoded.

그래서 종래에는, 이러한 프레임의 탈락이나 저속촬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네트워크에서 모든 프레임을 확실히 전송하는데는, 프레임간 부호화를 사용하지 않고 모든 프레임을 프레임내 부호화만으로 전송하는 JPEG 같은 방법을 채용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도5에 나타내는 JPEG에 의한 부호화방법의 경우에는, 프레임 e가 탈락하더라도 다음의 프레임에서 정상으로 복호가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 프레임간 부호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적인 변화의 용장도가 제외되지 않고, 부호화효율이 나쁘며 전송데이터량이 크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Thus, conventionally, in order to ensure all frames in a network in which such frames are dropped or time-lapse photography occurs frequently, a method such as JPEG is used in which all frames are transmitted only by intra-frame coding without using inter-frame coding. For example, in the JPEG encoding method shown in Fig. 5, even if frame e is dropped, decoding can be performed normally in the next frame. Howev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dundancy of the temporal change is not excluded because no inter-frame coding is performed, and the coding efficiency is bad and the amount of transmission data is large.

이상과 같은 이유에서, 프레임의 탈락이나 저속촬영의 발생이 예상되는 환경하에서도, 나중에 보내져오는 I 프레임을 기다리지 않고 P프레임을 복호할 수 있고, 덧붙여서 멀티포인트 전송시에도 부호화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부호화·복호화 장치의 실현이 요청되고 있다.For the above reason,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frame dropout or low-speed photography is expected, the P frame can be decoded without waiting for an I-frame to be sent lat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decrease in coding efficiency even during multipoint transmission. There is a demand for the implementation of a coding and decoding devic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어느 시점에서의 피전송데이터를 기준으로 그 이후에 전송하는 각 시점의 피전송데이터를 예측부호화하고, 해당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 장치에 전송하는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아래와 같이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coding apparatus for predicting encoding the transmitted data at each time point to be transmitted thereafter on the basis of the transferred data at some time point,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data to the decoding device, It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즉, 복호화 장치로부터 통지되는 부호화 데이터에 관한 각 시점의 수신결과에 따라서 복호화 장치의 수신능력을 추정하는 추정수단과, 해당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따라서 예측부호화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참조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갱신하는 참조 데이터갱신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estimation means for estimating the reception capability of the decod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result of each time point regarding the encoded data notified from the decoding apparatus, and the reference data as a reference when predicting encoding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 by the estimation means are adapted. A reference data update means for updating the data is provided.

본 발명의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는, 각 복호화 장치의 수신능력에 따라서 참조 데이터를 갱신하게 되기 때문에, 전송대상인 피전송데이터에 비하여 적절한 참조 데이터를 항상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송대상에 따른 부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부적절한 데이터가 참조 데이터로서 선택되는 기회를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호화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In the encod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ference data is updated according to the reception capability of each decoding device, it is possible to always select appropriate reference data as compared with the transferred data to be transmitted, and to realize encoding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target. have. In addition, since the opportunity to select inappropriate data as reference data can be reduced, the coding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high.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송로를 통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차례로 복호화하는 복호화 장치에서 아래와 같이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coding apparatus for sequentially decoding encoded data received through a transmission path is characterized as follows.

즉, 자신의 수신능력에 관해서 변경요구가 있을 때나 또는 수신능력에 변경이 있었을 때, 부호화 데이터를 송출하는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 자신에게 생기거나 또는 이미 생긴 수신능력의 변경을 통지하는 송신수단을 설치하도록 한다.That is, when a change request is made in relation to its own reception capability or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reception capability, a transmitting means is provided for notifying the encoding apparatus that transmits the encoded data of a change in the reception capability that has occurred or has already occurred. do.

본 발명의 복호화 장치에서는, 부호화 장치측에 대하여 자신의 수신능력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호화 장치에서의 적응적인 부호화처리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deco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ify the encoding apparatus side of the change of its reception capability, it is possible to realize the adaptive encoding processing in the encoding apparatus.

그리고, 이들부호화 장치나 복호화 장치를 사용하여 전송시스템을 구축하고, 부호화효율이 높은 시스템을 실현한다.Then, a transmission system is constructed using these encoding apparatuses and decoding apparatuses to realize a system with high coding efficiency.

도 1은 제 1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권고 H. 261에 의거하는 부호화방식의 설명도.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ding scheme based on Recommendation H. 261;

도 3은 JPEG에 의거하는 부호화방식의 설명도.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oding method based on JPEG.

도 4는 권고 H. 261에 의거하는 부호화시에 프레임 탈락이 있는 경우의 설명도.4 is an explanatory diagram in the case of frame dropout at the time of encoding according to Recommendation H. 261;

도 5는 JPEG에 의거하는 부호화시에 프레임 탈락이 있었던 경우의 설명도.5 is an explanatory diagram when a frame dropout occurs at the time of encoding based on JPEG.

도 6은 제 1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Fig. 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7은 멀티포인트 전송개시 직후의 화상부호화예를 나타내는 설명도.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mage encoding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multipoint transmission;

도 8은 멀티포인트 전송개시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후의 화상부호화예를 나타내는 설명도.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mage encoding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multipoint transmission.

도 9는 멀티포인트 전송시에 프레임탈락이 있는 경우의 설명도.9 is an explanatory diagram in the case of frame dropout during multipoint transmission;

도 10은 멀티포인트 전송시에 수신타이밍에 변동이 있는 경우의 설명도면.10 is an explanatory diagram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change in reception timing at the time of multipoint transmission.

도 11은 멀티포인트 전송시에 수신타이밍에 변동이 있는 경우의 비교예를 나타내 는 설명도.Fi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mparative example when there is a variation in reception timing at the time of multipoint transmission.

도 12는 제 2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Fig. 1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3은 멀티포인트 전송시의 화상부호화예를 나타내는 설명도.Fig.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mage encoding in multipoint transmission;

도 14는 멀티포인트 전송시에 프레임탈락이 있는 경우의 설명도.14 is an explanatory diagram in the case of frame dropout during multipoint transmission;

도 15는 제 3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Fig. 1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6은 제 3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Fig. 1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7은 대상(對象) 단말테이블을 나타내는 설명도.1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target terminal table;

도 18은 전파지연이 큰 경우의 화상부호화예를 나타내는 설명도.1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mage encoding in the case where the propagation delay is large;

도 19는 프레임소거가 지나치게 빠른 경우의 화상부호화예를 나타내는 설명도.Fig. 19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image encoding when frame erasing is too fast.

도 20은 제 4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20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video en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 21은 대상 단말테이블의 가중예를 나타내는 설명도.2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weighting example of a target terminal tabl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300,400,600 : 동화상 부호화 장치101 : 동화상 입력부100, 300, 400, 600: moving picture encoding apparatus 101: moving picture input unit

102 : 부호화부103,206 : 복호화부102: encoder 103,206: decoder

104,205 : 프레임 메모리105,204 : 참조프레임 메모리104,205: frame memory 105,204: reference frame memory

106 : Intra/Inter 판단부107 : 부호데이터송신부106: Intra / Inter judgment unit 107: code data transmission unit

108 : 확인신호수신부109 : 다지점 수신기록부108: confirmation signal receiving unit 109: multi-point receiving recording unit

110 : 수신능력추정부111 : 대상단말한정부110: reception capacity estimation 111: target terminal government

112 : 참조프레임선정부113,203 : 참조프레임갱신부112: reference frame selection 113,203: reference frame update unit

200,500 : 동화상 복호화 장치201 : 부호데이터 한정수신부200,500: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201: code data limited receiver

202 : 참조프레임 비교부207 : 확인신호송신부202: reference frame comparison unit 207: confirmation signal transmission unit

208 : 동화상 출력부209 : 리플레쉬신호 송신부208: moving image output unit 209: refresh signal transmission unit

210 : 수신능력 변경요구수단301,401,601 : 수신능력추정부210: Request for changing the reception capability 301,401,601: Estimation of the reception capability

302 : 수신단말분류부303,402,602 : 대상단말한정부302: receiving terminal classification unit 303,402,602: target terminal government

403 : 대상단말기록부404 : 불필요 프레임선정부403: target terminal recorder 404: unnecessary frame selection

405 : 불필요 프레임소거부406 : 불필요 프레임번호송신부405: Unnecessary frame eraser 406: Unnecessary frame number transmitter

501 : 불필요 프레임번호수신부502 : 불필요 프레임소거부501: unnecessary frame number receiving unit 502: unnecessary frame erasing unit

603 : 프레임가중부604 : 가중기록부603: frame weighting unit 604: weighting recording unit

605 : 필요 프레임소거부605: frame elimination required

이하에, 본 발명을 동화상의 멀티포인트전송에 적용하는 경우에 관한 제 1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case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multipoint transfer of a moving pi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제 1의 실시형태)(A) (1st embodiment)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송시스템의 송신단말은, 멀티포인트를 전송할 때 프레임이 정상적으로 수신된(또는 이상이 있는)것을 송신단말측에 알리기 위해서 각 수신단말이 송신하는 복호이상유무 신호(이하, 확인신호라 한다)를 이용하여 각 수신단말의 수신능력을 추정하고, 수신능력에 차가 있는 경우에는 다음프레임을 수신하고자하는 대상단말을 한정하여, 이것에 응한 참조프레임의 선정 및 갱신을 행하는 기능을 설치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The transmission terminal of the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ecoding error presence signal transmitted by each receiving terminal to inform the transmitting terminal that a frame has been normally received (or has an abnormality) when transmitting a multipoint (hereinafter, an acknowledgment signal). Estimates the receiving capability of each receiving terminal, an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receiving capability, limits the target terminal to receive the next frame, and selects and updates the reference frame according to this. It is characterized by a point.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송시스템의 수신단말은, 자단말(自端末)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 부호화 데이터에 대해서는 복호처리를 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사용자로부터 자단말의 수신능력 변경요구를 받은 경우에 그것을 송신단말측에 송신하는 기능을 설치한 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unction of not performing decoding processing on the encoded data not targeted for the own terminal, and receives a request for changing the receiving capability of the own terminal from the user. In this cas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function for transmitting it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side is provided.

