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395U -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 - Google Patents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395U
KR19990000395U KR2019970013663U KR19970013663U KR19990000395U KR 19990000395 U KR19990000395 U KR 19990000395U KR 2019970013663 U KR2019970013663 U KR 2019970013663U KR 19970013663 U KR19970013663 U KR 19970013663U KR 19990000395 U KR19990000395 U KR 199900003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or
holder
contact
jack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4269Y1 (ko
Inventor
양진석
Original Assignee
최형권
쌍용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권, 쌍용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형권
Priority to KR2019970013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269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3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3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2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4Jacquard cards or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4Needle cylinders
    • D04B15/16Driving devices for reciprocatory ac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환편기를 이용하여 메리야스등을 편직하는 쟈카드직기의 바늘을 선침과 비선침하여 바늘을 니트(knit) 턱크(tuck) 웰트(welt)의 위치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게 하기 위하여;
중앙에 축홀(10)을 형성한 셀렉터를 양측에 한조로 다수개를 적층하되 외부 양면에는 테이퍼(30)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요홈(31)을 형성된 고정대(3)에 니트(knit) 포지션일 경우에는 제1셀렉터(1)는 고정대(3)의 테이페에 위치하고 제2셀렉터(1')는 고정대(3)의 요홈(31)에 위치하여 핑거(11, 11')는 페턴잭의 벗트(4)와 접촉되지 않도록 조립하고, 터그포지션일 경우에는 제1셀렉터(1)와 제2셀렉터(1')는 고정대(3)의 테이퍼(30)에 위치하고 제1셀렉터(1)의 핑거(11)는 페텐잭의 벗트(4)와 접촉되지 않도록 조립하며, 웰트(welt)포지션은 제1셀렉터(1)와 제2셀렉터(1')의 일단을 고정대(3)의 요홈(31)에 위치토록 조립하여 제1셀렉터(1)의 핑거(11)는 페텐잭의 벗트(4)와 접촉되고 제2셀렉터(1')의 핑거(11')는 페턴잭의 벗트(4)와 접촉되지 않게 조립가능한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
본 고안은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편기를 이용하여 메리야스등을 편직하는 쟈카드직기의 바늘을 선침과 비선침하여 바늘을 니트(knit) 턱크(tuck) 웰트(welt)의 위치로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선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편기로서 무늬를 편성하기 위하여 자카드장치를 장착하여 원형으로된 실린더에 바늘을 조립재치시켜 그 실린더를 회전시켜 실린더에 재치시킨 바늘에 실을 공급과 미스를 반복하여 무늬를 편성한다.
자캬드장치를 이용하여 무늬를 편성하는 장치를 분류하면 패턴휠을 사용하는 거, 슬라이더페그를 사용하는 것, 패턴드럼을 사용하는 것, 패턴드럼과 슬라이더페그를 병용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 엘렉트로니크스에 의한 것등이 있고, 핀을 끼운 패턴드럼과 그 핀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전후 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페그와 그 슬라이더페그의 수평방향 운동을 수직방향 운동으로 전환하는 셀렉터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다수의 패턴드림이 배치되어 있는 지름이 큰 실린더를 지닌 환편기와 같이 패턴드럼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기계에 새로운 패턴을 세트할 때마다 노력과 시간을 소비하여 그 결과 작동 코스트를 상승시켜왔다.
또 이 종래 기술에서는 셀렉터의 배열이 서로 바꾸어져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셀렉터가 서로의 관련성을 한번 보아서 판별하기 어렵고 문직을 할때에 실수가 발생하기 쉬웠다.
