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1958A - 신규 제약 제형 - Google Patents

신규 제약 제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958A
KR19980701958A KR1019970705355A KR19970705355A KR19980701958A KR 19980701958 A KR19980701958 A KR 19980701958A KR 1019970705355 A KR1019970705355 A KR 1019970705355A KR 19970705355 A KR19970705355 A KR 19970705355A KR 19980701958 A KR19980701958 A KR 1998070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scarnet
poscarnet
cream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닐스-에릭 안델스 칼손
요한 게오르그 하르멘베르크
벵트 괴란 헤르스뢰프
안 하리에트 마가레타 크리스토프페르손
칼 스테판 룬트퀴스트
Original Assignee
클래스 빌헬름슨
아스트라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래스 빌헬름슨, 아스트라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클래스 빌헬름슨
Publication of KR1998070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61K9/1272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with substantial amounts of non-phosphatidyl, i.e. non-acylglycerophosphate, surfactants as bilayer-forming substances, e.g. cationic 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20Antivirals for DNA viruses
    • A61P31/22Antivirals for DNA viruses for herpes 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ir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physics (AREA)
  • On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락토리피드 및 극성 용매를 기재로 하는 담체와의 혼합물로 포스카르넷 및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국소 투여용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제약 조성물은 사람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적 처치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예방 및(또는) 치료적 처치용 의약의 제조에서의 상기 제약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 제약 제형
사람의 경우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은 여러 가지 사람 헤르페스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데, 그 중 가장 흔한 것은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및 바리셀라-조스터 바이러스이다. 동물 헤르페스바이러스 역시 많다.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또는 바리셀라-조스터 바이러스에 의한 일차 감염에 뒤이어, 바이러스는 환자의 남은 일생 동안 지각 신경 세포에 잠복하고 있으며 후속적으로 반복 재활성화될 수 있다. 신경 세포에서 재활성화된 다음에는, 바이러스는 신경을 따라 피부로 이동되고 뒤이어 병변이 발현한다.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의 한 특징은 바이러스 복제의 발발시 즉시 뒤따르는 염증이다. 염증은 발적, 부어오름, 가려움 및 통증을 포함하여 헤르페스바이러스 재발에 수반되는 모든 증상, 그리고 병변에 일조한다.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는 두 가지 혈청형, HSV 1형 (HSV-1)과 2형 (HSV-2)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그 임상적 발현 범위는 양성 자기한정성 구강안면 및 성기 감염에서부터 뇌염 및 전신적 신생아 감염과 같이 잠재적으로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까지이다.
구강-안면 HSV 감염증은 주로 HSV-1에 의해 유발된다. 아동기의 일차 감염 후에 바이러스는 잠복성이 된다. 재활성화 후에는 재발성 구강-안면 HSV 감염증이 진행되는데, 이것은 더욱 흔히는 단순포진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의 약 절반은 후속 병변의 위치에서 통증, 작열감 또는 가려움과 같은 전구적 증상을 경험한다. 이 상태는 일반적으로 신속히 자기한정되며 전형적인 에피소드는 첫 번째 증상으로부터 대략 10 일 이내에 치유될 것이다. 입술에서의 바이러스 복제는 초기에 개시되고 최대 바이러스 보유량은 재활성화의 개시 후 24 시간만에 얻어진다. 바이러스 농도는 그 다음에는 극적으로 감소되며, 전형적으로는 개시 후 70 내지 80 시간이 되면 바이러스를 분리해 낼 수 없다.
성기 HSV 감염증의 임상적 현상은 몇몇 중요한 예외가 있지만 구강-안면 감염증과 비슷하다. 성기 HSV 감염증은 HSV-2에 의해 가장 흔히 유발되며 일차 감염에 뒤이어 바이러스는 지각 또는 자율 신경절에 잠복 감염시킬 것이다. 재활성화는 성기 또는 그 부근에 헤르페스 감염에 특징적인 국부적 재발 병변을 만들어내게 된다.
바리셀라-조스터 바이러스(VZV)에 의한 일차 감염은 수두를 일으킨다. HSV와 마찬가지로 VZV는 일차 감염에 뒤이어 잠복성이 되며 일생 동안 나중에 대상포진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대상포진은 대개 피부 발진 및 강렬한 급성 통증을 초래한다. 환자 중 30%에게서는 통증이 연장되어 발진이 해소된 뒤에도 수 주일 또는 수 개월 동안 지속될 수 있다.
HSV 및 VZV는 점막 및 피부 현상 외에 눈에서 각막염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 질환 역시 재발하며 실명을 유발할 수도 있다.
사람 헤르페스바이러스에 대해 활성인 항바이러스제가 다수 있다. 그러나, 재발성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에는 이제까지 제한적인 임상적 성공만이 있어 왔다.
포스포노포름산 삼나트륨염의 육수화물 또는 소듐 포스포노포르메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인 포스카르넷(foscarnet)은 항바이러스 스펙트럼이 넓은 공지된 항바이러스제로 헤르페스 바이러스에서는 바이러스 DNA 폴리머라아제, 그리고 레트로바이러스에서는 바이러스 역전사효소의 직접적 억제에 의해 작용한다. 포스카르넷은 AIDS 환자의 경우에 CMV 망막염의 전신적, 즉 정맥내 처치를 위한 임상적인 사용을 승인받았다. 이 처치의 부작용은 신장 기능 손상뿐 아니라 기타,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의 치료에서는 용인될 수 있으나 면역 대응능력이 있는 환자의 양성, 자기한정성 재발성 HSV 감염증의 치료에서는 용인되기 힘든 증상들이다.
헤르페스 감염이 피부 또는 점막에 한정된 경우에는 국소 요법이 유리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활성 물질에 대한 신체의 노출을 감소시키고 피부의 바이러스가 복제되는 부분에서 보다 높은 농도에 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보다 높은 약물 농도를 허용할 것이다.
포스카르넷은 시험관내에서 모든 사람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대한 활성이 증명되기는 했으나 면역 대응능력이 있는 환자에서 재발성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국소 도포된 포스카르넷의 시험은 약한 정도의 성공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처치시 병변의 치유 시간은 대략 하루 정도 단축된다. 상기 시험에서 포스카르넷은 통상적인 크림 제형으로 도포하였다. 3% 제형의 포스카르넷의 국소 투여는 점막 또는 성기 부위의 피부의 자극을 유발하여 의료 행위를 고통스럽게 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강력한 항바이러스 효과 외에도 매우 낮은 정도의 조직 자극을 유도하는 포스카르넷 조성물을 찾아내는 것이다.
사람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에 의한 임상적 일차 감염증은 후속적인 재활성화된 감염증과는 많은 중요한 면에서 차이가 난다. 바이러스 발산 기간은 재활성화 감염 (구순 및 성기 감염증 모두에서 3-4일)과 비교할 때 일차 감염 (구순에서는 약 10 일 및 성기 감염에서는 3 주)에서 더 길다. 일차 감염에서는 바이러스 발산 기간이 끝난 다음에 병변이 수일 내로 치유될 것이지만 재활성화된 감염증의 경우에는 바이러스 복제가 멈춘 후에도 염증이 지속되어 임상적 증상은 또 한 주 동안 남아있을 것이다.
바이러스 증식의 감소가 그 자체로는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증의 임상적 경과를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을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항바이러스 약물이 임상적으로 시험될 때 재발성 구순복행진 또는 음부포진과 같은 재활성화 감염증에 비하면 일차 감염에 대해 더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놀라울 것이 없다. 재발성 HSV 감염증에서의 바이러스 발산 기간의 신속한 자기한정적 속성 때문에 항바이러스 약물을 사용하여 임상적 시도에서 얻어지는 단지 하루의 치유 시간 개선은 놀라운 것이 아니다.