즉,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송시스템은, 수신단말의 능력에 따라서 참조프레임을 적응적으로 갱신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ther words, the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function of adaptively updating the reference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capability of the receiving terminal.

이어서, 전송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단말과 수신단말의 구성을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the receiving terminal constituting the transmission system will be described.

(A-1) 동화상 부호화 장치100의 구성(A-1) Configuration of the video encoding apparatus 100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송시스템을 구성하는 송신단말의 일례로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1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Fig. 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encoding apparatus 100 as an example of a transmission terminal constituting 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동화상입력부101는, 카메라등으로부터 입력된 동화상데이터를 프레임마다 부호화부102에 넘겨주는 수단이다.The moving image input unit 101 is a means for passing moving image data input from a camera or the like to the encoding unit 102 for each frame.

부호화부102는, 입력된 프레임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수단이고, 복호화부103와 부호데이터송신부107로 보낸다. 부호화를 할 때는 Intra / Inter 판단부106의 지시에 따라서, 프레임내부호화와 프레임간 부호화를 바꿔 행한다. 여기서 Intra는 프레임내 부호화를 나타내고 Inter는 프레임간 부호화를 나타낸다. 프레임간 부호화시에는 참조프레임 메모리105에 있는 프레임데이터를 참조하여 부호화한다.The encoder 102 is a means for encoding the input frame data, and is transmitted to the decoder 103 and the code data transmitter 107. In the encoding, the intra-frame encoding and the inter-frame encoding are switch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Intra / Inter judging unit 106. Where Intra represents intra-frame encoding and Inter represents inter-frame encoding. In inter-frame encoding, the frame data in the reference frame memory 105 is referred to and encoded.

복호화부103는 부호화 데이터를 재차 복호화하여, 복호한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04에 프레임번호와 동시에 기록하는 수단이다.The decoding unit 103 is a means for decoding the coded data again and writing the decoded frame data to the frame memory 104 simultaneously with the frame number.

프레임 메모리104는 매프레임데이터를 기억하는 매체이고, 참조프레임 갱신부113에 의해서 참조프레임이 갱신될때마다 불필요하게 된 데이터가 소거된다.The frame memory 104 is a medium for storing every frame data, and data that is no longer needed is erased each time the reference frame is updated by the reference frame updater 113.

참조프레임 메모리105는, 프레임간 부호화에 사용하는 참조프레임 데이터를 기억하는 매체이고, 참조프레임 갱신부113에 의해서 갱신된다.The reference frame memory 105 is a medium for storing reference frame data used for inter-frame encoding, and is updated by the reference frame updater 113.

Intra / Inter 판단부106는, 프레임내 부호화를 행할지, 프레임간 부호화를 행할지를 판단하는 수단이다. 통상적으로는 정기적(예를 들면, 30프레임마다)으로 프레임내부호화를 행하고, 그 밖의 기간은 프레임간 부호화를 행하지만, 수신측(후술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200)으로부터 리플레쉬신호를 수신한 경우는 강제적으로 프레임내 부호화를 행한다. 프레임내 부호화라고 판단한 경우는, 부호화부102와 참조프레임 갱신부113에 그 취지를 통지한다.The intra / inter determination unit 106 is a means for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intra-frame encoding or inter-frame encoding. In general, in-frame encoding is performed periodically (for example, every 30 frames) and inter-frame encoding is performed for other periods. However, when a refresh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side (the video decoding apparatus 200 described later). Intra-frame encoding is forcibly perform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ame is encoded, the encoder 102 and the reference frame updater 113 notify that.

부호데이터 송신부107는, 부호화된 동화상데이터를 수신측(동화상 복호장치200)에 송신하는 수단이다. 데이터에는 Intra/ Inter를 나타내는 플래그나 참조프레임 번호등을 다중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송신원(送信元)의 정보나 송신선(送信先)정보등도 다중하여 전송한다. 멀티포인트전송을 행하고 있는 경우는, 전수신단말에 전데이터를 송신한다. 대상단말 한정부111로부터 일부의 단말로 한정된 경우는 그 단말에만 송신해도 된다. 또한, 대상단말정보를 다중하여 송신해도 된다.The code data transmitter 107 is a means for transmitting the encoded video data to the receiving side (video decoding apparatus 200). The data is multiplied with a flag indicating an intra / inter, a reference frame number, or the like. In addition, if necessary, information of the transmission source, transmission line information, and the like are also multiplexed and transmitted. In the case of multipoint transmission, all data is transmitted to all receiving terminals. When limited to some terminals from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111, the terminal may be transmitted only to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target terminal information may be multiplexed and transmitted.

확인신호 수신부108는, 수신측(동화상 복호화 장치200)이 어떤 프레임을 복호했는지의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이고, 확인된 프레임번호를 참조프레임 갱신부113로 넘겨준다. 또한, 멀티포인트전송을 행하고 있는 경우는, 다지점 수신기록부109에 넘겨준다.The acknowledgment signal receiving unit 108 is a means for receiving an acknowledgment signal of which frame has been decoded by the receiving side (the video decoding apparatus 200), and passes the confirmed frame number to the reference frame updating unit 113. When multipoint transfer is being performed, the data is transferred to the multi-point reception recording unit 109.

다지점 수신기록부109는, 각 수신단말이 현재까지 어떤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는지와, 부호화 데이터를 송신하여 확인신호를 수신하기까지의 전파지연등의 과거의 수신실적을 각 단말별로 기록하는 수단이고, 기록된 데이터를 수신능력추정부110, 대상단말한정부111, 참조프레임 선정부112로 넘겨준다. 또, 참조프레임 선정부112가 전(全)수신단말이 수신하고 있는 프레임을 참조프레임으로서 선정한 경우는, 그 이전의 낡은 데이터는 소거해도 되고, 어느 기간을 정해서 보존해 놓아도 된다.The multi-point reception recording section 109 is a means for recording, by each terminal, the received reception records such as which frames each reception terminal has received so far, and the propagation delay until transmitting the encoded data and receiving the confirmation signal. The received data is passed to 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ion 110, the target terminal 111, and the reference frame selecting unit 112. In addition, when the reference frame selection unit 112 selects a frame received by all receiving terminals as a reference frame, the old data before that may be erased or may be stor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수신능력추정부110는 다지점 수신기록부109에 기록된 과거의 수신실적을 바탕으로, 각 수신단말의 평균프레임 탈락의 확률을 산출하여, 수신능력(프레임레이트나 네트워크의 전파지연등)을 추정하는 수단이고, 추정결과를 대상단말한정부111에 넘겨준다. 능력추정은 통신개시 일정시간후에 한 번만 행해도 되고, 수신능력이나 네트워크의 상태에 변화가 있는 경우는 일정시간마다 실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수신측(동화상 복호화 장치200)으로부터 수신능력 변경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그 지시에 따라서 수신능력추정을 행한다. 단 수신측으로부터의 수신능력 변경요구가 실현이 곤란하다고 추정되는 경우에는, 그 취지를 수신측에 통지하고 능력변경을 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or 110 estimates the reception capability (frame rate or propagation delay of the network) by calculating the probability of dropping the average frame of each receiving terminal based on the past reception records recorded in the multi-point reception recorder 109. Sudan, and handed over to the government 111 the target terminal. The capability estimation may be performed only once after a certain time of communication start, or may be performed every fixed time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reception capability or the state of the network. When the reception capability change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reception side (video decoding apparatus 200), 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However, in the case where it is estimated that the request for changing the reception capability from the reception side is difficult to realize, it may be notified to the reception side so as not to change the capability.

대상단말 한정부111는, 수신능력 추정부110에서 추정된 각 단말의 수신능력을 바탕으로, 다지점 수신기록부109에 기록된 수신실적으로부터 다음의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말을 한정하는 수단이다. 통상적으로는 모든 단말을 수신대상으로 하지만 분명히 수신능력에 차이가 있어, 다음의 프레임은 수신하지 않는다고 예상되는 단말이 있는 경우는 대상단말의 한정을 행하여, 한정한 대상단말데이터를 참조프레임 선정부112로 넘겨주는 동시에, 부호데이터 송신부107로 넘겨준다.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111 is a means for limiting a terminal that receives the next frame from the reception records recorded in the multi-point reception recording unit 109 based on the reception capability of each terminal estimated by 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ing unit 110. In general, all terminals are subject to reception, but clearly there is a difference in reception capability, and when there is a terminal that is expected not to receive the next frame, the terminal is restricted and the limited terminal data is referred to the reference frame selecting unit 112.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code data transmitting unit 107 at the same time.

참조프레임 선정부112는 대상단말 한정부111에서 한정된 단말의 수신실적을 바탕으로, 가장 공통으로 수신하고 있는 프레임을 참조프레임으로 선정하는 수단이고, 선정한 프레임번호를 참조프레임 갱신부13로 넘겨준다.The reference frame selecting unit 112 is a means for selecting the frame most commonly received as the reference frame based on the reception result of the terminal defined in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111, and passes the selected frame number to the reference frame updating unit 13.

