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3651A -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보드 컨넥터 - Google Patents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보드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3651A
KR19980703651A KR1019970707050A KR19970707050A KR19980703651A KR 19980703651 A KR19980703651 A KR 19980703651A KR 1019970707050 A KR1019970707050 A KR 1019970707050A KR 19970707050 A KR19970707050 A KR 19970707050A KR 19980703651 A KR19980703651 A KR 1998070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actuator
electrical connecto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7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돌프 캄프쉬로어
란디 버비트
Original Assignee
오울플링프랭크에이
더휘테이커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울플링프랭크에이, 더휘테이커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오울플링프랭크에이
Publication of KR1998070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65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컨넥터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2로서 보여진다. 상기 조립체(2)는 복수개의 전기 컨택트(8)가 배치되는 하우징(6)과 액튜에이터(10)를 가지는 전기 컨넥터(4)를 포함한다.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12)은 상기 컨넥터의 컨택트(8)와 상호 접속을 위하여 그 위에 복수개이 서키트 트레이스(14)를 가지며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상에 전자 요소(16)를 가지는 것이 보여진다. 추가의 서키트 트레이스(18)는 전자 요소(16)를 뻗어 나가며 부품(20)에 상호 접속된다. 상기 전기 컨넥터(4)는 전자 요소(16)와 부품(20)의 비접속과 재치를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보드 컨넥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상의 회로 트레이스(circuit trace)에 상호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많은 전기 컨넥터가 있다. 일 예는 미국 특허 4,734,053 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전기 컨넥터는 포크 형상(fork-shaped)의 컨택트(contact)가 배치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는 프린트 서키트 보드(피시비: PCB)상에 장착되며 관통구(through hole)를 위한 것이다.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는 상기 컨택트의 포크들 사이에 배치되며 웨지(wedge)와 가이드 쇼울더(guide shoulder)를 가지는 액튜에이터 부재(actuator member)는 유지(retention)와 전기적 접속을 위하여 그 사이에 쐐기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는 그 위에 상기 하우징이 위치되는 피시비(PCB)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각을 가지고 하우징으로 부터 바깥으로 확장된다. 상기 컨넥터가 작동이 잘되는 한, 특정 분야에서 개선을 위하여 사용될 많은 영역이 있다.
피시비들은 통상 피크 앤드 플레이스 머신(pick-and-place amchine)을 사용하여 조립된다. 이것은 테이프 피드 디스펜서(tape feed dispenser)로 부터 전기 또는 전자적 부품을 제거하는 헤드(head)와 상기 헤드 또는 조립되는 피시비를 상기 부품이 놓여지는 상기 피시비에 의하여 대표되는 평면의 특정 X-Y 좌표계로 이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다음 피시비 상에 상기 부품을 놓기 위한 상대적 Z 축 이동을 일으켜 상기 부품의 리드(leads)는 상기 피시비 상의 솔더 패드(solder pad)에 대응되고 면 장착 상호 접속(surface mount interconnection)이 달성된다. 이들 장치들은 고도로 자동화 되고 신속한 조립 공정을 위하여 매우 빨리 이동하며 매우 정확하게 반복작업을 한다. 그러나, 본 피크 앤드 플레이스 작동상의 일 단점은 조립 도구의 헤드가 피시비 면에 대하여 단지 상. 하로만 이동을 한다는 것이다.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를 위한 전기 컨넥터를 와전히 설치할 수 있고 그 안에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를 삽입 할 수 있는 피크 앤드 플레이스 도구를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평면 장착 피시비(PCB)상의 피크 앤드 플레이스 조립 기술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기 컨넥터 내에서 모든 컨택트 패드는 동 평면(同 平面: co-planar)에 있어야 하고 그러므로서 상기 솔더 패드와의 납땜 접속(solder bond)은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요구되는 동 평면은 가끔 0.1mm로 작다. 이러한 동평면성의 요구는 꿰임 기계(stitching machine)의 용량을 초과하여 상기 컨택트 패드의 동평면성이 유지되도록 보장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장착 기술은 솔더 패드에서 적절한 전기적 상호 접속을 제공하지만, 전기 컨넥터가 고정적으로 피시비(PCB)에 걸리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어떠한 분야에서는 전기적 인터페이스(interface)는 기계적으로 상기 컨넥터를 하우징에 걸기에는 불충분하다. 