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120A - Hearing protection - Google Patents

Hearing prote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2120A
KR19980702120A KR1019970705515A KR19970705515A KR19980702120A KR 19980702120 A KR19980702120 A KR 19980702120A KR 1019970705515 A KR1019970705515 A KR 1019970705515A KR 19970705515 A KR19970705515 A KR 19970705515A KR 19980702120 A KR19980702120 A KR 19980702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user
pad
stem
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5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폴 맥카퍼티
Original Assignee
폴 맥카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40342/95A external-priority patent/AU4034295A/en
Priority claimed from AUPO3433A external-priority patent/AUPO343396A0/en
Application filed by 폴 맥카퍼티 filed Critical 폴 맥카퍼티
Publication of KR1998070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120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12External m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9Additional functions or features, e.g. protection for other parts of the face such as ears, nose or mouth; Screen wipe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청각보호장치(1)는 사용자의 귀 부분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두 개의 단부(4)를 갖는 탄력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형상의 밴드(2)를 포함하고, 각 밴드의 이주 디플렉터 패드(8)는 서로 마주보고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상기 밴드 단부(4)는 패드가 사용자의 이모에 맞물리게 할 수 있도록 벌어져야 하고, 상기 밴드(2)의 탄성은 상기 밴드 단부가 멀어질 때 복원력을 발생하며, 이 복원력은 사용자의 연관된 이도를 커버하기 위해 사용자 이모를 패드에 의해 디플렉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protection device, wherein the hearing protection device (1) is an elastically bendable band (2) having two end portions (4) located close to the user's head in the ear portion of the user Wherein each of the two band deflector pads 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band ends 4 should be opened so that the pads can be engaged with the user's aunt, and the elasticity of the band 2 The restoring force is generated when the band end moves away, and the restoring force is characterized by deflecting the user's emoji by the pad to cover the user's associated ear canal.

Description

청각보호장치Hearing protection

상기한 것을 달성하는 장치에 대한 사상은 새로운 것은 아니다. 여러 가지 형태의 '청각보호장치'가 이미 이용되고 있다. 이런 장치들의 두 단부에는 귀를 완전히 덮는 머프(muff)가 있고, 청각영역에 연결된 이도(耳道)로 강제로 삽입되는 귀마개가 있다. 이 청각보호장치들은 모두 불리하다.The idea of a device that achieves the above is not new. Many types of hearing protection are already in use. At both ends of these devices there is a muff that completely covers the ear and an earplug that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ear canal connected to the auditory region. These hearing protection devices are all disadvantageous.

머프의 경우에 불편한 점이 있다. 머프 착용자의 귀는 시원한 공기로부터 완전히 차단되고, 그 결과 귀는 매우 뜨겁게 된다. 이것은 착용자에게 상당한 괴로움이 되고, 형태는 다르지만 잡음이 머프로 인해 소리가 줄어든 만큼 큰 불편을 초래한다. 귀마개의 경우, 이도로 강제로 삽입된 것으로 인한 사용과 연관된 위험이 있다. 편리함과 방음을 달성하는데는 조정이 문제다. 또한 짧은 기간 어떤 목적을 위해 정상적인 청각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것을 제거했다가 다시 원위치시켜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muff, there is an inconvenience. The muff wearer's ears are completely shielded from cool air, which results in the ears becoming very hot. This is a significant pain for the wearer and causes great discomfort as the shape is different but the noise is reduced due to the muff. In the case of earplugs, there is a risk associated with use due to forced insertion into the ear canal. Coordination is a problem in achieving convenience and sound insulation.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if a short time normal hearing is needed for some purpose, it must be removed and put back.

발명의 목적Purpos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각 귀의 이도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막는 착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음을 발생하는 공기 진동에 대하여 내부의 정교한 청각 매커니즘으로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착용자의 이모(耳毛)가 각각 근접하는 이도로의 입구를 덮도록 착용자의 이모를 디플렉션(deflection)함으로써 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by providing a wearing device that substantially blocks the ear canal of each ear, and limits the access to internal sophisticated auditory mechanisms for noise-generating air vibrations. This is accomplished by deflection of the wearer's forearm so that the wearer's aunt covers the entrance to the adjacent ear canal, respectively.

