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2016A - 신규 이미터 유니트 포옴 - Google Patents
신규 이미터 유니트 포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702016A KR19980702016A KR1019970705411A KR19970705411A KR19980702016A KR 19980702016 A KR19980702016 A KR 19980702016A KR 1019970705411 A KR1019970705411 A KR 1019970705411A KR 19970705411 A KR19970705411 A KR 19970705411A KR 19980702016 A KR19980702016 A KR 199807020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mitter
- diaphragm
- water
- emitters
- cavities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의 감압(減壓)을 위한 유로(流路)를 가지고 있는 범용(汎用) 이미터에(滴下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표면(表面)이 거의 원통형(圓筒形)인 요부(1b)와 철부(1a)내에 포함되어 있는 기본적인 각주형(角柱形)(1)의 반복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의 형상표면은 원통형으로 베이스(2)에 직각인바 동 각주형은 수직모서리(3)에 모인다. 요부표면 영역에서 원통형분구(圓筒形噴口)(4)들은 이미터 높이에 따라서 저부로부터 반쯤 올라와 있어서 하이드로싸이클론을 형성하고 있다. 각주(角柱)쐐기형의 형상(5) 또는 베이스로부터 이미터 높이의 1/2을 따라서 반경(半徑)방향으로 뻗어 있다. 자기보정(自己補正) 이미터에 관한 한 본 발명은 낮은 깊이의 반경방향으로 파여진 찬넬(18)을 가진 폐쇄된 공동(空洞)(33)의 입구 주위를 덮는 탄성격막(彈性膈膜)(24)으로 된 이미터의 입구(입구入口)에서 물을 여과(濾過)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보정은 연속적인 단계를 거쳐 공동(空洞)의 다수(多數)의 물의 입출공(入出孔)과 격막의 조합(組合)에 의하여 유로의 여러 공동들(31, 33)에서 이루어 진다. 격막(34)은 병렬(竝列)로 되어 있는 모든 공동들과 물유로들위의 동일 높이에서 균형(均衡)이 잡힌다.
Description
도 1은 하이드로싸이클론 및 각주방사형을 한 범용 이미터의 평면도
도 1a는 도 1의 이미터 단면 X1-X1
도 2는 도 1의 이미터의 세로단면 X-X의 일부도
도 3은 개방분구의 일부를 가진 도 1의 이미터의 주요소들의 약도
도 4는 도 1의 이미터 하이드로싸이클론 주요소들의 단면약도
도 5는 추가 하이드로싸이클론 각주방사형의 범용 이미터의 평면도
도 6은 하이드로 싸이클론과 각주형의 여러 가지 형들과 배열된 범용 이미터의 평면도
도 6a는 보다 작은 하이드로싸이클론, 대칭기본각주형 및 그의 베이스의 3가지 다른 각주형들을 가진 범용 이미터의 평면도
도 6b도는 도 6a이 이미터 단면 X-X
도 6c는 비대칭기본각주형 및 다른 치수들의 하이드로싸이클론을 가진 범용 이미터의 평면도
도 6d는 90도 이하의 대칭기본각주형의 경사를 가진 범용이미터의 평면도
도 7은 온-라인(ON-LINE) 위치에 적합한 범용 이미터
도 8은 유입여과기를 가진 자체보정이미터의 단면
도 8a는 도 8의 이미터여과기의 작동상세도
도 8b는 전면 차단상태의 도 8의 이미터 여과기상세도
도 8c는 격막의 그의 원위치복귀상태에 대한 도 8의 이미터 여과기상세도
도 8d는 보다 큰 치수의 격막을 가진 도 8의 이미터 여과기상세도
도 8e는 주위의 방사슬롯을 가진 도 8의 이미터여과기격막의 변종
도 8f는 주위의 보다 얇은 벽을 가진 도 8의 이미터여과기격막의 변종
도 9는 격막과 카버없는 도 8의 이미터를 나타낸 것
도 10은 도 8의 이미터 단면도
도 10a는 타원형 여과기 공동 및 외관을 가진 이미터 부분
도 10b는 도 10a의 이미터의 타원형공동단면
도 10c는 격막의 위치들 비교를 비롯한 도 10a의 이미터타원형공동의 작동 상세도
도 10d는 큰 빈 공간을 가진 여과기변종 상세도
도 10e는 격막없는 도 10d의 변종도
도 10f는 변종 10d의 상이한 압력에 대한 격막의 작동위치들
도 10g는 평탄하지 않은 격막을 가진 이미터여과기변종
도 10h는 여러 두께의 밴드 격막을 가진 이미터여과기의 변종
도 10i는 작동중인 도 10h의 여과기 단면
도 10k는 도 10h의 여과기격막평면도
도 10L은 원형 슬롯을 가진 여과기격막평면
도 10m은 여과기베이스에서 우회형로의 유량제한유로를 가진 이미터
도 10n은 도 10m의 이미터단면
도 11은 도 8의 이미터단면
도 12는 연속 2개공의 공동들을 가진 자기보정이미터단면도
도 13은 격막없는 도 12의 이미터도
도 14는 도 12의 이미터의 다른 단면
도 15는 도관에 부착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도 12 이미터의 다른 도
도 15a는 미로형의 도 12의 이미터변종의 도 15에 따른 도면을 나타낸 것
도 16은 도 12의 이미터의 2개공 공동의 작동상세와 단계
도 16a는 도 12의 이미터의 상승특수 림작동상세와 단계
도 16b는 격막없는 도 16a의 림의 도
도 16c는 높이가 다른 림의 공동작동상세와 단계
도 17은 4개공 공동의 상세
도 18a는 도 17의 단면 X-X 및 공동의 작동단계
도 17b는 도 17의 단면 X-X 및 보조공의 작동단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르는 2개 보조공들을 가진 공지기술의 이미터 평면도
도 19는 연속공동들 및 찬넬과 림짝들을 가진 이미터의 단면
도 19a는 격막없는 도 19의 이미터평면도
도 20은 연속 공동들 및 찬넬과 림짝들 그리고 2개의 독립격막을 가진 이미터 단면
도 20a는 격막없는 도 19의 이미터평면도
도 21은 탄성중합재 및 찬넬과 림짝들을 가진 연속공동들로된 원통형 이미터의 단면
도 21a는 도 21의 이미터평면도
도 21b는 작동단계의 도 21의 이미터단면
도 21c는 도 21의 이미터여과기 변종
도 21d는 도 21의 이미터여과기 변종
도 22는 그의 내수감압장치를 가진 연속공동의 이미터
도 22a는 카버없는 도 22의 이미터평면도
도 23은 연속공동들과 격막후부에서의 감압추가장치를 가진 이미터
도 23a는 도 23의 이미터격막평면도
도 24는 내압감소 및 미로형의 유량제한유로장치를 가진 이미터
도 25는 그의 내압을 감소시키는 장치와 2개의 격막들을 가진 이미터
도 25a는 도 25의 이미터보정 림들 짝을 가진 공동평면도
도 25b는 도 25의 이미터격막 변종
도 25c는 유입격막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노즐과 여과기를 가진 이미터단면
도 26은 크고 다수인 공들로 구성되는 내압감소장치를 가진 이미터
도 26a는 도 26의 이미터단면
도 26b는 격막 후부의 압력이 도관내압과 같은 도 26의 이미터 변종
도 26c는 도 26b의 이미터일부단면
도 27은 도관축 근처의 격막으로 내압감소장치를 가진 이미터변종
도 27a는 도관측에서 본 도 27의 이미터평면도
도 28은 요부원통형표면의 미로형의 유량제한 유로와 점차로 증가되는 두께의 격막을 가진 이미터평면도
도 28a는 도 28의 이미터단면
도 28b는 도 28의 이미터단면
도 29는 좁아지는 수직측들의 요부원추면의 미로형의 유로를 가진 이미터
도 29a~d는 도 29의 이미터 단면들.
도 29e는 동일한 수압에 대하여 도 29의 이미터 격막의 모든 연속컷들이 도시되어 있음
도 30은 평행변들을 가지는 요부 원추면들의 미로형 유량제한유로의 이미터
도 30a는 도 30의 이미터단면
도 30b는 도 30의 이미터유로의 모든 원추단면들
도 30c는 동일 수압에 대하여 도 30의 이미터의 격막에 대한 모든 연속단면들이 도시됨
본 발명은 도관들 내부에 용접하거나 또는 도관상의 별도배치에 적합한 일반적인 자체 보정 이미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장치들에 있어서 유량을 제한하는 유로에서 물의 유량은 2차원적인 물의 운동을 수반한다. 미국특허 제 4,215,822호에서 동 운동은 삼각형의 테두리(Rim)들 사이에서 교재로 반복된다. 미국특허 제 4,655,397호에 있어서 강압(減壓)과 동 운동은 반복되는 와류열(渦流列)내에서 이루어 진다. 양 경우들에 있어서 동 운동은 2-차원적이며 평행한 평면이나 또는 동심축 원주표면들의 상하측에서 확실히 제한을 받는다.
이러한 일반적인 장치들의 단점을 들자면 저성능 즉 이들이 단위 길이당이나 또는 유로의 단계당 이루어지는 감압이 작다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제조업자들은 장거리의 유량제한유로를 사용하여야 만 하였다. 보통의 유량제한유로들은 미로형 기본단계의 100배에 달하는 길이를 가지고 있었으며 공간상의 제 이유들로 인하여 주로 원통형 이미터를 사용하고 있었다.(미국특허 제 5,215,822호 및 미국특허 제 4,655,397호). 그 대안으로이들은 도관의 전 길이에 걸쳐서 신장되어 있었다(미국특허 제 4,880,167호).
이러한 이유로 해서 우리는 고성능이며 작은 크기로 된 유량제한유로의 신규포옴(FORMS)를 개발하였다.
도 1~7에서 물의 입구는 이미터로 물의 출구는 도관내로하여 단순히 도관안쪽에 용접이되어 있는 자기보정이 없는 일반적인 이미터에서 우선 우리의 신규유량 제한유로를 검토하여 보기로 한다.
도 1, 2의 본 신규 미로식 유로에서 그 형식은 그의 측면으로부터 그의 높이를 따라서 모두 주축에 이르기까지 이미터장치(6)의 양측 위에 불쑥나온 기본각주형(1)의 부분들로 구성이 되어 있다. 각주형은 요부(1a)와 철부(1b)에 의하여 베이스(2)에 수직하게 거의 원통형측면들에 의하여 둘러쌓여 있는데 그러한 표면들은 이미터(6)의 주횡축부위의 수직모수리(3)에서 연결된다.
이미터의 베이스로부터 원통형의 분구(噴口)(4)가 올라와 있는 이미터의 높이를 따라서 중간에서 끝난다. 분구(4)들은 분구의 일부를 이루는 기본각주형(1)의 요부(1a)영역에서 발생한다. 요부표면은 분구와 더불어 베이스(2)에 수직한 축과 함께 하이드로싸이클론을 형성한다.