이러한 작동에서는, 피크 앤드 플레이스 장치의 로봇 조립 기술에 이롭지 않을 수 있는 특징과 간섭하거나 또는 고정하는 제 2 작동을 요구하는 보드 락 구조(board lock structure)를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 그러므로, 상기 피시비(PCB)상에 전기 컨넥터를 위치 시키는 피크 앤드 플레이스 작동과 표면 장착 납땜 기술(SMT)과 결합되는 납땜과 조화되는 작동에 의하여 전기 컨넥터가 고정적으로 걸리도록 보장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어떠한 분야에서, 인접한 장치의 밀도에 기인하여,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는 피시비(PCB)의 평면에서 평행하게 컨넥터에서 뻗어자갈 필요가 있다. 이러한 평면은 통상 피시비(PCB)에 의하여 정의된 Z 축에 수직이다. 이러한 종류의 컨넥터에서는 공통적으로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는 먼저 피시비(PCB)에 대하여 적절한 Z 축 높이에 놓이고 다음 옆으로부터(즉 X 또는 Y축 이동과 함께)삽입되어져야 한다. 보통사용되는 장비에서는 이것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므로, 피시비(PCB)에 거의 평행한 평면에서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가 컨넥터를 뻗어 나가는 조립 도구의 Z 축 이동에 반응하여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가 컨넥터에 삽입되어지고 여기에 종단되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보여진 자동 조립 작동에서,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의 서키트 트레이스를 컨넥터내의 전기 컨넥터의 컨택트 아암과 쐐기식으로 접속토록 하는 액튜에이터는 대칭적 방식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조가 가지는 문제는 포크 형상(fork-shaped)의 컨택트가 사용되어지고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가 상기 포크 영역에 삽입되어 질 때, 상기 대칭 웨지는 상기 액튜에이터를 비스듬히 들어 올리는 비균형 힘을 받을 것이다.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가 일 아암에 대항하여 쐐기식으로 설치되고 상기 힘은 균형을 잡아 액튜에이터의 삽입 동안에 여기에 대항되는 힘은 균형 잡힌 채로 남아 있을 수 있는 포크 형상의 컨택트 부를 가지는 컨택트를 그 안에 가지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 하다.
발명의 요약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피크 앤드 플레이스 조립 기술에 의하여 피시비(PCB)와 같은 기판상에 완전히 조립 가능한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용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과 그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컨택트를 가지고, 각각의 컨택트는 컨택트 아암과 백 업 아암(back up arm)을 가지는 포크 형상으로서 그 사이에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가 배치되어 지며 상기 포크 형상은 일 쌍의 이격된 표면 장착 피트에 대항하여 개방되어 있으며, 액튜에이터는 위로부터 수용 가능하며 상기 컨택트와 접속된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를 유지하는 두 개의 아암사이에서 웨지식 설치가 가능한 전기 컨넥터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시비(PCB)의 솔더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동평면 표면 장착 피트를 가지는 전기 컨택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컨택트 수용부와 상기 컨택트 수용부에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복수개의 컨택트를 가지는 컨넥터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각각의 컨택트는 간섭 끼임(interference fit)으로서 그 안에서 유지되고 하우징내에서 부분적으로 위치하고 초기에 꿰어진 컨택트를 그 완전 안착 위치까지 밀기위하여 사용되는 요구되는 평면성의 평평면을 그 위에 가지는 블락(block)과 함께 모두가 색인 가능한 일 쌍의 이격된 표면 장착 피트를 포함하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장착 기술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나 전기적으로나 와전히 장착 가능한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하우징과 그 안에 배치되는 컨택트로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컨택트는 복수개의 표면 장착 피트와 적어도 일 피트는 상기 컨넥터의 기계적 걸림(anchoring)을 위한 것인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드(board)의 컨넥터 측을 넘어서 최소의 클리어런스(clearance)를 요구하는 방식으로 플랙서블 프리트 서키트에 연결시키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컨넥터가 그 위에 장착되는 피시비(PCB)에 상대적으로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가 안에서 최 상부에 장착가능하고 여기서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는 그 안의 컨택트와 접속되도록 쐐기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는 상기 피시비(PCB)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확장되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 상부에 장착 가능한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피시비(PCB)상에 고정 가능하고 안에 내장된 전기 컨택트와 접속을 이루도록 쐐기식으로 설치되는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와 함께 장착 가능하여 삽입 동안에 그 위에 가해지는 힘들이 