여러 가지 다른 항염증제가 재발성 감염에 수반되는 염증을 치료하는 데 시험되었지만 제한된 성공만을 얻었다. 전통적으로, 각막염과 같은 눈의 염증 질환은 스테로이드로 치료해 왔다. 이 종류의 화합물이 헤르페스바이러스 복제를 촉진할 지도 모른다고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스테로이드는 심각한 경우에, 예를 들면 환자의 시력을 구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이 관행은 논쟁거리가 되어 왔다. 요약하면, 재발성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에서는 가장 강력한 항바이러스 약물로도 임상적인 성공을 거의 거두지 못하였다. 따라서,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증에 대해 유효한 약물 및 치료 방법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선행 기술
요캄의 문헌 [Jocham, U.E., Pharmaceutische Zeitung, Nr. 33, 1992. 8. 13, pp. 28-34]은 AIDS 환자에게서 눈의 헤르페스 감염증의 비침투적 치료를 위한 포스카르넷-리포좀의 사용 가능성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 환자는 이 항바이러스제의 강력한 자극 효과 때문에 현재 전신적으로 치료받고 있다. 리포좀상 담체에 든 활성 물질을 사용한 피부의 국소 치료는 활성 물질의 피부 각질층 속으로의 침투를 촉진하고 상기 활성 물질의 국소 농축을 가져올 것이라고도 언급되어 있다.
슈라이어 등의 문헌[Schreier, H. et al.,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30 (1994) pp. 1-15]은 리포좀 및 니오좀 내에 포위된 물질의 피부 및 경피 약물전달의 고찰이다. 리포좀 및 니오좀은 구체적으로 약물 이동을 조절하고 무독성 투과 증진제로 작용하는 능력으로 인해 다양한 피부 활성 화합물에 대해 유용한 투약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결론짓고 있다. 세라마이드, 즉 스핑고리피드로 제조된 리포좀이 인지질로 제조된 리포좀보다 피부 내로 침투하는 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 피부 바이러스 감염증, 구체적으로는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를 향상시키는 수단으로서, 피부 지질, 즉 주로 세라마이드 및 콜레스테롤과 함께 리포좀상으로 제제화된 인터페론-α의 침착을 평가하였는데 피부 심층으로 전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프루언스의 문헌[Spruance, S.L., Topical therapy of mucocutaneous herpesvirus infections, International Antiviral News, 1994. 6. 2., pp. 86-87]에서는 정상 숙주에서 재발성 구순복행진의 효과적인 국소 치료에 대한 탐색이 최적에 못미치는 약물 제제화와 초기 치료 개재의 필요에 대한 부적절한 평가에 의해 방해받아왔다고 보고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의 수성 크림 형태인 아시클로비어 제형이 구순복행진의 치료에 대한 아시클로비어의 승인을 이끌어내기는 했으나 보고된 결과는 부정적인 것이다. 현재는, 국소 도포된 항바이러스 화합물은 새로운 에피소드에 대한 환자의 첫 인식 직후에 온전한, 손상되지 않은 각질층을 투과할 수 있기 위해서 공격적인, 침투 증진 제형을 요구한다는 것이 명백하다고 이야기된다.
공격적인 증진제의 사용은 피부를 손상시키고, 자극 및 때로는 접촉성 알러지 또는 기타 감염증을 유발한다.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증의 효과적인 국소 치료법을 제공하기 위해 풀어야 할 첫 번째 문제는 충분한 양의 활성 물질이 각질층을 신속히 투과하게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문제는 활성 물질이 헤르페스바이러스의 복제가 일어나는 적절한 부위에, 즉 생활 표피에 축적되게 하는 것이다. 또다른 문제는 바이러스 복제에 뒤따르며 재발성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에 수반되는 증상의 원인이 되는 동인인 염증이다. 바이러스 복제가 억제되는 것과 동시에 염증을 치료할 수 있기 위해서는 포스카르넷을 항염증성 물질과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할 제형은 또한 피부에 자극이 없고 물리적으로 안정해야 한다. 이것은 포스카르넷 분자의 극도로 극성인 특성과 피부 및 점막에 도포되었을 때의 가능한 자극성으로 인해 포스카르넷의 경우에는 달성하기가 어려웠다. 수용성인 포스카르넷이 덜 극성인, 불용성 항염증성 물질과 결합될 수 있는 담체 제형을 발견하는 것도 문제가 되어 왔다.
현재로는 포스카르넷의 국소 투여를 위한 효율적인 제형이 없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서는 놀랍게도 위에 서술한 문제들이 갈락토리피드 및 극성 용매를 기재로 한 담체와의 혼합물 형태인, 포스카르넷과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을 통해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제약 조성물은 겔 또는 기타 구조물, 예를 들면 이중쇄 이중층 형성 극성 갈락토리피드 및 극성 용매에 의해 형성된 리포좀에 분산, 용해 또는 포위된 포스카르넷과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조합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조성물은 자극적이지 않고, 피부를 신속히 투과하며, 생활 표피에 포스카르넷의 축적을 증진시키고, 포스카르넷을 고농도로 지속시키며,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안정하다. 이 조성물은 또한 피부 또는 점막에 항염증제를 제공하여 염증성 증상을 완화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담체로서 극성 용매와 함께 사용되는 갈락토리피드는 생활 표피로의 포스카르넷의 부위 지향적인 전달을 제공하고, 그럼으로써 최소한의 악영향으로 환부에 최대치의 약물 농도를 부여한다. 국소 투여에 적절한 점질 제형은 부가적인 부형제를 첨가하지 않고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포스카르넷은 포스포노포름산 삼나트륨염의 육수화물 외에 수화 또는 비수화 형태의 포스포노포름산의 다른 제약상 허용되는 염, 에스테르 또는 기타 유도체 역시 일컫는다.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인, 천연 또는 합성 국소용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일 수 있다. 이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보다 낮은 효력, 저효력 또는 약한 효력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해당하는, 북구 국가에서 사용되는 국소용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분류 체계에 의거하여 I-III 군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중 어느 것에서나 선택될 수 있다. 글루코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예는 알클로메타손, 아미시노나이드, 베클로메타손, 베타메타손, 부데소나이드, 시클레소나이드, 클로베타손, 클로코르톨론, 클로프레드놀, 코르티손, 데소나이드, 데속시메타손, 덱사메타손, 디플로로산, 디플루코르톨론, 디플루프레드네이트, 플루드로코르티손, 플루드록시코르티드, 플루메타손, 플루니솔라이드, 플루오시놀론 아세토나이드, 플루오시노나이드, 플루오코르틴, 플루오코르톨론, 플루프레드니덴, 플루티카손, 할시노나이드, 할로베타솔, 할로메타손, 히드로코르티손, 메틸프레드니솔론, 모메타손, 파라메타손, 프레드니솔론, 프레드니카르베이트, 프레드니손, 프레드닐리덴, 로플레포나이드, 티프레단 및 트리암시놀론 및 적용가능한 경우에는 이들의 에스테르, 염 및 용매화물, 즉 수화물이다.
