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485U -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485U
KR19990001485U KR2019970014940U KR19970014940U KR19990001485U KR 19990001485 U KR19990001485 U KR 19990001485U KR 2019970014940 U KR2019970014940 U KR 2019970014940U KR 19970014940 U KR19970014940 U KR 19970014940U KR 19990001485 U KR19990001485 U KR 199900014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water
gas boiler
lukewarm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웅섭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4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1485U/ko
Publication of KR199900014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485U/ko

Links

Landscapes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사용시 초기 출수되는 미온수의 양을 줄이고, 소정의 온도를 보유한 온수가 충분하게 출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만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가스보일러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는 원주면의 양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온수가 출수되는 배관(4)에 설치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내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온수의 온도에 따라 일방향으로 휘어지거나 복귀되어 관로의 직경을 조정하는 바이메탈 플레이트(2)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는 온수사용을 위해 온수밸브를 개방하였을 때 초기에 출수되는 미온수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가 고온의 온수를 얻기위해 물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
본 고안은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사용시 초기 출수되는 미온수의 양을 줄이고, 소정의 온도를 보유한 온수가 충분하게 출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만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보일러는 가스를 연료로 이용하여 연소시키고, 이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열교환작용에 의해서 물을 가열한다.
그리고 가열된 물을 실내의 난방배관을 따라서 순환시켜 난방하고 또한, 목욕탕 싱크대 등에 온수를 공급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가스보일러는 사용상의 편리함과 무공해 청정연료인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가스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되는 가스는 LPG(액화석유가스)와 LNG(액화천연가스)로 크게 분류된다.
도 1은 종래 사용되는 가스보일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보일러가 작동되면 제어판(111)에서는 사용자에 의한 난방온도, 또는 온수온도와 같은 설정 데이타에 기초하여 가스밸브(110)를 적정수준으로 열어서 가스를 공급하며, 동시에 배기팬(112)의 회전수를 소정회전수로 유지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가스밸브(110) 통하여 공급된 가스는 버너(113)에서 연소된 후에 상승하여 열교환기(114)를 가열하고, 이 열교환기(114) 내부에는 난방수가 충만된 상태로서, 외부의 열에 의하여 가열된 후에 소정온도에 도달하면 난방을 위하여 난방공급관(115)로 순환하게 된다.
이 때 난방수의 순환을 위하여 순환펌프(116)가 고속으로 항상 작동되며, 순환하는 고온의 난방수는 실내를 통과하면서 열을 발산한 후에 다시 난방환수관(117)을 통하여 물탱크(118)로 유입된다.
상기 물탱크(118)로 유입된 난방수는 다시 삼방변(119)의 유로선택에 의하여 열교환기(114)로 유입되어서 가열되는 과정을 되풀이한다.
그리고 연소된 후 생성된 배기가스는 열교환기(114) 상부의 배기연도(1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열교환기(114)의 내부에는 직수공급관(121)이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직수공급관(121)은 저온의 냉수를 유입하는 유입구(122)와, 상기 열교환기(114)를 통과한 온수를 출수하는 출수구(1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직수공급관(121)의 출수구(123)측에는 온수밸브(1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온수밸브(124)는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 온수의 출수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직수공급관(121)의 유입구(122)측에는 플로우 스위치(1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플로우 스위치(125)는 상기 온수밸브(124)의 개방시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의 냉수를 감지하여 버너를 가동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온수밸브(124)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출수구(123)를 개방시키면 상기 유입구(122)를 통해 저온의 냉수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냉수는 플로우 스위치(125)가 감지하여 버너(113)를 가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버너(113)는 연소를 하여 열교환기(114)를 가열하게 되므로 직수공급관(121)의 출수구(123)측으로 고온의 온수가 출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가스보일러에서는 사용자가 온수를 출수시키기 위해 온수밸브(124)를 개방시킬 경우 초기 일정 시간동안(약 1~2분)에는 미온수가 출수되어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버너(113)의 연소로 가열되는 열교환기(114)는 초기에는 충분히 가열되지 않으므로 이 열교환기(114)의 내부를 통과하는 직수공급관(121)에 충분한 열전달을 이룰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직수공급관(121)의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되는 저온의 냉수가 그대로 출수구(123)를 통해 출수되거나 또는 미온수로 출수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일정 시간동안 온수밸브(124)를 개방 시킨뒤 고온의 온수가 출수되는 것을 기다려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온수사용시 초기 출수되는 미온수의 양을 줄이고, 소정의 온도를 보유한 온수가 충분하게 출수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만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는 원주면의 양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온수가 출수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온수의 온도에 따라 일방향으로 휘어지거나 복귀되어 관로의 직경을 조정하는 바이메탈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스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2 : 바이메탈 플레이트
3 : 패킹4 : 배관
110 : 가스밸브111 : 제어판
112 : 배기팬113 : 버너
114 : 열교환기115 : 난방공급관
116 : 순환펌프117 : 난방환수관
118 : 물탱크119 : 삼방면
120 : 배기연도121 : 직수공급관
122 : 유입구123 : 출수구
124 : 온수밸브125 : 플로우 스위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미온수 출수를 저감시키는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는 온수가 출수되는 배관(4)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내에 설치되어 관로의 직경을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바이메탈 플레이트(2)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고 있어 관로를 형성하며, 원주면의 양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온수가 출수되는 배관(4)의 소정위치에 설치된다.
특히 온수밸브(124)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1)내에 설치되는 바이메탈 플레이트(2)는 열팽창률이 다른 2매의 금속을 맞붙인 것으로서, 주위의 온도가 올라가면 두종류의 금속 중 열팽창률이 작은 쪽으로 변형을 일으켜 케이스의 직경을 가변적으로 조정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 1실시예의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온수가 출수되는 배관(4)에 연통되도록 설치된 케이스(1)에 소정의 온도를 가진 온수가 통과하면서 바이메탈 플레이트(2)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바이메탈 플레이트(2)는 온수의 온도가 높을 경우 즉, 규정온도를 만족할 경우 일측으로 휘어져 관로의 개방이 최대로 되어 원활하게 온수가 출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이메탈 플레이트(2)에 접촉하는 온수의 온도가 낮을 경우 바이메탈 플레이트(2)는 소정의 변형량을 갖거나 또는 변형량이 없게 되므로 미온수가 원활하게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온도가 높은 온수는 바이메탈 플레이트(2)를 포함한 케이스(1)내를 원활하게 통과하여 출수될 수 있고, 온도가 낮은 미온수나 저온수는 소량만 출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재로 이루어진 패킹(3)과, 이 패킹(3)의 내주면에 바이메탈 플레이트(2)가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패킹(3)은 관이음 부분에 설치되어 수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중앙부분이 천공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킹(3)의 천공된 부위의 내주면에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바이메탈 플레이트(2)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 2실시예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온수를 출수하는 배관(4) 이음부에 설치되는 패킹(3)은 바이메탈 플레이트(2)를 결합하고 있으므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갖는다.
즉, 온수의 온도가 높을 경우 바이메탈 플레이트(2)가 일측으로 휘어지는 변형량이 커지게 되어 온수의 이동이 이동이 자유로워지고, 온수의 온도가 낮을 경우 상기 바이메탈 플레이트(2)의 변형량이 작아지므로 미온수나 저온수의 이동이 어렵게 되어 출수되는 양이 줄어든다.
여기서 상기의 도면에서 바이메탈 플레이트는 원형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유량의 통과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사각형 또는 격자형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을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는 온수사용을 위해 온수밸브를 개방하였을 때 초기에 출수되는 미온수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가 고온의 온수를 얻기위해 낭비하는 물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원주면의 양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온수가 출수되는 배관(4)에 설치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내 소정위치에 결합되어 온수의 온도에 따라 일방향으로 휘어지거나 복귀되어 관로의 직경을 조정하는 바이메탈 플레이트(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저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온수가 출수되는 배관(4)의 이음부에 설치되는 중앙부가 천공된 고무재의 패킹(3)과, 이 패킹(3)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바이메탈 플레이트(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저감장치.
KR2019970014940U 1997-06-19 1997-06-19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 KR199900014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940U KR19990001485U (ko) 1997-06-19 1997-06-19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940U KR19990001485U (ko) 1997-06-19 1997-06-19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485U true KR19990001485U (ko) 1999-01-15