무제한의 각주들이 이미터의 베이스로부터 올라와 있으며 이러한 각주는 쐐기-형태(5)를 가지고 원통형의 분구(4)과 동일한 높이에서 끝난다. 쐐기-모양의 형태의(5)는 기본각주형(1)의 모시러를 기준하여 대략 반경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모서리(5a)는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며 모서리 폭은 0~0.15d로서 항상 기본형의 상기 모서리(3)에 수직이다. 쐐기-모양 형태의 한 쪽은 요부로 거의 원통형표면(5aa)으로 이미터(6)의 베이스(2)에 평행한 축을 가지며 물입구측에 개방되어 있다.
베이스의 모든 형태들은 도면 1a높이(b)인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지고 있으며 물의 흐름에 장애가 안되도록 이미터의 상부의 단면이 비어 있도록 한다. 도 2의 영역 d1에서 에컨대 이미터의 상부에는 기본형들(1)이외의 어떠한 다른 형도 보이지 않는다. 물의 전 유로를 따라 단면들의 전개로부터 보다 작은 단면은 베이스의 형(5) 모서리 영역에서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모든 기타 영역들은 훨씬 보다 큰 단면을 가지고 있는데(거의 배) 장애를 피하기 위하여 중요한 것이다.
물의 유입은 도 1에서 베이스(2)의 필터(9)를 거치고 물의 유출은 이미터(6)의 영역(12)위의 도관(10)에 열려있는 구멍(11)을 거쳐서 이루어 진다.
도 3과 도 4에서 이미터내 물의 유량은 하이드로싸이클론 전에 유량 7a 및 7b로 나뉘어 지며 유량(7a)은 알려진 하이드로싸이클론 유량 예컨대 헤리코이드(나선형)유량은 당초에는 하이드로싸이클론의 내부쟈케트를 따라서 베이스로 내려가다가 하이드로싸이클론의 축에 의하여 동 센터로부터 보다 작은 경의 헤리코이드 유량으로 올라간다.
하이드로싸이클론에서 물의 상당한 감압은 유량(7a)의 직경이 다른 헤리코이드상승 및 하강유량의 바로 역운동으로 인한 것으로서 공지의 예컨대 미국특허 제 4,215,822호 및 미국특허 제 4,655,397호의 제특허들에서 진술되지 않은 것들이다.
하이드로싸이클론 후에 물은 그의 방향을 바꾸어 다음 하이드로싸이클론 등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물의 방향전환상태에서 다수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베이스의 쐐기-형태(5)는 물로 하여금 와류를 일으키는 각 방사형태(5)의 모서리(5a)에 수평이고 평행인축으로 와류(8)를 형성하도록 물을 압력을 주어 흐르게 한다. 와류(8)의 회전축은 하이드로싸이클론의 회전각과 직각이되며, 도 2의 이미터 상부의 유량(7, 7b)의 주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이다.
유량(7, 7b)의 하부에서의 이러한 다수의 수평와류들은 방사형의 모든 모서리들위에서 즉 물의 방향전환전역에 걸쳐서 강렬하면서도 연속적인 유량의 축소를 발생케한다.
동시에 하이드로싸이클론을 떠난 유량의 부분(7a)은 베이스(2)에 수직인 와류축에 대하여 모서리(3)의 영역에서 대단히 강렬한 와류를 형성시킨다. 각각의 이러한 수직 반경방향의 표면들-각주형(5)의 모서리(3)와 모서리들(5a)에 의하여 정의되어 있는 단면들에서 이러한 2가지 종류의 와류가 작용한다. 동일 단면상의 2개의 수직한 와류의 동시 영향은 보다 큰 유량 축소를 초래하며 따라서 각 와류가 유량의 다른 단면에만 작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미터내의 보다 큰 전체적인 압력저하를 초래한다.
시험한 결과에 의하면 수평와류형성에 대하여서는 물론이고 하이드로싸이클론의 효율적인 작용을 위하여 깊이(b)의 큰 값이 요구된다. 이 값들의 범위는 다음과 같아야 하다:
0.8d ≥ b ≥ 0.5d
여기에서 d: 기본단계이며 기본형(1)의모서리(3) 사이간 거리 d, d1, d2에 대하여 다음식이 성립하여야 한다:
d1 d 1.3d1; d2 ≥ d,
여기에서 d1은 모서리(3)의 영역내 유로의 높이이며 d2는 동 폭이다.
우리들의 시험에 의하면 압력강하는 깊이(b)에는 무관하게 방사형(5)의 수(N)에 좌우된다. 물의 방향전환 영역에서 특히 기본모서리(3) 전후 70도에서 최대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하여서는 각 요소표면 d × d2에 대하여 관계식들 1 N ≤ 6 및 1 N이 성립하여야 한다.
베이스의 이러한 특수형들이 그 수와 이미터유로의 각 반복부 또는 단위길이당에 대한 비유체저항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동시에 이미터내 전체압력저하를 증가시키는 것이 합리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저항의 증가는 성능을 증가시켜주며 이미터 자체의 길이증가보다 훨씬 더 전압강하에 영향을 미친다.
신규 이미터의 추가 장점을 들면 다음과 같다:
-저압영역 그리고 보다 적은 물의 유량에 있어서도 난류가 형성된다.
-감압은 적어도 어떠한 길이와 물유량단면적에 대하여 배(倍)가 되어서 미국특허 제 4,215,822호 및 제 4,655,397호와 같은 범용이미터와 비교하여 볼 때 높은 효율을 제공한다.
이러한 장점으로 이미터에 이르는 물유량유로의 주어진 단면에 대하여 아주 작은 크기의 이미터제작을 허용해 주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현대적인 얇은 두께를 가지는 물방울관개덕트의 제조에 필요한 것으로 여기에서 크고 길이가 긴 이미터는 분리가 용이하며 도관의 얇은 벽에 구멍을 내어서 파괴하기에 용이하다.
신규 이미터는 막히지 않는다. 대표적인 물유량단면들 d1×d 및 d1×d2에 있어서 이들은 가장 좁은 부분들을 나타나는데 도 1에서 반드시 서로가 90도가 되는 각도에서 2개의 날카로운 모서리(3) 및 (5)내에 둘러 싸여 있다. 따라서 여하한 다른 입자가 멈추며 남아 있거나 또는 이러한 모서리에 끼어들 수 없게 된다. 유량의 수축으로 인하여 이 부분의 속도는 유로의 다른 부분들보다 훨씬 빠르다. 이러한 영역으로 들어갈 수 있는 입자는 그의 용적이 2, 3배되는 공간에 즉 큰 깊이(b)를 가진 베이스의 셀방식 공동내 상기 단면의 전후에서 떨어질 것이다.
이러한 셀방식 공간에서 와류는 그의 크기가 기계적 마찰로 인하여 감소되고 그의 제거가 가능하게 될 때까지 물의 유량을 방해함이 없이 입자가 회전이 되도록 하는 강도, 방향 및 속도를 가진다.
기존 이미터들의 어느 것에 비교하여 단면이 유로를 따라서 계속변화하면서도 항상 보다 크게 되어 있어서(베이스의 추가 깊이 b로 인하여) 망상조직의 저수압 조건하의 전 유로의 수력학적 저항(예 관개유로의 종단부 또는 시동중)은 항상 보다 작다. 그러므로 압력강하는 보다 좁은 유로를 가진 기존의 이미터들 보다도 더 낮아 진다. 한편으로는 고압력이 망상조직내에 존재할 때 수력학적 저항은 비수력학적 저항의 큰 수와 범위로 인한 기존체제들에 있어서 보다 훨씬 커진다. 결과적으로 유량은 낮은 망상조직의 압력에서 비교적 보다 높으며 높은 망상조직압력에서 보다 낮다. 이미터의 압력에 대한 배출의 성능곡선은 보다 평탄하며 물의 공급은 보다 균일하다. 따라서 이미터에 물유량의 보다 작은 편차는 망상조직의 압력의 큰 편차에 의하여 일어난다. 이러한 결과는 어느 정도로 이들의 유로길이가 증가된다해도 공지의 이미터 가지고는 이를 달성할 수가 없다. 이것은 상당한 비용절감으로 중앙덕트에 의한 중간공급 없이도 물방울 관개덕트의 보다 긴 길이를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행예에 있어서 하이드로싸이클론의 분구(4) 표면은 도 3에서 전 높이 b, 4a를 가로질러 한부분을 따라서 열릴 수 있다. 이와 비슷하게 분구(4c)를 가진 보다 작은 하이드로싸이클론이 도 5의 기본 하이드로싸이클론의 반대편에 추가 가능하다.
도 6a, 6b는 평면(57) 및 요구(57a)표면들로 되어 있는 대칭형 기본 각주형(57)을 가진 이미터를 설명하고 있다. 직선모서리들(5a)을 가진 베이스의 방사형으로 뻗어있는 각 형은 다른 형상을 하고 있다. 형(5f)은 동위셀삼각단면을 가진 대칭평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5e)은 직삼각형단면을 가진 평면으로 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 형(5)은 도 1의 것과 유사하다.
도 6c는 양측으로 뻗어 있는 비대칭 기본각주형의 다른 치수와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형들을 가진 이미터를 설명하고 있다.
도 6은 직삼각형 형상인 기본각주형의 작은 하이드로싸이클론 및 베이스의 각주형들의 단부에 보다 작은 기본각주형들을 가진 이미터를 설명하고 있는 바 이들은 방사선방향으로 (5b) 또는 타방향으로 (5g) 또는 각주형들인 (5d), (5e)의 부분들 또는 단순히 돋아난 핀들(5h)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형들은 굽은 모서리(5c)가 될 수 있다.
도 6d는 90도 보다 작으면서 방사형인 대칭기본형의 경사를 한 이미터를 설명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3가지 형들의 어떤 결합 에컨대 기본각주형 하이드로싸이클론, 방사형으로 뻗은 형 또는 상기의 2개로 된 기본각주형의 제작이 가능하다. 간단한 형으로는 여기에서 날카로운(첨예:尖銳)한 모서리와 요소면적 d×d2보다 작고 상당한 깊이 b를 가진 공동면을 가진 개폐 공동(空洞)들 위에서의 물운동과 같은 유동과 유사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b의 범위는 0.8d ≥ b ≥ 0.5d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행예(도 7)에서 새로운 우량제한 유로는 원통형 디스크(13)의 외부면을 따라서 전개되는 형을 가진 폐쇄된 원통형표면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미로형은 새로운 원형베이스로 제공되며 이는 이미터에 이르는 물입구의 노줄을 가지게 된다. 이머터로부터 물출구(11)노즐을 가지는 평탄원형 베이스를 가진 제 2의 외부동심축원통(15)은 유로를 가진 제 1원통의 외부를 덮는다. 외부원통(15)은 물유로의 카버를 구성한다. 이러한 2개의 원통들이 이미터를 형성하게 된다.
온-라인 이미터를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행예에 있어서의 유로의 형은 도 7 디스크(13)와 유사한 디스크의 평탄면 주위에 새겨질 수 있을 것이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그러한 형들은 물이 우선 디스크의 하부를 통과한 다음에 디스크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이러한 디스크의 상 또는 하부면에 새겨 질 수 있을 것이다.