바람직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히드로코르티손, 알클로메타손, 데소나이드, 플루프레드니덴, 플루메타손, 히드로코르티손 부티레이트, 클로베타손,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베타메타손, 부데소나이드, 데속시메타손, 디플로로산, 플루오시놀론, 플루오코르톨론, 플루티카손,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 모메타손 및 로플레포나이드이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포스카르넷과 히드로코르티손으로 이루어진 제약 조성물인데 다른 한 실시태양에서는 제약 조성물이 포스카르넷과 부데소나이드로 이루어진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헤르페스바이러스-자극 효과 때문에 개별 성분의 최적 투여량을 규정하는 데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투여량이 지나치게 높으면 항바이러스 물질, 즉 포스카르넷에 의해 억제할 수 없는 정도까지 바이러스 증식을 자극할 지도 모른다. 이 투여량이 지나치게 낮으면 목적하는 염증 증상의 저감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두 가지 활성 물질 사이의 상호 관계는 물질의 조합이 다르면 다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에서 포스카르넷의 상대적인 양은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3-5 중량% 범위내일 수 있다.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농도는 개별 화합물의 효력에 따라 0.005-3 중량% 범위내일 수 있다. 포스카르넷과 히드로코르티손의 조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은 0.1-5%의 포스카르넷, 바람직하게는 0.3-3%, 및 0.25-1%의 히드로코르티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갈락토리피드는 50% 이상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지며 그 나머지는 다른 극성 지질이다.
바람직한 조성물에서, 갈락토리피드 물질은 약 70-8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및 20-30%의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진다.
다른 한 바람직한 조성물에서, 갈락토리피드 물질은 최대 10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진다.
갈락토오스를 기재로 한 아실글리세롤 두 종류가 매우 흔한데, 이것은 모노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과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이다. 흔히 사용되는 약자는 각각 MGDG 및 DGDG이다.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은 하기 화학식 1로 설명할 수 있다.
식 중, R1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 원자 10 내지 22 및 이중 결합 0-3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잔기, 또는 수소이고, R3는 히드록실 또는 술포네이트기이다.
지방산 잔기 R1및 R2의 바람직한 예로는 천연 지방 아실기, 예를 들면 포화산인 팔미트산(C15H31CO, 16:0) 및 스테아르산(C17H35CO, 18:0), 모노불포화산인 올레산(C17H33CO, 18:1), 및 폴리불포화산인 리놀레산(C17H31CO, 18:2) 및 리놀렌산(C17H29CO, 18:3)으로부터 나온 잔기와 같은 것을 언급할 수 있다. 지방산 잔기는 히드록실기가 또다른 지방산에 의해 에스테르화된 상태로 글리세롤 잔기에 연결된 히드록시산, 소위 에스톨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갈락토리피드 물질의 구체적인 성분비는 DGDG의 함량이 50% 이상인 한 본 발명에서 중요하지 않다. 그러나 많은 용도에서는 가장 중요한 이중층 형성 성분인 DGDG의 함량이 높을 때 최대의 이익이 구현된다.
갈락토리피드 물질은 거의 어느 종류의 식물성 원료에서나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식물성 원료는 알곡 및 곡류, 예를 들면 밀, 호밀, 귀리, 옥수수, 벼, 기장 및 참깨에서 얻어지는 씨앗 또는 과핵이다. 귀리 낟알 및 밀 글루텐은 지질 농도가 높고 그에 따라 제조 공정에 사용하기에 유리하다. 갈락토리피드 물질 중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은 적용가능한 경우에는 합성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식물 원료로부터 갈락토리피드, 특히 DGDG의 소규모 단리는 공지되어 있으며 문헌에 보고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mg 내지 g 정도의 식물 지질 추출물을 박층판 또는 실리카 칼럼에서 클로로포름, 메탄올 및 아세톤을 함유한 용매계로 분리시킨다.
갈락토리피드는 통상적인 추출 및 흡착 또는 대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식물로부터 산업적 규모로 얻을 수 있다. 조 식물 추출물을 정지상으로 흡착제를 함유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칼럼에 얹고, 비극성 지질을 극성과 비극성 용매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용출시키고, 다음으로 더 극성인 용매 혼합물을 사용하여 DGDG를 주로 함유하는 갈락토리피드 물질 분획을 용출시킨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갈락토리피드에 대한 물 또는 글리세롤과 같은 다른 극성 용매의 첨가는 종종 이중층 구조로 불리는 층상 지질-물 구조의 형성을 초래할 것이다. 본 발명의 극성 지질은 다량의 물 또는 수성 용액 또는 기타 극성 용매를 함유, 즉 팽윤할 수 있다. 갈락토리피드의 특히 양호한 고유 팽윤성 때문에 계면활성제 또는 유기 용매와 같이 물이 아닌 다른 화학 물질의 존재 없이도 리포좀성 분산액을 형성시키는 것이 놀라우리만치 쉽다. 리포좀을 만드는 과정은 단지 갈락토리피드 물질에 과량의 물 또는 극성 액체 첨가, 팽윤 및 온화한 진탕 또는 교반으로 이루어진다. 다중층 소포로 이루어진, 얻어진 분산액, 즉 리포좀은 응집 및 그에 따른 침강에 대해 극도로 안정하다.
갈락토리피드의 부분이 되는 다른 극성 지질은 MGDG 및 포스파티딜콜린과 같은 여러 가지 당- 및 인지질의 혼합물이다. 조성은 출발 물질과 갈락토리피드의 제조에 사용된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극성 용매는 물 및 수성 용액, 예를 들면 완충액 및 염수, 또는 임의의 다른 통상적 용매, 예를 들면 에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코푸롤, 메틸 피롤리돈, 트랜스쿠톨이 될 수 있다. 그렇지만 물이 바람직한 용매이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며 제제의 내용물과 상용성인 여러 가지 첨가제 또는 부형제 역시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농후화제, 방부제, 항산화제, 색소, 향미제, 그 외에 다른 활성 물질, 예를 들면 비타민 A 산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 특히 HSV-1, HSV-2 및 VZV의 피부, 점막 또는 눈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적 처치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조성물은 재발성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포스카르넷이 효과를 보이는 모든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 및 다른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이 본 발명의 조성물로 치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포시 육종, KS는 국부적 성장 및 궁극적인 전이를 특징으로 하는 다중 병소형, 폴리클론 과형성성 신생물이다. 새로운 사람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최근 KS 병변에서 검출되었으며 원인성 동인인 것으로 제안된 바 있다. 임상 시험에서 일부 환자는 포스카르넷을 사용한 정맥내 치료에 반응하였다. 피부 KS 병변은 국소 도포에 의해 적절히 처리될 수 있을 것이다.
국소적으로, 즉 주로 온전한 피부에, 피부적으로, 그리고 눈에, 안용으로, 뿐만 아니라 역시 점막 표면에, 설하, 직장 및 질내로 투여할 수 있다. 치료에 특히 중요한 부위는 온전한 피부가 비뇨생식기 및 소화관과 마주치는 곳이다. 국소용 조성물은 반창고, 스틱 또는 펜에 함유시킬 수 있는 크림, 로션, 겔 또는 연고일 수 있다.
국소 투여의 한 이점은 바이러스성 피부 질환을 표준적인 정맥내 치료에서보다 전신적 노출이 훨씬 낮게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보통의 HSV 재발은 전형적으로 약 100 mg의 국소용 제제로 치료되는 것으로 추산할 수 있는데 이것은, 5% 포스카르넷 크림을 사용한다면, 약 5 mg의 포스카르넷을 함유한다. 이전의 연구는 국소적으로 도포된 포스카르넷 양의 최대 5%가 전신 순환으로 들어가서 도포 당 0.25 mg에 해당하는 것으로 밝힌 바 있다. 이것은 표준적인 정맥내 포스카르넷 치료의 경우에 일일 약 10 g인 승인된 투여량과 비교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의 국소 투여는 바이러스 복제 부위, 즉 생활 표피로의 활성 물질의 전달 개선을 가져오면서 동시에 포스카르넷의 전신적 분포를 감소시키고 염증의 증상을 완화시킬 것이다. 그 밖에도, 조직 자극의 정도가 광범위하게 저감될 것이다. 상기 국소 투여의 효과는 보다 좋은 약리학적 효과를 초래하였다.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피부, 점막 또는 눈의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적 처치 방법은 포스카르넷 및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치료 유효 투여량의 결합 또는 순차적 국소 투여로 이루어진다. 상기 처치는 일일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회의 투여로 이루어진다.