균형을 이루도록 상기 컨택트에 대항하여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를 잡을 수 있도록 상기 액튜에이터가 그 안에 삽입 가능한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이 간단한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조립 공정이 고속인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솔더 패드가 컨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정밀하게 장착되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트서키트가 예 비 놓임 위치에서 부착 가능하여 상기 액튜에이터의 삽입은 신뢰성 있는 상호 접속을 이루는 전기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 컨넥터에 관 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flexible printed circuit)을 위한 전기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에 부착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컨넥터의 상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기 컨넥터의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부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전기 컨넥터에 결합된 전기 컨택트의 측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전기 컨넥터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부의 상부 평면도;
도 6은 전기 컨넥터가 결합되는 피시비(PCB)상의 솔더 패턴 레이 아웃의 상부 평면도;
도 7은 부착된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를 보이는 전기 컨넥터의 상부 사시도;
도 7a는 컨넥터 하우징에 걸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를 보이는 도 7의 상세 상부 사시도;
도 8은 완전 안착된 위치에 놓인 액튜에이터와 함께 도 1의 컨넥터 내에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를 보이는 측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피시비(PCB)에 부착된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를 가지는 전기 컨넥터의 측면도.
먼저 도 1을 참고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컨넥터 조립체는 2로서 보여진다. 상기 조립체 2는 그 안에 복수개의 전기 전기 컨택트 8이 배치되는 하우징 6을 가지는 전기 컨넥터 4와 액튜에이터 10을 포함한다.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가 상기 컨넥터의 컨택트 8과의 상호 접속을 위하여 그 위에 복수개의 서키트 트래이스(circuit trace) 14를 가지며 또한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상에 전자 부품 16을 가지는 것이 보인다. 추가적으로 서키트 트레이스(circuit trace) 18은 상기 전자 부품 16으로 부터 뻗어 나가며 장치 20과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기 컨넥터 4는 전자 부품 16과 상기 장치 20의 비접속(disconnection)과 재치(再置: replacement)를 가능하게 한다.
도 2를 참고로, 상기 전기 컨넥터 4가 보인다. 전기 컨넥터 하우징 6은 복수개의 컨택트 8을 유지한다. 상기 하우징 6은 컨택트 8이 배치되는 복수개의 컨택트 수용 안착부 28을 형성하는 격자(partitions)로서 기능하는 복수개의 웹(web) 26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측 레일 22와 2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6은 단벽(end walls) 32, 34에 의하여 경계지워지는 상기 레일 22, 24 사이의 수용부 30을 포함한다. 상기 단벽의 외부 면을 따라서 놓인 것은 레치 부재(latch member) 36으로서 상부 위치 포스트 38과 램프 면(ramp surface) 40과 캐치 면(catch surface) 42를 포함한다. 레일 22를 따라 후술하듯이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와 결합하기 위한 포지션너(positioner) 44, 46은 각각의 단벽 32, 34를 향해 있다. 각각의 포지션너 44, 46은 레일 22의 가이드 면(guide surface) 48을 넘어서 확장되고 제 1 그리고 제 2 의 내밈 래치(overhaning latch) 50, 52를 가져 이로부터 플랫서블 프린트 서키트 12가 제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액튜에이터 10은 그 길이와 폭에 대하여 대칭형 부재로서 조립 도눙 성가신 분류와 방향의 설정의 필요성을 감소시킨다. 액튜에이터 10은 상부 플레이트 54와 웨지(wedge) 56을 가지는데, 웨지 56은 T자 형상으로 확장되어 상부 플레이트 54의 부분 58, 60은 상기 웨지 56을 매단다. 상기 웨지는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를 따라 형성된 모서리진 면 62를 포함한다. 상기 웨지 56은 컨넥터 히우징 6의 수용부 30내에 수용가능하여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는 아래에서 기술되듯이 컨택트 8과 전기적 접속에서 유리하다. 수용부 30에 삽입되었을 때, 액튜에이터 10은 U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로 상부 플레이트 54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확장되어 개구가 상부 플레이트 54로 형성되어 있는 캐치(catches) 64에 의하여 적소에서 유지된다. 액튜에이터 10이 하우징 6과 조립됨에 따라, 상기 캐치 64는 램프 면 40에 의하여 캐치면 42를 넘어설 때까지 바깥으로 벌려진다. 이 위치에서, 상기 캐치 64는 캐치면 42 밑에서 걸리고 포스트 38은 액튜에이터 10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부 플레이트 54에 형성된 개구의 부분을 관통하여 확장된다.