직렬형으로 위치한 원통형 이미터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행예에 있어서 이러한 형은 원통형 이미터의 외면에 새겨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도관의 내면은 물유로의 오면을 형성하게 된다(도시되어 있지 않음).
아직까지 적절한 조사를 받지 않은 다른 면은 유로의 입구와 일반적으로 이미터의 입구에 있어서의 물의 여과이다.
여직껏 개발된 시스템들은 다각 또는 직사각형이나 원통형 구멍들을 포함하고 있다(EPO, A1 01, 38636). 이러한 구멍들은 일정한 치수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한가지 치수는 보통 이미터 물유로의 가장 좁은 치수보다 작았는데 예컨대 도 1에서 fd이다. 또한 다소의 여과능력을 가지는 것으로 감안될 수 있는 미국특허 제 4,147,307호, 미국특허 제 4,344,576호, EPO A1 0006, 755, 미국특허 제 4,382,549호에서 기술된 이미터들에 있어서 그들이 실제로 여과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될 수도 있는 바 이들이 실제 가지고 있는 것은 물의 공급보정중에 이물질 입자들을 함유한 물이 이미터에 들어간 후에서야 이들이 겨우 증감이 되는 것과 같은 통과능력이다.
본 발명의 신규 자기보정 이미터에 있어서 물은 폐쇄된 공동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감싸고 있는 격막에 의하여 입구에서 여과된다는 것이다. 공동변두리에서 그들 사이에 넓고 얕은 찬넬들을 형성하는 방사형의 찬넬이나 또는 쐐기형 돌기들이 새겨진다. 공동의 중앙에 구멍이 있으며 여기에서부터 물이 대기로 배출되기 전에 유량제한 유로를 지나간다.
공동의 상하면 사이의 압력차로 인하여 공동내에서 계속적으로 이동하며 구부려진 격막하부의 날카로운 모서리의 얕은 찬넬로부터 물이 들어간다.
공동과 이동격막 사이의 공동 상승작용은 물론 그의 형상은 이들로 하여금 격막이 공동주위나 또는 격막자체에 싸여 있는 이물질입자들을 항상 밀어내며 이미터로부터 이들은 제거하는 방법으로 지속적으로 서로 상대방운동을 하도록 한다.도 8~도 11에서 발명의 자기보정이미터가 기술되어 있는데 이러한 이미터는 도관 내부에 부착하는 데 적합하다.
이미터(16)의 몸체는 날카로운 모서리(17a)와 공동의 전체내면을 따라서 방사형으로 새겨진 얕은 찬넬(17)들과 더불어 거의 구(球)형인 공동(17)을 수용하고 있는 바 이때 격막(24)이 바로 공동의 모서리(17a)를 가린다. 공동(17)의 중앙에는 림(19a)을 가진 구멍(19)이 있다. 물은 얕은 찬넬(18)로부터 공동으로 흘러들어 가며 이로부터 구멍(19)을 거쳐서 우회유로(20)을 통과하며 거기에서 챔버(21)와 도관(23)의 구멍(22)을 거쳐서 대기로 배출된다.
공동의 내면(17a)과 격막(24)의 원통형측면(24a)은 이미터의 여과를 구성한다.
도 8a-8c는 유량에 대한 자기보정작용 및 이 여과기의 자기정화특징들을 설명하고 있다.
물의 입구는 격막하부의 얕은 찬넬(18)을 거쳐서 격막(24)이 휘는 정도에 따라서 압력조건들을 발생 감소시켜주며 림(19a)에 대한 거리 X1으로 완전히 정의된 위치를 언제나 가짐으로서 이미터를 통과하는 유량은 일정하게 된다. 보다 높은 압력에 있어서 격막은 찬넬(18)의 작은 공동으로 들어가서 더욱 더 물의 공급을 줄여준다. 특수 작동위치에서 이물질입자(25)의 조밀한 링이 전표면(24a)주위 또는 그의 일부에 응축되면 여과기는 완전히 닫혀서 개방유량제한유로(20)를 향한 물의 유량은 차단될 것이다. 상기 상태로 인하여 공동(17)내의 압력이 더욱 더 감소된 결과 격막(24)은 8b도 위치 X2가 구멍(19)의 림(19a)에 보다 가까히 이동하며 여기에서는 X2X1이다. 동시에 격막(24)의 측변(24a)은 링(25)으로부터 변위되며 유량제한유로의 유량은 형성된 새 공간에 의하여 회복이 되며 격막은 위치 X1 등의 위치로 복귀 한다. 이러한 지속적인 위치들 X1과 X2간의 교체반복은 이물질입자의 조밀링(25)에 대한 점착력을 파괴 또는 교란시키므로 그러한 링은 격막이 도 8c에서 그의 원래 수평위로 귀환하여 이물질입자를 자동적으로 닦아냄에 따라서 관개단계가 중단, 완료 또는 반복될 때마다 결국 이미터로부터 완전히 제거된다.
일반적으로 관찰하여 보건대 상대운동은 격막과 공동의 내면(17b)간에 존재하며 이러한 운동은 이물질입자들의 기계적인 제거와 여과기의 자정(自淨)에 이바지 한다. 도관(23)내 물의 내압 PE에 대하여 격막(24)과 특히 표면(24a)은 점 A, B, 등으로부터 지나는 다른 주위 윤곽선에 이른다.
도 8d의 변종에서 격막(24)은 보다 큰 치수 △를 가지며 공동을 덮는다. 이러한 경우에 상대운동은 즉시 그자체와 이미터로부터 즉시 이물질입자(25)의 링을 닦아 낸다.
실험식에 의하면 최량의 결과는 다음의 관계식이 성립할 때 이루어지는 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d ≤ a3D1 D 10D1
여기에서 d는 격막(24)의 두께, a는 림(19a)으로부터의 거리, 구멍(19)의 직경, D2는 격막의 직경이다.
도 10a~10c에서 다른 변종이 기술되어 있는 데 여기에서 공동(17)은 그의 주위길이와 여과기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타원형이 될 수 있다. 동일한 변종에 있어서 구멍(19)은 편심이며 주위의 폐쇄된 돌출윤곽은 공동의 내면에 나타나는데 이것은 이미터에 물유량의 자기보정 단계중에 연속적으로 격막이 하강하는 가운데에 공동과 격막의 연속적인 접촉면을 형성한다.
얕은 찬넬에서 당초 물의 운동은 감압을 발생시키며 격막은 윤곽(26a, 26b)를 향하여 하강한다. 윤곽(26a)이 이미 베이스로부터 Xa길이만큼 떨어져 있어서 물의 속도는 윤곽의 모서리와 격막 사이의 공동에서 보다 큰 결과 격막을 끌어 그것을 공동(17)의 주위로 낮춘다. 격막은 또한 2개의 연속 돌기윤곽간의 공동들 사이에서 낮추어진다. 이 현상은 (24b)와 (24c)위 위치들을 비교함으로서 이해가 된다. 위치(24c)는 평탄 베이스(27)의 하나의 변종에 상당하다. 이러한 추가적인 낮음은 이러한 경우의 압력은 그것이 평탄베이스변종(27)에 일어나지만 한 윤곽으로부터 딴 윤과그로 점차적을 줄어감에 따라서 격막아래 격막아래 모든 점에서 동일하지는 않다. 동일한 압력은 2개의 연속적인 윤곽사이에서 모든 전주위공간을 따라서만이 가해진다.
윤곽의 장점은 이물질입자의 보다 양호한 청소를 위한 모서리(17b)와 표면(24a) 사이에 일어나는 상대적 운동의 증가이다.
다른 장점(적절한 여과와는 별도)은 물유입구내 공간의 보충이 보다 큰 표면들과 점들 다수에서 점진적이며 한 표면으로부터 다른 표면으로의 보다 작은 압력차이를 가지게 됨에 따라서 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도관내 모든 수압에 대하여 이미터내 정상류를 유지하기 위한 능력이다. 기존의 미국특허 제 4,307,841호인 평탄하고 스므스한 베이스(27)를 가진 기존의 유량보정시스템에 있어서 유량의 보충은 림(19a) 전후의 훨씬 보다 높은 압력차를 가지고 전적으로 출구구멍의 림(19a)에서 행하여 진다.
끝으로 도 8의 유량제한유로(20)전의 여과장치 위치는 이미터의 작동초기 즉 씻겨냄 단계에서도 얕은 찬넬내 물의 영구교축으로 인하여 격막작용전 물배출의 일반적인 급격한 증가(이는 후자를 배가시킬 수 있음)가 저지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작동이 개시될때 배출의 이러한 급격한 증가현상은 망상조직의 공급과 펌프가 그러한 순간적인 증가에 대하여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미터출구의 연장 되는 비균일성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지된 문제점들을 야기시켜준다.
이러한 이유로 미로(20)는 배출의 급격한 증가문제를 일으키지 않고서도 생략이 가능하다. 따라서 구멍(19)은 직접 대기로 배출한다. 미로가 제자리에 있으면 여과기내 감압은 이미 물의 속도를 저감시킴에 따라서 모든 장애를 저지하기 위하여 단면적을 상당히 증가시켜 줄 수 있다. 장애와 관계되는 가장 큰 문제는 바로이러한 보편적인 유량젱한유로(20)에 의하여 발생됨으로 매우 적은 배출양을 가진 이미터가 하나의 드넓은 유량유로로 또는 드넓은 유량유로 없이도 제조가능하다. 도 8e 및 도 8f는 격막의 2가지 변종들을 설명하고 있다. 이들 변종들 중의 하나에서 격막은 방사선 방향으로 절단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에서는 그의 주위가 보다 얇다. 양 변종들은 격막 주위에서 보다 심하게 휘처지며 격막과 이미터의 상대 운동을 증가시킨다. 또한 다른 변종에서 여과장치는 원주변 대신에 직선으로 끝난다.
도 10d~10f의 또 다른 변종에서 여과공간(f)은 상당히 보다 넓다. 도 8의 외주모서리(17a) 위치에 격막(24)을 지지하는 아암(28)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때 공동(17)은 본질적으로 격막(24)으로부터 상당한 거리(f)에서 주위 윤곽돌기(26a)에 의하여 대체된다. 감압은 빈 공간(f)을 통과하는 물의 운동에 의하여 발생되며 이러한 감압이 아암(28)의 내면(28a)에 지지되고 슬라이드되는 격막(24e, 24f 등)의 작동위치를조정한다. 도 8~9의 제 1변종에서와 같이 여과는 도 10f의 격막과 구멍(19)림 사이의 거리 X1이 도관내 압력이 증대됨에 따라서 감소됨으로 물공급보정과 더불어 행하여진다.
이물질입자링(25)의 위치와 크기는 또한 작동위치에 의하여 보정된다. 관계식 fD1은 격막이 원위치(24d)로 복귀하는 중에 항상 성립함으로 이물질입자는 용이하게 출구구멍(D1)을 통하여서 통과한다. 보다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계식 3D2/D1/10이 반드시 성립하여야 한다.
또 다른 변종에서 외형들(26a, 등)은 모두 생략가능하며 공동(17)은 평탄하게 할수 있다.