재발성 감염증의 치료적 처치는 바이러스 복제 기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전구적 증상의 첫 출현때로부터 적어도 3-4일의 기간 동안 이루어져야 한다. 제제를 에피소드 내내 매 2 시간마다 또는 즉흥적으로 도포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병변은 동일한 방식으로 치료되어야 한다. 예방적 처치는 정기적으로 재발하는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 택할 수 있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제는 첫 증상이 출현하기 전에 재발이 예상되는 부위에 도포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중에 항염증제와 함께 있는 포스카르넷으로 이루어진 국소 투여용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헤르페스바이러스 및 기타 피부 내에서 복제되는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적 처치에, 뿐만 아니라 포스카르넷과 항염증제의 조합물이 효과를 보일 수 있는 다른 피부 병소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감염 후 2일 째의 면역의 양자 이입 후 목-감염 Balb/C 생쥐 (n=10)의 이개 중 평균 HSV-타이터에 대한 감염 후 4-7일에 위약과 비교한 부데소나이드 및 포스카르넷 + 부데소나이드를 사용한 국소 처치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2는 감염 후 2일 째의 면역의 양자 이입 후 목-감염 Balb/C 생쥐 (n=12)의 평균 귀 부어오름에 대한 감염 후 4-7일에 위약과 비교한 포스카르넷 및 포스카르넷 + 부데소나이드를 사용한 국소 처치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3은 감염 후 2일 째의 면역의 양자 이입 후 목-감염 Balb/C 생쥐 (n=10)의 평균 귀두께에 대한 감염 후 4-7일에 위약과 비교한 포스카르넷 및 포스카르넷 + 히드로코르티손을 사용한 국소 처치의 효과를 보여준다.
도 4는 감염 후 2일 째의 면역의 양자 이입 후 목-감염 Balb/C 생쥐 (n=10)의 평균 병변 점수에 대한 감염 후 4-7일에 위약과 비교한 포스카르넷 및 포스카르넷 + 히드로코르티손을 사용한 국소 처치의 효과를 보여준다.
제약 조성물
실시예 1. 포스카르넷 3% 크림
포스카르넷 크림은 문헌[Alenius, S. et al., Therapeutic effects of foscarnet sodium and acyclovir on cutaneous infections due to herpes simplex virus type 1 in guinea pigs, J. Inf. Des. 1982, 145, 569-73]에 기재된 대로 제조하였다. 이하에서 포스카르넷 함량이 3%이고 조성이 아래 제시된 바와 같은 상기 크림을 포스카르넷 크림으로 지칭한다.
트리소듐 포스포노포르메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30 (mg)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44 (mg)
세틸 알코올 20 (mg)
스테아르산 20 (mg)
파라핀액 20 (mg)
프로필렌 글리콜 20 (mg)
글리세롤 15 (mg)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0.7 (mg)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0.3 (mg)
물 합계 1000 (mg)까지
포스카르넷이 없는 크림 기제를 위약 크림으로 사용하였다. 0.3-3% 포스카르넷 및 0.25-1% 히드로코르티손 크림의 제조를 위해 위약 크림에 포스카르넷을 3-30 mg의 양으로, 그리고 미분 히드로코르티손을 2.5-10 mg의 양으로 가할 수 있다.
실시예 2. 부데소나이드 0.0125% 및 포스카르넷 1.5% 크림
포스카르넷 크림과 부데소나이드 크림 (0.025%, Preferid(등록상표), Gist-Brocades, 네델란드)을 단순히 혼합함으로써 다음 조성의 복합 크림을 얻었다.
부데소나이드 0.125 (mg)
트리소듐 포스포노포르메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15 (mg)
시트르산나트륨 0.6 (mg)
시트르산 0.3 (mg)
소르빈산 0.3 (mg)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30 (mg)
파라핀액 3 (mg)
세토마크로골 1000 6 (mg)
백색 연파라핀 15 (mg)
알라톤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31 (mg)
세틸 알코올 14 (mg)
스테아르산 14 (mg)
광유 14 (mg)
프로필렌 글리콜 14 (mg)
글리세롤 10.5 (mg)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0.43 (mg)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0.19 (mg)
수산화나트륨 2 M*
염산 2 M*
물 합계 1000 (mg) 까지
*: pH를 7-8로 조절하기 위한 것
실시예 3. 포스카르넷 1.5% 및 리도카인 1% 크림
포스카르넷 크림 (3%)과 리도카인 크림 (2%, Xylocain(등록상표), Astra AB, 스웨덴)을 단순히 혼합함으로써 다음 조성의 복합 크림을 얻었다.
리도카인 10 (mg)
트리소듐 포스포노포르메이트 헥사하이드레이트 15 (mg)
미글리올 812 27.6 (mg)
알라톤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44.2 (mg)
카르복시폴리메틸렌 2 (mg)
세틸 알코올 16 (mg)
스테아르산 16 (mg)
광유 16 (mg)
프로필렌 글리콜 16 (mg)
글리세롤 12 (mg)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0.49 (mg)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0.22 (mg)
수산화나트륨 2 M*
염산 2 M*
정제수 합계 1000 (mg)까지
*: pH를 7-8로 조절하기 위한 것
실시예 4. 히드로코르티손 1% 크림
히드로코르티손 10 (mg)
메틸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2.0 (mg)
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 0.5 (mg)
글리세롤 0.03 (mg)
에탄올 5 (mg)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50 (mg)
암피솔 10 (mg)
파라핀 30 (mg)
파라핀, 액 40 (mg)
마크로골 스테아레이트 100 (mg)
세틸 알코올 50 (mg)
물 합계 1000 (mg)까지
이 크림은 스웨덴 카비 파마시아 에이비(Kabi Pharmacia AB)사에서 Hydrocortison kraem 1% ACO로 구입할 수 있다.
실시예 5. 갈락토리피드 기재 담체 중의 포스카르넷 1.75% 및 히드로코르티손 0.5% 크림
국소 투여용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제제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포스카르넷 1.74 중량%
히드로코르티손 0.51 중량%
갈락토리피드 29.0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13.4 중량%
에탄올 13.4 중량%
물 합계 100.0 중량%까지
포스카르넷 (즉 포스포노포름산의 삼나트륨염, 육수화물, 스웨덴 Astra AB사에서 구입)을 물에 4.00%의 농도로 용해시켰다. 히드로코르티손 (미국 Sigma Chemical Co.)을 70℃에서 에탄올과 PEG 400의 1:1 (중량비)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갈락토리피드 (귀리 알곡에서 얻어지고 지질 종류 조성이 70% DGDG와 30% MGDG 및 인지질을 포함한 기타 극성 지질로 된 갈락토리피드, 메틸 에스테르로서 GC에 의해 측정한 지방산 잔기 조성은 21% C16:0(팔미트산염), 3% C18:3(리놀레네이트) 및 5% 기타 지방산에서 온 잔기이고 스웨덴 Scotia LipidTeknik에서 제조한 것) 양 중 반을 따뜻한 에탄올:PEG 400 용액에 균질한 분산액이 얻어질 때까지 가하였다. 이 지질 분산액을 70℃로 가열한 다음 포스카르넷 용액을 격렬히 흔들면서 가하였다. 갈락토리피드 나머지를 가하고 균질한 분산액이 얻어질 때까지 혼합물을 다시 고전단 혼합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에는 미세한 점성 지질 분산액이 얻어졌다. 여기에는 극성 용매 혼합물에 용해된 포스카르넷 및 미세하게 현탁된 히드로코르티손 입자가 함유되어 있었다.