Family

ID=6968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940U KR19990001485U (ko) 1997-06-19 1997-06-19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148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112B1 (ko) * 2002-04-22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직경 가변형 배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9112B1 (ko) * 2002-04-22 2005-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직경 가변형 배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8394A (en) Integral liquid-backed gas-fired space heating and hot water system
ATE195175T1 (de) Wandgasheizkessel mit kleinem brauchwasserspeicher
KR19990001485U (ko) 가스보일러의 미온수 출수 저감장치
KR0126592Y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장치
JP2511898B2 (ja) 給湯装置
KR200199632Y1 (ko) 주택난방용벽난로
KR200147551Y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공급장치
KR870001688Y1 (ko) 온수 보일러
KR19980054863A (ko) 혼합열교환방식을 가진 가스보일러
JPS5762392A (en) Heat exchanger device
JP2007120866A (ja) 一缶二水路給湯システム
KR810002258Y1 (ko) 보일러의 식수 가온장치
KR900001612Y1 (ko) 온풍기
KR100570292B1 (ko) 가스보일러/급탕기의 열교환파이프 유로 구조
KR100285883B1 (ko) 가스보일러의 온수지연특성을 이용한 온수 재출탕 속도 향상 및 온수온도 편차를 줄이는 방법
ATE204370T1 (de) Gasheizkessel mit schwingender verbrennung
RU2207470C2 (ru) Подогреватель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жидких сред
KR960003884Y1 (ko) 저탕식 온수 보일러
JP2589237Y2 (ja) 一缶二回路式の給湯機
KR900001956Y1 (ko) 석유 및 가스연소기용 온수 보일러
KR900006506Y1 (ko) 증기 보일러
JPH0334603Y2 (ko)
JPH078981Y2 (ja) 温水器缶体
JP2002286285A (ja) 給湯装置
KR19990017388A (ko) 가스보일러의 온수온도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