참조프레임 갱신부113는, Intra / Inter 판단부106나 확인신호 수신부108, 참조프레임선정부11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참조프레임을 갱신하는 수단이다.The reference frame updating unit 113 is a means for updating the reference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s from the Intra / Inter determination unit 106, the confirmation signal receiving unit 108, and the reference frame selection unit 112.

Intra / Inter 판단부106로부터 프레임내 부호화의 지시를 받은 경우는, 현프레임의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04로부터 참조프레임 메모리105에 카피하고, 프레임 메모리104의 모든 프레임 데이터를 소거한다. 또한, 확인신호 수신부108로부터 프레임번호를 받은 경우는, 그 번호의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04로부터 참조프레임 메모리105에 카피하고, 그 번호이전의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04로부터 소거한다. 멀티포인트전송을 하고 있는 경우는, 참조프레임 선정부11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그 번호의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04로부터 참조프레임 메모리105에 카피한다. 이때, 대상단말이 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그 번호이전의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104로부터 소거한다.When the intra-frame encoding instruction is received from the intra / inter determination unit 106, the data of the current frame is copied from the frame memory 104 to the reference frame memory 105, and all frame data of the frame memory 104 is erased. When the frame number is received from the confirmation signal receiving unit 108, the frame data of the number is copied from the frame memory 104 to the reference frame memory 105, and the frame data preceding the number is erased from the frame memory 104. In the case of multipoint transmission, the frame data of the number is copied from the frame memory 104 to the reference frame memory 105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reference frame selecting unit 112. At this time, only when the target terminal is not limited, the frame data before the number is erased from the frame memory 104.

(A-2) 동화상 복호화 장치200의 구성(A-2) Configuration of the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200

도6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전송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신단말의 일례로서, 동화상 복호화 장치2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200 as an example of a receiving terminal constituting 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부호데이터 한정수신부201는, 부호화 된 동화상데이터를 송신측(동화상 부호화 장치100)으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이다. 부호화 데이터와 데이터에 다중되어 있는 Intra/ Inter를 나타내는 플래그나 참조프레임번호등을 복호화부206에 넘겨주고, 필요에 따라서 다중되어 있는 송신원 정보등도 복호화부206에 넘겨준다. 또한, 참조프레임번호를 참조프레임 비교부202로 넘겨준다. 또 멀티포인트 전송시에 대상단말정보가 다중되어 있는 경우는, 그 정보도 참조프레임 비교부202로 넘겨준다. 여기서, 자단말이 대상으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는 수신한 부호화 데이터를 폐기하고, 그 프레임에 대하여 복호화처리는 행하지 않는다.The code data limited reception unit 201 is a means for receiving the encoded video data from the transmitting side (video encoding apparatus 100). A flag indicating a coded data and an intra / inter multiplexed to the data, a reference frame number, and the like are passed to the decoding unit 206, and the transmission source information, etc., which are multiplexed as necessary, is also passed to the decoding unit 206. In addition, the reference frame number is passed to the reference frame comparison unit 202. When the target terminal information is multiplexed during the multipoint transmission, the information is also passed to the reference frame comparison unit 202. If the own terminal is not the target, the received encoded data is discarded, and no decoding process is performed for the frame.

참조프레임 비교부202는, 수신한 참조프레임번호와 참조프레임 메모리204에 기억되어 있는 자단말의 참조프레임번호를 비교하여, 참조프레임번호가 다른 경우에는 참조프레임 갱신부203에 참조프레임 갱신요구를 통지하고, 새로운 참조프레임번호를 넘겨준다. 또 대상단말정보가 있는 경우는 그것도 넘겨준다.The reference frame comparison unit 202 compares the received reference frame number with the reference frame numbers of its own terminals stored in the reference frame memory 204, and notifies the reference frame update unit 203 of the reference frame update request when the reference frame numbers are different. The new reference frame number is passed. If there is target terminal information, it is also passed on.

참조프레임갱신부203는, 참조프레임 비교부202로부터 갱신요구를 받으면 프레임 메모리205에서 새로운 참조프레임번호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참조프레임 메모리204에 프레임번호와 동시에 기록갱신한다. 이때, 대상단말이 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레임 메모리상의 낡은 프레임데이터를 소거한다.Upon receiving an update request from the reference frame comparator 202, the reference frame updater 203 reads data of a new reference frame number from the frame memory 205, and simultaneously writes and updates the frame number to the reference frame memory 204. At this time, when the target terminal is not limited, the old frame data on the frame memory is erased.

참조프레임 메모리204는, 프레임간 복호에 사용하는 참조프레임 데이터를 기억하는 매체이고, 참조프레임 갱신부203와 복호화부206에 의해서 갱신된다.The reference frame memory 204 is a medium for storing reference frame data used for interframe decoding, and is updated by the reference frame updating unit 203 and the decoding unit 206.

프레임 메모리205는, 복호한 프레임데이터를 기억하는 매체이다.The frame memory 205 is a medium for storing decoded frame data.

복호화부206는 입력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수단이고, 복호화 데이터 동화상출력부208로 보낸다. 복호를 할 때, I 프레임의 경우는, 복호화 데이터를 프레임번호와 동시에 참조프레임 메모리204에 기록참조프레임을 갱신한다. 또한, P프레임의 경우는, 참조프레임 메모리205의 데이터를 참조하여 복호하고, 복호데이터를 프레임번호와 동시에 프레임 메모리205에 기록한다. 또한, 복호에 성공한 경우는, 프레임번호를 확인신호 송신부207로 넘겨준다.The decoding unit 206 is a means for decoding the input coded data, and sends it to the decoded data moving image output unit 208. When decoding, in the case of an I frame, the recording reference frame is updated in the reference frame memory 204 at the same time as the decoded data. In the case of the P frame, the data is decoded with reference to the data in the reference frame memory 205, and the decoded data is recorded in the frame memory 205 simultaneously with the frame number. If the decoding is successful, the frame number is passed to the confirmation signal transmitter 207.

확인신호송신부207는, 어떤 프레임을 복호했는가 하는 확인신호를 송신측(동화상 부호화 장치 100)으로 송신하는 수단이고, 복호화부206로부터 받은 프레임번호도 합쳐서 송신한다.The acknowledgment signal transmitting unit 207 is means for transmitting an acknowledgment signal indicating which frame has been decoded to the transmitting side (video encoding apparatus 100), and also transmits the frame number received from the decoding unit 206 together.

동화상출력부208는, 복호화부206로부터 받은 복호데이터를 모니터등에 출력하는 수단이다.The moving image output unit 208 is a means for outputting decoded data received from the decoding unit 206 to a monitor or the like.

리플레쉬신호 송신부209는, 사용자로부터의 리플레쉬요구에 따라서 송신측(동화상 부호화 장치100)으로 리플레쉬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이다.The refresh signal transmitter 209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 refresh signal to the transmitting side (the video encoding apparatus 100) in response to a refresh request from the user.

수신능력 변경요구수단210은, 송신측에서 추정된 당 수신단말의 수신능력에 대하여, 이용자로부터 변경의 요구가 있을 경우, 송신측(동화상 부호화 장치100)에 수신능력변경요구를 보내는 수단이다. 여기서, 이용자로부터의 요구가 수신단말의 능력을 넘는 경우는 사용자에게 그 취지를 통지하여, 변경요구를 보내지 않도록 해도 된다.The reception capability change request means 210 is a means for sending a reception capability change request to the transmission side (video encoding apparatus 100) when a change request is made from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reception capability of the reception terminal estimated by the transmission side. Here, when the request from the user exceeds the capability of the receiving terminal, the user may be notified of the purpose and the change request may not be sent.

(A-3) 멀티포인트 전송시의 동작(A-3) Operation in multipoint transmission

다음에, 멀티포인트 전송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100와 동화상 복호화 장치200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여기서는, 이들 양(兩)장치100 및 200의 동작상태를 통신개시로부터 어느 기간과 그 후의 기간의 두 기간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또 이 설명에서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100에 접속되어 있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200의 대수는 2대인 것으로 하고, 각각을 수신단말A 및 B로 해서 나타내도록 한다.Next, operation examples of the video encoding apparatus 100 and the video decoding apparatus 200 during multipoint transmission will be described. Here, the operation states of these two devices 100 and 200 are divided into two periods, one for a period from the start of communication and a period after that. In this explanation, the number of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es 200 connected to the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100 is assumed to be two, and each is represented as a receiving terminal A and B.

우선, 통신개시로부터 어느 기간사이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또, 이 시기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100는, 동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수신단말의 능력을 아직 파악하지 않고 있다. 이 때 동화상 부호화 장치100는, 각 수신단말 A 및 B의 각각에 관하여 전송되어 오는 확인신호(또는, 리플레쉬신호)를 기초로, 수신단말 A및 B의 양쪽에 관해서 화상이 정상적으로 수신된 것이 통지된 경우에만 참조프레임을 갱신하도록 동작한다.First, an example of operation between a period of time from the start of communication will be described. Also, the video encoding apparatus 100 at this time has not yet grasped the capability of the receiving terminal connected to the same apparatus. At this time, the moving picture encoding apparatus 100 notifies that the image is normally received for both the receiving terminals A and B based on the confirmation signal (or refresh signal) transmitted for each of the receiving terminals A and B. Only when the reference frame is updated.

즉,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a, e, i 에 관해서만 참조프레임의 갱신을 행하고, 다른 프레임 b, c, d, f, g, h, j, k의 각각에 관해서는 각 시점에서 참조프레임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프레임을 기준으로 부호화한다. 도7의 예로 말하면, 프레임 b, c, d 에 관해서는 프레임 a를 기준으로, 프레임 f, g, h 에 관해서는 프레임 e를 기준으로 ·…, 라고 하는 식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7, the reference frame is updated only for the frames a, e, and i, and for each of the other frames b, c, d, f, g, h, j, k at each time point. The encoding is performed based on a frame stored as a reference frame. In the example of Fig. 7, the frames b, c and d are based on the frame a, and the frames f, g and h are based on the frame e. , And so on.