갈락토리피드로부터 형성된 리포좀 및 기타 이중층 구조는 인지질로부터 얻어진 대응 구조에 비하여 다수의 이점을 지닌다. 갈락토리피드는 인지질보다 많은 물을 함유하고, 또한 인지질보다 가수분해에 대해서도 더 저항성이다, 즉 갈락토리피드 제제는 보다 화학적으로 안정하다. 수팽윤 및 열 안정성은 다음 시험으로 증명되었다.
수팽윤 성질을 예증하는 비교 제제
인지질인, 대두에서 얻어진 포스파티딜콜린 중 2.4% 포스카르넷을 제제하고 상기 제제 4 및 5에서와 대략 동일한 점도를 얻기 위해서는 각각 대략 30 및 40%의 인지질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것은 갈락토리피드가 인지질보다 더 많은 물을 함유하며 갈락토리피드로 된 겔이 더 점성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갈락토리피드 겔과 동일한 점도의 인지질 겔을 얻기 위해서는 상당히 더 많은 양의 인지질을 사용해야 했다. 이것은 더 소량의 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이것은 또 제제에 더 소량의 항바이러스 화합물이 용해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생물학적 시험
시험 1. 시험관내에서 갈락토리피드 중 포스카르넷의 피부 투과
포스카르넷이 각질층을 침투하고 또 각질층 아래에 있는 피부층에 축적되는 능력에 대한 배합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돼지의 온전한 피부를 사용하여 시험관내 모델을 개발하였다. 실험 모델 및 그 결과는 아래에 서술하였다.
새로이 도살된 돼지에서 나온 피부를 사용하였다. 아래에 있는 조직을 칼로 조심스럽게 제거하고 후속적으로 피부를 0.9% NaCl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 최종적으로 피부 조각을 포일에 싸서 -28℃에서 냉동보관하였다.
확산 셀은 공여부 및 수용부로 이루어진 유리로 된 것이었다. 피부를 이들 두 격실 사이에 놓고 금속 집게로 고정시켰다. 제제와 접촉하는 공여 격실의 표면적은 3.14 cm2이고 부피는 대략 2 ml였다. 수용 격실은 용량이 28-29 ml였으며 시료채취를 돕는 연결 튜브와 실험중 온도를 조절하는 재킷이 장치되어 있었다.
돼지 피부를 해동시키고, 건조시킨 다음 적당한 크기로 잘랐다. 피부 조각을 후속적으로 확산 셀에 올려놓았다. 수용 격실에는 0.9% NaCl 용액을 채우고, 피부의 아래쪽과 수용 격실의 용액 사이에 있는 기포를 모두 제거하는 데 주의를 기울였다. 용액은 자기 회전봉으로 계속적으로 교반하였으며 37℃로 유지하였다.
14C-포스카르넷의 세 가지 상이한 3% 제제를 시험하였는데, 3% 포스카르넷, 40% 갈락토리피드 및 나머지 물을 함유하는 제제 A 외에, 포스카르넷 외에 갈락토리피드 대신 동량의 인지질, 주로 스핑고미엘린, 그리고 물을 함유하는 제제 B, 그리고 포스카르넷 외에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아르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글리세롤과 같은 여러가지 증진제를 함유하는 통상의 크림 기제인 제제 C였다.
여러 가지 제제를 상이한 피부 조각의 표면측 표면에 50-100 mg의 양으로 도포하였다. 제제의 방사능을 각 실험의 시작시에 측정하였다. 3 시간 후에 피부 조각을 확산 셀에서 수거하고 각 수용 격실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시료를 신틸레이션 바이알에 넣고 신틸레이션 분광법으로 조사하였다.
피부 조각을 판 위에 올려놓고 점착 테이프 한 조각을 사용하여 피부를 벗겨내었다. 깊은 쪽의 피부층에 침투한 약물의 양은 남아있는 피부 조각을 마이크로톰을 사용하여 얇은 시이트로 잘라냄으로써 조사하였다. 이 시이트를 신틸레이션 바이알에 Soluence 350과 함께 넣어 밤새 용해되게 하였다. 신틸레이션 칵테일을 후속적으로 가하고 시료를 신틸레이션 분광법으로 조사하였다.
각 국소용 제제에 대해 각 피부 조각에 도포했을 때 포스카르넷의 농도를 각질층, 각질층 아래의 피부층 및 수용 격실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 흡수율로 나타낸 3 시간 후의 실험 데이터
확산 셀 번호·제제 각질층 각질층 아래의 피부층 수용 격실
A 1 96.27 3.42 0.31
2 96.60 2.80 0.60
3 98.49 1.31 0.20
평균치 97.12 2.51 0.37
B 1 99.51 0.41 0.08
2 99.07 0.86 0.07
3 98.95 0.94 0.11
평균치 99.18 0.74 0.09
C 1 97.31 1.93 0.76
2 97.56 1.52 0.92
3 96.33 3.01 0.66
평균치 97.07 2.15 0.78
이것은 포스카르넷의 부위 지향적 투여에 있어서 종래의 국소용 제제에 비해갈락토리피드 담체 중의 포스카르넷 제제가 향상되었음을 지시한다. 상기 시험으로부터, 포스카르넷의 피부 분포가 사용된 제제에 따라 다르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종래의 제제 C와 갈락토리피드 제제 A간의 비교가 특히 중요하다. 침투 실험 시작 후 3 시간이 되었을 때 비슷한 양의 포스카르넷이 제제 A 및 C로부터 각질층에 침투하였다. 그러나 제제 A에서는 포스카르넷의 피부 속으로의 비교적 신속한 침투에 헤르페스 바이러스의 복제가 일어나는 부위인, 생활 표피에 해당하는 영역, 즉 각질층 아래의 피부층 중에 약물의 현저한 축적이 뒤따랐다. 인지질 제제 B의 경우에 각질층을 지나는 포스카르넷의 침투가 더 느린 것 역시 증명되었다.
시험 2. 생체내에서 재발성 HSV-1 감염증에 대한 포스카르넷과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효과
일차 헤르페스 감염은 신속하고 비교적 오래 지속되는 바이러스 복제기 및 낮은 정도의 염증만을 일으키는 더 느리고 덜 뚜렷한 면역 반응을 특징으로 한다. 전형적인 일차 HSV 감염에서 바이러스의 발산은 약 20일 정도 계속되는 반면 재발성 감염증에서는 바이러스 발산이 단 3 또는 4일 후에는 중단된다 (Whitley, R.J. Gnann, J.W. The Human Herpesviruses 중, Roizman et al. 편, 1993). 보통의 재발성 HSV 및 VZV 감염증은 강하고 신속한 면역 반응 및 통증, 발적 및 부어오름과 같은 임상적 증상을 유발하는 염증을 특징으로 한다. 면역 반응은 또한 국부적인 바이러스 복제를 신속히 제한하며 전형적으로는 첫 증상 후 3-4일이면 병변에서 더 이상 바이러스를 단리할 수 없다. 재발성 HSV 또는 VZV 감염증의 임상적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새로운 종류의 동물 모델을 아래 설명한 것과 같이 사용하였다. 이 모델은 시험할 조성물의 투여 이전 동물의 면역 반응 유도를 포함한다.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증에 대한 동물 모델
신규 동물 모델에서는, 바이러스를 생쥐의 목에 접종하였다. 그러면 바이러스는 신경을 통해 대응하는 귀의 피부로 운반될 것이다. 이 운반은 대략 3-4일 걸릴 것이다. 2일 째에 감염된 바이러스에 대한 반응성을 가진 면역 세포를 동물에 주입하였다. 후속적으로, 바이러스가 귀에 도착하면 동물은 즉각 바이러스에 대해 효과적인 면역 반응을 기동시켜서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증의 임상적 상황을 모방한다.