또 선침의 웰트(welt), 턱크(tuck), 니트(knit)작동을 위한 선택된 캠이 선택된 적정위칭 배열되어 있어서 직물에 입체무늬를 내도록 되어 있어 다른 무늬를 편성하기 위하여서는 캠을 분리하여 그 구성순서를 다시 구성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지연되고 비능률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니트(knit), 턱크(tuck), 웰트(welt)의 위치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실용상 유효한 형태의 선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은 중앙에 축홀을 형성한 셀렉터를 양측에 한조로 다수개를 적층하되 외부 양면에는 테이퍼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요홈을 형성된 고정대의 니트(knit) 포지션일 경우에는 제1셀렉터는 고정대의 테이퍼에 위치하고 제2셀렉터는 고정대의 요홈에 위치토록 조립하여 핑거는 페텐잭의 벗트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조립하고, 턱크포지션일 경우에는 제1셀렉터와 제2셀렉터는 고정대의 테이퍼에 위치토록 조립하여 제1셀렉터의 핑거는 페텐잭의 벗트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조립하며, 웰트(welt)포지션은 제1셀렉터와 제2셀렉터의 일단을 고정대의 요홈에 위치하여 제1셀렉터의 핑거는 페텐잭의 벗트와 접촉되도록 하고 제2셀렉터는 페턴젝의 벗트와 접촉되지 않게 조립되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인 작동상태도로서
가)도는 편침의 니트(knit)위치일 때
나)도는 편침의 턱크(tuck)위치일 때
다)도는 편침 웰트(welt)위치일 때
도 3은 본고안의 조립을 보인것으로
가)도는 측면도이고
나)도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1셀렉터1' : 제2셀렉터
10 : 축홀2 : 본체
20 : 고정홀21 : 축봉
22 : 볼트3 : 고정대
30 : 테이퍼31 : 요홈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을 보인 작동상태도로서, 가)도는 편침의 니트(knit)위치일 때, 나)도는 편침의 턱크(tuck)위치일 때, 다)도는 편침 웰트(welt) 위치를 보인 것으로;
중앙에 축홀(10)을 형성한 제1 및 제2셀렉터(1, 1')를 양측에 한조로 다수개를 적층하되 제1 및 제2셀렉터(1, 1')의 일단은 페텐잭의 벗트(4)와 접촉되며 타일단은 고정대(3)의 테이퍼(30)과 요홈(31)에 위치토록 조립되는 자카드직기의 선침장치이다.
상기 제1셀렉터(1)와 제2셀렉터(1')의 형상은의 형상으로 되어 그 각각의 제 1 및 제 2 셀렉터(1, 1') 중앙부에는 축홀(10)을 형성하여 본체(2)의 고정홀(20)에 축봉(21)으로 양측으로 다수개를 적층하되 일단은 페턴잭의 벗트(4)와 접촉되도록 하고 타일단은 고정대(3)에 접촉되도록 조립한다.
상기 고정대(3)는 외부 양면에는 테이퍼(30)를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요홈(31)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셀렉터(1, 1')를 본체(2)와 고정대(3)에 결합하는 것은 니트(knit)포지션일 경우에는 제1셀렉터(1)의 일단은 고정대(3)의 테이퍼(30)에 위치하고 제2셀렉터(1')의 일단은 고정대(3)의 요홈(31)에 위치토록 조립하여 제1 및 제2 셀렉터(1, 1')의 핑거(11, 11')는 페턴잭의 벗트(4)와 접촉되지 않도록하여 바늘을 최고 위치까지 상승시켜 실을 공급하여 루우프를 형성하는 닛트되도록 한다.
터크포지션일 경우에는 제1셀렉터(1)와 제2셀렉터(1')는 고정대(3)의 테이퍼(30)에 위치토록 조립하여 제1셀렉터(1)의 핑거(11)는 페텐잭의 벗트(4)와 접촉되지 않도록하고 제2셀렉터(1')의 핑거(11')는 페턴잭의 벗트(4)와 접촉시켜 바늘을 턱크(tuck)위치까지만 상승시켜 바늘에 실을 공급되지만 후크속은 비게(clear)되지 않으므로 바늘이 하강해도 구 루우푸는 녹크오버(knock over)되지않고 다음 코오스에서 바늘을 닛트시키면 두개의 코오스에서 동시에 녹크오버되어 루우프를 형성하는 닛트되도록 한다.
웰트(welt)포지션은 제1셀렉터(1)와 제2셀렉터(1')의 일단을 고정대(3)의 요홈(31)에 위치토록 조립하여 제1셀렉터(1)의 핑거(11)는 페텐잭의 벗트(4)와 접촉되도록하고 제2셀렉터(1')의 핑거(11')는 페턴잭의 벗트(4)와 접촉되지 않게 하여 바늘의 편성운동을 중지시켜 루우프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무늬를 편성하는 것은 바늘의 위치가 니트(knit)위치에 있느냐 턱크(tuck)위치에 있느냐, 웰트(welt)위치에 있느냐에 바늘에 실이 공급되어 니트(knit) 턱크(tuck) 후크가 되느냐에 의하여 상이한 무늬가 편성되므로 바늘을 이동시키는 페턴잭을 조작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1셀렉터(1)와 제2셀렉터(1')의 조립위치에 의하여 각각의 상이한 무늬를 편직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정한 무늬를 편성한 후에 다른 무늬를 편성하고자 할 시에는 본체(2)에 조립된 결합볼트(22)를 풀어 볼트결합봉(23)을 중심축으로 볼트(22)를 밑으로 내리고 본체(22)에 조립된 고정대(3)를 본체(2)에서 분리한 후에 편성코자하는 무늬에 알맞게 각각의 제1셀렉터(1), 제2셀렉터의 일단을 고정대(3)의 요홈(31), 테이퍼(30)에 니트(knit) 턱크(tuck) 웰트(welt)의 포지션이 되도록 조립하여 고정대(3)를 본체(2)에 조립하여 다른 무늬로 바꾸어 편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효과는 제1셀렉터와 제2셀렉터의 일단을 축홀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니트(knit), 턱크(tuck), 웰트(welt)로 변환이 가능하므로 소망하는 무늬를 바꾸고자할 시에는 본체에 제1셀렉터와 제2셀렉터를 고정된 상태에서 분리하지 않고 축홀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니트(knit), 턱크(tuck), 웰트(welt)로 조립시켜 새로운 무늬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변형사용할 수 있다.

