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1939A - 그라인딩 컵과 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그라인딩 컵과 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939A
KR19980701939A KR1019970705336A KR19970705336A KR19980701939A KR 19980701939 A KR19980701939 A KR 19980701939A KR 1019970705336 A KR1019970705336 A KR 1019970705336A KR 19970705336 A KR19970705336 A KR 19970705336A KR 19980701939 A KR19980701939 A KR 19980701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cup
grinding cup
cavity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609B1 (ko
Inventor
커트 로버트 숄랜더
보 토마스 솔랜더
Original Assignee
커트 로버트 숄랜더
씨.엠.이. 블라스팅 앤드 마이닝 이큅먼트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트 로버트 숄랜더, 씨.엠.이. 블라스팅 앤드 마이닝 이큅먼트사 filed Critical 커트 로버트 숄랜더
Priority to KR10-2002-701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696B1/ko
Publication of KR1998070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7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 B23B31/1175Retention by friction only, e.g. using springs, resilient sleeves, tapers using elastomer rings or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24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 B24B3/33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drills of drills for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5/00Means for securing grinding wheels on rotary arb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경금속 삽입물을 연삭하고, 충격 또는 회전 드릴 비트의 절삭날이나 터널 굴진기 커터 및 RBM 커터를 세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텅스텐 카바이드 절단 톱니 또는 드릴 비트 및 커터의 버튼을 연삭하는 것으로 그라인딩 컵을 분리 가능하도록 연삭기에 장착하는 수단에 관한 것으로, 드릴 비트 또는 커터의 버튼을 연삭하기 위한 연삭기의 출력 구동축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그라인딩 컵에 있어서, 그라인딩 컵은 상면과 하면을 가지고, 하부의 그라인딩 섹션과 그라인딩 섹션과 동축을 이루는 상부의 몸체부로 이루어지고 그라인딩 컵은 연삭될 버튼에 대하여 원하는 프로파일을 갖는 그라인딩 섹션의 하면에 중앙으로 형성되는 리세스를 구비하고, 몸체부는 그라인딩 컵의 상면에 중앙으로 형성되고 그 형태와 크기가 연삭기의 출력 구동축이 삽입되어 내부에 끼워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동과, 그라인딩 컵을 연삭기의 출력 구동축과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보지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라인딩 컵과 홀더 장치
드릴 작업에 있어서, 드릴 비트나 커터의 절단 톱니(버튼)은 계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무디어지게 된다. 정기적으로 버튼을 연삭하여 그 본래의 형태를 찾도록 유지시켜 줌으로써 비트나 커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드릴링 속도를 높이고, 드릴링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재연삭은 버튼의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1/3에서 최대한으로 1/2까지 닳았을 때 행해져야 한다.
비트나 커터의 버튼을 연삭하기 위한 여러가지 수동 및 반자동 연삭기들이 이미 알려져 있다(미국 특허 5,193,312번 5,070,654 참조). 종래 기술에서, 원하는 형태의 그라인딩 컵이 카바이드 버튼 및 버튼의 기저를 둘러싼 비트/커터의 경사면을 연삭하기 위해 빠른 속도로 회전하여 버튼의 원래 윤곽을 찾아 줌으로써 효과적인 드릴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그라인딩 컵은 상면과 하면이 있는 원통형의 몸체로 이루어진다. 저면 또는 가공 표면은 버튼을 연삭하기에 알맞은 형태를 가진 중앙에 배열된 볼록리세스를 포함하는 다이아몬드/금속 매트릭스로 이루어진다. 리세스 주위의 경사진 테두리는 버튼 기저 부근의 비트 경사면에 있는 강철을 제거한다. 직립의 중공 스템이 상면에서 돌출된다.
중공 스템과 그라인딩 컵의 원통형 몸체에 중앙에 배열된 통로를 통하여 공기 및 물이 공급된다. 연삭 표면의 홈이나 플러싱 채널은 연삭되는 버튼 표면 위로 물이나 공기가 흩뿌려지도록 도와준다. 연삭하는 동안 물 또는 공기는 버튼 표면을 씻어 내린다. 물/공기 배출구 주변의 버튼에 접속용 파이프가 형성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이 지점에서 버튼과 접속되는 연삭 표면이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인딩 컵을 제작할 때 먼저 상면에서 돌출된 직립의 중공 스템을 가진 블랭크가 만들어지고 그 블랭크는 뜨거운 다아이몬드와 금속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물에 넣어져 프레스된다. 블랭크의 하면에 열이 가해지고 다이아몬드/금속 매트릭스에 결합된다. 또는 다이아몬드/금속 매트릭스는 그라인딩 섹션 내부로 형성되어 수축 끼워맞춤이나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납땜을 하여 블랭크에 결합된다. 최근까지 그라인딩 컵은 착탈 가능하도록 척에 스템을 삽입함으로써 연삭기에 고정되었다. 척 렌치, 너트, 콜릿과 같은 별도의 연장들은 그라인딩 컵을 척에 삽입하거나 고정시킬 때 또는 떼어 낼 때 필요하다.
척 렌치 등의 연장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그라인딩 컵에 숄더 구동을 사용하는 방법이 소개되었다. 연삭기의 중공 구동 축의 자유단에서 직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리세스는 그라인딩 컵의 상면 부근에서 숄더 또는 캠 수단으로 결합된다. 그라인딩 컵으 스템은 중공 구동 축에 삽입되어 하나 이상의 O링으로 고정된다. O링은 구동 축의 내 측벽에 있는 홈이나 그라인딩 컵의 스템에 위치한다. 예로는 관련 기술인 스웨덴 특허 B 460,584번과 관련 특허 출원 중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S.N. 08/305,176을 참조 바란다.
그라인딩 컵이 척에 보지되든 숄더 구동이 사용되든 상관없이 그라인딩 컵은 연삭기에 단단히 결속되고 연삭 작업 동안 발생되는 진동은 연삭기에 직접적으로 전달된다. 과도한 진동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발생시킨다.
a) 연삭작업 동안의 높은 레벨의 소음
b) 수동 연삭기의 경우, 작업자의 손과 팔을 피로하게 한다.
c) 고르지 못한 연삭이 이루어지고 버튼의 윤곽 및 연삭 트레이스가 부정확하다.
d) 척과 연삭기 부재들의 마모를 가속시킨다.
관련 출원 중인 미국 특허 출원 S.N. 08/305,176에서 감쇠 부재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라인딩 컵의 스템 부근에 있는 중공 구동 축의 채널에 삽입된다.
본 발명은 초경금속 삽입물을 연삭하고, 충격 또는 회전 드릴 비트의 절삭날이나 터널 굴진기 커터 및 RBM 커터를 세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텅스텐 카바이트 절단 톱니 또는 드릴 비트 및 커터의 버튼을 연삭하는 것으로 그라인딩 컵을 분리 가능하도록 연삭기에 장착하는 수단에 관한 것이다.