사람 HSV-1 (2 x 105플라크 형성 단위(pfu), 주 C42 또는 SC16)을 문헌[Kristofferson et al., Limited efficacy of inhibitors of herpes simplex virus DNA synthesis in murine models of recrudescent disease, J. Gen. Virol. 1988, 69, 1157-66]에 기재된 바와 같이 10-18 마리로 된 근친교배 Balb/C 생쥐 (16-18 g)군의 목에 접종하였다. 그 다음 대상포진형 산포 감염의 진행을 이개 상의 병변 발생 및 귀의 부어오름을 매일 검사하여 기록하였다.
병변은 다음과 같이 0에서 4까지의 등급으로 채점하였다.
0: 귀 상의 병변 없음
1: 귀 상의 고립된 대상포진형 병변
2: 귀 상의 대상포진형 병변의 약한 궤양화
3: 귀 상의 대상포진형 병변의 중등도 궤양화
4: 귀 상의 대장포진형 병변의 심각한 궤양화
귀의 부어오름은 문헌[Kristofferson et al.]에 기재된 것과 같이 공학용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귀의 두께를 측정함으로써 조사하였다. 귀에서의 감염성 바이러스의 타이터는 BHK (새끼 햄스터 신장) 세포를 부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문헌[Kristofferson et al.]에 기재된 것과 같이 측정하였다.
감염 후 2일 째에 2 x 107림프절 세포를 꼬리에 정맥내 주입함으로써 동물에 HSV-1에 대한 면역의 양자 이입, ATI을 행하였다. 상기 림프절 세포는 HSV-1 (105pfu, 주 C42 또는 주 SC 16)을 마취시킨 암컷 Balb/C 생쥐 (16-18 g)의 양쪽 귀의 이개에 주사함으로써 제조한 것이었다. 감염 후 7일에 동물을 경부 변위로 히생시키고, 피가 떨어지는 림프절을 꺼낸 다음 마이크로메쉬를 사용하여 인산염 완충 염수 중의 림프절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ATI는 감염된 동물의 귀에서 바이러스 타이터와 함께 바이러스 발산 기간을 단축시킨다. 그러나 귀 부어오름 및 귀의 병변 점수는 ATI에 의해 증가된다. 부어오름은 염증에 대응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ATI가, 바이러스가 훨씬 더 신속하게 소멸되는 데에도 불구하고 염증 및 병변 점수를 악화시킨다는 것이 명백하다.
감염 후 4일 째 및 4일 동안 재발성 헤르페스에 대한 활성에 대해 시험할 조성물을 8 시간 마다 대략 25 mg의 크림량으로 귀 각 면에 동등하게 분포시켰다.
실험 1. 포스카르넷과 항염증성 물질의 복합 크림의 시험
부데노사이드 및 리도카인을 항염증성 화합물의 예로서 시험하기로 선택하였다.
포스카르넷 크림인 포스카르넷 크림은 실시예 1에 기재된 대로 제조하였다. 약물이 없는 크림 기제를 위약으로 사용하였다.
위에 설명한 크림 기제는 부데노사이드 크림 (0.025%, Preferid(등록상표), Gist-Brocades, 네델란드)과도 혼합하여 치료에 적당한 농도를 얻었다. 포스카르넷 (1.5%)과 부데노사이드 (0.0125%)의 복합 크림을 사용한 실험을 위해서는 크림들의 혼합에서 얻어지는 제제가 실시예 2에 설명되어 있다.
리도카인 크림 (2%, Xylocain(등록상표), Astra AB, 스웨덴)을 역시 포스카르넷 크림과 혼합하였으며 여기서 얻어지는 포스카르넷 (1.5%)과 리도카인 (1%)의 제제는 실시예 3에 설명되어 있다.
포스카르넷, 두 가지 항염증성 물질, 및 두 가지 복합 크림을 설명된 동물 모델에서 각 군을 동물 열 마리로 하여 시험하였다. 각각의 크림을 감염 후 4-7일에 하루 3회씩 도포하였다. 병변 점수와 귀 두께를 감염 후 4-12일, 15 및 21일에 기록하였으며 이 기간에 대해 평균 누적치 ± 표준 편차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위약에 비교한 백분율을 괄호에 넣어 (위약 처치된 동물에 대한 값을 100%로 설정)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위약 처치된 동물과 현저히 다른 값은 별표로 표시하였다 (p=0.0001).
제제 처리된 값 ± 표준 편차 (위약의 %) 병변 점수 처리된 값 ± 표준 편차 (위약의 %) 귀 두께 (mm)
위약 9.2 ± 1.6 (100) 3.6 ± 0.3 (100)
포스카르넷 7.5 ± 2.5 (82) 3.0 ± 0.4 (83)
부데노사이드 8.8 ± 1.8 (96) 2.1 ± 0.4 (58)*
리도카인 9 ± 2 (98) 3.6 ± 0.3 (100)
포스카르넷 + 부데노사이드 5.3 ± 0.8 (58)* 1.6 ± 0.1 (45)*
포스카르넷 + 리도카인 9 ± 1.5 (98) 3.5 ± 0.3 (97)
부데노사이드 크림 역시 누적 귀 두께를 위약 처리된 동물의 58%까지 감소시켰으나, 리도카인 크림은 효과가 없었다. 포스카르넷과 부데노사이드의 조합물은 귀 두께를 위약에 비해 58%까지 감소시켰다. 포스카르넷과 리도카인의 조합물은 귀 두께 또는 병변 점수에 영향을 전혀 끼치지 않았다.
부데노사이드의 국소용 제제를 사용한 처치는 감염 후 7일 및 9일 째에 귀 중의 바이러스 타이터를 위약 처치와 비교하여 100배 내지 1000배 증가시켰다 (도 1). 더욱 구체적으로는, 귀 중의 바이러스 타이터는 위약 또는 부데노사이드 크림에 반해 조합물을 사용하였을 때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도 1). 포스카르넷과 부데노사이드의 조합물로 처치된 동물에서는 감염 후 7일에 바이러스를 전혀 검출할 수 없었다.
놀랍게도, 포스카르넷과 부데노사이드의 국소적 복합제가 개별적으로 시험되었을 때의 포스카르넷 크림 및 부데노사이드 크림과 비교할 때 효능이 우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도 1, 2). 이 결과는 포스카르넷과 부데노사이드의 복합제가 위약, 포스카르넷 크림 단독 및 부데노사이드 크림 단독보다 염증 (귀 두께로 측정한 것) 및 병변 점수 면에서 뛰어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특히 놀라운 일인데, 부데노사이드 크림 단독으로는 위약에 비해 바이러스 성장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실험 2. 포스카르넷 크림과 항염증성 크림의 순차적 시험
이 실험은 동일한 동물 모델을 각 군을 10 마리로 하여 실험 1에서 얻어진 결과를 확장하기 위해 행하였다. 포스카르넷과 항염증성 물질을 한 조성물로 혼합하는 것이 두 가지 활성 화합물에 대한 최적의 침투성을 갖는 제제를 만들어내지 않을 지도 모른다. 이 실험에서는 동물들을 2 시간 간격을 두고 두 가지 상이한 제제로 처치하였다. 먼저 포스카르넷 크림을 도포하고 2 시간 후에 항염증성 제제를 도포하였다. 이것을 치료 기간 (감염 후 4-7일) 동안 매일 3회 반복하였다.
시험된 물질 및 얻어진 결과, 즉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측정한 누적적 병변 점수 및 누적적 귀 두께를 위약에 비교한 백분율을 괄호에 넣어 (위약 처치된 동물에 대한 값을 100%로 설정)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위약 처치된 동물과 현저히 다른 값은 별표로 표시하였다 (p=0.0001).