도 3을 참고로, 상기 전기 컨택트 8이 보인다. 전기 컨택트 8은 컨택트 아암(contact arm) 68과 스프링 아암 70을 가지고 그 사이에서 개구 72를 형성하는 포크 형상의 컨택트 부 66을 포함한다. 상기 컨택트 아암 68과 스프링 아암 70은 몸체 74로부터 U 형상의 방식으로 확장된다. 상기 몸체의 어느 일측으로 부터 외부로 확장되는 것은 막대부(bar section) 76, 78로서 각각은 탄성 포스트(biasing post) 80과 위치 포스트(positioning post) 82를 각각 지지한다. 탄성 포스트 80과 위치 포스트 82로부터 외부에 형성되는 것은 반대방향으로 향한 표면 장착 피트(surface mount feet) 84로서 컨택트 8의 하부 면 86을 넘어서 확장하여 상기 하부 면 86은 피트 84의 면에 대하여 여유가 주어진다.
상기 컨택트 아암 68과 스프링 아암 70은 다른 구조와 높이로서 도 4와 8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컨택트 아암 68은 스프링 아암 70보다 약간 낮다. 컨택트 아암 68은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의 서키트 트레이스 14상에 형성될 수 있는 산화물 또는 오염물을 물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날카로움을 가지는 접속 노즈(engagement nose) 92와 지지면 90을 포함하는 컨택팅 헤드(contacting head) 88을 포함한다. 스프링 아암 70은 서키트 트레이스 14와 접속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탄성이 탄성 헤드 94가 액튜에이터 10을 형성하는 재료를 물도록 허락하지 않음으로서 유지되는 방식으로 액튜에이터 10의 웨지 56과 상호작용하기 위하여 구성된 노즈 부(nose portion) 96을 가지는 탄성 헤드(biasing head) 94를 포함한다. 액튜에이터 10은 통상적으로 주조된 플라스틱 요소이므로 날카로운 노즈 부 96을 가지는 것은 탄성 헤드 94가 웨지 56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를 변위할 때 시간을 초과하여 탄성력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 할 것이다.
탄성 포스트 80과 위치 포스트 82는 컨택트 아암 68과 스프링 아암 70과 같이 막대부 76, 78로 부터 같은 방향으로 확장된다. 각각의 포스트 80, 82는 그 위에 바브(barb) 98, 100을 각각 포함하여 그 내부에 컨택트 8을 유지하기 위한 하우징 6과 간섭한다. 상기 바브 98, 100은 각각의 포스트 80, 82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작용한다. 상기 바브 98, 100은 각각의 포스트 80, 82 상에서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어 삽입 동안에, 간섭 끼음(interference fit)에 의하여 생성되는 힘에 대한 반응은 컨택트 8을 같은 방향으로 휘게 한다. 각각의 포스트 80, 82는 미소하게 라운드(round)진 노즈 부(nose portion) 102를 포함하여 컨택트 8이 하우징 6으로 삽입되는 동안에 가이드 역할을 하게 한다. 상기 포스트 80, 82는 적절한 조립괴 기능을 위하여 다른 형상을 하고 있다. 탄성 포스트 80은 위치 포스트 82보다 낮으며 탄성 부 104를 포함하여 막대 부 76에 대하여 포스트 80이 적응 할수 있도록 한다. 탄성 포스트 80은 하우징 6내에서 컨택트 8을 안정시키며 위치 포스트 82의 방향으로 컨택트를 휘게하는 힘을 작용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위치 포스트 82는 탄성 포스트 80 보다 높고 더 큰 단면적을 가져 부주의로 잘못된 방향에서 안착될 수는 없다. 나아가서, 위치 포스트 82는 하우징 6에 대하여 참고 위치(reference location)가 제공될 수 있는 방식으로 컨넥터가 그 위에 장착되는 피시비(PCB)에 본질적으로 수직이 되게 구조된 위치 면(locating surface) 106을 포함하여 신뢰성 있는 피크 앤드 플레이스 기술 (pick-and-place techniques)이 사용될 수 있다. 탄성 부 104에서 탄성 포스트 80의 탄성력과 함께 포스트 80, 82와 하우징 6 사이에서 간섭 끼움이 컨택트 8이 면 106의 방향으로 일정하게 휘게 보장하므로, 신뢰성 있는 위치가 정의 된다. 