발명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싱글 공기 코너, 즉 그라인딩 컵을 지지하는 구동부재를 형성하기 위하여 확대된 그 회전자를 갖는 연삭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동부재의 저면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구동부재에 의하여 구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컵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그라인딩 컵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에서 본 그라인딩 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그라인딩 컵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소형 버튼 비트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그라인딩 컵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그라인딩 컵의 저면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교호적인 홀더 장치의 확대된 일부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홀더 장치의 저면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교호적인 홀더 장치의 확대된 일부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컵을 지지하기 위한 교호적인 구동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확대된 싱글 공기 모터를 갖는 연삭기의 출력 구동 축의 끝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구동부재에 의하여 구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컵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 및 도 15의 그라인딩 컵을 지지하기 위한 교호적인 구동 부재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는 직경이 긴 그라인딩 컵에 적합한 물배출용 교호적 위치를 갖는 도 13의 그라인딩 컵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삭장치에 쉽고 빠르게 착탈가능한 그라인딩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라인딩 컵의 제작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라인딩 컵의 연삭 표면에 있는 플러싱 채널을 제공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컵을 보지하는 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삭의 질을 개선시키고, 버튼 윤곽의 정확도를 높이고, 연삭 흔적이 없는 끝마무리를 이루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며 하부의 그라인딩 섹션과 상부의 몸체부로 구성되는 그라인딩 컵을 제공한다. 그라인딩 섹션은 금속 및 다이아몬드 매트릭스와 같은 텅스텐 카바이드 버튼 비트를 연삭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진다. 하면의 주변 모서리는 연마 과정 중, 버튼의 기저 주변의 비트 경사면으로부터 강철을 제거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경사지게 만들어진다. 중앙에 위치한 볼록 리세스는 버튼 연삭에 알맞은 형태를 가진 하부의 그라인딩 섹션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부의 몸체부는 그라인딩 컵 상면 중앙에 형성된 공동을 가진다. 상기 공동은 그라인딩 컵이 연삭기의 출력 구동 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그 모양과 크기가 결정되며 연삭 작동 중 회전된다. 하나 이상의 통로가 그라인딩 섹션의 볼록 리세스를 포함하는 그라인딩 컵의 상면에 형성된 공동의 바닥을 연결하여 절삭유와 선택적으로 혼합된 냉각제, 바람직하게는 물이 하나 이상의 출구를 통하여, 연삭 중인 버튼의 표면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며 하부의 그라인딩 섹션과 상부의 몸체부로 구성되는 그라인딩 컵으로 구성된다. 블록 리세스는 버튼 연삭에 알맞은 형태를 가진 하부의 그라인딩 섹션의 하면의 중앙에 형성된다. 상부의 몸체부는 상면에서 돌출된 직립의 중공 스템이나 상기에 설명된 상면 중앙에 형성된 공동을 가지고 있어 연삭기의 출력 구동 축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둘 이상의 통로가 몸체부를 통과하여 그라인딩 섹션에 있는 볼록 리세스의 연삭 표면에 위치한 출구에서 끝나도록 형성되어 절삭유와 선택적으로 혼합된 냉각제, 바람직하게는 물이, 연삭 중에 버튼의 표면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해준다. 출구들은 그라인딩 컵의 동적 불균형을 피할 수 있도록, 그라인딩 컵의 세로축 바깥에 위치한다. 마모가 가장 심한 연삭 표면에는 출구들이 형성되지 않는다. 통로는 바람직하게는 그라인딩 컵의 세로축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연삭 표면이 마모되더라도 출구들은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그라인딩 컵을 착탈 가능하도록 연삭기에 결합시키는 홀더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연삭기는 출력 축을 구동시키는 공기력, 수력, 또는 전기력으로 구동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종래 수단을 통해 출력 축에 맞게 연결된 것이 본 발명에 따른 홀더 장치이다. 홀더 장치는 출력 축과 일체로 연결되거나 별도로 부착될 수 있다. 구동 부재는 길다란 동축 통로를 형성하여 냉각제가 그 위에 지탱된 그라인딩 컵쪽으로 흘러가도록 한다. 구동 부재의 일단은 그라인팅 컵 상면에 형성된 대응되는 공동에 맞도록 그 크기가 결정된다. 구동 부재의 상기 일단의 내 측벽은 그라인딩 컵의 공동에 보지된다. 구동 부재의 다른 일단은 연삭 장치의 구동 축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모터로 구동되는 연삭기의 출력축에 그라인딩 컵을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홀더 장치로 구성된다. 홀더 장치는 그 일단이 연삭기의 출력축에 연결되고 그 외 자유단이 연삭기로부터 바깥쪽으로 멀리 확장되는, 회전 가능한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동축 통로가 구동 부재를 따라 형성된다. 구동 부재의 자유단은 그라인딩 컵의 상면 중앙에 형성된 공동에 끼워져 그라인딩 컵을 구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회전 가능한 구동 부재는 그라인딩 컵 상면의 공동의 상부와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구동 섹션과 그라인딩 컵 상면의 공동의 하부에 삽입되는 하부 서포트 섹션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부재 위에 그라인딩 컵을 착탈 가능하도록 보지하기 위한 상기 구동 부재와 공동의 작용 결합을 위한 보지 수단은 상기의 서포트 섹션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삭기의 출력 구동 축이 그 자유단으로부터 확장되는 동축 채널을 포함한다. 홀더 장치의 구동 부재의 상부 구동 섹션은 상부 구동 섹션으로부터 확장되고 출력 구동 축에 있는 채널에 삽입되는 동축 스핀들을 포함한다. 수단은 상기 채널에 스핀들을 보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데, 바람직하게는 경화된 고무나 일래스토머릭 머티리얼로 만들어진 슬리브나, 스핀들이 삽입되고 채널에 끼워지는 슬리브와 유사한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특질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부분에서 분명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삭기(10)는 회전 모터가 적절하게 지지하는 모터 하우징 또는 케이싱(12)을 가지며, 상기 모터는 적당한 원천(도시 안됨)으로부터 압축된 공기를 제공받는 공기의 작용에 의하여 구동되는 모터(14)이다. 상기 모터는 본 발명의 물질과 다름이 없이 수력적, 전기적, 기타의 성격을 갖는다. 상기 케이싱(12)의 크기는 상기 연삭기가 쉽게 수동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정도이다. 후자의 목적을 위하여, 상기 케이싱은 직경과 정반대로 외부로 돌출된 핸들(16)을 구비한다. 상기 모터(14)는 출력 구동 축(18)을 구동시킨다. 홀더 장치(20)가 기존의 수단에 의하여 상기 출력 구동 축(18)에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홀더 장치(20)는 회전가능한 연장된 구동 부재(21)를 구성하는 축(18)이 내부적으로 연장된 것이다. 상기 축(18) 및 구동 부재(21)는 그 길이에서 확장되고 냉각유체가 그라인딩 컵(30)으로 흘러 지지되는 동축 통로(22)를 구비한다. 상기 그라인딩 컵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 확장된 구동 부재(21)의 자유단(26)으로부터 확장된 단부(24)는 상기 그라인딩 컵(30)의 상면(33)에 형성된 크기가 일치하는 공동(37)에 들어맞는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단부(24)의 확장된 구동 부재(21)의 외벽(25)은 상기 공동(37)의 바닥에 중앙에 위치한 웰(38)과 구동가능하게 맞물린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부재(21)의 외벽(25)은 육각의 단면으로 가공되며,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상기 웰(38)은 크기가 일치하는 12점의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러한 모양에 의하여 상기 구동 부재(21)의 자유단(26)은 상기 구동 부재 및 그라인딩 컵의 특정한 배열없이 쉽게 상기 웰(38)에 삽입된다. 상기 그라인딩 컵은 상기 구동 부재(21) 위에 간단히 얹혀지며 구동부재(21)의 자유단(26)이 상기 웰(38)에 밀려질 때까지 회전된다. 상기 웰(38)에 위치할 때, 구동 부재(21)의 자유단(26)은 사용시 미끄러짐 없이 상기 그라인딩 컵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웰(38)의 깊이와 기계가공된 외벽(25)의 높이는 과도한 마모없이 상기 그라인딩 컵을 구동시키기에 충분하다. 4.5mm 내지 4.8mm의 거리는 충분한 것으로 여겨진다. 보지수단은 구동부재(21)의 단부(24)에 위치하여 분리가능하게 상기 그라인딩 컵(30)을 보지하여 그라인딩 컵(30)이 사용중에 날아가지 않게 되며 사용후에 용이하게 제거되거나 변경된다. 상기 보지수단은 상기 구동부재(21)의 단부(24)의 외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한다. O링 또는 확장 링(29)이 상기 홈(27)에 삽입된다. 구동부재(21)의 단부(24)가 그라인딩 컵(30)에 삽입될 때, 상기 O링 또는 확장 링(29)은 상기 공동(37)의 측벽(39)에 맞물려서 그라인딩 컵(30)을 제자리에 지지한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홈이 상기 측벽(39)에 형성되어 위치할 수 있게 되어, 구동 부재(21)의 단부(24)가 상기 공동(37)에 완전하게 삽입된 경우 O링 또는 확장 링(29)이 상기 홈에 의하여 맞물리게 된다. 상기 공동(37)의 측벽(39)에 형성된 홈은 상기 홈(27)보다 다소 크기가 커서 O링(29)이 상기 그라인딩 컵이 분리됨에 따라 축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지 하나의 O링이 사용된다면, 상기 그라인딩 컵이 O링과 공동(37)의 측벽(39) 사이의 접합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O링(29)이 사용되어 회전운동을 제거하고 진동을 최소화한다.