활성 물질 (중량%) 평균 누적치 ± 표준 편차 (위약의 %) 병변 점수 평균 누적치 ± 표준 편차 (위약의 %) 귀 두께 (mm)
위약 5.7 ± 1.3 (100) 3.2 ± 0.3 (100)
포스카르넷 4.8 ± 2.0 (84) 2.8 ± 0.3 (88)
포스카르넷 + 부데노사이드 2.6 ± 1.0 (46)* 1.9 ± 0.2 (59)*
포스카르넷 + 히드로코르티손 2.5 ± 1.1 (44)* 1.7 ± 0.2 (53)*
포스카르넷 + 리도카인 10.8 ± 1.5 (189) 4.7 ± 0.4 (146)*
포스카르넷 + 케토프로펜 5.5 ± 1.4 (96) 2.9 ± 0.3 (91)
다음 물질들을 시험하였다: 포스카르넷 (3%, 포스카르넷 크림), 부데노사이드, (0.025%, Preferid(등록상표), Gist-Brocades, 네델란드), 히드로코르티손 (1%, Hydrocortison kraem 1% ACO, Kabi Pharmacia AB, 스웨덴), 리도카인 (2%, Xylocain(등록상표), Astra AB, 스웨덴) 및 케토프로펜 (2.5%, Oruvail(등록상표), Rhone-Poulenc Rorer A/S, 덴마크).
포스카르넷 크림 단독으로는 위약에 비하여 병변 점수 및 귀 두께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작은 감소를 가져왔다. 포스카르넷 크림을 부데노사이드 크림 또는 히드로코르티손 크림과 조합으로 하면 포스카르넷 크림 단독 및 위약 크림 모두에 비해 명백히 우수하였다. 부데노사이드 크림과 병용한 포스카르넷 크림은 위약 처치된 동물에 비해 병변 점수를 46%로, 그리고 귀두께를 59%로 감소시켰다. 히드로코르티손 크림과 병용한 포스카르넷 크림은 위약 처치된 동물에 비해 병변 점수를 44%로, 그리고 귀두께를 53%로 감소시켰다. 리도카인 크림과 병용한 포스카르넷 크림은 병변 점수 및 귀두께를 각각 위약 처치된 동물의 189 및 146%로 악화시켰다. 케토프로펜 크림과 병용한 포스카르넷 크림은 병변 점수 또는 귀 두께 어느 쪽에도 효과가 없었다. 두 가지 다른 NSAID, 즉 인도메타신 (1%, Amuno(등록상표) Gel, MSD Sharp Dohme GmbH, 독일) 및 디클로페낙 (1.16%, Voltaren(등록상표) Emulgel, Ciba-Geigy GmbH, 독일) 역시 시험하였지만 결과는 독성 부작용으로 인해 해석할 수가 없었다. 이러한 부작용은 아마도 NSAID가 지나치게 다량으로 전신에 흡수되어 일어났을 것이다.
앞서 논의한 바와 같이, 부데노사이드 크림은 상기 동물 모델에서 위약에 비해 바이러스 보유량을 강력히 증가시켰다 (도 1). 부데노사이드의 이 효과는 헤르페스 병변의 치료에는 유익하지 않다. 감염 후 7일 째에 처치된 동물의 귀에서의 바이러스 타이터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처치 귀에서의 바이러스 타이터 (log10pfu/ml) ± 표준편차, 7일 째
ATI-, 위약 5.46 ± 0.35
ATI+, 위약 4.41 ± 0.09
ATI+, 포스카르넷 3.25 ± 0.49
ATI+, 포스카르넷, 히드로코르티손 2.99 ± 0.28
ATI+, 포스카르넷, 케토프로펜 2.62 ± 0.51
ATI+, 포스카르넷, 부데노사이드 3.52 ± 0.16
ATI+, 포스카르넷, 리도카인 2.18 ± 0.51
포스카르넷 크림 단독으로는 7일 째에 바이러스 타이터를 위약 처치된 동물에 비해 약 10 배 감소시켰다. 히드로코르티손, 케토프로펜, 또는 리도카인 크림과 병용한 포스카르넷 크림은 포스카르넷 처치된 동물의 경우에서보다 더욱 낮은 바이러스 타이터를 얻게 해 주었다. 부데노사이드와 조합한 포스카르넷 크림에서는 7일 째에 포스카르넷 단독으로 처치된 동물의 경우에 비해서는 약간 높지만 위약 처리된 동물보다는 여전히 거의 10 배 더 낮은 바이러스 타이터가 나왔다.
위의 결과는 포스카르넷과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조합물이 염증 (귀 두께로 측정한 것) 및 병변 점수에 관해 포스카르넷과 국소 마취제와의, 또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제 (NSAID)인 케토프로펜과의 조합물에 비해 명백히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위의 결과는 또한 히드로코르티손-덜 강력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을 포함하는 포스카르넷 복합제가 부데노사이드-더 강력한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포함하는 포스카르넷 복합제에 비해 측정된 모든 파라미터, 즉 누적적 병변 점수, 누적적 귀 두께 및 평균 바이러스 타이터 면에서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험 3. 포스카르넷과 히드로코르티손 복합 크림의 시험
이 실험은 히드로코르티손과 병용한 포스카르넷을 사용함으로써 실험 2의 결과를 확장하기 위해 행하였다. 각 군을 10 마리로 한 동일한 동물 모델을 사용하였다. 동물들은 감염 후 4-7일에 매일 3 회씩 포스카르넷 (3%, 포스카르넷 크림, 실시예 1), 히드로코르티손 (1%, Hydrocortison kraem 1% ACO, Kabi Pharmacia AB, 스웨덴, 실시예 4) 및 복합 크림, 즉 실시예 5에 따른 제제로 처치하였다.
시험된 물질 및 얻어진 결과 (평균 누적적 병변 점수 및 평균 누적적 귀 두께)를 하기 표 5에 위약에 비교한 백분율을 괄호에 넣어 (위약 처치된 동물에 대한 값을 100%로 설정) 나타내었다.
활성 물질 (중량%) 평균 누적치 ± 표준 편차 (위약의 %)
병변 점수 귀 두께 (mm)
위약 6.8 ± 1.1 (100) 3.3 ± 0.4 (100)
포스카르넷 7.3 ± 1.2 (107) 3.3 ± 0.2 (98)
히드로코르티손 6.0 ± 1.3 (88) 2.0 ± 0.2 (61)*
포스카르넷 + 히드로코르티손 5.0 ± 1.2 (74) 1.9 ± 0.1 (56)*
도 3은 감염 후 4-7일에 위약, 3% 포스카르넷 또는 1.75% 포스카르넷 + 0.5% 히드로코르티손으로 처리한 다음 감염 후 4-21일의 평균 귀 두께를 보여준다. 이 도면은 히드로코르티손과 병용한 포스카르넷이 포스카르넷 단독 또는 위약 어느 것보다도 귀 두께를 감소시키는 데 명백하게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감염 후 4-7일에 위약, 3% 포스카르넷 또는 1.75% 포스카르넷 + 0.5% 히드로코르티손으로 처리한 다음 감염 후 4-21일의 평균 병변 점수를 보여준다. 이 도면은 히드로코르티손과 병용한 포스카르넷이 포스카르넷 단독 또는 위약 어느 것보다도 병변 점수를 감소시키는 데 명백하게 우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기 실험들의 결과는 포스카르넷과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조합물의 국소 투여가 바이러스 타이터를 감소시키는 것 외에도 귀 두께 및 병변 점수로 측정하였을 때, 재발성 헤르페스 감염증의 특징적인 염증성 증상 역시 감소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험 3. 생체내에서 피부 자극
본 발명의 갈락토리피드의 피부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 시험을 행하였다.