따라서 이 기간에는, 수신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신단말 B에 맞추어서 참조프레임이 갱신되어, 각 프레임의 부호화가 행하여진다.Therefore, in this period, the reference frame is updat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terminal B having a relatively low reception capability, and encoding of each frame is performed.

이에 따라, 프레임의 탈락등에 대비하여 모든 프레임을 프레임내 부호화할 필요를 없앨 수 있음과 동시에, 후속하는 I 프레임을 기다리지 않고서 P프레임을 복호하는 일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의 시스템에 비하여 높은 전송효율을 얻을 수 있다. 단, 양(兩) 수신단말 A 및 B가 동시에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타이밍이 현저하게 어긋나 있는 경우나, 양 수신단말의 수신능력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참조프레임의 갱신회수가 적어지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언제까지나 이 수법으로 부호화하는 것은 부호화효율이 생각대로 향상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This eliminates the need for intraframe coding of all frames in the event of dropping out of frames, and enables decoding of P frames without waiting for subsequent I frames, resulting in higher transmission than conventional systems. Efficiency can be obtained. However, when the timing at which both receiving terminals A and B can normally receive at the same time is significantly shifted, or when the receiving capability of both receiving terminals is large,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update of the reference frame is reduced. For this reason, the coding efficiency may not always improve as expected when coding with this technique.

그래서, 이용되는 것이, 이 통신개시로부터 얼마동안의 기간에 축적된 과거의 수신실적이고, 이 실적에 기초를 둔 각 수신단말 A 및 B의 수신능력의 추정에 의해 프레임의 부호화방법에 수정을 가한다.Therefore, what is used is the past reception accumulated in a period of time from the start of this communication, and the frame encoding method is modified by estimating the reception capability of each receiving terminal A and B based on this performance. do.

이 수신능력의 추정에는 수신능력 추정부110이 사용된다. 이 도7의 경우 수신능력추정부110는, 수신단말 A에 관하여는 거의 매 프레임 수신할 수 있는데에 비해서, 수신단말 B에 관하여는 평균적으로 4프레임에 1회만 수신할 수 있는 능력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고 추정된다.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ion unit 110 is used to estimate this reception capability. In the case of FIG. 7, 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or 110 can receive almost every frame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terminal A, whereas the receiving terminal B has only the ability to receive only once every 4 frames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terminal B. It is estimated.

이 결과에 의거하여 대상단말 한정부111는, 수신단말B에 관하여는 예를 들면, 프레임 e를 수신한 뒤는 4프레임선(先)의 프레임 i까지 수신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그 사이의 프레임 f, g, h는 단말A에 대해서만 부호화를 행하도록 대상단말을 한정시킨다.Based on this result,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111 determines that the reception terminal B cannot receive up to the frame i of the four frame lines after receiving the frame e, for example, and the frame f therebetween. , g, h limit the target terminal to encode only terminal A.

즉, 수신단말A는 매프레임 수신하고 있기 때문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참조프레임의 갱신도 매프레임 행하며, 양(兩)단말이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고 판단한 프레임 i를 부호화할 때만, 양단말이 공통으로 수신하고 있는 프레임 e에 참조프레임을 되돌리도록 동작한다.That is, since the receiving terminal A receives every frame, as shown in FIG. 8, the updating of the reference frame is also performed every frame, and only when the terminal i encodes the frame i determined that both terminals can receive it at the same time. It operates to return the reference frame to frame e which is commonly received.

이에 의해, 수신단말 A에 대한 부호화효율은 1대1의 통신시보다는 떨어지지만, 수신단말 B의 능력만큼 나쁘게 되지는 않기 때문에, 통신개시부터 얼마동안의 기간보다도 더욱 부호화효율이 향상한다.As a result, the encoding efficiency of the receiving terminal A is lower than that of the one-to-one communication, but not as bad as that of the receiving terminal B. Therefore, the encoding efficiency is improved more than a period of time from the start of communication.

그리고, 이 부호화의 도중에 프레임탈락이 생긴 경우를 도 9에 나타낸다. 탈락이 발생한 경우(도면중의 프레임 c, e, I), 확인신호를 수신한 확인신호 수신부108가 이것을 검출하여, 참조프레임의 갱신을 행하지 않고 다음 프레임의 부호화를 행하게 한다. 이에 의해 탈락한 프레임에 대해서도 화질의 열화는 별로 생기지 않는다.9 shows a case where frame dropping occurs in the middle of this encoding. If a dropout occurs (frames c, e and I in the figure), the acknowledgment signal receiver 108 receiving the acknowledgment signal detects this and causes the next frame to be encoded without updating the reference frame. As a result, the deterioration of the image quality is unlikely to occur even for the dropped frame.

또한, 양 수신단말의 수신타이밍이 맞지 않을 때의 경우를 도 10에 나타낸다. 이 경우,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서 상대단말이 한정되기 때문에, 각각의 수신단말에 알맞은 참조프레임의 갱신이 실현되고 있고, 양단말이 공통으로 수신할 수 있는 프레임만을 참조프레임으로 하는 경우(도11의 경우)에 비하여, 부호화효율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10 shows a case where the reception timings of both receiving terminals do not match. In this case, since the other terminal is limited to each frame, update of a reference frame suitable for each receiving terminal is realized, and only a frame that both terminals can receive in common is used as a reference frame (Fig. 11). In comparison to the above,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improvement in the coding efficiency.

(A-4) 제 1 실시형태의 효과(A-4) Effect of 1st Embodiment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각 수신단말의 수신결과에 따라서 참조프레임의 갱신을 제어하여 다음 프레임을 부호화하기 때문에, 수신단말측에서는 다음의 I 프레임이 전송되어 오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모든 프레임을 복호할 수 있어, 부호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next frame is encoded by controlling the update of the reference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result of each receiving terminal, the receiving terminal can decode all the frames without waiting for the next I frame to be transmitted. Th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송신단말에 수신단말마다의 수신능력을 추정하는 기능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수신단말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각 수신단말에 알맞은 프레임의 부호화와 데이터의 전송을 실현할 수 있다.Further, by providing a function for estimating the reception capability of each receiving terminal in the transmitting terminal, even if the number of receiving terminals increases, encoding of a frame suitable for each receiving terminal and transmission of data can be realized.

이것은 멀티포인트 전송시에 효과를 발휘하여, 수신능력이 다른 수신단말이 1개의 회선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능력이 낮은 수신단말의 영향이 적고, 능력이 높은 수신단말에 대해서는 높은 부호화효율을 유지할 수가 있다.This is effective in multipoint transmission, and even if a receiving terminal having a different receiving capability is connected to one line, the influence of the receiving terminal having low capability is small, and high coding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for a receiving terminal having high capability.

또한, 멀티포인트 전송시에 복수의 수신단말간의 수신타이밍이 어긋난 경우에도, 각각의 단말에 알맞은 참조프레임의 갱신이 가능하고, 높은 부호화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reception timing between a plurality of receiving terminals is shifted during multipoint transmission, the reference frame suitable for each terminal can be updated, and high coding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B) (제 2의 실시형태)(B) (2nd embodiment)

계속해서, 제 2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제 2의 실시형태와 제 1의 실시형태의 차이는, 송신단말측에 해당 송신단말에서 화상의 전송을 받는 복수대의 수신단말에 대해서, 동등의 수신능력을 가지는 수신단말끼리를 그룹화하는 수단과, 같은 그룹으로 분류된 수신단말에 대해서는 같은 타이밍으로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한정하는 수단을 가한 점이고, 송신처리의 부하를 경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ubsequently,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first embodiment is a means for grouping receiving terminals having the same reception capability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receiving terminals receiving images from the transmitting terminal on the transmitting terminal side; For the receiving terminals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a means for restricting the transmission of the frames at the same timing is added, and the load of the transmission processing is reduced.

(B-1) 동화상 부호화 장치300의 구성(B-1) Configuration of the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300

도12는, 제 2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3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 또 도12중에서, 도1과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또는 대응부호를 부착하여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12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encod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Fig. 12,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as those in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or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수신능력 추정부301는, 제 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수신능력 추정부110와 동등한 기능을 가지고, 추정결과를 대상단말 한정부303에 넘겨주는 동시에 수신단말 분류부302에 넘겨준다.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ing unit 301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ing unit 11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passes the estimation result to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303 and also to the receiving terminal classifying unit 302.

수신단말 분류부302는, 수신능력 추정부301로 추정된 수신능력을 바탕으로 각 수신단말을 능력별로 그룹화하는 수단이고, 분류결과를 대상단말 한정부303로 넘겨준다. 대상단말 한정부303는, 제 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대상단말 한정부111와 동등의 기능을 가지고, 또한 수신단말 분류부302의 분류결과를 바탕으로 같은 그룹으로 분류된 수신단말에 대해서는 항상 같은 타이밍으로 한정한다. 이에 의해, 같은 그룹으로 분류된 수신단말에 대해서는, 항상 동시에 부호화 데이터의 송신이 보증된다.The receiving terminal classifying unit 302 is a means for grouping each receiving terminal by capability based on the receiving capability estimated by the receiving capability estimating unit 301, and passes the classification result to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303.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303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111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nd is always the same timing for the receiving terminals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based on the classification result of the receiving terminal classifying unit 302. It is limited to. As a result, transmission of the encoded data is guaranteed at the same time for the receiving terminals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또 수신단말측, 즉,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구성은 제 1의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The receiving terminal side,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B-2) 멀티포인트 전송시의 동작(B-2) Operation in multipoint transmission

2개의 수신단말의 수신타이밍이 맞지 않는것에 의한 부호화효율의 저하는, 제 1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100에 의해서도 회피되고 있지만, 이 동화상 부호화 장치100의 경우에는, 같은 타이밍으로 교대로 부호화와 송신이 되풀이 되기 때문에 낭비가 포함된다.The decrease in the coding efficiency due to the mismatching of the reception timings of the two receiving terminals is also avoided by the video enco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in the case of this video encoding apparatus 100, it is alternately performed at the same timing. Waste is included because encoding and transmission are repeated.