발명의 개요Summary of the Invention

청각보호장치는 사용자의 머리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밴드(band)를 포함하고, 이 밴드는 보호장치가 사용중일 때 각각 사용자의 귀 부분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매우 근접하여 위치하는 두 개의 단부를 가지고, 이 밴드는 밴드 단부가 멀어지도록 탄력적으로 구부릴 수 있고, 각 밴드 단부에는 이주(耳珠) 디플렉터(deflector) 패드가 있고, 이 패드들은 서로 마주보고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이 패드들과 보호장치의 사용자의 이모가 맞물리도록 상기 밴드는 탄력적으로 구부러져야 하고, 이렇게 하여 사용자 이모의 디플렉션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복원력을 발생한다.The hearing protector includes a band that is formed to partially surround the user's head, each of which has two ends positioned in close proximity to the user's head at the user's ear when the protector is in use. And the band can be flexibly bent away from the end of the band, each band end has a migration deflector pad, the pads facing each other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ads and the protector The band must be elastically bent so that the user's aunt is engaged, thereby generating sufficient resilience to cause deflection of the user's aunt.

이후 본 발명의 두 실시예를 예를 통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Hereinafter, tw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way of example.

본 발명은 청신경에 해를 끼치거나 고통 또는 괴로움을 초래하기 쉬운 잡음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청각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protection device that protects a person from noise that is likely to harm the auditory nerve or cause pain or suffering.

도 1은 간단한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청각보호장치의 정면도;1 is a front view of a hearing pro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implified form;

도 2는 상기 보호장치의 패드와 설치형 밴드 사이의 결합에 대한 확대단편도;2 is an enlarged fragmentary view of the coupling between the pad and the mounting band of the protector;

도 3은 다른 형태의 패드-밴드 결합을 보여주는 도 2와 유사한 도면;3 is a view similar to FIG. 2 showing another form of pad-band coupling;

도 4는 연관된 눈보호장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보호장치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n hearing pro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n associated eye protector;

도 5는 윤곽으로 도시된 사용자의 앞머리, 코 및 귀와 함께 도 5의 청각보호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및FIG. 5 is a side view of the hearing protector of FIG. 5 with the user's bangs, nose and ears depicted in outline; And

도 6은 도 5의 보호장치에 사용된 바람직한 형태의 패드의 확대정면도이다.6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pad of the preferred form used in the protective device of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로 표시된 청각보호장치는 사용자의 머리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불룩한 중앙부(3)를 갖는 헤드밴드(2)를 포함한다. 이 밴드의 끝은 단부(4)로 이루어진다. 헤드밴드(2)를 구성하는 재료는 심지어 사용중일 때 단부(4)를 강제로 멀어지도록 하는 힘이 가해질지라도 실질적으로 도시된 형태를 유지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는다. 이 헤드밴드는 완전히 단단하지는 않고 약간의 탄성을 가지고 있어 힘이 가해지면 탄력적으로 휠 수 있는 것이라고 간주한다.As shown in FIG. 1, the hearing protection device labeled 1 includes a headband 2 having a bulging central portion 3 partially surrounding the user's head. The end of this band consists of an end 4.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headband 2 has sufficient strength to maintain substantially the shape shown, even when a force is applied to force the end 4 away from it when in use. The headband is not completely rigid but has a slight elasticity, which is considered to be able to flex flexibly when applied.

필요한 특성은 헤드밴드를 적절한 너비를 갖는 네모꼴의 두꺼운 재료로 구성하는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얻을 수 있고, 또한 보다 얇은 재료로 구성되지만, 헤드밴드의 길이를 연장하는 외부 보강 립(rib)을 갖는 헤드밴드를 구성할 수 있다.The necessary properties can be obtained in several ways, such as by constructing the headband with a thick, square material of suitable width, and also with a thinner material, but with an external reinforcing rib extending the length of the headband. Headband can be configured.