갈락토리피드 (귀리에서 얻은 것, 스웨덴 Scotia LipidTeknik AB사 제조)을 주사용수와 혼합하여 10% 겔로 만든 다음, 동물 당 0.5 ml의 투여량 수준으로 6 마리의 뉴질랜드 백색 수토끼의 온전한 피부에 도포하고 4 시간 동안 반밀폐형 반창고 아래 두었다. 그 다음 반창고를 제거한 후 1, 24, 48, 및 72 시간째에 홍반 및 부종에 대한 검사를 행하였다. 그 다음 24, 48 및 72 시간째의 피부 병변 평가로부터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토끼에서 피부 자극
홍반 부종
24 시간 0 0
48 시간 0 0
72 시간 0 0
이로부터 갈락토리피드 겔의 도포가 감지할 만한 자극을 전혀 유발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결론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을 통하여 결합된 항바이러스 및 항염증 효과의 이점을 갈락토리피드 담체가 제공하는 향상된 침투 특성과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부위에 대한 상기 조성물의 국소적 도포는 헤르페스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병변의 방지 또는 병변의 출현이 개시된 경우에는 최소화 및, 결과적으로, 더 빠른 치유를 가져올 것이다.

Claims (17)

  1. 갈락토리피드 및 극성 용매를 기재로 한 담체와의 혼합물 형태인, 포스카르넷과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국소 투여용 제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히드로코르티손, 알클로메타손, 데소나이드, 플루프레드니덴, 플루메타손, 히드로코르티손 부티레이트, 클로베타손,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베타메타손, 부데소나이드, 데속시메타손, 디플로로산, 플루오시놀론, 플루오코르톨론, 플루티카손, 메틸프레드니솔론 아세포네이트, 모메타손 및 로플레포나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갈락토리피드가 50% 이상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지며 그 나머지는 다른 극성 지질인 제약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갈락토리피드가 약 70-8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 및 20-30%의 다른 극성 지질로 이루어지는 제약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갈락토리피드가 최대 100%의 디갈락토실디아실글리세롤로 이루어지는 제약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바이러스 유효량의 포스카르넷과 0.005-3 중량%의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약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포스카르넷의 양이 0.1-5%이며, 바람직하게는 포스카르넷의 양이 0.3-3%이고 히드로코르티손의 양이 0.25-1%인 포스카르넷과 히드로코르티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약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스카르넷과 부데소나이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제약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함유한 크림, 로션, 겔, 연고, 반창고, 스틱 또는 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적 처치를 위한 제약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재발성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
  12. 치료 유효량의 포스카르넷 및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국소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피부, 점막 또는 눈의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적 처치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이 재발성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인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포스카르넷과 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일일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회 투여되는 방법.
  15.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적 처치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포스카르넷과 항염증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의 조합물의 용도.
  16. 제15항에 있어서, 재발성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의 치료적 처치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용도.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피부 또는 점막 치료용 의약의 제조를 위한 용도.
KR1019970705355A 1995-02-06 1996-02-02 신규 제약 제형 KR199807019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PCT/SE95/00112 1995-02-06
SE9500112 1995-02-06
PCT/SE1996/000123 WO1996024359A1 (en) 1995-02-06 1996-02-02 Novel pharmaceutical formul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958A true KR19980701958A (ko) 1998-06-25

Family

ID=2039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355A KR19980701958A (ko) 1995-02-06 1996-02-02 신규 제약 제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068860A (ko)
EP (1) EP0809501A1 (ko)
JP (1) JPH11509515A (ko)
KR (1) KR19980701958A (ko)
AR (1) AR002274A1 (ko)
AU (1) AU715212B2 (ko)
CA (1) CA2211409A1 (ko)
DZ (1) DZ1965A1 (ko)
FI (1) FI973230A0 (ko)
HR (1) HRP960033A2 (ko)
IL (1) IL116910A0 (ko)
MA (1) MA23799A1 (ko)
NO (1) NO973611L (ko)
NZ (1) NZ301406A (ko)
TN (1) TNSN96023A1 (ko)
WO (1) WO1996024359A1 (ko)
YU (1) YU7196A (ko)
ZA (1) ZA965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Z1966A1 (fr) * 1995-02-06 2002-10-15 Astra Ab Combinaison pharmaceutique nouvelle.
FR2814071A1 (fr) * 2000-09-21 2002-03-22 Oreal Composition a base de glycoglyceride et ses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US6667344B2 (en) 2001-04-17 2003-12-23 Dey, L.P. Bronchodilat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40023935A1 (en) * 2002-08-02 2004-02-05 Dey, L.P. Inhalation compositions, methods of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eparation of same
US20040109826A1 (en) * 2002-12-06 2004-06-10 Dey, L.P. Stabilized albuterol compositions and method of preparation thereof
TWI359675B (en) * 2003-07-10 2012-03-11 Dey L P Bronchodilating β-agonist compositions
CN104117066B (zh) * 2014-07-16 2016-03-02 陈凌 外敷用抗甲状腺软膏的制备方法
US10759163B2 (en) 2014-10-27 2020-09-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9842B1 (en) * 1978-10-02 1982-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posomes for drug delivery and composition containing a liposome drug system
US4512978A (en) * 1980-01-24 1985-04-23 Inwood Louis R Dermatological composition useful in the treatment of psoriasis
US4610868A (en) * 1984-03-20 1986-09-09 The Liposome Company, Inc. Lipid matrix carriers for use in drug delivery systems
US5223263A (en) * 1988-07-07 1993-06-29 Vical, Inc. Liponucleotide-containing liposomes
CA1320130C (en) * 1986-06-12 1993-07-13 Alan L. Weiner Methods and compositions using liposome-encapsulate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U2823489A (en) * 1987-12-09 1989-07-05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he Liposome-encapsulated anti-viral composition and method
US5227165A (en) * 1989-11-13 1993-07-13 Nova Pharmaceutical Corporation Liposphere delivery systems for local anesthetics
GB9315755D0 (en) * 1993-07-30 1993-09-15 Wellcome Found Stabilized for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5212B2 (en) 2000-01-20
YU7196A (sh) 1998-09-18
FI973230A (fi) 1997-08-05
AU4682096A (en) 1996-08-27
AR002274A1 (es) 1998-03-11
JPH11509515A (ja) 1999-08-24
EP0809501A1 (en) 1997-12-03
FI973230A0 (fi) 1997-08-05
IL116910A0 (en) 1996-09-12
NZ301406A (en) 1999-01-28
NO973611L (no) 1997-09-26
TNSN96023A1 (fr) 2005-03-15
NO973611D0 (no) 1997-08-05
CA2211409A1 (en) 1996-08-15
DZ1965A1 (fr) 2002-07-17
US6068860A (en) 2000-05-30
ZA96526B (en) 1996-08-06
MA23799A1 (fr) 1996-10-01
HRP960033A2 (en) 1997-10-31
WO1996024359A1 (en) 1996-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1042B1 (ko) 신규제약조합물
CA2616449C (en) Compositions for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adenosyl cobalamin for improvement of skin diseases
WO2009070431A1 (en) Antihistamine/corticosteroid preparations for the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AU713229B2 (en) Novel pharmaceutical composition
KR19980701958A (ko) 신규 제약 제형
EP3675814A1 (de)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behandlung von nicht-mikroorganismus-verursachten entzündlichen haut- und schleimhauterkrankungen
JP3689137B2 (ja) アレルギー性皮膚疾患治療用外用剤
TW202007398A (zh) 減少關節內類固醇的併發症之方法
KR101818882B1 (ko)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및 치료에 적합한 국소 투여용 약제학적 조성물
JPH07223949A (ja) 消炎鎮痛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