도 10a는 한가지 변종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격막(24)은 평탄하지 않고 림(19a), 윤곽(26a, 26b) 및 아암(28)과 더불어 본질적으로는 도 8의 방사형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공동(17)의 형을 가지고 있으므로 빈공간(f)의 주변이 결정된다. 더욱이 윤곽은 물론이고 아암(28)도 생략이 가능하며 작고 얕은 방사형으로 뻗은 다수의 찬넬이 이들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찬넬들은 톱날형이나 또는 다른 단면이 될 수 있다. 이들은 모서리의 전장에 걸쳐서 뻗어 있으며 이를 따라서 격막이 이미터와 접한다.
도 10h, 10i, 10k, 10L은 여과기의 다른 변종을 도시하고 있다. 최소폭슬롯(41)은 탄성중합체(24)를 대(42a) 소(42)로 번갈아 가면서 이루어진 2개 밴드로 나눈다. 수압으로 밴드(42)가 밴드(42a)보다 더 멀리 밀림으로서 슬롯(41)의 전장에 걸쳐서 베이스에 수직되게 밴드들(42 및 42a)의 상대적인 운동을 일으키는데 이는 슬롯의 폭에 영향을 마치지 않는다. 관개과정이 중단되면 밴드(42)가 슬롯(41)으로부터 이물질을 닦아내면서 복귀한다. 도 10i에서 슬롯들(41)은 원의 일부이다. 다른 변종에서 밴드들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으나 보다 높은 융통성을 위하여 한쪽끝에서는 자유롭다(돌출 빔처럼). 유사한 밴드들은 또한 평탄 격막들에도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변종에서도 여과기에 의하여 행하여진 배출보정후에 물공급의 최종보정이 격막자체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유량제한 미로형회로(20)를 지나서도 한개의 구멍을 가진 다른 공동이 존재할 수 있다(도시안됨).
이동 격막을 가진 동적여과기는 상당한 감압없이 물의 흡입여과기로서의 역할만 할 수 있으며 상기 격막을 사용하는 물공급의 최종보정을 위한 또 다른 시스템은 물공급의 안정도를 보증하기 위한 유로로서-유량제한 미로형회로 다음에 부설되는 것이 명백하다. 유량제한유로가 없고 여과와 공급의 보정이 공동(17)내에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도시않됨). 또한 격막의 작동에 오직 2개의 위치에서만 가능하다.
도 10m, 도 10n은 유로(20)와 같이 유량제한 미로형유로가 공동(17)의 베이스에 있는 한가지 변종을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외형림(26b) 변두리의 작은 찬넬들은 유로(200의 시발점에 더 집중되어 있다. 여과는 이미터의 전주(全周)에서 행하여 지는 바 일정한 공급이 외형이나 공동(21)의 입구 및/또는 림(19)에서 보장된다.
이미터에서 물의 유량을 보정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공지된 기술들은 하나의 출구공(出口孔)과 하나의 격막이 그 상부에서 움직이는 하나의 림을 가진 하나의 공동을 사용한다(예 미국특허 제 4,307,841호). 흡입공의 림으로부터 격막의 거리-소정 위치는 도관내 수압의 각 값에 대응한다.
당해 공지된 기술의 주된 단점을 든다면 도관내 특정압력보다 큰 압력에 대하여 격막은 출구공의 테두리(rim)와 완전히 접한다는 것이다. 보다 큰 압력에 대하여 물의 운동은 구멍의 테두리에 존재하는 일부 작은 찬넬을 경유하여서만이 계속된다.
이러한 압력영역에서 유량단면은 어떠한 보편적인 여과기의 구멍보다도 훨씬 작으며 작은 찬낼내의 유량은 지속적으로 중단되어서 대단히 불균일한 배출이 되고 만다.
더구나 격막의 최대평형 깊이값이 주어지면 보정정도와 감도는 이미터의 작동이 프로그래밍되고 권장이 되는 도관내 최대압력의 크기에 좌우된다.
상기에 따라서 공지된 제시스템의 감도는 이들이 한개 구멍을 가진 한개 공동만을 사용함으로서 높은 작동압력이 격막의 최대평형 깊이의 소정폭에 대응하므로 아주 작다. 이러한 이유로 높은 주관(主壓)이 압력이나 또는 고도로 경사진 지면을 위한 이러한 이미터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12~도 21에서 우리는 자기보정 이미터의 신규변종을 검토하겠으며 여기에서 물유입여과기 다음에 물급보정을 위한 새로운 과정이 행하여 진다. 보정과정은 연속적인 단계와 유로의 다양한 위치들에서 행하여 진다. 보정은 또한 수압의 지속적이며 대단히 점진적인 강하와 관계가 있으며 그 결과 단면의 증가, 보정의 질의 개선, 보정감도와 고압이나 또는 상당히 경사진 지면에서 이미터를 사용하는 능력의 증대를 기하고 있다.
신규 이미터의 격막(24)은 확장되어 있으며 동일한 직경으로 대칭인 2개의 구멍들(29, 29a 및 30, 30a)을 가지며 공통림들(29b 및 30b)을 가지고 서로 밀집되어 있는 2개의 새 공동(31 및 33)을 각각 덮고 있다.
물은 계속 여과기(17a)로부터 구멍(19), 공간(61 및 31), 구멍들(29, 29a), 공간들(32 및 33), 구멍들(30, 30a), 공간(34)을 통과하며 그로부터 물은 도관(23)의 구멍(22)을 거쳐서 대기로 방출된다.
도 16에서 우리는 우선 2개의 구멍과 격막을 가진 공동들 중 하나에서 물의 운동을 조사하여 보면 격막(24)은 도관내 압력(PE)과 공간내 압력(P3)의 영향을 받아서 구멍(29, 29a)의 공통림(29b)으로부터 X거리에서 평형을 이룬다고 가정하여 보기로 한다. 구멍들이 동일한 직경(D1)을 가지면서 이들은 서로 대단히 밀접하여 있으며 도관내 압력의 각 값에 대하여 격막으로부터 같은 거리(X)에 있다. 공간(61)의 압력 P3는 공통림(29b)위의 마찰로 인하여 2개의 연속적이면서 균일한 압력강하를 받게 되는데 그 하나는 공동(31)입구에 있는 구멍(29)에서 △H3=P3-P4 그리고 다른 하나는 공동(31)의 출구에 있는 구멍(29a)에서 △H4=P4-P5=△H3 일어난다.
단수개의 공간 즉 공동(31)내의 전체적인 압력강하는 △H3+△H4=2△H3=P3-P5=△H3로서 단수개 활성구멍, 출구공의 예로서 미국특허 제 4,307,841호를 사용하는 기존 기술들의 한개 공동내-대응 압력강하에 비하여 정확하게 2배나 된다. 신규한 공지된 제 기술간의 또 다른 상당한 차이는 공동들의 압력들이 물의 연속적인 교축으로 인하여 도관내 압력보다 훨씬 작아짐으로 격막은 도 16~16a에서 볼때 도 16a의 곡선 24N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의 한점에서만 뿐만 아니라 주변에까지도 공동의 전 표면에 따라서 굽혀진다. 그 결과 감압 및 효율은 일반적으로 훨씬 올라간다.
하지만, 도관내압(PE)은 이때 특정시간에서 일정하며 각 공동들(31, 33등)의 압력들은 각 공동내에서 동시에 다르므로 격막(24)은 공동들이 동일 치수를 가지면 각 공동의 2개 림 그룹의 위 다른 깊이에서 굽혀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여하간에 공동내 폭이나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서 치수 L1, W1을 L2, W2 등으로 점차 줄임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동일한 굽힘도에 따라 2중 림(29b, 30b등)에서 동시에 격막의 동일한 거리(X)를 이루게 된다. 유사한 결과는 격막두께를 점진적으로 증가시켜서도 이루어 진다.
도 16a, 도 16b는 또한 특수하게 배열된 융기된 내경(W3)인 공동림(29c)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공동들(31, 33등)이 동일한 치수(L, W)를 가지는 경우에 있어서(림의 내부에서 2차 굽힘으로서) 격막(24)의 동일거리(X)를 이루기 위한 것이다.
다른 변종에서 출구를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공동의 깊이는 점차로 증가함으로 격막은 작동중에 항상 공동의 모든 림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유지한다(도시않됨).
모든 림위에서 격막(24)의 통일된 운동과 물의 교축이 다수의 점들-구멍들에서 동시에 행하여 진다는 사실로 인하여 특정한 감압 및 이에 따른 소정의 일정한 물의 유량의 비율을 얻기 위한 한개 공동과 구멍을 가진 기존의 공지된 시스템들에 비하여 공동림으로부터의 보다 훨씬 거리 X가 생긴다. 이러한 보다 큰 거리 X는 장애의 우려에 제한을 가하며 구멍수가 이미터 유로의 효과를 증대시킨다.
도 12에서 격막굽힘 깊이에 대한 소정의 최대값 a에 대하여 다수의 공동으로 인하여 격막들의 위치들에 따라 정해지는 다른 공동들(31, 33 등)에서의 최대압력차들(PE-P4)등은 단수 구멍공동을 사용하는 알려진 장치들과 비교하여 볼 때 훨씬 보다 작음으로 신규발명에 있어서 보충의 감도, 품질, 및 신뢰도가 보다 우수하다.
본 신규발명의 다른 장점은 공지된 장치들과 같이 구멍들(29, 29a)의 주위 또는 주변에 따른 속도분포가 대칭성이며 균일하지 않고, 속도들이 한 주위 또는 주변이 다른 주위 또는 주변을 접근하는 이러한 부위들에서 훨씬 빠르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현상은 주위 또는 주변의 길이를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 그 결과로서 모든 이러한 구멍들의 단면도 이미터내에 동일한 정도로 유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상당히 증가시켜주도록 허용한다.
이미터내에 2중 구멍들로서 다수의 공동들을 배치함으로서, 공지의 시스템에 의하여 이룩되는 것보다 몇 배 더 큰 완전 제어된 감압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추가로 관개도관의 최대권장횡길이 즉 관개시스템의 중앙물 공급도관수를 현저히 절감함과 동시에 이미터들이 부설된 도관들의 횡길이를 증가시킴으로서 따라서 이미터의 최대권장 작동압력을 수배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이러한 시스템들의 비용절감이 된다.
유동에 따라서 감압은 점진적이며 균일하고 현저히 크게 증가함으로 이미터내물의 유속은 능한 한 최소로 감소된다. 본 시스템은(소정의 물공급을 위하여) 공지의 시스템들보다 몇배나 큰 표면적을 가진 이미터내 구멍의 십자형 단면들과 일반적으로 유로의 설계를 허용한다. 이것은 그 결과 현재 가장 곤난한 문제를 야기시키며 고가의 여과기를 필요로 하는데 사용되게 하는 장애우려의 최소화를 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구멍(22)으로부터의 유량이 장애에 의하여 중단되어서 공동(61 또는 32)들의 도관내 제 2 또는 제3의 구멍을 열어서 이미터 작동을 복원시킬 능력을 가지고 있다. 도 15a에서 공동(61)은 또한 유로(62)를 가진다.