그래서, 제 2의 실시형태에서의 동화상 부호화 장치300에서는, 도13과 같이 동등의 능력을 가지는 수신단말 A와 B를 그룹화하여, 같은 타이밍으로 맞추어서 송신하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 13, receiving terminals A and B having the same capability are grouped and transmitted at the same timing.

이와 같이 하면, 송신단말측의 쓸데 없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고,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useless processing on the transmitting terminal side can be omitted, and processing efficiency can be improved.

이 예에서, 프레임의 탈락이 생긴 경우를 도14에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탈락이 발생한 경우는 참조프레임의 갱신을 행하지 않고서 프레임의 부호화를 행하기 때문에, 탈락에 의한 화질의 열화는 별로 생기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같은 그룹으로 분류된 수신단말에 대해서는 완전히 같은 것으로 취급된다.In this example, Fig. 14 shows a case where a dropout of the frame occurs. Even in this case, if a dropout occurs, the frame is encoded without updating the reference frame, so that deterioration of image quality due to dropout does not occur much.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receiving terminals classified into the same group are treated as exactly the same thing.

(B-3) 제 2의 실시형태의 효과(B-3) Effects of the Second Embodiment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제 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덧붙여서, 제 2의 실시형태의 독자적인 효과로서, 다음 2가지를 얻을 수 있다. 하나는, 수신능력이 같은 정도의 수신단말은 같은 상태로 취급하기 때문에, 부호화와 송신처리의 타이밍이 어긋날 우려가 없어 처리의 낭비가 없는 것이고, 또 하나는, 수신능력이 같은 정도의 단말은 같은 상태로 취급하기 때문에, 대상단말 한정처리에 있어서, 발생하는 단말의 조합이 대폭으로 줄어, 처리의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so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and in addition, the following two kinds can be obtained as the original effects of the second embodiment. First, since receiving terminals with the same reception capability are treated in the same state, there is no fear that the timing of encoding and transmission processing may be shifted, and there is no waste of processing. Since it treats as a state, in the target terminal limitation process, the combination of the terminal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is drastically reduced, and the process can be simplified.

(C) (제 3의 실시형태)(C) (third embodiment)

다시, 제 3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3의 실시형태와 제 1의 실시형태와의 차이는, 송신단말측에, 해당 송신단말이 기억하고 있는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 과거에 어떤 수신단말을 대상으로 해서 참조프레임으로 선정했는가를 기록하는 수단과, 동 수신단말의 조합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낡은 프레임을 불필요한 프레임으로 해서 선정하는 수단과, 선정한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에서 소거하는 수단과, 불필요한 프레임번호를 수신측에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한 점과, 수신단말측에, 불필요한 프레임번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불필요한 프레임을 소거하는 수단을 구비한 점이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신단말의 능력에 따라서, 참조프레임의 후보가 되는 프레임데이터중에서 불필요한 것을 적응적으로 소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gain,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rd embodiment and the first embodiment is a means for recording, on the transmitting terminal side, which receiving terminal was previously selected as the reference frame with respect to the frame data stored by the transmitting terminal. And means for selecting old frames that are a combin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s as unnecessary frames, means for erasing the selected frame data from the frame memory, and means for transmitting unnecessary frame numbers to the receiving side. And means for receiving unnecessary frame numbers and means for erasing unnecessary frames on the receiving terminal side. In view of the foregoing,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adaptively erase unnecessary pieces of frame data which are candidates for the reference frame according to the capability of the receiving terminal.

(C-1) 동화상 부호화 장치400의 구성(C-1) Configuration of the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400

도15는, 제 3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4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 또 도 15중에서, 도 1과 동일하거나 대응부분에는 동일, 또는 대응부호를 부착하여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Fig. 15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Fig. 15,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as those in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or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수신능력추정부401는, 제 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수신능력 추정부110와 동등의 기능을 가지고, 추정한 수신능력을 대상단말 한정부402로 넘겨주는 동시에, 불필요한 프레임선정부404에도 넘겨준다.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ion unit 401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ion unit 110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passes the estimated reception capability to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402, and also passes unnecessary frame selection unit 404.

대상단말 한정부402는, 제 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대상단말 한정부111와 동등의 기능을 가지며, 한정된 대상단말데이터를 참조프레임 선정부112에 넘겨주는 동시에, 대상단말 기록부403에도 넘겨준다.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402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111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passes the limited target terminal data to the reference frame selecting unit 112 and also the target terminal recording unit 403.

대상단말 기록부403는, 프레임 메모리104에 기록된 프레임데이터가 과거에 어떤 단말을 대상으로 해서 참조프레임으로 선정되었던가를 기록하는 수단이고, 기록한 데이터를 불필요 프레임선정부404로 넘겨준다. 또, 대상단말의 기록에는 전용의 테이블을 준비해도 되고, 프레임 메모리104의 헤더정보에 추가하도록 해도 된다.The target terminal recording unit 403 is a means for recording to which terminal the frame data recorded in the frame memory 104 has been selected as a reference frame in the past, and passes the recorded data to the unnecessary frame selection unit 404. In addition, a dedicated table may be prepared for recording of the target terminal or may be added to the header information of the frame memory 104.

불필요 프레임선정부404는, 수신능력에 따라서 기록된 프레임데이터중에서, 앞으로 참조프레임에 선정되는 일이 없는 불필요한 프레임을 선정하는 수단이고, 선정한 프레임번호를 불필요 프레임소거부405로 넘겨준다. 또한, 수신측도 대응하고 있는 경우는 불필요 프레임번호 송신부406에도 넘겨준다.The unnecessary frame selection unit 404 is a means for selecting an unnecessary frame that is not selected in the future from the frame data recorded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capability, and passes the selected frame number to the unnecessary frame elimination unit 405. In addition, if the receiving side also supports, it is passed to the unnecessary frame number transmitter 406 as well.

불필요 프레임소거부405는, 불필요 프레임선정부404의 지시에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104상의 불필요한 프레임데이터를 소거하는 수단이다.The unnecessary frame erasing unit 405 is means for erasing unnecessary frame data on the frame memory 104 in accordance with the instruction of the unnecessary frame selection unit 404.

불필요 프레임번호 송신부406는, 필요에 따라서 수신측으로 불필요 프레임번호를 송신하는 수단이다.The unnecessary frame number transmitter 406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 unnecessary frame number to the receiving side as needed.

(C-2) 동화상 복호화 장치500의 구성(C-2) Configuration of Moving Picture Decoding Device 500

도 16는, 제 3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복호화 장치5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 또, 도 16중에서 도 6과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또는 대응부호를 부착하여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불필요 프레임번호수신부501는, 필요에 따라서 송신측에서 불필요 프레임번호를 송신하는 수단이고, 수신한 번호를 불필요 프레임소거부502로 넘겨준다.FIG. 16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of a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 Fig. 16,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as those in Fig. 6 are denoted by the same or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unnecessary frame number receiving unit 501 is a means for transmitting an unnecessary frame number from the transmitting side as necessary, and passes the received number to the unnecessary frame erasing unit 502.

불필요 프레임소거부502는, 송신측의 지시에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205상의 불필요한 프레임 데이터를 소거하는 수단이다.The unnecessary frame erasing unit 502 is means for erasing unnecessary frame data on the frame memory 205 in accordance with an instruction from the transmitting side.

(C-3) 멀티포인트 전송시의 동작(C-3) Operation at Multipoint Transmission

여기서는, 제 1의 실시형태의 동작설명에 사용한 도8의 경우를 예로 해서, 제 3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작예를 설명한다.Here, the example of operation concerning 3rd Embodiment is demonstrated using the case of FIG. 8 used for description of operation of 1st Embodiment as an example.

대상단말 기록부403에서는, 도17과 같이 각 프레임이 어떤 수신단말을 대상으로 해서 참조프레임에 채용되었던가를 기록한다. 이 대상단말 테이블을 바탕으로 불필요한 프레임을 불필요 프레임선정부404에서 선정한다.In the target terminal recording section 403, as shown in Fig. 17, which receiving terminals are used for which receiving terminals are recorded in the reference frame. Based on this target terminal table, unnecessary frames are selected by unnecessary frame selection unit 404.

예를 들면, 프레임 a는 수신단말 A와 B로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에 수신단말A와 수신단말B의 양쪽에 참조되는 프레임 e를 부호화할 때까지는 소거할 수가 없다. 한편, 프레임 b는 수신단말 A에만 참조되어 있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수신단말 A에 만 참조된 프레임 c를 부호화한 후에는 소거해도 된다.For example, since frame a is referred to receiving terminals A and B, it cannot be erased until the next frame e that is referenced to both receiving terminal A and receiving terminal B is encod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rame b is only referred to the receiving terminal A, the frame c similarly referred to only the receiving terminal A may be erased after encoding.

이와 같이, 과거의 한정단말을 기록하여 놓으면, 같은 단말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프레임은 순차 소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if the past limited terminal is recorded, the frames targeted for the same terminal can be sequentially erased.