각 암(arm)(4)에는 관통구(5)가 있다. 이 관통구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구멍 또는 슬롯이 가능하다. 각 관통구(5)에는 디플렉터 패드 조립체(6)가 설치되어 있다. 각 조립체(6)는 연관된 패드 헤드(8)와 스템(stem)(7)을 포함한다.Each arm 4 has a through hole 5. This through hole may be a hole or a slot as described later. Each through hole 5 is provided with a deflector pad assembly 6. Each assembly 6 includes an associated pad head 8 and a stem 7.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7)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에서 나사 결합되고, 관통구(5)는 스템(7)의 나사산 사이의 골에 맞물리도록 조정된 융기부(9)를 갖는 슬롯의 형태이다. 이런 구성에서 디플렉터 패드 조립체(6)는 착용자의 이주에 압박을 가하고, 또한 착용자 머리의 너비 차를 수용하도록 '나사식으로' 안팎으로 움직인다. 이 구성은 또한 머리끝과 착용자의 이모 사이의 치수에서 착용자간의 거리 변경을 수용하도록 조립체(6)를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은 또한 머리끝과 착용자의 이주 사이에서 특정 착용자의 치수 차를 허용한다.As shown in FIG. 2, the stem 7 is screwed outward as shown, and the through hole 5 has a ridge 9 adapted to engage the valley between the threads of the stem 7. It is in the form of a slot. In this configuration the deflector pad assembly 6 presses the wearer's migration and also moves in and out 'screwed' to accommodate the width difference of the wearer's head. This configuration can also move the assembly 6 up and down to accommodate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wearer in the dimension between the head end and the wearer's aunt. This also allows a certain wearer's size difference between the head and the wearer's transplant.

슬롯은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기술되었지만, 이것은 세련되고 바람직한 것이다. 관통구(5)는 단지 조립체(6)의 나사형 스템(7)을 수용하도록 나사형 구멍일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관통구(5)로의 스템(7)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스템(7)의 단부(11)는 경사질 수 있다.Slots have been described to move up and down, but this is stylish and desirabl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through hole 5 may only be a threaded hole to receive the threaded stem 7 of the assembly 6. The end 11 of the stem 7 can be inclined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stem 7 into the through hole 5.

조립체(6)의 스템(7)은 단단한 탄성 재료로 구성될 것이라고 예측되고, 적절한 플라스틱이 고려된다. 또한 관통구(5)의 나사형 부분과 스템(7)의 맞물림으로 그 사이에는 단단한 마찰 접합이 존재할 것이고, 심지어는 스템(7)의 변형을 필요로 하는 접합이 존재할 것이다.It is anticipated that the stem 7 of the assembly 6 will consist of a rigid elastic material, and suitable plastics are contemplated. The engagement of the stem 7 with the threaded portion of the through hole 5 will also result in a rigid frictional joint therebetween and even a joint requiring deformation of the stem 7.

각 스템(7)의 안쪽 끝에는 장치 착용자의 이주를 압박하는 패드 헤드(8)가 있고, 이도에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이다. 패드(8)의 반구형 접촉면(12)은 장치를 착용한 사람의 귀의 이주와 맞물리는 위치에 항상 볼록한 패드 부분이 위치하도록 프로파일된다. 패드(8)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탄성이 있지만 단단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방수 가공한 밀폐 용기 플라스틱이 세척 가능하다는 점과 같은 위생상의 특징을 가질 것이다.At the inner end of each stem 7 is a pad head 8 that presses the device wearer's migration and is sized so as not to enter the ear canal. The hemispherical contact surface 12 of the pad 8 is profiled such that the convex pad portion is always located in a position to engage the migration of the ear of the person wearing the device. The pad 8 is preferably composed of a resilient but rigid material for user convenience and will have hygienic characteristics such as being waterproof, sealed container plastic washable.

도 3은 스템(7)이 나사형이 아니라 압박하면 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보여준다. 이 구성에서 스템(7)의 경사진 코부분(13)은 도 3에 도시된 원형 구멍인 관통구(5)로 삽입되고, 나사형이거나 나사형이 아닐 수도 있다. 스템(7)은 이때 스템(7)의 필요한 위치가 확보될 때까지 스템의 선형 이동 또는 회전 이동으로 스템(7)의 실질적인 변형을 초래하면서 구멍(5)을 지난다. 변형의 정도는 스템(7)이 구멍(5)으로부터 나오는 스템(7)과 구멍의 끝 모서리의 맞물림에 의해 또는 스템(7)과 구멍 내경 사이의 마찰에 의해 구멍(5) 선택된 위치에 유지되는 정도이고, 이것은 구멍(5)이 나사형이면 증가된다.3 shows another form of the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m 7 is made of a material which is not threaded but which can deform under pressure. In this configuration the inclined nose portion 13 of the stem 7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 which is the circular hole shown in FIG. 3 and may or may not be threaded. The stem 7 then passes through the hole 5, resulting in substantial deformation of the stem 7 by linear or rotational movement of the stem until the required position of the stem 7 is secured. The degree of deformation is maintained by the stem 7 in the selected position of the hole 5 by engagement of the end edge of the hole with the stem 7 emerging from the hole 5 or by the friction between the stem 7 and the bore diameter. This is increased if the hole 5 is threaded.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대한 앞서의 설명은 헤드 밴드에 적용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이고, 여기에 기술된 진보성을 벗어나지 않고 기술된 구성요소와 이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세부내용에 변형을 취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예에서는 다만 하나의 패드가 조정 가능하다. 다른 구성에서 포지셔닝(positioning) 패드는 장치 사용자의 머리위에 위치하도록 부재(3)위에 설치될 수 있고, 머리위에 위치한 장치를 용이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머리를 갑자기 움직일 때 발생하는 사용자 머리에 비례하여 부재(3)가 장치를 움직이려는 경향을 해결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is the preferred form of the invention as applied to the headband, and modifications to the details of the described components and their interactions ar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inventive progress described herein. Will be understood. In the example only one pad is adjustable. In other configurations a positioning pad can be mounted on the member 3 to be positioned on the head of the device user, providing a means for easily holding the device located on the head. This will solve the tendency of the member 3 to move the device in proportion to the user's head occurring when the user suddenly moves the head.