본 신규발명은 관개도관들의 최대권장횡길이를 더욱 증가시키는 넓은 구멍들과 물유로들을 가지는 또한 최초로 극히 소량의 물공급을 하는 이미터의 생산을 허용한다. 더욱이 미로(meander)와 같은 유량제한 유로가 없고 이미터의 제작비가 상당히 저렴하다.
도 16c는 하나의 변종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2개의 림들은 높이차이가 △X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격막(24)은 림위에서 균일하게 굽혀질 수 없으며 압력차 발생이 다르다. 유입구멍(29)의 림이출구구멍(29a)의 림보다 높다면 P3-P4P4P5로 된다. 이와 반대로 구멍(29a)의 림이 보다 높으면 P3-P4P4-P5(도시안됨)로 된다. 또한 구멍(29a)의 림이 높아서 격막이 림에 전혀 접하지 못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P3은 P4와 동일하며 림은 물배출에 대한 보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17~17b에 있어서 하나의 변종으로서 2개의 구멍들은 공간(31)에로의 입력용(29, 29d)이고 다른 2개의 구멍들은 동일공간으로부터의 출력용(29a, 29e)인 4개의 구멍들을 구비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양 입출력 구멍들은 림높이의 현저한 차이(△X)를 가진다. 구멍들(29, 29a)은 작은 찬넬(29f 및 29g)를 가지고 있는데 각각 구멍들(29d 및 29e)에 향하여 있다.
공간(61)의 물은 초기에ㅐ 동시에 양 구멍들(29 및 29d)로부터 공간(31)으로 들어간다. 작동개시직후에 격막(24)은 상당히 올라간 림과 그의 작은 찬넬(29f)을 둘다 완전히 덮는다. 유량 및 공급보정은 이제 주유입공으로 불리는 구멍(29d)을 거쳐서만이 행하여 진다.
유사한 현상은 출구구멍들(29a, 29e)에서도 일어나는데 여기에서 구멍(29a)은 닫히며 유동은 주 물출구구멍으로 불리는 구멍(29e)을 거쳐서만이 유지된다. 본관(본관本管) 물입구구멍(29d)이 완전히 닫히면서 이물질 입자들이 쌓이고 이를 통한 유동이 멈추어지는 순간 격막이 그의 림위로 즉시 올려져서 작은 찬넬(29f)을 벗긴다. 이영역의 유동과 물 공급보정 공히 전적으로 보조구멍(29)에 의해서만 행해진다. 물론 유량이 어떤 이유로 본관물입구구멍(29d)에서 재창출됨에 따라서 보조구멍(29)내 유량은 격막에 의하여 차단됨으로 본관물입구구멍(29d)을 거쳐서만이 행해진다. 유사한 작용이 구멍(29e)이 본관구멍으로 되고 구멍(29a)은 보조구멍으로 하여 추구구멍들을 가지고 행하여 질 수 있다. 분명 구멍들은 4개 이상의 입구 및 출구그룹으로 분류가능하며, 동일 그룹의 각 구멍이 다른 높이의 림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다수의 보조구멍들이 있는 것은 별문제로 하고 이것은 감압과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물공급의 보정과정을 용하게 한다.
도 18은 본관 및 보조구멍의 적용이 한개 공동과 한개 출구구멍을 가진 공지기술들(미국특허 제 4,307,841호)에 확대 가능하며 구멍내에서 보조구멍(29a)이 공동내로 다음에 본관구멍(29e)으로 통함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공히 보조구멍의 림은 본관구멍(29e)의 림보다 훨씬 높다. 연이나 이러한 경우 미로형 유로와 같은 유량제한 유로(350가 존재하고 차단이 구멍(29e)에서 보다는 오히려 유로(35)에 더 많이 일어나는 쉬움으로 하나의 공간은 다른 보조구멍(29a)의 경우처럼 높이, 작은 찬넬 등의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유로를 따라 어떤 점에서 추가하여 보조구멍(29h)용으로 구비가능하다. 동일한 방법으로, 동 현상은 공지된 보다 간편한 기술들에도 적용 가능한데 여기에서 유량제한 미로형유로와 같은 유로(35)는 없으며 다만 주 보충공동(31)이 출구구멍(29e)과 더불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 그것은 보조구멍(29a)(도시 안됨)을 열기에 분명히 충분하다. 보조구멍들은 일반적으로 차단과 연관된 큰 문제로 인하여 대체로 무용지물이 되는 이미터의 수명을 배기시켜준다. 이는 또한 원통형 이미터 WO 93/02547과 E.P. A0018088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9~19a는 공동들이 연속이고 도 12, 13, 14, 15의 이미터공간들(17, 31, 33)의 구멍들(`9, 29, 29a, 30, 30a)이 여기에서 경사모서리를 가진 2개의 각주형들 사이에 형성된 찬넬들에 의하여 대치될 때의 다른 변종을 도시하고 있다. 공동(31)의 찬넬들(29, 29a)의 모서리들(36, 37)들은 이문제에 관한 한 도 12, 13, 14, 15의 이미터 구멍들(29, 29a)의 특유한 한쌍의 상당하다. 구멍들(L1, L2)의 길이는 물의 출구(22)쪽을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한다.
격막(24)은 그것이 파선(39)으로 나타남에 따라서 모든 경사진 입출구 모서리들 위에서 작동중에 교대로 굽혀진다. 베이스로부터 격막까지의 거리(X)는 모든 공동들에 대하여 동일하다. 배출의 보정은 물론이고 여과의 모든 기타 문제들은 도 12, 13, 14, 15의 이미터에 대한 경우와 동일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2개의 입출구구멍들을 가진 공동의 경우처럼 동일조건들이 성립한다.
다른 변종(도시안됨)에서 격막(24)은 완전히 생략이 되어 있지만 모든 기타의 이미터(16)는 탄성중합재로된 유일한 피스(Piece)로 구멍되어 있으며, 도관(23)의 내면을 향하여 공동들(31, 33)을 가지고 도관(23)에 거꾸로 부착이 되어 있다. 배출의 보정은 찬넬모서리들과 도관(23)의 내면 사이에서 이루어 진다.
도 20~20a는 2개의 독자 격막들(24c, 24d)을 가진 다른 변종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구멍들은 다시 경사진모서리(19a, 36, 37, 38, 38a)를 가진 찬넬들(19, 29, 29a, 30, 30a)에 의하여 대체되나 공동들(31, 33)의 공급보정은 물론이고 공동(17)의 여과는 이미터(16)의 2측으로부터 동시에 행하여 진다. 이미터(16)의 몸체는 공동(34)의 모서리에 의하여 덕트의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단수의 탄성도관은 이미터를 덮을 수 있는 2개의 독자적인 평탄한 격막들을 대치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다른 변종에서 격막들(24c, 24d)을 가진 모든 이미터(16는 탄성중합재의 유일한 피스로 제작이 가능하다(도시되지 않음).
계속하여 유리는 이미터가 원통형이며 탄성중합재의 단편으로 된 새 변종에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탄성중합재로 된 원통형 이미터들의 공지된 시스템들 WO 93/02547, EP.A.O. 018.088 및 EP.A.0295.400은 이미 기술한 미국특허 제 4,307,841호의 공지된 시스템과 같이 동일한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도 21, 21a, 21b, 21c, 21d에서 새 이미터를 기술하고자 하는 바 이의 도 19, 19a의 이미터에 대하여 다른 점들은 물입구 여과기에서처럼 공동들(17, 31, 33, 34)이 원통형이라는 데 있다. 이미터는 원통형표면들(39a, 39b, 39c, 39d)을 가진 도관(23)의 내부에 단단히 부착이 되어 있다. 챔버의 물입출구 구멍들의 림들(19a, 36, 37, 38, 38a, 38b)은 경사되고 평탄하며 공동들(L1, L2, L3)은 물의 출구(22)로 전진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된다. 수압은 직렬형 공동들을 통하여 물이 통과하는 동안에 격렬한 교축이 되기 때문에 공동들 사이의 공간에 미료형유로와 같은 유량제한유로들은 필요치가 않다(그러나 이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물유입은 여과기의 원통형면의 주위를 따라서 이루어진다. 여과기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동안에 공간내의 강압은 공동(17)의 표면으로 하여금 도관(23)의 내면을 향하여 움직이도록 하며 날(Blades)(40)과 도관의 내면 사이의 공간을 제한한다.
원통형 공간들(31, 33, 34)내의 감소된 압력은 도관에 대하여 이미터벽의 굽힘을 일으키며 림(36, 37, 등)의 짝들은 함께 도관의 내면에 접근한다. 물의 감압은 한 공동에서 다른 공동으로이동함에 따라 점진적이며 벽의 굽힘은 길이(L1, L2, L3)의 점진적인 감소로 인하여 모든 공동에서 동일한 X이다. 이 경우 도 12, 13, 14, 15의 이미터들 및 그들의 변종에 대하여서도 동일한 조건이 성립된다.
다른 변종에서 찬넬(19-29 및 29a-30)들의 상대위치들은 주위로 변위되어 있어서 직선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다른 변종에서 벽두께(△W)는 공동(31)으로부터 공동(34)에 이르기까지 점차적으로 증가된다.
다른 변종에서 여과기는 이미터주위의 일부만을 점유한다.
도 21c에서 여과기는 도 10h, 10i, 10k의 것과 유사하게 도시되어 있다. 여과기 공동(17)의 2개 림들(39, 39a)은 도관에 영구적으로 부착이되어 있으며 자케트(jacket)는 좁은 횡방향슬롯(slats)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동 자켓트를 각각 교차적인 대소두께(42a 및 42)의 작은 밴드(bands)로 각각 분리시켜준다.
도 21d의 다른변종에서, 슬롯(41)들은 이미터축에 대하여 수직인데 밴드들(42a)은 도관에 돌기(42b)로 지지됨으로서 밴드들(42)이 보다 큰 기동성을 위하여 여유가 생기는 차이만이 있을 뿐이다. 상대운동은 밴드들(42 및 42a) 사이와 슬롯(41)에 따라서 일루어 진다. 도 12~21의 발명에 있어서 격막의 거리 X는 모든 공동들의 림위에서 같을 필요가 없음이 명백하다.
도 22, 22a는 물배출의 보정감도를 더욱 개선하고, 또한 이미터의 작동과 적용범이를 증가시켜주는 새로운 변종을 도시하고 있다.
이미터는 노즐(43)과 함께 도관(23)에 위치해 있다. 직경(D1)의 구멍(19) 끝의 이미터 유입구에서 직경(D2)의 평탄한 원주면(19c)과 뾰족한 림(19c)이 형성되고 격막(24)에 의하여 완전히 덮혀 있다. 연속적인 공동(17, 31, 33)이 동 공동(17, 31, 33)내 구멍들-찬넬들-림들(19d~19a, 36~37 및 38~30d)의 독특한 짝들을 가지고 각각 또한 존재한다. 공간내 림들(38~30d)이 한 림은찬넬에 예속되고 다른 하나는 구멍에 속하는 다른 형상으로 되어 있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2개의 림들은 이들이 동일격막에 의하여 동시에 덮혀 있기 때문에 한쌍으로서 작용한다. 물은 구멍(19)을 거쳐서 들어가 림(19d)의 공간(17)을 지나고 찬넬(29)를 경유 공간(31)으로 찬넬(29a 및 30)로 그리고 구멍(30a)을 서쳐서 대기에 이른다.