Claims (1)

  1. 환편기의 조립된 페턴잭을 이동시킴으로서 바늘의 위치변동으로 무늬를 편성하는데 있어서
    중앙에 축홀(10)을 형성한 셀렉터를 양측에 한조로 다수개를 적층하되 외부 양면에는 테이퍼(30)을 형성하고 중앙부에는 요홈(31)을 형성된 고정대(3)에 니트(knit) 포지션일 경우에는 제1셀렉터(1)는 고정대(3)의 테이페에 위치하고 제2셀렉터(1')는 고정대(3)의 요홈(31)에 위치하여 핑거(11, 11')는 페턴잭의 벗트(4)와 접촉되지 않도록 조립하고, 터그포지션일 경우에는 제1셀렉터(1)와 제2셀렉터(1')는 고정대(3)의 테이퍼(30)에 위치하고 제1셀렉터(1)의 핑거(11)는 페텐잭의 벗트(4)와 접촉되지 않도록 조립하며, 웰트(welt)포지션은 제1셀렉터(1)와 제2셀렉터(1')의 일단을 고정대(3)의 요홈(31)에 위치토록 조립하여 제1셀렉터(1)의 핑거(11)는 페텐잭의 벗트(4)와 접촉되고 제2셀렉터(1')의 핑거(11')는 페턴잭의 벗트(4)와 접촉되지 않게 조립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
KR2019970013663U 1997-06-09 1997-06-09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 KR200154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663U KR200154269Y1 (ko) 1997-06-09 1997-06-09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663U KR200154269Y1 (ko) 1997-06-09 1997-06-09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395U true KR19990000395U (ko) 1999-01-15
KR200154269Y1 KR200154269Y1 (ko) 1999-08-02

Family

ID=1950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663U KR200154269Y1 (ko) 1997-06-09 1997-06-09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2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4269Y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7196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particularly for producing items of clothing with three-dimensional shapes
EP2578733A1 (en) Knitting needle-guiding member, knitting needle, knitting method, knit fabric and gloves
KR101106728B1 (ko) 환편기의 파일편성장치
JP2011511171A (ja) スペーサ編み布とスペーサ編み布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編機
CN101096791B (zh) 袜子编织机
EP1388600B1 (en) Needle selector for knitting machine, and needle selecting module finger
KR20090110893A (ko) 바늘 이동 기구
KR19990000395U (ko) 쟈카드직기의 선침장치
KR20110046869A (ko) 피커래스 발가락양말 편직기
CN209779135U (zh) 一种紧凑型织领机山板
GB2062696A (en) Pile Fabric Knitting
KR100621311B1 (ko) 횡편 인타샤기를 이용한 양면 편직방법
US3380265A (en) Knitting machines
US3246486A (en) Pattern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CN108774801A (zh) 一种针织机械编织装置
KR102432612B1 (ko) 환편기의 실린더 캠 구조
KR100439999B1 (ko) 컷트파일 환편지의 편성방법
KR200241653Y1 (ko) 편직기
GB2371563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pattern control
KR100432398B1 (ko) 편직기
KR100593697B1 (ko) 자동 양말편기
KR100318757B1 (ko) 원형 편성기용 컴퓨터 제어방식의 니이들 선택 장치
EP0036194A3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of the type having two needle beds for knitting rib patterned tubular fabrics
KR960014597B1 (ko) 자카드 편기에 있어서 패턴(pattern) 잭크(jack)과 액츄에이터(actuator)를 이용한 응용편조직(닛트, 턱크, 웰트)의 선택방법
KR20080000538U (ko) 원형 파우치 양말편직기용 포 피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