장치의 다른 변형에서 패드는 장치 착용자의 귀와 패드 사이의 압박면을 보다 크게 하기 위해 확대될 수 있다.In other variations of the device, the pad may be enlarged to make the compression surface between the device wearer's ear and the pad larger.

장치의 외형을 향상하기 위한 장치의 다른 변형에서 암(4)을 넘어서는 스템(7) 단부위에 장식 캡이 설치될 수 있다. 스템(7)의 돌출 단부에 대해 만족스런 외형을 제공하는 것에 덧붙여 제안된 바와 같이 완만한 측면을 갖는 캡은 장치를 착용하는 동안 장치의 착용으로 접할 수 있는 옷과 같은 의복 또는 외부 물체에 스템의 단부가 엉킬 가능성을 제거할 것이다.In another variant of the device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a decorative cap can be installed on the end of the stem 7 beyond the arm 4. In addition to providing a satisfactory appearance for the protruding end of the stem 7, the cap with a gentle side may be used to allow the application of the stem to clothing or external objects such as clothing that may be encountered by the wearing of the device while wearing the device. The end will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tangling.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특징에 부가적으로 눈보호기능을 조합한 것이다. 청각보호장치의 눈보호장치는 어둡고 두꺼운 플라스틱 렌즈와 측면 라이트(16)를 지지하는 플라스틱 프레임(14)으로 구성된다. 이 프레임(14)은 사용자의 코(17)에 걸리도록 조정된 반전형 형태의 브리지를 포함하고, 그 보호장치를 지원하기 위해 코에 걸리도록 조정된 코 패드(18)를 포함하거나 수반한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an eye protection function in addition to the feature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eye protector of the hearing protector consists of a dark, thick plastic lens and a plastic frame 14 supporting the side light 16. The frame 14 includes a bridge in the form of an inverted shape that is adapted to fit the user's nose 17 and includes or entails a nose pad 18 that is adapted to be hung on the nose to support the protector.

다른 실시예에서 눈보호장치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 지지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소위 둘레를 감싸는 투명한 플라스틱 고글(goggle)과 같은, 즉 프레임과 결합 브리지가 없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측면 라이트는 제거되거나 불투명한 소재로 대체될 수 있고, 렌즈는 반드시 어두울 필요는 없다.In other embodiments the eye protection device may take other forms. For example, it may include self-supporting or so-called transparent plastic goggles that wrap around, which may or may not include a frame and a coupling bridge, the side light may be removed or replaced with an opaque material, The lens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dark.

연장된 사이드암(20)의 힌지 결합을 위해 눈보호장치의 바깥 모서리에 힌지(19)가 제공된다. 각 뒤쪽 암 부분(20)의 뒤쪽 끝을 향하여 탄력적인 패드(21)가 있다. 각 패드(21)는 암(20)에 설치된 생크(shank)(23)를 갖는 반구형 헤드(22)를 포함한다.A hinge 19 is provided on the outer edge of the eye protector for hinge engagement of the extended side arm 20. There is a resilient pad 21 towards the rear end of each rear arm portion 20. Each pad 21 includes a hemispherical head 22 having shanks 23 mounted to the arm 20.