그라인딩 컵이 사용될 때, 추가로 진동을 제거하기 위하여, 감쇠부재가 그라인딩 컵(30)의 공동(37) 혹은 구동부재(21)의 단부(24)에 삽입된다. 상기 감쇠부재는 구동부재(21)의 단부(24)의 외벽(25) 주위에 위치한 고무 혹은 나일론 와셔(41)를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셔(41)는 그라인딩 컵(30)에 형성된 웰(38)의 리프(42)에 접촉한다. 상기 감쇠부재는 고무 혹은 기타의 적절한 탄성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감쇠부재는 또한 상기 웰(38)의 바닥에 삽입되어 구동 축의 단부가 상기 제2감쇠부재와 압축하여 맞물린다. 컵이 상기와 같이 장착되어, 그라인딩 작동중에 그라인딩 컵(30)에 발생된 진동은 상기 감쇠부재에 의하여 흡수되어 핸들(16)에 전달되지 않고 결국 기계 작업자의 피로감을 감소시키며, 이전에 기술된 다른 잇점을 제공한다. 더우기 제2와셔는 냉매가 홀더장치와 그라인딩 컵에 흩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통로(22)의 개구부(28)는 통로보다 더 큰 직경을 가져서 냉매가 그라인딩 컵 통로(40)에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구동부재(21)의 자유단(26)은 냉매의 통로(40)로의 이동을 촉진시키는 볼록부위를 갖는다.
도 1 및 도 2는 그라인딩 컵을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육각의 단면부 또는 적절한 어떠한 형태를 갖도록 기계가공된 구동 축의 단부(24)를 도시하였다. 상기 단부(24)는 공동(37)과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나사절삭된다.
특별히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그라인딩 컵(30)은 하부 그라인딩 섹션(31)과 상부 그라인딩 섹션(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그라인딩 섹션(31)과 몸체부(32)은 일체로 형성되어 상면(33)과 하면(34)을 갖는 실린더형의 그라인딩 컵을 형성한다. 상기 그라인딩 섹션(31)은 텅스텐 카바이드 버튼 비트를 그라인딩 할 수 있는 물질로부터 형성된다. 그라인딩 섹션은 금속 및 다이아몬드 메트릭스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하면(34)에 형성된 외부가장자리(35)는 경사를 이루어서 그라인딩 중에 버튼의 베이스 주위의 비트면으로부터 강철을 제거하는 것이 촉진된다. 중앙에 위치한 볼록 리세스(36)는 상기 하면(34)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라인드 되는 버튼의 바람직한 모양을 갖는다. 상기 몸체부(32)는 상기 그라인딩 컵의 상면(33)에 형성된 중앙에 위치하는 공동(37)을 구비한다. 이 공동(37)의 모양 및 크기는 그라인딩 컵이 분리가능하게 홀더 장치의 구동부재(21)에 연결되며 그라인딩 작업중에 회전하기에 적합하다. 웰(38)은 구동부재(21)의 자유단(26)이 삽입되는 공동(37)의 바닥에 구비된다. 상기에 지적되었듯이, 웰(38)은 구동부재(21)의 자유단(26)의 수평단면과 관련하여 적용된 수평단면을 가져서 사용중에 그라인딩 컵을 회전시킨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로(40)는 웰(37)의 바닥(43)을 그라인딩 섹션에 형성된 리세스(36)와 연결하여 냉매, 특히 절삭유 혹은 물/공기 안개와 혼합된 물이 배출구(44)를 통하여 그라인딩 작업중에 버튼의 표면으로 제공된다. 냉매는 그라인딩 작업중의 과도한 열발생을 방지하며, 그라인딩 작업중에 제거된 물질의 버튼표면을 흘러넘친다. 그라인딩 표면의 구멍과 관련하여 중앙에 위치한 한 개의 물배출구만을 사용하는 선기술에서, 니플이 물배출구의 주위에 형성된 버튼 위에 형성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점에 있어서 버튼과 접촉하는 그라인딩 표면은 없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되었듯이 세 개의 배출구(44)는 리세스(36)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하여 니플형성을 방지하며 효과적인 냉매의 분산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배출구는 전략적으로 위치하여 그라인딩 컵의 일측에 보다 많은 질량을 두어서 역동적인 불균형을 피한다. 더욱이 상기 배출구는 그라인딩 컵이 사용되는 기간을 극대화하기 위해 최대한의 마모에 노출된 그라인딩 표면의 외곽에 위치한다. 통로(40)는 그라인딩 컵의 세로축과 평행하여서, 그라인딩 표면은 동일한 위치에 있는 배출구(44)를 마모시킨다. 상기 통로가 경사져 있으면, 그라인딩 표면이 마모함에 따라서 배출구는 그라인딩 표면의 중심에 가까이 이동한다. 니플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으로부터 떨어져서 위치한 3개 미만 또는 초과의 배출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21)를 분리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하여, 보지수단이 공동(37)내에 구비된다. 도 1에 명확히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보지수단은 O링 또는 확장 링(29)이 꼭맞게 접수되는 구동부재(21)의 단부(24)의 외벽(25)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환형의 홈(27)을 구비한다. 상기 컵(30)은 구동부재(21)의 단부(24)를 공동(37)에 삽입함으로써 구동부재(21)에 장착된다. 단부(24)의 길이와 공동(37)의 깊이는, 컵(30)이 홀딩 장치에 완전하게 장착될 경우, 홈(27)에 수신된 O링(29)이 상기에 언급되었듯이 공동(37)의 측벽(39)에 의하여 체결된다. 상기 컵(30)을 홀더 장치에 고착하기 위해 O링(29)을 사용함으로써, 홀딩 장치(20)로부터 그라인딩 컵(30)을 용이하게 장착하고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그라인딩 컵은 대체로 기존의 그라인딩 컵의 제조공정과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즉, 먼저 몸체부를 만들기 위한 블랭크의 제조, 기계절삭, 주조, 단조, 분말야금, 기타 등등의 공정이다. 상면에 형성된 공동(37)과 웰(38)을 갖춘 블랭크는 고온의 다이아몬드/금속합성물을 포함하여 성형된다. 블랭크의 하면은 가열되어 다이아몬드/금속메트릭스에 결합된다. 다이아몬드/금속 메트릭스를 가열하고 블랭크에 결합하는 몇가지의 수단이 알려져 있다.