그런데, 단순히 프레임 b를 소거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길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수신단말 B와의 사이의 전파지연이 크고, 프레임 b를 수신했다고 하는 수신단말B에서의 확인신호가 프레임 d를 부호화처리하기 직전에 늦게 도착했다고 하자. 이 때, 프레임데이터를 소거하지 않고 남겨놓고 있는 경우는, 도18과 같이 프레임 b를 참조하여 프레임 d를 부호화할 수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 c를 부호화한 시점에서 프레임 b를 소거하여 버린 경우에는, 수신단말 A와 수신단말 B가 동시에 프레임 b를 수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 19와 같이, 프레임 a까지 참조프레임을 되돌려서 부호화해야만 한다.However, simply erasing frame b may cause the following problems. For example, suppose that the propagation delay between the receiving terminal B is large and the confirmation signal at the receiving terminal B, which has received the frame b, arrives just before the encoding process of the frame d. At this time, if the frame data is left without erasing, the frame d can be encoded with reference to the frame b as shown in FIG. However, when the frame b is erased at the time when the frame c is encoded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receiving terminal A and the receiving terminal B receive the frame b at the same time, as shown in FIG. Must be coded back.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불필요 프레임선정부404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대상단말 테이블뿐만 아니라 수신능력도 참조하여 불필요 프레임을 선정한다. 즉, 수신단말B의 수신능력을 고려하여 프레임 b를 소거할지 어떨지를 결정한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from occurring in the unnecessary frame selection unit 404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nnecessary frames are selected by referring not only to the target terminal table but also to the reception capability.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erase the frame b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capability of the reception terminal B.

예를 들면 도8과 같이, 수신단말 B는 4프레임에 1회 밖에 수신하지 않는다고 추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프레임 b를 곧 소거한다. 한 편, 수신단말B의 확인신호의 전파지연이 크다고 추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대전파 지연시간은 대기하여 프레임 b를 소거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it is estimated that the receiving terminal B receives only once in four frames, the receiving terminal B immediately erases the frame b.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estimated that the propagation delay of the confirmation signal of the reception terminal B is large, the maximum propagation delay time is waited and the frame b is erased.

(C-4) 제 3의 실시형태의 효과(C-4) Effects of the Third Embodiment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제 1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덧붙여서 제 3의 실시형태의 독자의 효과로서 다음의 2가지를 얻을 수 있다. 하나는, 대상단말이 한정된 참조프레임을 순차 소거할 수가 있기 때문에, 메모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것이고, 또 하나는, 수신능력을 고려하여 소거프레임을 결정하기 때문에, 소거가 너무 빠른 일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so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effects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and in addition, the following two effects can be obtained as the original effects of the third embodiment. One is that the target terminal can sequentially erase the limited reference frames, thereby saving memory capacity. The other is that erasing is not too fast because the erase frame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eption capability. will be.

(D) (제 4의 실시형태)(D) (fourth embodiment)

다시 제 4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제 4의 실시형태와 제 3의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으로부터 해당 제 4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4의 실시형태와 제 3의 실시형태의 차이는, 송신단말측에 대상단말에 의해서 프레임데이터에 가중을 행하는 수단과, 가중에 따라서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소거하는 수단을 가한 점이다. 이상의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용량이 적은 시스템등으로 필요한 프레임을 소거해야만 하는 경우에, 중요한 프레임데이터만큼 최후까지 남기도록 메모리소거를 제어할 수 있다고 하는 특징을 가진다.The fourt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gain. In addition, the 4th Embodiment is demonstrated from the point of difference with 4th Embodiment and 3rd Embodiment 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urth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is that a means for weighting the frame data by the target terminal on the transmitting terminal side and a means for erasing the frame data from the frame memory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ing. In view of the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required frame must be erased by a system having a small memory capacity or the like, memory erasing can be controlled so as to remain as last as important frame data.

(D-1) 동화상 부호화 장치600의 구성(D-1) Configuration of the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600

도20은, 제 4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60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블럭도이다. 또, 도20중에서 도15와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또는 대응부호를 부착하여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20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video encod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Fig. 20,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as those in Fig. 15 are denoted by the same or corresponding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수신능력 추정부601는, 제 3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수신능력 추정부401와 동등의 기능을 가지고, 추정한 수신능력을 대상단말 한정부602와 불필요 프레임선정부404로 넘겨줌과 동시에, 프레임가중부603에도 넘겨준다.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ing unit 601 has a function equivalent to that of 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ing unit 401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passes the estimated reception capability to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602 and the unnecessary frame selection unit 404, and the frame weighting unit. Pass it to 603.

대상단말 한정부602는, 제 3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대상단말한정부402와 동등의 기능을 가지고, 한정된 대상단말데이터를 참조프레임 선정부112와 가중기록부604에 넘겨주는 동시에, 프레임 가중부603에도 넘겨준다.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602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target terminal limiting unit 402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and passes the limited target terminal data to the reference frame selecting unit 112 and the weight recording unit 604, and also to the frame weighting unit 603. Pass it over.

프레임 가중부603는, 한정되어 있는 대상단말의 수나 능력에 의해서 프레임데이터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비중을 산출하는 수단이고, 산출한 비중을 가중기록부60에 기록한다.The frame weighting unit 603 is a means for calculating the specific gravity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the frame data by the limited number of target terminals and the capability, and records the calculated specific gravity in the weighting recording unit 60.

가중기록부604는, 제 3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대상단말기록부404와 동등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프레임가중부603에서 결정된 각 프레임의 비중도 기록하는 수단이다. 기록한 데이터를 불필요 프레임선정부404에 건네주는 동시에, 필요 프레임소거부605에도 넘겨준다.The weight recording unit 604 has a function equivalent to that of the target terminal recording unit 404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and also means for recording the specific gravity of each frame determined by the frame weighting unit 603. The recorded data is passed to the unnecessary frame selection unit 404 and also passed to the required frame erasure unit 605.

필요 프레임소거부605는, 필요한 프레임데이터중에서 어느 하나를 어쩔 수 없이 소거할 필요가 있을 때, 가중기록부604에 기록되어 있는 프레임의 비중에 따라서 프레임 메모리104상의 프레임데이터를 소거하는 수단이다. 또한 수신측도 대응하고 있는 경우는, 불필요 프레임번호 송신부406에도 넘겨준다.The necessary frame erasing unit 605 is a means for erasing the frame data on the frame memory 104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rame recorded in the weight recording unit 604 when it is necessary to erase any of the necessary frame data. If the receiving side also supports, it is also passed to the unnecessary frame number transmitter 406.

또 수신단말측, 즉,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구성에 관하여는, 제 3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화상 복호화 장치16와 동일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that is, the video decoding apparatus, is the same as that of the video decoding apparatus 16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D-2) 멀티포인트 전송시의 동작(D-2) Operation at Multipoint Transmission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600에서는, 프레임 메모리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시스템등에서 필요한 프레임데이터를 어쩔수 없이 소거해야만 했을 때에, 중요하지 않은 프레임부터 효율좋게 소거할 수 있는 기능에 그 특징이 있기 때문에, 이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In the moving picture encoding apparatus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rame data necessary for a system, such as a frame memory capacity is insufficient, must be erased inevitably, a function capable of efficiently erasing from an insignificant frame is characterized. Since it exists, it demonstrates centering on this point.

도21에 각 프레임의 가중예를 나타낸다. 또, 도21에서의 수신단말 A에서는 프레임마다의 수신이 행하여지고 있고, 수신단말 B에서는 1프레임 건너 수신이 행하여지고 있으며, 수신단말 C에서는 2프레임 건너서 수신이 행하여지고 있다.21 shows a weighting example of each frame. Receiving is performed for each frame in the receiving terminal A in FIG. 21, receiving is performed in one receiving frame B in the receiving terminal B, and receiving in two receiving frames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terminal C. FIG.

이 때, 동화상 부호화 장치600는 제 3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고, 수신실적에 따라서 대상단말 테이블을 작성하여 이것에 의하여 참조프레임을 소거하도록 동작한다. 도21에서는, 사선부의 프레임데이터가 이미 불필요하다고 하여 소거되어 있다. 이상을 전제로 해서 동화상 부호화 장치6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동화상 부호화 장치600는 먼저 각 수신단말의 가중을 행한다. 이 때, 수신능력이 가장 높은 수신단말에 비중1이 가해져서, 능력차나 프레임레이트의 비율에 의해서 능력이 낮은 단말일 수록 큰 비중이 가해진다. 도21의 예에서는 수신단말 A를 1로 하고 수신단말 B를 2, 수신단말 C를 3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moving picture encoding apparatus 600 is similar to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and operates to create a target terminal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reception results and thereby erase the reference frame. In Fig. 21, the frame data of the oblique portion is already deleted because it is unnecessary. On the premise of the above, the operation of the video encoding apparatus 600 will be described. The moving picture encoding apparatus 600 first weights each receiving terminal. At this time, the specific gravity 1 is applied to the receiving terminal having the highest reception capability, and the greater the weight of the terminal having the lower capability due to the difference in capability or the frame rate. In the example of Fig. 21, the receiving terminal A is 1, the receiving terminal B is 2, and the receiving terminal C is 3.

다음에, 각 프레임에서 수신단말의 비중의 합계를 산출한다. 이것이 프레임의 비중이 된다. 많은 수신단말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프레임일 수록 비중이 크고, 또한 능력이 낮은 단말을 대상으로 하고 있을수록 비중이 커진다. 이것은, 능력이 높은 단말일 수록 다른 프레임으로 대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Next, the sum of the specific gravity of the receiving terminal in each frame is calculated. This is the specific gravity of the frame. Frames that target a large number of receiving terminals have a greater weight, and targets a terminal with low capabilities have a larger weight. This is because a terminal with higher capability can substitute for another frame.