전술한 구조의 반대편에는 일 쌍의 표면 장착 피트(surface mounting feet) 84가 컨택트 구조 8의 끝단에 설치된다. 상기 표면 장착 피트 84는 그를 가로지르는 라인(line)의 점으로서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표면 장착 피트 84는 피시비(PCB) 110상의 복수개의 솔더 패드(solder pad) 108에 전기적 접속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도 6) 각각의 솔더 패드 108은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될 수 있지만, 이것은 필요한 것도 아니며 바람직하지도 않다. 컨넥터 4가 앤커링(anchoring)을 위하여 표면 장착 솔더링 기술(surface mount soldering technique)을 사용하듯이 적어도 솔더 패드 108 중 하나가 단순히 컨택트 8과 기계적 앤커(anchor)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표면 장착 피트 84는 피시비(PCB)상의 컨택트와 컨넥터를 위하여 이들을 가로지르는 안전성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면 장착 피트는 피시비(PCB) 110 상의 신뢰성 있고 효과적인 표면 장착을 보장하기 위하여 후술 하듯이 모든 표면 전기 컨택트 표면 장착 피트 84의 동평면성(co-planarity: 同平面性)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도 4를 참고로, 컨넥터 4의 단면도가 하우징 6내에 배치된 컨택트 8과 그 위에 위치한 액튜에이터 10과 함께 보여진다. 상기 컨택트 8은 하우징 6내에 꿰여져 있으며 도들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완전 안착보다 짧은 예비 놓임 위치(pre-loaded position)에 있다. 본 위치에서, 탄성 포스트 80과 위치 포스트 82는 레일 24, 22내의 각각의 캐버티(cavities) 112, 114내에 수용된다. 이들 캐버티는 웹 26사이에서 정의된 안착부 28과 함께 정렬된다. 본 부분적으로 꿰어진 위치에서 모든 표면 장착 피트 84의 적절한 동 평면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평평도(flatness)를 가지는 일면을 가진 삽입 블락(insertion block)(미도시)이 모든 컨택트 8에 대항한 위치에 놓여지고 도 4에서 보여진 것처럼 그 완전 안착 위치 까지 컨택트를 민다. 상기 피트 84는 적절한 톨러런스(tolerance)를 가지는 평면내에서 있지만 상기 컨택트 8은 아직 하우징 6내에서 부유한다. 삽입 과정 동안에 상기 바브 98, 100과 탄성 포스트 80은 컨택트가 캐버티 114내의 대응하는 표면 116을 가지는 위치 면 106의 방향으로 압력을 받도록 한다. 이것은 컨텍터 하우징 6에 대하여 표면 장착 피트 84의 양의 위치(positive location)를 제공한다. 또한, 컨택트 8의 끝단에는 한 쌍의 표면 장착 피트 84가 있으므로, 도 4에서 더욱 보여질 수 있듯이, 동 평면성은 삽입 블락(미도시)과 함께 정의하기가 더욱 용이하며, 레일 22상의 가이드 면은 대응하는 레일 24상의 면 118보다 낮게 변위된다.
컨넥터 4내에 수용되어지는 플랫서블 프린트 서키트 12의 부분이 보여진다.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는 전방 에지 120과 트레이스 14의 결합 인터 페이스(bounding interface) 124를 경계짓는 측 에지 122를 가진다. 상기 전방 에지 102과 측 에지 122는 컨넥터 4의 수용부 30에 수용 가능한 통그(tongue) 126을 정의한다. 피크 앤드 플레이스 장치에 의하여 초기에 컨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위치 되었을 때 그리고 액튜에이터 10의 피크 앤드 플레이스 장치에 의한 삽입 동안에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를 유지하기 위하여 통그 126의 측 에지 122을 따라서 컨넥터 하우징 6의 위치 포스트 46(도 2)과 결합하는 앤커 노치(anchoring notch) 128이 있다. 위치 포스트 44, 46과 노치 128사이의 상호작용은 도 7과 7a를 참고로 잘 보여지고 잘 기술되어 있다.