다이아몬드/금속메트릭스는 선택적으로 그라인딩 섹션에 형성되어 수축끼워맞춤 및/또는 접착제 또는 블랭크와의 땜납에 의하여 결합된다. 블랭크는 선택적으로 마찰 용접, 가열 및 프레스, 유도용접, 기타에 의하여 결합된 두 개의 섹션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그라인딩 컵의 공동이 다양한 윤곽을 가진 경우에 특히 적절하다. 선택적인 제조방법은 블랭크 및 전기도금 또는 그라인딩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아몬드층에 의한 결합을 제조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이 도시한 소형 버튼 비트를 그라인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컵(70)은 상부 몸체부(72)와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하부 그라인딩 섹션(71)을 갖는다. 버튼은 보다 작은 비트에 함께 가까와져서 그라인드 되는 버튼의 윤곽을 매치시키기 위한 그라인딩 섹션(71)의 리세스(76)의 직경을 줄일 뿐만 아니라, 그라인딩 섹션(71)의 직경이 또한 인접 버튼사이에 마춰지도록 감소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음의 두가지 이유로 몸체부(72)의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1) 몸체부의 직경이 홀더장치의 구동부재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 길어야 함 (2) 그라인딩 컵의 상면(73)에 형성된 공동(77)은 가능한 한 길게 형성되어 구동부재가 그라인딩 컵을 잘 쥘 수 있게 된다. 그라인딩 섹션(71)의 하면(74)은 버튼의 베이스 주위의 강철의 제거를 촉진시키는 경사진 가장자리(75)를 갖는다.
도 4, 도 9 및 도 10에는, 정반대로 확장된 리세스가 스웨덴 특허 출원 No. B 460,584 또는 관련특허출원중인 미국특허 S.N. 08/305,176 중 하나에 설명된 그라인딩 컵의 인접한 상면에 놓인 쇼울더 또는 캠 수단과 연동하는 중공 구동축의 자유단에 통합된 연삭기에 적용가능한 홀더 장치의 대체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홀더 장치(80)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그라인딩 컵은 로터를 상기 연삭기에 대체시키지 않고서도 사용가능하다. 상기 홀더 장치(80)는 길이방향을 따라 구동된 동축 통로(82)를 구비한 회전가능 구동부재(81)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재의 일단(8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컵의 상면에 있는 공동(37)에 끼워지도록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재(21)의 벽(85)은 그라인딩 컵내의 사각 공동에 맞는 사각 횡단면을 갖도록 기계가공된다. 그러나 도 1과 관련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횡단면들은 상기 그라인딩 컵에서 미끄러지지 않으며 필요한 회전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육각형, 타원형, 반대면이 평평한 형태로 나사절삭가공된 원형. 탄성중합와셔(89)로 이루어진 감쇠부재는 가공단부(84)내의 구동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쇼율더(87)와 맞붙어 있다. 상기 통로(82)의 개구부(88)는 냉매를 상기 그라인딩 컵내의 통로(40)로 공급할 수 있는 크기로 신장되어 있다. 중공 수직 직립 스템(83)은 상기 구동부재(81) 상면 중앙에 위치해 있다. 캠수단 또는 쇼울더(91)는 상기 스템의 바닥(83)에 있으며, 그 크기는 연삭기의 중공 구동 축의 자유단에 정반대로 신장되어 있는 상기 리세스에 체결될 수 있는 정도이다. 상기 중공 스템은 상기 연삭기의 중공 구동 축 안으로 끼워지며, 상기 연삭기의 스템 위에 형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61)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오-링(6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O링(60)은 상기 스템(83)이 연삭기의 중공 구동 축안으로 끼워질 경우에는 상기 구동 축의 내장 벽에 형성된 홈 또는 슬롯에 체결된다. 캠 또는 쇼울더(91)는 연삭기의 중공 구동 축의 자유단에 정반대로 신장된 리세스에 꼭 들어맞게 체결된다. 상기 구동 부재(81)는 상기 그라인딩 컵을 보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주변 홈(92)는 단부(84)의 가공벽(85)내에 형성되어 있다. O링(90) 또는 신장 클립 또는 스프링 수단은 홈(92)에 삽입된다. 상기 구동 부재(81)가 그라인딩 컵의 공동(37)에 삽입될 때 O링(90)은 공동(37)의 측벽(39)에 체결된다. 상기 홀더장치(80)의 스템(83)가 구동 축의 단부에 있는 척안으로 삽입될 부분에는 O링(60) 및 쇼울더(91)를 양자택일 방식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도 11에는 홀더 장치의 다른 하나의 대체 구성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대체 구성예는 상기 그라인딩 컵을 고정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방식에 따라 척이 연결되는 구동축의 나사절삭 단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연삭기에 적용가능하다. 홀더 장치(100)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컵들은 로터를 갈아끼울 필요없이 연삭기에 적용가능하다. 상기 홀더 장치는 길이방향을 따라 동축 통로(102)를 구비한 회전가능 구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106)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딩 컵의 상면 위에 형성된 공동(37)에 맞도록 끼워진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01)의 벽(105)은 그라인딩 컵 내의 사각 공동에 맞는 사각 횡단면을 갖도록 기계가공된다. 탄성와셔(109)로 이루어진 감쇠부재는 가공단부내의 구동 부재를 둘러싸며, 상기 쇼율더(107)와 맞붙어 있다. 상기 통로(102)의 개구부(108)는 냉매제가 상기 그라인딩 컵내의 통로(40)에 닿을 수 있는 크기로 신장되어 있다. 나사 구멍(103)은 상기 구동부재(101) 상면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통로(102)에 동축이다. 상기 홀더 장치는 연삭기의 중공 구동 축의 나사단에 나사체결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재는 도 9에 도시된 그라인딩 컵을 보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주변 홈(112)는 가공벽(105)내에 형성되어 있다. O링(110) 또는 신장 클립 또는 스프링 수단은 홈(112)에 삽입된다. 상기 단부(106)가 상기 그라인딩 컵의 공동(37)에 삽입될 때, O링(110)은 공동(37)의 측벽(39)에 체결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홀더 장치 및 그라인딩 컵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고 있다. 홀더 장치(120)는 종래의 어떤 수단에 의해서라도 연삭기의 출력 구동 축(18)에 잘 연결된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장치(120)는 회전 연장 구동 부재(121)를 구성하는 축(18)가 일체형으로 신장된 형태이다. 상기 축(18) 및 구동 부재(121)에는 길이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동축 통로(122)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통로를 통해서 냉각수가 그 위에 지지된 그라인딩 컵(130)으로 안내된다. 상기 그라인딩 컵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되어 있으며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장 구동 부재(121)의 단부(124), 즉 자유단(126)으로부터 신장된 단부(124)는 그라인딩 컵(130)의 상면(133) 중앙에 적절한 위치에 적절한 크기의 동공(137)에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대로, 상기 연장 구동 부재(121)의 단부(124)는 상부 구동 섹션(125) 및 하부 지지 섹션(127)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구동 섹션(125)은 구동방식으로 공동(137)의 상단부(138)에 체결되도록 수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부재(121)의 상부 구동 섹션(125)는 육각형의 수평단면을 갖도록 기계가공되며, 상기 그라인딩 컵(130)의 동공(137) 상단부(138)는 알맞는 크기의 12점 원형 수평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설계는 구동 부재(121)의 상부 구동 섹션(125)가 상기 구동부재와 그라인딩 컵을 특별하게 배치시키지 않아도 상기 공동(137)의 상단부(138) 안으로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기 그라인딩 컵은 구동부재(121) 안으로 쉽게 밀어넣을 수 있으며 상기 상부 구동 섹션(12)이 상기 공동(137)의 상단부내로 밀어넣어질 때까지 회전한다. 이상과 같이 배치했을 경우에 상기 상부 구동 섹션(125)는 그라인딩 컵이 사용도중에 미끄러지지 않도록 상기 컵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공동부(137)의 상단부(138)의 깊이 및 상부 구동 섹션(125)의 가공된 내벽의 높이는 상기 그라인딩 컵을 과도하게 마모시키지 않으면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규모여야 한다. 간격은 4.5-4.8mm 정도가 충분하다.