패드 생크(23)는 암(20)의 슬롯(20)에 걸려지고 이 슬롯(2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적절한 방식으로 조정된다. 한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생크(23)는 암(20)의 내면에 대하여 압박을 가하는 솔더(24), 슬롯(24)의 너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갖는 샤프트부(25) 및 샤프트(25)보다 직경이 큰 외부 돌기 플랜지를 포함한다. 솔더(24)와 플랜지(26)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암(2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다.The pad shank 23 is adjusted in a suitable manner to be hung in the slot 20 of the arm 20 and to be movable along the slot 20.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6, the pad shank 23 has a shaft 24 having a diamete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solder 24 and the slot 24 that press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arm 20. ) And an outer protruding flange larger in diameter than the shaft 25. The spacing between the solder 24 and the flange 26 is substantially equal to or slightly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arm 20.

플랜지(26)는 그런 목적을 위해 힘이 가해질 때 변형을 허용하고 슬롯(24)을 지나도록 형상화되고 치수가 정해진다. 슬롯(24)을 지난 후에 플랜지(26)는 확장되고, 암(20)은 솔더(24)와 플랜지(26)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서 죄어진다. 솔더(24) 및 플랜지(26)와 암의 죄어짐과 슬롯(24)의 패드 샤프트(25)의 깔끔한 접합은 슬롯(24)을 따라 패드의 이동을 막지 않도록 하지만, 움직이는 위치에 패드를 유지하는데 적합하다.The flange 26 is shaped and dimensioned to allow deformation and to pass through the slot 24 when a force is applied for that purpose. After the slot 24, the flange 26 is extended and the arm 20 is clamped between the solder 24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flange 26. Tightening of the solder 24 and the flange 26 with the arm and the neat bonding of the pad shaft 25 of the slot 24 does not prevent the pad from moving along the slot 24 but keeps the pad in a moving position. Suitable.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가능한 사용자의 귀와 코의 위치에 비례하는 변경 때문에 패드의 위치 조정이 필요하다.As will be appreciated, adjustment of the pad position is necessary because of changes that are proportional to the position of the ear and nose of the user.

패드 헤드(22)는 사용자의 귀의 각 이모에 대하여 압박을 가하도록 형상화되고, 이들을 압박하고, 이렇게 하여 소리가 이도로 들어가는 것을 매우 효율적으로 차단한다.The pad head 22 is shaped to exert pressure on each aunt of the user's ear, compressing them, thereby blocking sound from entering the ear canal very efficiently.

프레임(14)과 사이드암(20) 사이의 힌지결합(19)은 암의 뒤쪽 끝에서 암의 확장을 제한하기 위한 이동제한 정지수단을 갖는다. 사용할 때 암(20)과 프레임(14)으로 구성된 밴드는 착용자의 이주에 대해 패드(21)와 함께 청각보호장치를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해 탄력적으로 구부러질 것이다. 이런 탄력적인 구부러짐은 이주가 디플렉션되도록 하는 충분한 압박을 갖는 사용자의 이주에 대하여 패드(21)를 유지하는 복원력을 발생할 것이다.The hinge coupling 19 between the frame 14 and the side arm 20 has a restraining stop means for limiting the expansion of the arm at the rear end of the arm. In use, the band consisting of arm 20 and frame 14 will flex flexibly against the force exerted by the user to accurately position the hearing protector with pad 21 against the wearer's relocation. This elastic bending will result in a restoring force that holds the pad 21 against the migration of the user with sufficient pressure to allow the migration to deflect.

본 실시예의 밴드에 내재하는 탄성에 의해 제공된 복원력을 보강하기 위해서 패드 유닛은 암(20)에 비례하여 축상으로 조정가능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플랜지(26)는 존재하지 않는 이런 구성에서 패드 헤드(22)를 보다 가깝게 또는 보다 멀리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샤프트(25)가 슬롯(24)을 통해 '나사결합'하도록 하는 슬롯(24)의 내면에 대하여 융기부와 탄력적으로 맞물릴 것이다. 위의 변형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된 방식으로 샤프트(25)는 슬롯의 내면에 대하여 융기부에 맞물리도록 나사결합될 것이다.In order to reinforce the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ity inherent in the band of this embodiment, the pad unit can be deformed to be axially adjustable in proportion to the arm 20. The flange 26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ot 24 that allows the shaft 25 to 'screw' through the slot 24 to move the pad head 22 closer or farther in this nonexistent configuration. Will be resiliently engaged with the ridge. As a variant of the above, the shaft 25 will be screwed to engage the ridge with respec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lot in the mann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2.