도 6을 참고로, 컨넥터 4의 컨택트 8의 표면 장착 피트 84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솔더 패드 108을 가지는 피시비(PCB)가 110으로 보인다. 상기 피시비(PCB) 110은 그 위에 솔더 패드 108이 위치하는 페이스(face) 130을 가진다. 모든 표면 장착 피트 84의 동 평면성은 상부 표면 130의 평면성과 대응하기 위함이다. 리 플로우(re-flow) 기술과 같은 표면 장착 솔더 기술이 사용되면, 상기 표면 장착 피트 84는 솔더 패드 108에 컨넥터가 신뢰성 있게 그와 함께 유지되도록 걸린다.
도 7을 참고로, 일단 전기 컨넥터 6이 피시비(PCB) 110상에 기술된 것과 같이 장착이 되면, 가능하면 부착된 전기 장치 20과 함께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는 피크 앤드 플레이스 장치와 함께 상부에 놓일 수 있다. 도 7a에서 보인 것과 같이,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의 통그 126은 측 레일 122를 따라서 형성된 노치 128이 포스트 46에 대응하도록 컨넥터 6을 넘어서부터 아래로 향하여 있다. 상기 포스트는 통그 126이 그를 넘어서 눌려질 때 적어도 2개의 내밈 래치(overhaning latch) 50, 52를 포함하므로,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는 그 위에서 양(positiviely)으로 걸린다. 게다가, 상기 내밈 래치 50, 52는 포스트 46의 몸체(미도시)로부터 확장되므로,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를 그 위치 평면의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수용된 위치에서, 통그 126의 전방 단 120은 캐버티 30과 컨택트 아암 68을 넘어서 매단다.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는 또한 레일 22의 가이드 면 48에 놓여 있다.
이제 도 8을 참고로, 전기 컨넥터 조립체 2는 완전히 조립 된 단면이 보여진다. 도 7에서 보여진 조립과 함께, 액튜에이터 10은 컨넥터와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상으로 놓여진다. 이것이 일어나면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는 캐버티 30내에서 모서리진 면 62를 따라서 웨지 56에 의하여 눌려진다. 액튜에이터 10의 삽입 동안에,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는 컨택트 아암 68의 지지표면 90을 넘어서도록 형성된다. 컨택트 아암 68이 탄성 스프링 아암 70보다 낮고 지지 표면 90이 탄성 스프링 아암 70의 노즈 부 96과 다른 형상을 하므로, 반력의 중심 잡음(balance of reactionary force)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것은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가 컨택트 아암 68의 높이를 쌓는 효과를 가지는 것에 연유한다. 반력의 중심 잡음을 유지하여 상기 액튜에이터가 와전히 그리고 적절하게 삽입되게 하는 것은 중요하다. 나아가서, 액튜에이터 10의 삽입 동안에 모든 힘은 컨택트 8을 향하여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은 또한 중요하다. 모든 하부 력(삽입 방향의)은 포크 형상의 컨택트 부 66으로 통과 되어 삽입 방향에 수직되는 어떤 힘도 아암 68, 70의 탄성에 흡수된다. 이것은 솔더 피트 84에서 형성되는 솔더 조인트(solder joint)상에 부괴되는 부적절한 응력(stress)를 막는다. 액튜에이터 10의 추가 삽입에 의하여,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는 충분히 둥글게 휘어 그 위의 서키트 트레이스 14는 서키트 트레이스 14를 물고 있는 컨택트 아암 68의 날카로운 노즈 부 92와 접촉하게 된다. 이것이 일어나는 동안에, 탄성 헤드 94의 부드러운 형상에 기인하여 유한(gentler) 탄성 헤드 94와 그 위의 더욱 부드럽게 라운드된 노즈 부 96은 웨지 56을 넘어서 통과하고 상기 헤드 94는, 시간이 흐른 뒤에도, 웨지 56에 물리지 않고 따라서 신뢰성 있는 전기적 상호 접속이 유지된다. 도 8에서 관찰 될 수 있는 컨택트 구조의다른 특징은 접속 노즈 92와 노즈 부 96의 가로지르는 접속 점은 기본적으로 한줄을 이루어 상기 힘의 균형을 맞추어 액튜에이터 10은 신뢰성 있게 그 사이에서 유지 될 수 있고, 그러므로서 유지 부재(retention member) 36과 캐치 64의 필요성을 없앤다. 나아가서, 모서리 62는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12가 휘어지는 것에 대하여 여유(relief)를 제공하여 자유단 120은 컨넥터 하우징 6으로 부터 액튜에이터 10을 몰아내려 하는 액튜에이터 10에 작용하는 힘을 초래 할 수 있는 경로를 통하여 변형 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액튜에이터 10이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 54의 내밈 돌출부 58은 레일 24의 상부 표면 118매우 근접하게 된다. 완전 안착된 위치에서 레일 22의 대응하는 표면 48이 레일 24의 표면 118 보다 낮으므로, 상부 플레이트 54의 내밈 돌출부 60과 가이드 표면 48은 조립체 2를 구성하는 요소의 조립과 삽입 방향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뻗어 나가는 통로 132를 정의한다.