상기 그라인딩 컵을 잘 지지하고, 그라인딩 컵의 축상 사이드 로드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부재(121)의 하부 지지 섹션(127)은 그라인딩 컵(130)의 공동(137) 저면부(139)에 꼭 맞도록 수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 섹션(127) 및 상기 공동(137)의 저면부(139)는 그 원형 단면이 구동섹션(125)보다 약간 작다. 상기 구동부재(121)의 하부 지지 섹션(127)에는 상기 그라인딩 컵(130)을 분리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보지수단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로써 상기 그라인딩 컵(130)은 사용도중에 들뜨지 않으며, 사용후에도 손쉽게 제거하거나 교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보지 수단은 구동 부재(121)의 하부 지지 섹션(127)이 외측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140)가 형성되어 있다. O링들 또는 확장 링(141)들은 홈(140)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구동 부재(121)의 하부 지지 섹션(127)은 그라인딩 컵(130) 안으로 삽입되며, 상기 O링 또는 확장링(141)들은 상기 그라인딩 컵을 그 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공동(137)의 저면부(139)의 측벽(142)에 체결되어 있다.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홈을 상기 측벽(142)에 형성가능하며, 이로써 상기 구동부재(121)의 하부 지지 섹션(127)이 완전히 상기 공동(137)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O링 또는 확장링(141)들이 상기 홈들에 의하여 체결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외관상, 상기 공동(137)의 측벽(142)의 홈들은 상기 구동 부재(121)의 하부 지지 섹션(127)에 형성된 홈(140)보다 약간 작다. 반면, 상기 O링(141)은 그라인딩 컵이 분리되었기 때문에 지지 섹션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O링(14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O링(141)과 공동(137)의 측벽(142)사이 접촉점에 상기 그라인딩 컵이 피봇동작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봇동작을 없애고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개의 O-링(140)을 사용한다.
상기 그라인딩 컵을 사용할 경우에 진동제거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감쇠 부재를 상기 그라인딩 컵(130)내의 동공(137)안으로 또는 구동부재(121)의 단부(124)로 삽입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감쇠 부재는 고무 또는 구동부재(121)의 단부(124)의 하부 구동 섹션(125)의 상단 주위를 감싸는 나일론 와셔(143)로 이루어져 있다. 이 와셔(143)는 상기 그라인딩 컵(130) 내의 동공(137)의 상단 부(138)의 리프(lip, 144)에 맞붙어 있다. 상기 감쇠 부재는 고무 또는 다른 적합한 탄성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제2감쇠부재를 동공(137)의 저면(139)에 삽입 가능함으로써 이로써 상기 구동부재(121)의 자유단(126)은 제2감쇠부재에 압축되듯이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장착한 컵에서 연삭동작 중에 그라인딩 컵(130)내에서 발생한 진동은 상기 감쇠 부재에 의해서 원천적으로 흡수되어 핸들(16)에 전달되지 않으며, 기계조작자의 피로를 덜어주며, 상술한 것과 같은 여러 장점들을 가져다준다. 또한 제2와셔는 냉매가 홀더 장치 및 그라인딩 컵 주위로 흩뿌려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통로(122)의 개구부(145)는 통로보다 직경이 크기 때문에 냉매가 그라인딩 컵 통로(146)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부재(121)의 자유단(126)에는 냉매를 통로(146)로 전달하는 것을 촉진시키기 위한 볼록 윤곽이 구비되어 있다.
도 12는 육각 수평단면을 갖도록 기계 가공된 구동부재(121)의 단부(124) 구동섹션(125)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적합한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그라인딩 컵을 구동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섹션(125)은 공동(137)에 나사 결합하도록 나사절삭 가능하다.
특별히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그라인딩 컵(130)은 하부 그라인딩 섹션(131) 및 상부 몸체부(132)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딩 섹션(131) 및 몸체부(132)는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원칙적으로 상면과 하면(133, 134)을 각각 갖는 원통형의 그라인딩 컵을 이룬다. 상기 그라인딩 섹션(131)은 텅스텐 카바이드 버튼 비트를 연삭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딩 섹션은 금속 또는 다이아몬드 매트릭스로 이루어져 있다. 하면(134)의 외부 가장자리(135)는 연삭도중에 버튼 베이스 주위의 비트 표면으로부터의 철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비스듬하게 구성되어 있다. 중앙집중식으로 배치된 볼록 리세스(136)는 버튼이 접지되기에 윤곽을 갖는 하면(134)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32)는 상기그라인딩 컵의 상면(133)에 형성된 중앙집중적으로 배치된 공동(137)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공동(137)은 그라인딩 컵이 홀더 장치의 구동 부재(121)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고 연삭동작중에 회전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상기 공동(13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중에 그라인딩 컵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부재(121)의 단부(124)의 횡단면에 조합되는 수평면을 갖고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로(144)들은 연삭중에는 배출구(146)를 통하여 버튼 표면에 형성되는 냉매, 바람직하게는 물, 절삭유와 선택적으로 혼합되어 있는 물, 또는 물/공기 안개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상기 공동(137)을 그라인딩 섹션내의 리세스(136)와 연결한다. 상기 냉매는 연삭도중의 과도한 열발생을 방지하며, 연삭도중에 제거된 물질 버튼 표면을 씻어낸다. 그라인딩 표면에 형성된 슬롯과 종종 연결되어 있는 단일 중앙 배치 물 배출구가 사용되는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물 배출구 영역내의 버튼에 니플이 생기는 경향이 있는데, 이 점에서는 그라인딩 표면이 버튼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는 두 개의 배출구(146)가 상기 니플의 형성을 방지하고 효과적인 냉매 확산을 도모하기 위하여 리세스(136)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들은 동적 불균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그라인딩 컵의 일측이 타측보다 큰 질량을 갖도록 전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들은 상기 그라인딩 컵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 주기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마모가 가장 심하도록 노출된 그라인딩 표면 상부 영역 외부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통로들(144)은 리세스 상부(136)의 그라인딩 표면이 마모되어 감에 따라 배출구(146)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라인딩 컵의 수직 축에 평행하게 배치된다. 니플 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배출구를 중심을 벗어나도록 배치한다. 그라인딩 컵의 직경이 보다 클 경우에는 배출구(146)를 상기 공동(137)의 저면부(139)의 직경보다 큰 지점에 배치된 배출구(146)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황에서는 냉매가 통로(146)로 공급될 수 있도록 주변 리세스(150)를 공동(137)의 측벽(142) 저면에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상기 통로(146)는 위아래로 곧게 뻗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147)는 그라인딩 컵이 마모되어감에 따라 그라인딩 표면의 같은 지점에 남게 된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그라인딩 컵에 적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홀더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출력 구동 축(18)은 자유단(226)으로부터 상기 통로(122)에 이어지도록 연장된 동축 채널(222)을 구비한다. 홀더 장치(220)은 상기 채널(222)에 끼워맞춰질 수 있는 크기의 스핀들(221)과, 상부 구동 섹션(225)와 하부 지지 섹션(227)을 포함한다. 슬리브(228)는 상기 채널(222)로 밀어넣어진다. 그 다음에 상기 스핀들(221)이 채널(222) 안으로 밀어넣어진다. 