격막(24)과 구멍(19)의 림(19d)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에 D1 및 D2 주위의 속도차로 인하여 공지의 진공을 발생시켜서 격막(24)을 표면(19c)와 림(19d)쪽으로 당겨준다. 날카로운 림(19d)은 속도차이를 더욱 더 가증시킨다. 물의 강압은 도관내 레벨(PE)로부터 공동들(17 및 45)의 레벨(P1)에 이르는 표면(19c)과 림(19d) 위에서 일어난다.
압력(P1)은 도관(23) 내 압력(PE)의 변화에 항상 비례하여 증가감소함으로 림(19d)의 에너지만으로 이미터에 일정한 물유량을 유지시킬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연속적인 공동들(31, 33 등)이 계속적으로 배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공동(17) 다음의 물은 도 19, 19a의 이미터에 대하여 기술한 바와 같은 동일 과정을 거의 따르면 유량의 보정은 각 공동의 림들의 특이한 짝들에 의하여 이루어 진다. 이리하여 물의 압력은 연속적으로 감소되어 공동(31)에서는 P2 그리고 공동(33)에서는 P3가 된다.
이미터의 이러한 변종에 대한 특수한 차이로서 공간(45)내 격막의 후부에 작용하는 압력은 림(19d)으로 교축이 된 후 즉시 발생되기 때문에 이 이상 더 도관(23)내에 작용하는 물의 압력(PE)이 아닌 공간(19)의 훨씬 낮은 압력(P1)이라는 사실에 있다.
격막(24)의 타부위에서 이들 압력들이 림의 짝들에서 연속적으로 감압이 된 후 발생됨에 따라서 공동내에 압력(P2, P3)이 발생한다.
위치(39)에 대한 격막의 굽힘과 찬넬 림으로부터의 거리 x는 압력차 P1-P2 및 P1-P3에 비례하며 이 경우에 이들은 도 12, 13, 14 또는 도 19, 19a의 이미터의 경우와 같은 압력차 PE-P2와 PE-P3보다 훨씬 작다. 격막 유로의 소정최대폭(a)에 대하여 공급보정의 감도와 정도는 훨씬 보다 크다. 병행하여 림(19d)과 표면(19c) 영역에서 격막(24) 하부에서 물의 운동과 그것이 여과기 역할을 하게 하여 이미터에 이물질의 혼입을 저지하는 흡인을 하고 있음을 강조하여야 하겠다.
기타 장점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a) 이미터의 몸체에 가해지는 압력은 벽두께와 재료의 질에 있어서 상당한 경제성을 가지고 도관내 압력보다 훨씬 작다;
b) 이미터의 최대작동압력은 관개유로의 최대유효장에 따라서 무한정으로 증대된다;
c) 격막들은 저압을 받거나 또는 전혀 림에 접하지 않는다. 따라서 복잡한 실리콘성분대신에 간단한 합성탄성중합재들이 재생특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이 된다;
d) 격막에 작용하는 힘의 절대적인 조정이 가능하다. 개선된 성능에 대하여 다음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D2/D1 2, 조건부이긴 하나 이조건외도 가능.
도 23, 23a의 다른 변종에서 격막(24)후부 내압력은 2개의 별개로 분리된 공동(45, 45a)으로 된 도(22, 22a)의 공간(45)분리에 의하여 더욱 감소되는 바 압력 P1은 1차 공동에 작용하고 압력 P2는 2차 공동에 작용한다. 물은 공간(31)을 지나는데 여기에서 P2는 새공간(48)에 작용한 다음 공(49)을 거쳐서 격막뒤의 공간(45b)에 이르며 압력 P2를 전한다. 따라서 격막내 최종공동(33) 위에서 보다 작은 압력이라도 P2-P3로 작용이 된다. 새 격막(24)은 도 23a에서 도시되어 있다.
도 24는 한가지 변종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미로형유로(31)가 또한 격막에 의하여 덮인 쳄버(33)앞 공동(17)내에 존재한다. 공급의 최종보정은 림(38 및30d)의 짝내 쳄버(33)에서 이루어 진다. 다른 변종에서 격막은 찬넬의 림(38)과 접촉하면서 피할 수 있으며 보정은 림(3d)에서만 이루어 질 수 있거나 또는 날카로운 림(19d)은 모두 없앨 수 있다. 도 24의 보다 간단한 변종에서 격막은 림(19c)만을 덮고 미로형유로와 쳄버(33)는 다같이 덮지 않은채로도 가능하다(도시 안됨). 기타 변종들에서 미로형유로는 이미터의 단부에서 유량보정공동(31 및 33) 사이 또는 전후에 존재할 수 있다. 격막과 표면(19c)은 다같이 평탄하지 않아도 되며 한쪽은 철부이며 구형, 다른 쪽은 요부의 구형이 될 수도 있다.
도 25, 25a에서 이미터의 한 변종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이미터는 2개의 독자격막(24d 및 24e)을 가진 도관에 설치하기에 적합하다. 제 1격막(24d)은 PE로부터 P1으로의 압력강하를 일으키는데 여기에서 제 2격막(24e)은 한쌍의 구멍과 림들(30, 30b-30a, 30d)과 더불어 출구공동(33)의 상부에서 작용한다.
다른 변종에서 공동(33)은 평탄하고 구멍(30a)을 가질 수 있다. 그것은 또한 찬넬(30), 구멍(30a)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림들(30b)은 비활성이다(도시되지 않음).
도 25b는 한개의 단순 부분으로 된 격막을 가진 다른 변종을 도시하고 있다.
다른 변종에서 단수개의 격막이 존재하여 수평이 될 수 있는데 그의 일부는 그의 하면과 더불어 유입림을 덮으며 잔여부는 그의 상면과 더불어 보정공동들이나 또는 유량보정유로를 덮고 있다. 다른 변종에서 격막(24d, 24e)들은 이미터내에 한개 이상의 공동들이나 미로형유로와 같은 유로들을 덮을 수 있다(도시안됨).
도 25c는 도 22의 이미터 유입부에서의 여과기의 새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격막(24d)과 같은 방법으로 작동하는 격막(24e)의 중앙에는 피스톤(54)이 고정되어 있는데 그의 단부에는 유연한 디스크(55)도 주위슬롯과 함께 고정되어 있다. 디스크는 격막과 동일 재질로 제조되어 있다. 물은 디스크(55)의 슬롯을 통하여 들어가며 먼저 격막(24e)을 △A만큼 올리고난 다음 그것을 림으로 당긴다. 이때 디스크(55)는 표면(5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A만큼 움직여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도 25d의 시스템은 이 경우에 격막(24f)의 운동을 보정공동으로 촉진시켜주는 차이만으로서 유사한 방법에 의하여 작동된다. 격막들(24e, 24f)은 위치전환 과정중에 작은 회전을 통제하기 위한 브레이드를 가지며 디스크(55)의 수량은 증가시킬 수 있다. 더욱이 피스톤(54)은 그의 적절한 변위를 위하여 가이드를 가질 수 있다. 디스크(55)는 표면(57)에 대한 여하한 운동이 없을 때라도 효율적임을 강조한다.
도 8-11의 여과장치들이 부설이미터(emitters)들에도 적용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도시안됨).
도 26, 26a는 도관 내부설치에 적합한 도 22, 22a의 이미터변종을 도시하고 있다. 물은 격막(24)아래 다수의 구멍들(19)로부터 큰 평탄 림(19c)으로 들어가며 여기에서 도관의 일차 감압은 공간(17)과 유로(31)의 시발점에서 값 PE로부터 값 P1으로 된다. 림(19c)과 다수 구멍들(19)의 특수 비원형 배열은 본 변종에 대한 이미터의 주된 차이이다.
유량제한유로(31)에서 압력 P2를 가진 물은 한쌍의 림(38-30d)을 가진 공동(33)에 이송되며 압력 P3는 이미터의 최종 배출보정에 대한 것이다. 대기에 물의 배출압 PA는 공간들(50 및 51a)을 거쳐서 행하여 진다. 다른 변종에서 공동(33)의 림(38)은 비활성화가 가능하며 최종보정은 림(30d)에서 만이 이루어 진다.
도 26b, 26c는 다른 변종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 압력 PE는 공간(17)에서 P1으로 감소되는 동안에 격막뒤의 공간(45)에서 불변상태로 남아 있다.
도 26, 26a와 도 2b, 26c의 변종은 둘다 동일한 작동원리로 내면보다는 도관(23)의 축에 접근하는 격막과 함께 제작이 될 수 있다.
도 27, 27a는 다른 변종을 도시하고 있다. 격막(24)은 도관(23)축 근처에 자리잡고 있으며 팽팽한 카버(52)에 의하여 덮여 진다. 여과기(9)를 통하여 공간(17)으로 통과하는 압력 PE의 물은 구멍(19)의 림에서 격심한 교축을 받으며 압력 P1은 카버(52)와 격막(24) 사이의 공간(45)에 전달된다. 물공급은 구멍(30)의 림과 미로형유로와 같은 유량제한유로(31)에로의 보충으로 일정하게 된다.
우리는 격막이 모든 공동들과 공들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을 때 유량보정의 보다 큰 감도와 장애로부터 이미터의 증대된 보호 그리고 물유로의 효율에 대하여 심도 있게 논의 한 바 있다.
우리의 다음 특허는 특수한 미로형유로와 같은 유량제한유로에 관한 것으로 그 위에서 격막은 유로의 전길이에 걸쳐 동일한 레벨에서 평형을 이룬다.
도 28, 28a, 28b는 도관의 내부에 부착하기에 알맞은 이미터(16)를 도시하고 있는 바 유로(31)의 각주형상(31a)이 이미터의 축에 평행한 축과 더블어 요부원통면(16b)안으로 홈이 파여져 있으며 격막(24)의 두께는 이미터의 출구를 향하여 점차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은 여과기(9)를 거쳐서 들어가며 유로(31)를 통과하여 도관(23)밖의 구멍(30)을 거쳐서 방향을 잡는다. 발생된 진공은 격막(24)에 하중을 가하며 유로(31)의 각주형상(31a)의 원통면(16b)을 향하여 처음에는 보다 작은 정도로 차차 증가되어유로의 끝에 가서는 최대가 되도록 그것을 낮춘다.
이 때문에 격막(24)의 두께는 점차로 증가됨으로 격막-파선(39)은 유로(31)의 베이스(16c)로부터 동일한 거리 f를 가지고 있다. 도 28b는 도관내 특수압력 PE에 대한 격막의 위치(39)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점차 격막두께를 중가시켜주는 대신에 점차적으로 물유로베이스깊이(a)를 증가시킬 때와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도시안됨).