도 9를 참고로, 피시비(PCB) 110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확장되는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와 함께 피시비(PCB) 110상에 장착된 전기 컨넥터 4가 보여진다. 컨택트 8은 프린트 서키트 110상의 솔더 패드 108에 장착되어 있고 유지부재 36과 캐치 64로 구성된 래치 구조(latching structure)는 양으로(positively) 접속되어 액튜에이터 10이 컨넥터 하우징 6으로 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추가적 보장을 제공한다.

Claims (10)

  1.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12)상의 적어도 일 서키트 트레이스(14)를 기판(110)상의 각각의 컨택트 패드에 전기적으로 접속 시키기 위한 전기 컨넥터 조립체(2)로서,
    그 안에 수용부(30)를 가지는 컨넥터 하우징(6)과, 상기 수용부(30)에서 노출된 컨택트 부(66)와 상기 기판(110)의 컨택트 패드와 접속하기 위한 상기 하우징의 표면(86)을 넘어 확장되는 장착 푸트(84)를 가지는 하우징내에 안착되는 적어도 일 컨택트(8)와, 컨택트 부(66)가 대응하는 서키트 트레이스(14)에 접속되어서 상기 수용부(30)내에서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12)를 유지하기 위한 액튜에이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컨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 조립체는 상기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12)가 상기 기판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컨넥터 하우징(6)으로 장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조립체(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랙서블 서키트(12)가 상기 기판(110)에 일반적으로 평행인 방향으로 확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부(66)는 서로 마주보는 컨택트 아암(68)과 스프링 아암(70)을 가지는 포크 형상의 구조이고 상기 액튜에이터(10)는 그 사이에 끼워질 수 있어 플랙서블 서키트(12)는 상기 컨택트 아암(68)에 대항하여 쐐기식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10)와 컨택트 부(66)는 상기 액튜에이터(10)와 컨택트 아암(68) 사이에 위치한 상기 플랙서블 서키트(12)와 함께, 상기 액튜에이터(10)의 삽입력은 본질적으로 균형된 반발력을 일으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아암(68)과 상기 스프링 아암(70)은 다른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6. 전술한 항들중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8)는 탄성 포스트(80)와 위치 포스트(82)를 포함하며, 이들 포스트(80, 82)는 상기 하우징(6)내에서 상기 수용부(30)의 마주보는 측에서 수용되어 상기 컨택트(8)는 상기 하우징(6)으로 부터 매달리고 그로 가로지르는 일 방향으로 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7. 전술한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8)는 상기 수용부(30)의 반대측에 제 2 푸트(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전술한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10)는 일 쌍의 래치 아암(64)을 그 어느 끝단에서 가져상기 하우징(6)상의 러그(lugs)(42)와 결합되어 상기 액튜에이터(10)를 상기 하우징에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9. 전술한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6)은 일 쌍의 포스트와 래치 구조(44, 46)를 가져 플랫서블 프린트 서키트(12)를 걸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10. 전술한 어느 일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아암(70)은 완만한(blunt)노즈(96)를 포함하여 상기 액튜에이터(10)와 접촉하며 그리고 상기 컨택트 아암(68)은 대응하는 서키트 트레이스(14)를 물을 정도로 충분한 날카로움을 가지는 접속 노즈(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컨넥터.