눈을 해로운 것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으로 제 2 실시예를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는 빛으로부터 눈으로부터 빛을 차단하도록 불투명할 수 있다. 이것은 어둡지 않은 곳에서 잠을 자는 사람에게는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런 예들은 실질적으로 기술된 것과 같은 보호장치는 착용자가 잠을 자지 못하게 하는 것과 같은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고 착용자의 귀로부터 빛을 차단하도록 조정된 렌즈를 위해 연성 또는 성형 라이너와 어울릴 수 있다.Although the second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protecting the eye from har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lens can be opaque to block the light from the eye from the light. This can be easily used by a person who sleeps in a dark place. Alternatively, these examples can be used with a flexible or molded liner for a lens that is adapted to block light from the wearer's ear without causing discomfort such as preventing the wearer from sleeping. have.

Claims (10)

사용자의 머리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청각보호장치가 사용중일 때 사용자의 귀 부분에서 사용자의 머리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두 개의 단부를 가지고, 상기 밴드는 상기 밴드 단부가 멀어지도록 탄력적으로 구부릴 수 있고, 각 밴드 단부에는 이주(耳珠) 디플렉터(deflector) 패드가 있고, 이 패드들은 서로 마주보고 소정 간격 떨어져 있으며, 이 패드들과 보호장치의 사용자의 이모가 맞물리도록 상기 밴드는 탄력적으로 구부러지고, 이렇게 하여 사용자 이모의 디플렉션을 유발하기에 충분한 복원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호장치.A band formed to partially surround the user's head, the band having two ends positioned proximate the user's head at the user's ear portion when the hearing protector is in use, the band having the band end Can be flexibly bent away from each other, each band end has a migration deflector pad, these pads face each other and ar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so that the user's emo of the pads and the protective device can be engaged. Wherein the band is elastically bent, thereby generating sufficient restoring force to cause deflection of the user's aun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패드중 적어도 하나는 패드의 간격이 변경되도록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호장치.Wherein at least one of the pads is adjustable such that the spacing of the pads is vari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밴드는 분리되고, 사용자 얼굴의 너비에 맞도록 조정된 눈보호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눈보호장치는 사용자의 코에 걸리도록 조정된 중앙 브리지를 갖고, 두 개의 사이드암은 상기 눈보호장치의 바깥쪽 모서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밴드의 상기 단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호장치.The band is separate and includes an eye protector adapted to fit the width of the user's face, the eye protector having a central bridge adapted to fit the user's nose, and the two sidearms of the eye protector Hearing protector, extending from an outer edge, engaging the end of the ban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눈보호장치는 두꺼운 투명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호장치.The eye protection device is a hearing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hick transparent len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눈보호장치는 불투명한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호장치.The eye protection device, the hearing pro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aque len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각의 이주 디플렉터 패드는 밴드 단부의 개구에 나사결합된 디플렉터 패드 스템을 통해 밴드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호장치.Wherein each migration deflector pad is mounted to the band end via a deflector pad stem screwed to an opening in the band e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각의 이주 디플렉터 패드는 바깥쪽으로 나사결합되는 설치형 스템을 갖고, 나사형 디플렉터 패드 스템은 밴드 단부의 유사하게 형상을 가지는 개구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각보호장치.Each migratory deflector pad has a mounting stem that is screwed outwardly and the threaded deflector pad stem engages a similarly shaped opening at the end of the band.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밴드 단부의 개구는 밴드의 길이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호장치.Hearing pro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n the end of the band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n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각각의 이주 디플렉터 패드는 변형가능하고 상기 밴드 단부의 개구에 맞는 방해물인 디플렉터 패드 스템을 통하여 밴드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호장치.Wherein each migrating deflector pad is deformable and is installed at the band end via a deflector pad stem that is an obstruction to the opening of the band end. 제 3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상기 이주 디플렉터 패드는 각각 설치형 축을 포함하고, 이 축들은 밴드 단부의 슬롯에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각보호장치.Wherein said migration deflector pads comprise mounting shafts, said shafts being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move smoothly in the slot at the end of the band.
KR1019970705515A 1995-12-11 1996-12-10 Hearing protection KR1998070212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40342/95 1995-12-11
AU40342/95A AU4034295A (en) 1995-12-11 1995-12-11 A combined eye and ear shield
AUP03433 1996-11-05
AUPO3433A AUPO343396A0 (en) 1996-11-05 1996-11-05 Hearing protection means
PCT/AU1996/000798 WO1997021407A1 (en) 1995-12-11 1996-12-10 Hearing protection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120A true KR19980702120A (en) 1998-07-15