도 29-29e는 다른 변종을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유로(31)의 수직측들(53)은 평행하지 않고 물출구를 향하여 좁아지며 각주형(31a, 31b, 31c)의 표면들은 유로(31)의 밑에 거의 접하여 이루어 지는 선과 점들(A1, B1, C1)로부터 지나는 2개로 이루어진 선들과 함께 거의 원추형의 표면을 형성한다.
격막(24)은 항상 동일한 두께이다. 구멍들(L1, L2, L3 등)의 폭이 점차 감소함에 따라서 작동단계(39) 중에 격막의 거리 f는 이미터의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다.
도 29a, 29b, 29c는 도관내 특정 압력(PE)에 대한 격막(24)의 대응하는 절단면(39a, 39b, 39c)과 더불어 점(A1, B1, C1)에서 이미터의 단면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29e는 동일 특정압력 PE에 대한 격막의 모든 해당절단면(Cuts)(39a, 39b, 39c)을 재차 도시하고 있다. 도 30~30b는 한가지 변종을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격막은 도일 두께를 가지며 점들(A1, B1, C1)로 지정된 유로의 수직면(52)들은 평행하나 출구(30)를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점차 증가되는 깊이를 가진다. 이미터의 표면(16a, 16b)부분과 더불어 각주형(31a, 31b, 31c)들의 상부면들은 유로(31) 베이스(16c)에 부착되어 있는 창색선과 더불어 거의 원추면을 한 표면을 포함한다. 동 베이스는 유입점을 향하고 원추의 상부는 이미터의 출구를 향하고 있으며 2개의 창생선들은 점들(A, B, C)로부터 밖의 유로(31)를 통과한다.
구멍들의 폭(L1, L2, L3)의 차이로 인하여 격막은 작동 과정중에 베이스(16c)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있게 된다.
도 30b는 구멍들의 각 폭들에 따라서 점들(A, A1-B, B1-C, C1)에서 유로(31)의 원추에 대한 절단면들(a1, a2, a3)이 도시되어 있다.
도 30c는 도관내 특정압력 PE에 대한 단면들(A, A1-B, B1-C, C1)의 점들에서 격막의 위치들을 도시하고 있다. 선택된 특정 미로형회로와 같은 형태(31)는 전적으로 암시적이며 본 발명을 구속하지 아니한다. 다른 변종에서 원추의 창생선들(A, B, C)은 미로형회로와 같은 유로(31)를 통과 한다(도시 안됨).
도 28~30c의 변종들에 있어서 요면(31)의 주 유로들 이전에 간단한 미로형유로의 제작은 비록 력막에 의하여 카버된다 해도 평탄한 상부면을가지고 가능함으로 격막 하부의 초기 감감은 제 1의 요부 유로이전에 발생된다.
도 29~30의 이미터들은 또한 탄성중합재료로 제작할 수 있으며 단수부품으로 구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격막은 전적으로 없으며 이미터들은 표면(16a)과 직접 도관에 부착된다(도시 안됨).
본 발명의 모든 이미터들(도 1~30c)은 이들이 특정적으로 언급이 안되어도 모두 열가소성재 대신에 탄성중합재로 제작이 가능함으로 격막들은 복원이 된다. 이들은 또한 도관과 도관내에 부설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작이 된다. 이들은 또한 도관내에 부설하기 위하여 적합한 원통형이미터몸체부분으로 성형할 수 있다. 더욱이 격막이 있는 곳이면 어데서나 이들은 도관표면근처나 도고나축근처에 배치가능하거나 이들은 평탄하지 않아도 된다.
Claims (40)
- 물의 입출구로서 수압을 감소시켜주는 유로를 가진 범용 이미터(적하장치)에 있어서 유로는 이미터의 전높이에 따라서 뻗어 있으며 서로간에 거리(d)로 떨어져 있는 중앙횡축의 양측으로부터 양측들에 뻗어 있는 기본각주형(1)의 반복부로 되어있다. 동 유로는 변두리(3)영역의 물유로폭(d2)을 가진 이미터(6)의 중앙횡축 부위에서 대략 베이스에 직각으로 요부(1a)와 철부(1b)의 원통형측면들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는 바 원통형 분구(4)들은 베이스(2)로부터 올라와 있으며 이러한 분구는 높이(b)로서 대략 이미터 높이의 중간에서 끝나며 동 분구(4)들은 분구들의 부분을 형성하는 기본각주형(1)의 요부(1a)면 부위에서 나타나며 여기에서 이러한 요부면(1a)은 베이스(2)에 수직인 축으로 분구(4)와 더불어 하이드로싸이클론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부터 N개의 변두리폭이 0~0.15d인 날카로운 모서리를 가진 거의 쐐기형 각주(5)들이 나타나 있으며 이러한 각주들은 원통형 분구(4)와 동일한 높이(b)에서 끝나는 바 여기에서 이러한 쐐기형들(5)은 모서리(3)전후의 70도 각도 범위내에 정해진 영역들에서 형(1)의 모서리에 대하여 거의 방사형으로 뻗어 있으며 동 모서리들(5a)은 모서리(3)에 직각들인 직선이며 여기에서 이러한 형들(5)의 한개 면은 요부이며 베이스(2)에 평행한 축을 가진 거의 원통형(5a)이며 여기에서 이러한 형들(4, 5)은 높이(b)를 가지는 바 기본형들(1)은 이미터의 전높이(b+D1)에 따라서 뻗어 있으며 b의 값들은 거의 0.5d~0.8 범위내에 들어 있으며 각 요소면 dXd2에 대하여 1 N 6 또는 N 1범위내에 들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이미터.
- 제 1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분구(4a)는 하이드로싸이클론에 대하여 분구(4a)의 높이에 따라서 일부에서 개방되어 있거나 또는 여기에서 보다 작은 분구(4c)는 보다 작은 기본형(c)을 가지는데 또한 기본형(4) 및 기본형(1)에 반대방향으로 추가된 이미터.
- 제 1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기본삼각형형(57)은 대칭형으로 평탄(57b) 및 요부(57a)표면으로 구성되는 바 여기에서 베이스의 방사형형들에 대하여 이등변삼각형(57c)의 대칭평탄면 또는 직삼각형(5e) 단면이나 또는 요부 및 평탄면(5)과 같이 각기 다른 형상을 하고 있는 이미터.
- 제 1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양측상에 뻗어 있는 기본 각주형상들은 비대칭성이며(도 6) 하이드로싸이클론은 다른 치수들을 가지고 있는 이미터.
- 제 1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직삼각형형상을 가지는 기본각주형상과는 별도로 보다 작은 각주형들이 베이스의 각주형상 단부들에 존재하는데 이러한 형들은 다른 방향(5g)을 가지고 있는 방사형으로 뻗어 있거나 또는 형상들(5d, 5e)의 부분들은 직선(5b) 또는 굽은 (5c) 모서리들 또는 돌출된 핀들을 가진 이미터.
- 제 1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3가지 다른 타입의 형상들 즉 기본각주, 하이드로싸이클론, 베이스의 방사형으로 뻗어 있는 형의 결합이나 또는 상기 타입의 형상들의 2가지만의 어떠한 결합으로 형성된 이미터.
- 제 1~6항에 따르는 도관내에 설치하기에 적합한 물의 감압을 위한 유로를 가진 이미터에 있어서는, 2개의 동축 원통형 부분들(13, 15)과 원통형베이스(14)로 구성되어 있는 바 여기에서 물의 유로는 내원통디스크(13)의 외부자켓 주위를 따라서 이루어지며 물출구노즐(11)을 가지는 실린더(15)에 의하여 외부로 덮여 있으며 이때 도관으로부터의 물공급은 실린더베이스(14)의 노즐에 의하여 행하여 진 이미터.
- 제 1~6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물의 감압을 위한 유로는 원통형몸체의 외면에서 이루어지며 여기에서 도관의 내면은 물유로의 외부자켓을 형성한 이미터.
- 제 1~6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b0.5d 또는 b0.8d 및 N≥6이며 베이스형상들은 기본모서리(3) 전후 70도 이상의 범위에까지 신장되는 이미터.
- 제 1~6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저부 형상들의 모서리들은 날카롭지 않으며 모서리(5a)의 폭은 0.15d보다 크게 되는 이미터.
- 공동(17)을 덮는 두께(d)와 직경(D2)을 가진 탄성격막(24)으로 되어 있는 자기보정이미터에 있어서 그의 중앙에는 림(19a)과 직경(D1)을 가진 한개의 구멍이 있으며 여기에 공동의 림으로부터 거리(a)에 있는 격막(24) 아래 분구의 물흡입구는 감압을 발생시키고 이들로 하여금 격막(24)이 움직이도록 하여 발생하는 압력차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굽혀 지도록 함으로 공급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이러한 이미터의 분구(17)는 날카로운 모서리(17a)를 가지며 방사형으로 배열된 낮은 찬넬(18)들은 분구(17)의 전면(17b)에 뻗어 있으며 격막(24)은 분구 모서리(17a)를 정확히 덮으며 그의 측면(24a)는 상대운동으로 인하여 모서리(17a)로부터 기계적인 방법으로 이물질입자들을 배제시켜주며 다음관계식 d ≤ a, 3D1 ≤ D2이 성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보정 이미터.
- 제 11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격막(24, 도 8d)은 보다 큰 치수를 가지고 분구(17)를 덮고 있는 이미터.
- 제 11~12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분구(17, 도 10a)는 타원형이며 페쇄외형(26a, 26b, 등)으로 분구와 격막의 지속적인 접촉위치가 되는 그의 내면에 나타나며 이들은 평탄한 베이스분구(27)안으로 격막이 완전히 잠기는 위치(24c)에 해당하는 밑의 레벨에 위치함으로 주위에 격막의 보다 큰 정도로 낮추는 것도 그리고 외형들 사이에서의 점진적인 물의 감압이 이루어 진 이미터.
- 제 11~13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적절히 주위모서리(17a) 아암들(28)이 위치해 있어서 격막(24)을 지지하고 있는 바 여기에서 분구는 격막으로부터 의미상의 거리(f)에 있는 윤곽(26a)에 의하여 대치되며,보다 우수한 성능을 위하여 다음관계식이 성립해야 하는 이미터:f d1, 3 D2/D1 10
- 제 11, 12, 14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분구(17)는 평탄한 이미터.
- 제 13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유량제한 미로형유로(20)는 분구의 베이스에 존재하는 이미터.
- 제 11~16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격막은 방사형 배열슬롯들을 가지거나 또는 주위에서 보다 얇은 이미터.
- 제 11~17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d a 및 2D1 D2인 이미터.
- 제 11~18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격막은 평탄하지 않으나 제 11~18항들 중의 분구들(17) 변종들의 다른 형상들을 취하거나 또는 모서리 길이에 따라서 이루어진 작은 찬넬(18)에 대하여 톱형상이나 또는 다른 단면을 가진 보다 큰 수의 작고 얕은 방사형 배열찬넬을 가지며 이로서 격막은 이미터와 접하게 된 이미터.