KR1019970707050A 1995-04-06 1996-04-04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보드 컨넥터 KR199807036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507127.0 1995-04-06
GBGB9507127.0A GB9507127D0 (en) 1995-04-06 1995-04-06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651A true KR19980703651A (ko) 1998-12-05

Family

ID=1077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7050A KR19980703651A (ko) 1995-04-06 1996-04-04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보드 컨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19324B1 (ko)
JP (1) JPH11507468A (ko)
KR (1) KR19980703651A (ko)
CN (1) CN1071947C (ko)
DE (1) DE69603019T2 (ko)
GB (1) GB9507127D0 (ko)
WO (1) WO1996031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5703B2 (ja) * 1996-08-28 2006-05-1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回路板用コネクタ
EP0849828A3 (de) * 1996-12-20 1999-06-02 The Whitaker Corporation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EP1093169A4 (en) 1999-03-31 2002-11-20 Seiko Epson Corp MANUFACTURING METHOD FOR A SEMICONDUCTOR COMPONENT, SEMICONDUCTOR COMPONENT, CONNECTOR WITH NARROW SPACES, ELECTROSTATIC ACTUATOR, PIEZOELECTRICAL ACTUATOR, INK-JET PRINT HEAD, INK-JET FUEL PRINTER, FLUID PUMP, ELECTRONIC FILLER
EP1113538A1 (en) * 1999-12-30 2001-07-04 Molex Incorporated Method of mounting an electrical connector to a printed circuit board
JP4054740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Fpc用zifコネクタ
JP4121465B2 (ja) * 2004-01-30 2008-07-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とフレキシブル基板との接続構造
DE102004014300A1 (de) * 2004-03-22 2005-10-06 Endress + Hauser Flowtec Ag, Reinach Vorrichtung zum Messen und/oder Überwachen des Durchflusses eines Messmediums
CN103247903A (zh) * 2012-02-13 2013-08-14 深圳市三德冠精密电路科技有限公司 一种fpc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1382A (ja) * 1984-11-29 1986-06-19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電気コネクタ
JPH0346469Y2 (ko) * 1987-02-26 1991-10-01
JPH0438470Y2 (ko) * 1987-12-08 1992-09-09
DE4041093C1 (ko) * 1990-12-21 1992-04-02 Karl Lumberg Gmbh & Co, 5885 Schalksmuehle, De
GB9123104D0 (en) * 1991-10-31 1991-12-18 Amp Holland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uit board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507468A (ja) 1999-06-29
EP0819324A1 (en) 1998-01-21
CN1071947C (zh) 2001-09-26
EP0819324B1 (en) 1999-06-23
CN1179857A (zh) 1998-04-22
GB9507127D0 (en) 1995-05-31
WO1996031921A1 (en) 1996-10-10
DE69603019D1 (de) 1999-07-29
DE69603019T2 (de) 199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9574A (en) Surface-mountable socket connector
US3915537A (en) Universal electrical connector
JPH0354435B2 (ko)
EP0546804A2 (en) Electrical connector
US5046972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and contact
EP0518667A1 (en) Through board surface mounted connector
EP0499378A2 (en) Low profile cam-in simm socket
JPH03155082A (ja) 電気部品用接続器
US6139348A (en) Electric connector with an elastically deformable contact pin
KR19980703651A (ko) 플랙서블 프린트 서키트 보드 컨넥터
EP1049365B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US5692920A (en)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KR100581240B1 (ko) 번-인 테스트용 소켓
US5791929A (en)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US4907978A (en) Self-retaining connector
KR100329144B1 (ko) 전기부품용소켓
JP2002246085A (ja) ボトムエントリ型コネクタ
EP1102358B1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EP1091628A2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socket apparatus
JPH01501907A (ja) 電気コネクタ
US6386896B2 (en) Socket for electrical parts
JPH08273777A (ja) Icソケット
JPH0617164U (ja) 平板状接続部材のコネクタ装置
US6439896B2 (en) IC socke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IC socket
KR100279793B1 (ko) 전기부품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