Family

ID=25625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515A KR19980702120A (en) 1995-12-11 1996-12-10 Hearing protection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08144A4 (en)
JP (1) JPH11500343A (en)
KR (1) KR19980702120A (en)
CA (1) CA2212646A1 (en)
NZ (1) NZ323649A (en)
WO (1) WO1997021407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22B1 (en) * 2013-08-20 2014-09-17 정태인 an earplu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4942B (en) 2000-11-03 2002-08-26 Erikas Mačiūnas Universal decorative protective means against the noise
GB2375967B (en) * 2001-06-01 2003-07-30 Rosemary Jones Personal noise reducer
LT4986B (en) 2002-03-27 2003-01-27 Valstybinis Visuomenės Sveikatos Centras Headphones
FR2983702B1 (en) * 2011-12-07 2014-08-29 Marie-Therese Tournebize EAR PROTECTION DEVICE AGAINST GREENHOUSE-TYPE NOIS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56207C (en) * 1928-08-04 Leo Deutsch Locking device for the ear canal with a headband
DE75146C (en) * Dr. med. C. jUNG in Berlin, Gerbardstr. 16 Earmuffs
FR402540A (en) * 1909-04-29 1909-10-11 Wladimir De Bouimistrow Device used to attenuate or suppress the perception of noise
US2670737A (en) * 1950-09-11 1954-03-02 Jacob J Cantor Ear protector
GB922264A (en) * 1960-10-17 1963-03-27 William Francis Cumnor Devlin Sound controlling or moderating device
US3768470A (en) * 1971-07-21 1973-10-30 H Leight Ear protector
US3807526A (en) * 1972-10-26 1974-04-30 Illinois Tool Works Ear protector
GB8713795D0 (en) * 1987-06-12 1987-07-15 Roberts M Earphone headsets
DE3821536A1 (en) * 1988-06-25 1990-02-15 Stefan Scheurer Protective goggles with hearing protection
GB8818345D0 (en) * 1988-08-02 1988-09-07 Hellberg Protection Ltd Eye & hearing protection
EP0353929A1 (en) * 1988-08-02 1990-02-07 Hellberg Protection Ab Spectacles
US5289592A (en) * 1992-04-03 1994-03-01 Paivarinta Reijo J Eye glass holder
US5278999A (en) * 1993-02-17 1994-01-18 Ronald Brown Combined ear and eye protection device
US5551090A (en) * 1995-04-20 1996-09-03 Thompson; Janet M. Ear protect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822B1 (en) * 2013-08-20 2014-09-17 정태인 an ear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08144A4 (en) 1999-12-29
CA2212646A1 (en) 1997-06-19
WO1997021407A1 (en) 1997-06-19
JPH11500343A (en) 1999-01-12
NZ323649A (en) 1999-01-28
EP0808144A1 (en) 1997-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1090A (en) Ear protecting apparatus
CA1315483C (en) Acoustic ear muff
US5133596A (en) Eye and hearing protection
US6021526A (en) Hearing protection device
AU2009263800B2 (en) Bandless hearing protector and method
US5781272A (en) Eyesight protection apparatus with attached earplugs
EP1017343B1 (en) Ergonomic banded ear plug
KR20000053176A (en) Improved hearing protection device
EP0870487A3 (en) Headband with break-away cord attachment
EP1202694B1 (en) Transparent or translucent earmuff cup
US7020901B2 (en) Eye and ear protection apparatus
KR20190009814A (en) Mask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SE9201003D0 (en) Hearing protection with active mechanical noise reduction
US20240007778A1 (en) In-ear earpiece retaining structure
KR19980702120A (en) Hearing protection
EP0862399B1 (en) A device having rotatable legs
AU705246B2 (en) Hearing protection means
US3841326A (en) Hard hat ear protector
KR102410279B1 (en) An Ear Plug Capable of Regulating a Tightening Level
JP2003066382A (en) Dustproof spectacles
CA1300033C (en) Sound reduction headset
JPH0518520U (en) Eye patch for light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