상기 슬리브(228)은 가황 고무, 탄성중합체 물질 또는 유사물질로 이루어지며, 연삭기의 진동과 베어링 마모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슬리브(228)의 두께와 강도로써 진동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가를 결정한다. 일단 상기 스핀들(221)을 슬리브(228) 안으로 삽입시킨 후에는 제거할 수 있고 영구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만약 구동 섹션(225)이 마모되거나 또는 상기 홀더 장치(220)를 출력 축으로부터 제거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에, 상기 슬리브를 제거할 수 있다. 상부 구동 섹션(225)는 그라인딩 컵(130)의 공동(137)의 상단부(138)에 구동방식으로 체결된다.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구동 섹션은 육각형의 수평단면을 갖는다. 동축 통로(229)는 홀더 장치(220)의 세로를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그곳을 통하여 냉매가 그라인딩 컵으로 안내된다. 하부 지지 섹션(227)은 자유단(230)에 자유단(230)으로 나사적삭되어지는 분리가능한 단부(231)를 부착시킨다. 내부 육각 소켓(232)는 단부(231)가 상기 하부 지지 섹션(227)의 자유단에 꼭 끼워 맞춰지도록 허용한다. 상기 하부 지지 섹션(227)에는 상기 그라인딩 컵(130)을 분리가능하게 보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보지수단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로써 상기 그라인딩 컵(130)이 사용 도중에 들뜨지 않고 사용후에 손쉽게 제거 및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지수단은 상기 하부 지지 섹션(227)의 외측벽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홈(240)가 형성되어 있다. O링 또는 확장 링(241)은 상기 홈(240) 안으로 삽입된다. 상기 하부 지지 섹션(227)이 그라인딩 컵(130)에 삽입될 때, 상기 O링 또는 확장링(241)은 상기 그라인딩 컵을 그 자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공동(137)의 저면(139) 측벽(142)에 체결된다. 상기 단부(231) 상부 나나부(233)의 바로 밑에는 단부가 리프(234)에 의해 수납되어 있다. 이로써 이 단부가 상기 하부 지지 섹션(237)에 부탁될 경우에 상기 O링을 고정하도록 주변홈이 상기 홈(240)과 유사하게 구성된다. 손바닥 크기의 기계에서 구동 부재는 가장 손상되기 쉬운 부분이다. 단부(231)를 분리 가능하게 하면 단부가 손상되었을 때 출력축 전체를 교체할 필요가 없다. 단부(231)의 육각 소켓(232)은 통로(229)와 연결되어 냉매가 그라인딩 컵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라인딩 컵의 직경을 더 크게 하면, 단부(231)는 냉매를 공동(127)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인 통로로 배출시키는 측면 배출포트(235)를 구비할 수 있다. 단부(231)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삭에 관련되지만 또한 진동 감쇄 부재 및/또는 냉매가 홀더 장치 주위로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로서 작용하는 리거를 견딜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장치는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출력 구동축(18)에 일체로 형성되는 홀더 장치(20)외에, 홀더 장치는 나사부, 척 등의 관련 작동에 의하여 출력 구동축의 끝부분에 연결되는 별도의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둘 이상의 O링이 구동 부재(21)에 탑재되어 그라인딩 컵의 공동(37)의 측벽에 형성된 관련 리세스들에 체결되어 그라인딩 컵을 연삭기에 더욱 안정되고 확실하게 연결시킨다. O링이나 확장 링을 사용하는 대신, 보지수단으로 구동 부재(21)의 벽(25)에 형성된 슬롯에 바이어스되고 그라인딩 컵의 공동(37)의 측벽(39)에 형성된 슬롯과 체결된 하나 이상의 강철 비드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 와셔(41) 또는 감쇠 부재 대신에 또는 그에 추가로,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축 개구부(22)는 냉각 공기가 리세스(36)의 연삭 표면을 지나도록 하여 열을 식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홀더 장치는 제1도에 나타난 손바닥 크기의 연삭기가 그라인딩 헤드가 로봇의 팔이나 유사한 장치로 이어지는 반자동 연삭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14도에서 보듯이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슬리브를 사용한다는 개념은 다른 도면에서 보여지는 홀더 장치의 설계에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가능한 변경을 설명하는데 있어 본 발명은 구조나 세부사항에 있어 그 이상의 변경을 허락함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상기의 설명은 하나의 예가 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되는 것임을 주의하기 바란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이 해당 기술분야를 이해하는 자들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들은 설명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에 설명되고 주장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내용 없음.

Claims (34)

  1. 드릴 비트의 그라인딩 버튼을 위한 연삭기의 출력 구동축으로 연결되는 탈착 가능한 그라인딩 컵(130)과, 상기 그라인딩 컵(130)이 상, 하면(133, 134)을 가지고, 하부 그라인딩 섹션(131)과 그라운드의 버튼을 위하여 원하는 형상을 갖는 하부 그라인딩 섹션(131)의 하면(134)상에 중앙 삽입홈(136)을 가지는 상기 그라인딩 컵으로 형성되는 동축상의 상기 그라인딩 섹션(131) 및 상부 몸체부(132)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32)가 그라인딩 컵의 상면(133)내에 중앙으로 위치하게 형성되는 캐비티(137)를 가지고, 상기 캐비티(137)는 연삭기의 출력 구동축으로 그라인딩 컵이 탈착 연결되기 위한 캐비티(137)와 구동수단(140, 141)내에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삭기(10)의 출력 구동축(121)에 허용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2. 제1항에 있어서,
    그라인딩 컵(130)의 상면의 캐비티(137)가 연삭기의 구동부재(121)의 상부 구동부재(125)와 함께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138)와, 구동부재(121)의 하부 지지부(127)상에 위치하는 리시브 지지수단(140, 141)에 설치되는 하부(139)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137)의 상부(138)가 육각 단면형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하부(139)가 상기 캐비티(137)의 상부(138)의 구경보다 약간 작은 구경의 원형 단면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138)의 상부(138)가 12점의 원형 단면적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6. 제1항에 있어서,
    연삭기의 단부(25)는 육각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12점의 웰(38)은 상기 몸체부(32)의 캐비티(37)의 저면부에 중앙으로 위치하고, 출력 구동축(21)의 상기 웰(38)과 상기 단부(25)는 구동축이 그라인딩 컵과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웰 내로 맞추어질 수 있도록 허용되는 치수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7.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 수단은 상기 구동부재(121)의 단부(124) 상에 형성된 홈(14)을 막아주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O링(141)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O링이 상기 구동부재(121)상의 평행하는 두 개의 환상홈(140)에 끼워지는 적어도 두 개의 O링(14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9. 상기 8항에 있어서,
    둘 또는 그 이상의 통로(146)가 그라인딩 섹션(13)내의 홈(136)을 갖는 그라인딩 컵의 상면(133) 내의 캐비티(137)와 연결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출구를 통하여 그라인딩 되는 동안 버튼으로 냉각제가 공급되도록 허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146)의 배출구(147)가 그라인딩 컵의 동적 불안정을 피하도록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11. 드릴 비트의 그라인딩 버튼을 위한 연삭기의 출력 구동축으로 연결되는 탈착 가능한 그라인딩 컵(130)과, 상기 그라인딩 컵(130)이 상, 하면(133, 134)을 가지고, 하부 그라인딩 섹션(131)과 그라운드의 버튼을 위하여 원하는 형상을 갖는 하부 그라인딩 섹션의 저면상에 중앙 삽입홈(136)을 가지는 상부 몸체부(132)와, 연삭기의 구동축으로 그라인딩 컵이 탈착 가능하도록 하는 보지 수단을 갖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딩 섹션(131)과 상기 몸체부(132)를 통하여 그라인딩 섹션의 저면내에 상기 홈(136)으로 냉각유가 흐를 수 있도록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로(146)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146)의 상기 배출구(147)가 그라인딩 컵의 동적 불안정을 피하도록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13. 제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수단이 그라인딩 컵의 상면(133) 내에 형성되는 중앙으로 배치된 캐비티(137)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137)는 캐비티 내로 여유 있게 결합되는 연삭기의 출력 구동축(121)을 허용하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14. 제13항에 있어서,