소거시에는, 비중이 작은 프레임부터 차례로 소거하여 간다. 같은 비중일 경우는 시간적으로 오래된 프레임을 소거한다.At the time of erasing, erasing is performed sequentially from the frame having the small specific gravity. If the weight is the same, the frames that are older in time are erased.

이 규칙에 의해 프레임의 소거를 관리하면, 시간적으로 오래되더라도 중요한 프레임은 최후까지 소거되는 일이 없다. 예를 들면, 비중을 고려하지 않고 시간만을 고려한 경우는, 도21 중에서 가장 처음으로 수신단말A, B, C의 3개를 대상으로 한 프레임이 소거되어 버린다. 이러한 사태가 생기면, 뒤에 수신단말A, B, C를 대상으로 해서 부호화를 행할 때에 참조할 수가 없게 된다.By managing the erasure of frames by this rule, an important frame is not erased to the end even if it is old in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only time is taken into account without considering specific gravity, the frames for three receiving terminals A, B, and C are deleted for the first time in FIG. If such a situation occurs, it cannot be referred to later when encoding is performed on the receiving terminals A, B, and C.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규칙에 따라서, 수신단말A, B를 대상으로 한 프레임이나 수신단말A, C를 대상으로 한 프레임을 먼저 소거했다고 해도, 수신단말A, B, C를 대상으로 한 프레임으로 대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영향이 적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ules shown in this embodiment, even if the frame for receiving terminals A and B or the frame for receiving terminals A and C are first erased, the receiving terminals A, B and C are targeted. Less impact because it can be used as a frame.

(D-3) 제 4실시형태의 효과(D-3) Effect of 4th Embodiment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도, 제 1, 제 3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다시 덧붙여서 제 4의 실시형태 독자의 효과로서 다음의 2가지를 얻을 수 있다. 그 하나는, 중요도가 낮은 프레임부터 소거하기 때문에, 프레임 메모리용량에 스캐러블(scalable)한 부호화효율을 실현할 수 있어 시스템에 맞춘 화질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모든 수신단말이 수신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프레임은 최후까지 남기 때문에, 부호화에 파탄이 잘 생기지 않는다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so in this embodiment, the same effect as the case of 1st, 3rd embodiment can be acquired, and in addition, the following two can be obtained as an effect of the 4th embodiment original. One of them is erasing from a frame of low importance so that a scalable coding efficiency can be realized in the frame memory capacity, so that the image quality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ystem. The most important frame you're doing remains until the end, so it's hard to break the coding.

(E) 다른 실시형태(E) another embodiment

(E­l) 또, 상술의 제 3 및 제 4의 실시형태에서는, 각각 제 1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시스템구성을 기본구성으로 하여 그 상위점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제 2의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시스템을 기본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도 응용이 가능하고, 각각, 제 2의 실시형태에서 얻어진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El)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ystem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re described as basic configurations,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s thereof are explained. Even when it is set as the structure, application is possible and the effect similar to what was obtained by 2nd Embodiment can be acquired, respectively.

(E­2) 또한, 제 3및 제 4의 실시형태에서는, 송신단말측에서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프레임번호를 전송하여 수신단말측에서 소거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수신단말측에서 송신단말측과 같은 처리를 행하여 불필요한 프레임을 선정해도 된다.(E # 2) In addition,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a configuration is shown in which the frame number determined to be unnecessary on the transmitting terminal side and then erased on the receiving terminal side is not limited thereto. In other words, the receiving terminal side may perform the same processing as the transmitting terminal side to select unnecessary frames.

(E-3)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프레임탈락을 예로 들어, 프레임마다 참조프레임을 바꾸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프레임을 복수의 블록에 분할하여 각각의 블록마다 탈락했는지 어떤지를 판정하여, 각각 블록마다 참조프레임을 바꾸도록 해도 된다. 블록을 작게 할수록 탈락하거나 실수하는 비율이 감소하기 때문에, 참조프레임의 갱신율이 향상하고 부호화효율도 향상한다. (E-4)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프레임내 부호화시에는 참조프레임 갱신부113가 프레임 메모리104로부터 프레임데이터를 참조프레임 메모리105에 카피하도록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Intra / Inter 판단부106로부터의 프레임내 부호화요구신호를 복호화부103로 넘겨주도록 하고, 프레임내 부호화시에는 복호화부103로부터 참조프레임 메모리105에 프레임데이터를 직접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카피하는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E-3)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frame dropping is taken as an example, and an example of changing the reference frame for each frame is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ram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to determine whether each block is dropped, and the reference frame may be changed for each block. The smaller the block is, the lower the rate of dropping or mistake is made. Thus, the update rate of the reference frame is improved and the coding efficiency is also improved. (E-4)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ference frame updater 113 copies the frame data from the frame memory 104 to the reference frame memory 105 during intra-frame encodin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the intra-frame encoding request signal from the Intra / Inter judging unit 106 may be passed to the decoding unit 103, and the frame data may be directly written from the decoding unit 103 to the reference frame memory 105 during intra-frame encoding. In this case, the copying process can be omitted.

(E­5)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참조프레임 메모리와 프레임 메모리를 따로따로 나누어서 기술하고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개의 메모리위에 프레임데이터를 기록하고, 참조프레임은 메모리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등으로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참조프레임갱신시에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참조프레임 메모리에 데이터를 카피할 필요가 없고, 포인터를 이동시키기만 하면 된다.(E # 5)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reference frame memory and the frame memory are separately describ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rame data may be recorded on one memory, and the reference frame may be displayed by a pointer or the like indicating a memory location. In this case, data need not be copied from the frame memory to the reference frame memory at the time of updating the reference frame, and only the pointer needs to be moved.

(E-6)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확인신호는 프레임을 수신한 것을 통지하는 신호로서 동작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확인신호는 프레임이 수신할 수 없었을 때에 수신단말측으로부터 송신단말측에 통지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확인신호는 전송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측에서는 확인을 기다리지않고 차례차례로 부호화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불수신 신호를 받았을 때는, 참조프레임을 불수신프레임의 하나 앞으로 되돌려서 부호화한다. 이에 의해, 수신측에서는 수신할 수 없었던 프레임으로부터 수(數)프레임은 복호가 불가능하지만, 곧 수신되어있는 프레임을 참조한 데이터로 바뀌기 때문에, 복호가 가능해진다.(E-6) In addition, although the confirmation signal showed the operation example as a signal which notifies that the frame was received, it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confirmation signal may be notified from the receiving terminal side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side when the frame cannot be received. In this case, since the acknowledgment signal is not normally transmitted, the transmitting side can perform encoding sequentially without waiting for confirmation. When the non-received signal is received, the reference frame is returned before one of the non-received frames to be encoded. This makes it impossible to decode a number of frames from a frame that could not be received on the receiving side. However, since a frame is immediately converted into data referring to the received frame, decoding becomes possible.

(E­7) 또한, 지금까지의 수신단말측, 즉,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설명에서는, 복호동작이 종료하고 나서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부호데이터를 수신했을 때에 데이터가 정상인지 아닌지를 검사하여, 정상인 경우는 확인신호를 송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의해 확인신호를 송신하는 타이밍이 빨라져서 확인신호의 전파지연이 축소된다.(E # 7) In addition, although the structure of 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signal after the decoding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receiving terminal side, that is, the video decoding apparat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n other words, when the code data is received, it may be checked whether or not the data is normal, and if it is normal, a confirm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is speeds up the timing of transmitting the confirmation signal and reduces the propagation delay of the confirmation signal.

(E-8)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송신단말 1대에 대하여 수신단말이 복수대 접속된 시스템구성, 즉, 멀티포인트전송을 예로 해서 전송동작을 설명했지만, 1대1의 접속이라도 네트워크가 복잡하여 수신확인에 지연이 발생하고 참조프레임을 매프레임마다 갱신할 수 없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E-8)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ransmission opera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a system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receiving terminals are connected to one transmitting terminal, i.e., multipoint transmission. It is also applicable to cases where the delay occurs in acknowledgment and the reference frame cannot be updated every frame.

(E-9) 또한, 동화상 부호화 장치 및 동화상 복호화 장치의 각각을 기능블록으로 표시했으나, 이러한 기능을 가지면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E-9) In addition, although each of the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and the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is indicated by a functional block, it may be realized by hardware or by software if such a function is provided.

(E­10)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피전송데이터를 동화상데이터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음성데이터이든 2치데이터이든 상관없다.(E # 10) In addition, although the to-be-transmitted data was demonstrated as moving picture data in the previous descrip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It does not matter whether it is audio data or binary data.

(E-11)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동화상 부호화 장치와 동화상 복호화 장치로 구성되는 전송시스템 일반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축적매체계의 부호화 장치로 해서 사용해도 되고, 복호화 장치로서 사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E-11)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general description of the transmission system composed of the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and the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has been given, but of course, it may be used as an encoding device of a storage medium system or may be used as a decoding device. to b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호화 장치에 의하면, 복호화 장치로부터 통지되는 부호화 데이터에 관한 각 시점의 수신결과에 의거해서 복호화 장치의 수신능력을 추정하여, 해당 추정결과에 따라서 예측부호화를 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참조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갱신하도록 했기 때문에, 각 복호화 장치의 수신능력에 따라 참조 데이터를 갱신할 수가 있게 되고, 전송대상인 피전송데이터에 비해서 적절한 참조 데이터가 선택되도록 할 수있다. 이에 의해 부호화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nco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capability of the decoding apparatus is estimated based on the reception result of each time point regarding the encoded data notified from the decoding apparatus, and the prediction encod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 Since the reference data is adaptively updated, the reference data can be updated according to the reception capability of each decoding apparatus, so that the appropriate reference data can be selected as compared with the transferred data to be transmitted. As a result, the coding efficiency can be maintained high.