- 제 11~19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격막들은 슬롯들(41)과 다양한 형상의 동일한 또는 다른 두께를 가진 밴드들(42. 42a)과 여러종류의 지지를 취함으로 밴드들 사이의 상대운동은 슬롯(41)의 폭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슬롯들의 영역내에서 이루어진 이미터.
- 제 11~20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격막을 덮고 여과기로서 그리고 일부 유량보정장치로서 또는 여과기로서만이 작용할 수 있는 통합장치를 형성하는 분구와 격막(24)이 일부 유량보정장치에 따라서 이러한 장치는 유로(20)의 물의 감압을 달성하기 위하여 여하한 기타의 유량보정장치 앞에 위치하거나 또는 대안으로 기타분구들 또는 장치들은 최종유량보정에 대하여 존재할 수도 있는 이미터.
- 물입출구를 특징으로 하는 자기보정이미터에 있어서는 한개의 입구구멍(29, 30)과 한개의 출구구멍(29a, 30a)의 특징을 이루는 치수(L1, W1 및 L2, W2)를 가진 공동(31, 33)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동들은 공동바닥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한 격막(24)에 의하여 덮여 있는 바 동 이미터에 있어서 동 공동들은 연속적으로 배열이 되어 있으며 구멍들(29, 29a) (30, 30a)은 동일한 직경(D1)과 거의 공통인 림을 가지고 각각 대칭으로 서로 아주 가까히 위치하여 있는 바 여기에서 공동들(31, 33)의 치수들(L1, W1, 및 L2, W2)은 출구쪽을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점차감소되거나 또는 출구쪽을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공동들의 깊이(a)는 점차 증가 또는 격막(24)이 공동림들(29b, 30b)위에서 동일한 깊이로 굽혀지고 각 림으로부터 단일화된 거리(x)를 유지함에 따르는 2개의 공동 구멍들 각각에서의 마찰로 인하여 정확히 동일한 감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보정이미터.
- 제 22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각 공동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입구공들(29, 29d, 도 17), 작은 찬넬들(29f, 29g)을 가진 2개 또는 그 이상의 출구구멍들(29a, 29e, 도 17)을 가지는 데 각 그룹의 구멍의 림들 높이는 구멍마다 다른 이미터.
- 유량을 제한하는 미로형유로 및 단일 주 구멍이나 찬넬의 압력보정공동을 가지거나 또는 없는 자기보정선형 또는 원통형이미터에 있어서 제 2의 보조구멍이나 또는 다른 림높이를 가진 찬넬이 존재한 이미터.
- 제 22~24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공동들(31, 33)의 구멍들 짝의 위치에서 찬넬짝(29, 29a)들이 나타나며 2개의 경사림을 가진(36, 37)각주형상 사이에서 형성된 이미터.
- 제 22~25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공동들(31, 33)은 격막들(24, 24d)에 의해서 양측으로부터 덮여 있는 이미터.
- 제 22~25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이미터의 몸체와 공동들(31, 33, 34)은 원통형인바 이러한 공동들은 동일한 두께(△W)를 가지고 있음으로 길이(L1, L2)들은 출구쪽을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되거나 또는 길이(L1, L2)는 동일하며 두께(△W)는 출구쪽을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증가되는데 여기에서 이미터의 물의 유입은 도관의 내면과 이미터의 날들(40) (Blades)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변동공간을 가진 원통형 이동여과기를 거쳐서 그 주변을 따라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이러한 여과기는 이미터주변의 일부만을 점유할 수 있는 이미터.
- 직경(D1)의 물유입구글 가진 자기보정이미터에 있어서 그의 끝에는 평탄면(19c)이 평탄면(19c)과 공동들을 덮는 평탄격막(24)을 가진 공동들내로의 물유입유출을 위하여 공동들과 구멍들 또는 찬넬들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이미터는 림(19d)과 직경 D2(D2/D1 2)를 가진 평탄면(19c)이 유량의 보정을 위한 한개 또는 그 이상의 공동들 전에 위치해 있으며 연속적(17, 31, 32 도 22)으로 배열되어 있거나 또는 미로형 유량제한유로(32, 도 24)전에 위치하는데 여기에서 격막과 평탄면 및 림(19d) 사이의 물의 유량은 물의 압력에 압력강하를 일으키며 이러한 감압은 격막 뒤 공간(45, 도 22)에는 물론이고 다음의 공동들(17, 31, 33)에도 전달되는 이미터.
- 제 28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격막(24) 뒤의 공간은 2개의 유리된 공간들(45, 45a)로 분리되며 여기에서 제 2공간(45a)에 작용하는 압력은 제 1공간(45)에 작용하는 압력보다 낮게 되는 이미터.
- 제 22~29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물의 유입은 공동림과 공동평탄면(19c, 도 26)을 가진 다수의 구멍들(19)에 의하여 이루어진 이미터.
- 제 28~30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평탄면(19c)과 격막의 평탄면은 요철구형면들로 대체되거나 또는 양면들은 평탄하나 림(19d)이 없거나 또는 D2/D12인 이미터.
- 제 28~31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교축면(19c)을 지나서 최소한 하나 미로형유로나 또는 하나의 공동 또는 보정을 위한 배열이 따른 이미터.
- 제 28~32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2개의 독자격막들이 존재하는데(24d 24e, 도 25) 그의 첫번째것은 적어도 림(19c) 도는 림(19c)과 미로형유로와 유량보정공동들이나 배열을 덮으며 한편 두번째것은 유량보정공동들이나 또는 배열을 덮는 이미터.
- 제 22~23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2개 구멍들이나 또는 2개 찬넬들을 가진 하나만의 공동 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림높이를 가진 하나의 구멍과 하나의 찬넬이 미로형유로의 유무에 무관하게 존재하는 이미터.
- 제 22~33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림들 또는 공동들의 밑으로부터의 거리(X)는 그때 그때 모든 림이나 저부에 대하여 꼭 같지가 않으며 여기에서 압력강하는 각 공동의 2개구멍들-림들에서 같지가 않으며 공동들의 치수들(L, W)은 출구로 전진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되지 않으며 공동들의 깊이는 출구로 전진함에 따라서 점차로 증가되지 않으며 구멍들은 다른 치수들을 가진 이미터.
- 노즐과 구멍을 가진 이미터의 물유입구의 여과장치에 있어서, 그의 단부에는 하나의 면이 형성되며(19c, 도 25c), 면(19c, 도 25c) 또는 유량보정공동(33, 도 25d)을 덮는 격막(24a)을 가지고 있는 바 격막(24e) 밑에는 한개의 피스톤이 있으며(54) 이는 그의 단부에 유연한 디스크(55)를 가지고 있어서 격막이 올려져서 면(19c), 도 25c)의 상부위치로 복귀할 때나 그것이 공동(33)위에서 굽힐 때 이물질입자들을 제거하는 디스크(55)와 노즐간에는 상대운동이 존재하는 이미터.
- 물의 입출구 미로형유로(31), 각주형상(31a, 도 28) 및 격막(24)을 가진 자기보정이미터에 있어서 각주형상들(31a, 도 28)은 이미터축에 평행한 축을 가진 요부원통형 표면(16b)에 새겨지며 격막(24, 도 28) 두께는 이미터의 출구를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점차로 증가하거나 또는 베이스의 깊이는 출구쪽을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점차 증가됨으로 감압이 격막 아래서 이루어지며 저부로부터의 격막거리 f는 그의 전장에 걸쳐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보정이미터.
- 물유입 유출구와 미로형유로(31), 각주형상(31a, 31b, 31c, 도 29), 수직변들(53) 및 일정한 두께의 격막(24, 도 29)을 가진 자기보정이미터에 있어서 각주형상(31a, 31b, 31c)들은 유로밑을 거의 접하는 1개의 창생선, 점들(A1, B1, C1)로부터 통과하는 2개의 다른 창생선들을 가진 원추형면내에 새겨지는 바 유로(31)의 수직변들(53)은 이미터의 출구쪽으로 향하여 좁아짐으로 작동중에 저부로부터 격막의 거리는 그의 전장에 걸쳐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보정이미터.
- 제 38항에 따르는 자기보정이미터에 있어서, 유로(31)의 수직변들(53, 도 30)은 평행하며 그들의 깊이는 출구(30)를 향하여 전진함에 따라서 점차 커지며 점(A, B, C)에 의하여 정해진 2개의 창생선들은 유로(31, 도 30)의 외부 또는 내부를 통과하는 이미터.
- 제 1~39항에 따르는 이미터에 있어서, 이미터 몸체들은 탄성중합재로 제조되며 또는 격막들은 평탄하지 않거나 또는 이미터들과 동 장치들의 형상은 이들의 온라인 (On-Line) 또는 인라인(In-Line)의 위치설정이 가능하도록 적절히 변형이 되는 이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R950100043 | 1995-02-07 | ||
GR950100043A GR1002403B (el) | 1995-02-07 | 1995-02-07 | Νεες μορφες σταλακτων. |
PCT/GR1996/000004 WO1996024243A1 (en) | 1995-02-07 | 1996-02-07 | New emitter unit form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702016A true KR19980702016A (ko) | 1998-07-15 |
Family
ID=6617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705411A KR19980702016A (ko) | 1995-02-07 | 1996-02-07 | 신규 이미터 유니트 포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702016A (ko) |
-
1996
- 1996-02-07 KR KR1019970705411A patent/KR199807020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124830C1 (ru) |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уемого ограничителя расхода для капельного орошения | |
RU2370946C2 (ru) | Капельный водовыпуск в форме диска | |
KR100258835B1 (ko) | 유동방출기설비, 유동방출기 설비몸체 및 그것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 |
US5605339A (en) | Non-contacting mechanical face seal | |
US3930746A (en) | Outlet diffusor for a centrifugal compressor | |
AU602981B2 (en) | One-piece in-line pressure compensating drip irrigation emmiter | |
US4307841A (en) | Drip irrigation system | |
EP3451108B1 (en) | Pressure regulator having single strut seat with strut coaxial to plunger | |
BRPI0520829B1 (pt) | Regulador de fluxo de fluido | |
EP0284404B1 (en) | Filter disc | |
JP2016220577A (ja) | エミッタおよび点滴灌漑用チューブ | |
EP2424682A1 (en) | Internally pressure compensated non-clogging drip emitter | |
WO1997018411A1 (en) | Flow rate stabilizer for throttling valves | |
CN103053387B (zh) | 一种毛管进口流量调节器 | |
EP1060308B1 (en) | Roll for a paper or board machine | |
CN1093921C (zh) | 圆周泵 | |
KR19980702016A (ko) | 신규 이미터 유니트 포옴 | |
CN111102374A (zh) | 用于阀组件的流动调节器 | |
KR960003570B1 (ko) | 유량제어기 | |
CN114746244B (zh) | 用于过滤流体特别是具有杂质的塑料熔体的设备以及用于这种流体的阀装置 | |
USRE30720E (en) | Contoured supersonic nozzle | |
US3296662A (en) | Annular die | |
EP0814652B1 (en) | New emitter unit forms | |
KR101218325B1 (ko) | 용수 도관 | |
CN221075309U (zh) | 用于调节阀的阀笼和调节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