    그라인딩 컵(130)의 상면 내의 캐비티(137)가 연삭기의 구동부재(121)의 상부 구동부(138)를 갖고서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면(138)을 가지고, 하부(139)는 구동부재(121)의 하부 지지부(127) 상에 위치하는 리시브 지지수단(140, 141)에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137)의 상부(138)가 육각 단면 형상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137)의 하부(139)가 상기 캐비티(137)의 상부보다 구경이 약간 작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
  17. 그라인딩 버튼 비트를 위한 모터 구동 연삭기(10)로 그라인딩 컵(130)이 분리 연결되는 홀딩 장치(120)와, 상기 연삭기가 출력축을 갖는 것에 있어서,
    (a) 상기 연삭기의 상기 출력축으로 결합되는 일단을 갖는 구동 가능한 구동부재(121)와, 상기 연삭기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자유단과 상기 구동부재가 통로를 가지고,
    (b) 상기 구동부재(121)의 자유단(124)이 상기 그라인딩 컵(130)의 상면에 중앙부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캐비티(137)에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재로 상기 그라인딩 컵이 구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c) 상기 구동 부재상의 상기 그라인딩 컵이 분리 가능하게 보지하기 위한 상기 구동부재(121)와 상기 캐비티(137) 사이로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보지수단(140, 141)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능한 구동부재(121)는 그라인딩 컵의 상면(133)내의 캐비티(137)의 상부(138)로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 지지부(127)는 캐비티(137)의 하부(139)로 삽입 설치되며, 보지 수단(140, 141)은 상기 구동부재(121)와 상기 캐비티(137)사이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 부재상의 상기 그라인딩 컵이 상기 하부 지지부(127)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구동부재(121)의 상부 구동부(125)가 여유있게 조립되는 원형 형상이 아닌 단면부를 구동하도록 하고, 상기 그라인딩 컵(130)의 상면(131)의 캐비티(137)의 상면과 여유있게 조합되는 크기와 형상을 갖는 상면(138)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121)의 상부 구동부(125)가 육각 단면 형상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연삭기의 구동축에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홀더 장치가 연결 수단에 의하여 연삭기의 출력 구동축에 구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구동축(18)이 통로(22)를 출력 구동축으로 결합되는 상기 홀더 장치의 구동 가능한 구동부재(81)의 단부상의 구동 수단이나 연결 결합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홀더 장치와 구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출력 구동축은 상기 출력 구동축의 상기 자유단으로 결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홀더 장치의 구동 가능한 구동부재(81)의 상기 단부로 결합되는 수직 직립 스템(83)으로 상기 출력 구동축과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스템은 상기 연삭기의 상기 출력 구동축 내의 상기 통로에 받아들여지도록 되며, 상기 스템과 상기 출력 구동축의 상기 통로 내의 스템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보지하기 위한 상기 통로 사이로 작동 가능하게 배열되는 탄성 수단(6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101)의 자유단은 상기 그라인딩 컵의 상면상의 연관되는 나사상의 캐비티 내에 나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25. 제19항에 있어서,
    연삭기의 출력 구동축(18)이 그의 자유단(226)으로부터 연장되는 관련 축 챈널(222)을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홀더 장치(220)의 구동 부재(224)의 상부 구동부(225)가 상기 상부 구동부로부터 연장되는 관련 축 스핀들(221)을 가지며, 상기 출력 구동축과 상기 채널 내의 스핀들의 보지를 위한 수단의 챈널(222)로 삽입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챈널(222)내의 스핀들(221)의 보지를 위한 수단이 슬리브(228)로서 상기 챈널로 삽입되고, 스핀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슬리브(228)가 경화 고무 탄성 재질이나 그와 유사한 재질로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하부 지지부(227)가 분리되는 단부(231)를 갖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홀더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연삭기의 구동축은 그 자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동축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장치의 구동 부재의 상위 구동부는 상기 상위 구동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출력 구동축의 채널 내부로 삽입되는 동축 스핀들과 상기 채널 내에서 스핀들을 보지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항의 그라인딩 컵을 버튼 비트를 연삭하기 위한 모터 구동 연삭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홀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채널 내에 스핀들을 보지하기 위한 수단은 채널에 삽입된 다음에 스핀들을 내부로 삽입하는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항의 그라인딩 컵을 버튼 비트를 연삭하기 위한 모터 구동 연삭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홀더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가황 고무 또는 탄성 중합체 물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항의 그라인딩 컵을 버튼 비트를 연삭하기 위한 모터 구동 연삭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홀더 장치.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 지지부는 분리 가능한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7항의 그라인딩 컵을 버튼 비트를 연삭하기 위한 모터 구동 연삭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홀더 장치.
  33. 그라인딩 컵을 버튼 비트를 연삭하기 위한 모터 구동 연삭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삭기는 출력축을 갖고, (a) 회전가능 구동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연삭기의 출력축에 단단히 체결되고 반대편의 자유단은 상기 연삭기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구동 부재는 내부에 형성된 통로를 구비하고; (b) 상기 구동 부재의 자유단은 상기 그라인딩 컵에 연동하게 체결되고; (c)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공동 사이의 작용 체결을 위한 보지 수단은 상기 그라인딩 컵을 상기 구동 부재로 이탈가능하게 보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연삭기의 출력 구동축은 그 자유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동축 채널을 구비하고, 상기 홀더 장치의 구동 부재의 상위 구동 부재는 상기 출력 구동축에 형성된 채널 내부로 삽입되는 동축 스핀들과 상기 채널 내에서 스핀들을 보지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상기 보지 수단은 상기 채널 내부로 삽입된 다음에 그 내부로 스핀들을 삽입하는 슬리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을 버튼 비트를 연삭하기 위한 모터 구동 연삭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홀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가황 고무 또는 탄성 중합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딩 컵을 버튼 비트를 연삭하기 위한 모터 구동 연삭기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기 위한 홀더 장치.