또한, 본 발명의 복호화 장치에 의하면, 자기의 수신능력에 관해서 변경요구가 있을 때, 또는 수신능력에 변경이 있을 때, 부호화 데이터를 송출하는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 자신에게 생기거나 또는 이미 생긴 수신능력의 변경을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부호화 장치에서의 적응적인 부호화처리를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co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is a change request for its own reception capability or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reception capability, the decoding apparatus that has been generated or has already occurred to itself with respect to an encoding apparatus that transmits coded data. Since the change can be notified, the adaptive encoding processing in the encoding device can be realized.

따라서, 이들부호화 장치나 복호화 장치를 사용하여 전송시스템을 구축하면, 종래에 비해서 부호화효율이 높은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Therefore, when a transmission system is constructed using these encoding apparatuses and decoding apparatuses, a system having a higher coding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one can be realized.

Claims (9)

어느 시점에서의 피전송데이터를 기준으로, 그 이후에 전송하는 각 시점의 피전송데이터를 예측부호화하여, 해당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 장치에 전송하는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A coding apparatus for predicting encoding data to be transmitted at each time point to be transmitted thereafter, based on the data to be transmitted at a certain time point,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data to the decoding device, 상기 복호화 장치로부터 통지되는, 상기 부호화 데이터에 관한 각 시점의 수신결과에 따라서 상기 복호화 장치의 수신능력을 추정하는 추정수단과,Estimation means for estimating a reception capability of the decoding apparatus in accordance with a reception result of each time point of the encoded data notified from the decoding apparatus;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따라서 예측부호화할 때에, 기준으로 하는 참조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갱신하는 참조 데이터 갱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And reference data updating means for adaptively updating reference data as a reference when predicting encoding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 by said estimation mea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참조 데이터 갱신수단은,The reference data updating means is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따라서, 다음 시점에서 전송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하는 복호화 장치를 복수중에서 한정하는 전송대상 한정수단과,Transmission object limiting means for limiting, among a plurality of decoding apparatuses, which decode the coded data transmitted at a next time point in accordance with the estimation result by said estimation means; 상기 전송대상 한정수단이 한정한 복호화 장치에 알맞은 참조 데이터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하여,And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reference data suitable for the decoding apparatus defined by the transmission subject limitation means, 상기 선택수단에 의한 선택결과에 따라서, 상기 참조 데이터를 적응적으로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And the reference data is adaptively updated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result by the selection mean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추정수단에 의한 추정결과에 따라서 동등의 수신을 가지는 복호화 장치를 분류하여, 같은 분류에 속한 복호화 장치에 대해서는 같은 타이밍으로 상기 부호화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참조 데이터 갱신수단에서의 갱신동작을 제어하는 분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Classifying decoding apparatuses having equivalent reception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 by the estimating means, and controlling the updating operation in the reference data updating means so that the encoded data is transmitted at the same timing to the decoding apparatuses belonging to the same classification. And a classification means.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 or 3, 참조 데이터에 선택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기억되어 있는 피전송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해당 피전송데이터가 과거에 어느 복호화 장치를 전송대상으로 할 때에 참조 데이터로서 선정되었던가를 기록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을 검색하여 복호화 장치의 조합이 동일한 피전송데이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들 중에서 오래된 피전송데이터를 불필요한 데이터인 것이라고 선정하는 선정수단과,Storage means for recording which to-be-transmitted data has been selected as reference data in the past when the to-be-transmitted data is selected as reference data for each of the to-be-transmitted data stored in preparation for being selected to the reference data; Selecting means for searching for means and selecting old to-be-transmitted data as unnecessary data,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o-be-transmitted data having the same combination of decoding apparatuses; 선정된 불필요한 피전송데이터를, 해당 데이터를 유지하는 기억수단에 의해 소거하는 소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And erasing means for erasing the selected unnecessary to-be-transmitted data by storage means for holding the data.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선정수단은, 상기 복호화 장치의 조합이 동일한 낡은 피전송데이터 중에서, 전송대상인 복호화 장치에 대한 최대전파 지연시간을 경과한 데이터를, 불필요한 데이터인 것이라고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And said selecting means selects, from the old to-be-transmitted data of the same combination of said decoding apparatuses, the data which passed the maximum propagation delay time with respect to the decoding apparatus which is a transmission object as unnecessary data.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2 or 3, 참조 데이터에 선택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기억되어 있는 피전송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해당 피전송데이터가 과거에 어떤 복호화 장치를 전송대상으로 할 때에 참조 데이터로서 선정되었던가를 기록하는 기억수단과,Storage means for recording, for each to-be-transmitted data stored in preparation for being selected as reference data, which decoding apparatus has been selected as reference data when a target apparatus to be transmitted has been selected as a transfer target;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각 피전송데이터에 관해서, 중요도에 따라서 비중을 두는 가중수단과,Weighting means for assigning a weight to each transferred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importance; 상기 기억수단에서 상기 피전송데이터를 소거할 필요가 생긴 경우, 비중이 큰 피전송데이터의 순서대로 소거하는 소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And an erasing means for erasing the transmitted data from said storage means in order of a large proportion of the transferred data.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가중수단은, 각 복호화 장치의 각각을 상기 추정수단에 의해 추정된 수신능력에 따라서 가중시키고, 각 피전송데이터의 가중을 해당 피전송데이터를 참조 데이터로 한 부호화 데이터를 수신한 복호화 장치의 가중의 합계치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화 장치.The weighting means weights each of the decoding apparatuses according to the reception capability estimated by the estimating means, and the weighting of the decoding apparatus that receives the encoded data using the weight of each transmitted data as reference data. A co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m value of. 전송로를 통해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차례로 복호화하는 복호화 장치에 있어서,A decoding apparatus that sequentially decodes encoded data received through a transmission path, 자기의 수신능력에 관해서 변경요구가 있을 때 또는 수신능력에 변경이 있을 때, 상기 부호화 데이터를 송출하는 부호화 장치에 대하여, 자신에게 생기거나 또는 이미 생긴 수신능력의 변경을 통지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호화 장치.When there is a change request for its own reception capability or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reception capability, it is provided with a transmitting means for notifying the encoding apparatus which transmits the encoded data to notify the change of the reception capability that has occurred or has already occurred. Decod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제 7 항중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부호화 장치와, 제 8 항에 기재된 복호화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시스템.A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the encoding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the decod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8.
KR1019970024957A 1997-06-16 1997-06-16 Decoding Apparatus, Encod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System KR1006702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957A KR100670220B1 (en) 1997-06-16 1997-06-16 Decoding Apparatus, Encod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4957A KR100670220B1 (en) 1997-06-16 1997-06-16 Decoding Apparatus, Encod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583A true KR19990001583A (en) 1999-01-15
KR100670220B1 KR100670220B1 (en) 2007-07-06

Family

ID=4110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4957A KR100670220B1 (en) 1997-06-16 1997-06-16 Decoding Apparatus, Encod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2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2214A2 (en) * 2007-08-29 2009-03-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etwork and device aware video scaling system, method, software,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6179A (en) * 1987-07-30 1989-02-07 Nippon Telegraph & Telephone Transfer system for inter-frame coding picture information
JPH02302192A (en) * 1989-05-17 1990-12-14 Hitachi Ltd Picture transmitter
JPH05252511A (en) * 1992-03-06 1993-09-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Picture distributing device
JPH0795584A (en) * 1993-07-30 1995-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icture co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2214A2 (en) * 2007-08-29 2009-03-1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etwork and device aware video scaling system, method, software, and device
WO2009032214A3 (en) * 2007-08-29 2009-04-30 Univ California Network and device aware video scaling system, method, software, and device
US9113176B2 (en) 2007-08-29 2015-08-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etwork and device aware video scaling system, method, software,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0220B1 (en) 200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9570A (en) Picture coder
JP3068002B2 (e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and image transmission system
KR100378337B1 (en) Image Decoding Device
US6282240B1 (en) Picture coder, picture decoder, and transmission system
US6104757A (en) System and method of error control for interactive low-bit rate video transmission
EP1994764B1 (en) Video coding with reference picture set management
EP1836854B1 (en) Apparatus for predictively encoding a sequence of frames
WO200108473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orward error correction based loss recovery for interactive video transmission
US8340180B2 (en) Camera coupled reference frame
KR100374245B1 (en) Image Encoder, Image Decoder and Image Transfer System
US20130058409A1 (en)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and moving picture decoding apparatus
CN109587488B (en) Long reference frame selection method based on rate distortion optimization and frame loss prediction
JP3323057B2 (en) Encoding device, decoding device, and transmission system
JP2005033556A (en) Data transmitter, data transmitting method, data receiver, data receiving method
KR100670220B1 (en) Decoding Apparatus, Encod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 System
EP0902593B1 (en) Video coder, decoder and transmission system
JP4427912B2 (en) Video packet reception decoding system and transmission system
JP2006279436A (en)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and data deleting method for re-transmission
Pyun et al. Packet loss resilience for video stream over the Internet
Rhee Retransmission-based error control for interactive video applications over the internet
JP3946804B2 (en) Image coding control method
US8040945B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 single video stream at a plurality of encoding rates
Fukunaga et al. Error resilient video coding controlled by backward channel signaling
Kimata et al. Study on adaptive reference picture selection coding scheme for the NEWPRED-receiver-oriented mobile visual communication system
Zhang et al. A key-frame-based error resilient coding scheme for video transmission over differentiated services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328

Effective date: 200609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