KR1019970705336A 1995-02-03 1996-02-05 그라인딩컵 KR100372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12770A KR100373696B1 (ko) 1995-02-03 1996-02-05 연삭기의 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83,222 1995-02-03
US08/383,222 US5639273A (en) 1995-02-03 1995-02-03 Grinding cup and holder device
US8/383,222 1995-02-03
AU34274/95 1995-10-16
AU34274/95A AU699102B2 (en) 1995-02-03 1995-10-16 Grinding cup and holder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770A Division KR100373696B1 (ko) 1995-02-03 1996-02-05 연삭기의 홀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939A true KR19980701939A (ko) 1998-06-25
KR100372609B1 KR100372609B1 (ko) 2003-05-12

Family

ID=23512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770A KR100373696B1 (ko) 1995-02-03 1996-02-05 연삭기의 홀더 장치
KR1019970705336A KR100372609B1 (ko) 1995-02-03 1996-02-05 그라인딩컵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2770A KR100373696B1 (ko) 1995-02-03 1996-02-05 연삭기의 홀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5639273A (ko)
KR (2) KR100373696B1 (ko)
AU (1) AU699102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3183C2 (sv) * 1993-12-14 1996-04-15 Sandvik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slipa stift hos en bergborrkrona och spolhuvud för att tillföra spolmedium vid slipningen av stiften hos en dylik bergborrkrona
US5810647A (en) * 1996-11-25 1998-09-22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Tool quill and method for finishing fuel injector needle tips
US6142858A (en) 1997-11-10 2000-11-0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ackup pad for abrasive articles
US6095910A (en) * 1997-11-10 2000-08-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rface treatment article having a quick release fastener
US5993296A (en) * 1998-06-30 1999-11-30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Tool quill and method for finishing fuel injector needle tips
SE513550C2 (sv) * 1999-02-12 2000-10-02 Sandvik Ab Slipverktyg för slipning av stift hos en bergborrkrona, en slipkopp, en slipspindel samt en metod att montera slipkoppen till en slipspindel
US6386961B1 (en) 1999-07-19 2002-05-14 Thomas D. Cureton Hand held grinder
CA2300315A1 (en) * 2000-03-09 2001-09-09 Bo Thomas Sjolander Mass reduced grinding cup
CA2306735C (en) * 2000-04-27 2005-06-21 Bo Thomas Sjolander Grinding cup having optimized drive and/or contact surfaces
US7811155B2 (en) * 2001-11-21 2010-10-12 Cme Blasting & Mining Equipment Ltd. Grinding member for buttons on rock drill bit
CA2363352C (en) * 2001-11-21 2009-05-12 Cme Blasting & Mining Equipment Ltd. Grinding member for buttons on a rock drill bit
CA2419214A1 (en) * 2003-02-19 2004-08-19 C.M.E. Blasting & Mining Equipment Ltd. Grinding apparatus for buttons on rock drill bit
US20070257782A1 (en) * 2006-05-08 2007-11-08 Drivecam,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Event Capture
US20080012453A1 (en) * 2006-07-17 2008-01-17 Abeo, Llc Motor having a hollow drive shaft
US7510466B1 (en) * 2007-12-21 2009-03-31 Pilot Diamond Tools Ltd. Shaft adapter for grinding cup
DE202009018907U1 (de) * 2009-08-12 2014-05-15 Satisloh Ag Flexibles Polierwerkzeug zur Feinbearbeitung von optisch wirksamen Flächen an insbesondere Brillengläsern
US20140295739A1 (en) * 2013-04-02 2014-10-02 Shenzhen Chu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polishing edge of glass substrate of display panel
CA2823643A1 (en) * 2013-08-12 2015-02-12 Bo Thomas Sjolander Grinding apparatus with non-pneumatic load control
CA3048076A1 (en) 2019-06-25 2020-12-25 C.M.E. Blasting & Mining Equipment Ltd. Grinding tool for grinding buttons on a rock drill bit
US11660690B2 (en) 2019-11-28 2023-05-30 Makita Corporation Power tool
US11590593B2 (en) 2019-11-28 2023-02-28 Makita Corporation Power tool
JP7422538B2 (ja) 2019-12-26 2024-01-26 株式会社マキタ 作業工具
JP7330914B2 (ja) 2020-02-13 2023-08-22 株式会社マキタ 振動工具
US20220168868A1 (en) * 2020-12-01 2022-06-02 Fortune Extendables Corp. Abrasive wheel which can be provided with a sandpaper
CN113579910B (zh) * 2021-07-25 2023-09-29 安徽普瑞昇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汽车零部件球体打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3472A (en) * 1930-05-29 1932-08-23 Blackhawk Mfg Company Socket wrench
GB425539A (en) * 1933-07-17 1935-03-18 Fred Badcock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ibration dampening devices
US2704681A (en) * 1952-08-28 1955-03-22 R fischer
US3041793A (en) * 1960-08-01 1962-07-03 Shimizu Akio Automatic machine for grinding and polishing a surface of masonry
FR2431339A1 (fr) * 1978-07-18 1980-02-15 Rudelle Lucien Amortisseur de chocs pour meches
US4523411A (en) * 1982-12-20 1985-06-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et surface treating device and element therefor
US4616738A (en) * 1983-07-27 1986-10-14 Shurtliff Norval E Damped boring bar and tool holder
US4541758A (en) * 1984-05-31 1985-09-17 Ppg Industries, Inc. Means and method for lubricating core drills
US4858388A (en) * 1986-07-25 1989-08-22 Bice Keith C Restoration or drill buttons
SE462901B (sv) * 1988-10-17 1990-09-17 Constr Mining Equip Cme Anordning foer slipning av stiften paa borrkronor
SE467399B (sv) * 1990-08-17 1992-07-13 Constr Mining Equip Cme Anordning foer slipning exempelvis av stift paa borrkronor
DE9016232U1 (de) * 1990-11-29 1991-03-21 Fa. Andreas Stihl, 71336 Waiblingen Formschlußkupplung für ein Handarbeitsgerät
SE469970B (sv) * 1992-06-15 1993-10-18 Uniroc Grinding Ab Vibrationsdämpande slipkopp för slipning av hårdmetallstift hos stiftborrkronor och hållare för en sådan slipkopp
SE9400282L (sv) * 1994-01-28 1995-07-29 Cme Blasting & Mining Equip Hållaranordning
US5448930A (en) * 1994-03-11 1995-09-12 Miner; Montie H. Powder tool socke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427495A (en) 1996-08-22
KR100373696B1 (ko) 2003-02-26
US5639273A (en) 1997-06-17
AU699102B2 (en) 1998-11-19
KR100372609B1 (ko) 2003-05-12
US5727994A (en) 1998-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696B1 (ko) 연삭기의 홀더 장치
US20170304983A1 (en) Grinding tool for buttons on a rock drill bit
JP4154504B2 (ja) 研削カップ及びホルダー装置
US7811155B2 (en) Grinding member for buttons on rock drill bit
US6835114B2 (en) Grinding tool for buttons of a rock drill bit
MXPA97005952A (en) Tripuration vessel and retene device
AU2001254560A1 (en) Grinding tool for buttons of a rock drill bit
US5527206A (en) Holder device
CA2363352C (en) Grinding member for buttons on a rock drill bit
AU711663B2 (en) Grinding cup and holder device
KR200424377Y1 (ko) 핸드 그라인더용 연마휠
CN114025918B (zh) 用于研磨凿岩钻头上的球齿的研磨工具
NO20024300L (no) Masseredusert slipekopp
CN218311032U (zh) 一种可改变钻径大小的麻花钻
CA2404156C (en) Grinding tool for buttons of a rock drill b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