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1750A - 적층된 직물 및, 이러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블랭크 - Google Patents

적층된 직물 및, 이러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블랭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750A
KR19980701750A KR1019970705146A KR19970705146A KR19980701750A KR 19980701750 A KR19980701750 A KR 19980701750A KR 1019970705146 A KR1019970705146 A KR 1019970705146A KR 19970705146 A KR19970705146 A KR 19970705146A KR 19980701750 A KR19980701750 A KR 19980701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fabric
layer
loop
lami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9565B1 (ko
Inventor
뵈른 리딘
더글라스 리 호랜버그
Original Assignee
앤더스 브이. 헬름로쓰
알바니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더스 브이. 헬름로쓰, 알바니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앤더스 브이. 헬름로쓰
Publication of KR19980701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5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54Seams thereof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21F7/10Seam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19Fold at edge
    • Y10T428/24264Particular fold structure [e.g., beveled,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77Edge feature
    • Y10T428/24785Edge feature including layer embodying mechanically interengaged strands, strand portions or strand-like strips [e.g., weave, knit, etc.]

Landscapes

  • Pap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anufacturing Of Multi-Layer Textile Fabric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지기 또는 셀룰로오스 제조기 용의 적층된 직물과, 상기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직물은 각각의 층이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22;22)을 갖추고 있고 상기 실 시스템(22;22)이 직물의 가공 방향(MD) 및 서로 경사져 있는 2개의 적층된 층(O,I)을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층(O,I)은 무한 밴드(40)의 상부 및 내부를 각각 구성하며, 상기 무한 밴드(40)는 너무 평평하기 때문에 상기 가공 방향에 대해 횡으로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에지 폴드(48,50)와 중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밴드(40)는 밴드의 평면화 및 중첩으로 인해 제 1층(O) 및 제 2층(I)이 서로 경사져 있는 실 시스템을 형성하고 가공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한정된 방향의 실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층된 직물 및, 이러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블랭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제지기 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제조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적층된 압착 펠트(press felt)와 같은 적층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두께 방향으로 한정된 방향의 실 시스템(thread system)을 각각 갖춘 제 1층 및 상기 제 1층에 적층된 제 2층으로 구성된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실 시스템은 직물의 가공 방향 및 서로 각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적층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블랭크에 관한 것이다. 스웨덴 특허 제 468,602호는 전술된 형태의 적층된 압착 펠트, 및 이에 대한 제조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제지기 내의 압착 펠트는 최근 10년간 많이 변화된 섬유, 건섬유 등을 구성하는 다른 직물을 갖추고 있다. 근래의 압착 펠트는 보호용의 페이퍼 웨브(paper web)에 인접한 가벼운 압축가능한 부분 및, 압착 닙(press nips)에서 압착된 물을 수용 및 제거하기 위한, 소위 기초섬유라 일컬어지는 비교적 압축불가능한 부분으로 구성된다. 압축가능한 부분은 일반적으로 기초섬유에 꿰매어진 단일면 또는 이중면 섬유층이다. 기초섬유는 일반적으로 짜여진 모노필라멘트(monofilaments)로 구성되지만, 또한 잡아늘인 실 또는 꼬인 다중필라멘트(multifilaments)가 사용된다. 섬유층 및 기초섬유의 재료와 같이 실제는 종종 폴리아미드(polyamide)로 만들어지며, 상기 폴리아미드는 압착 닙(press nip)에서 반복 압축으로 인해 가는 섬유가 없게 한 소형의 방염성 섬유이다.
70년대 초, 미래의 압착 펠트(press felts)가 소량의 기초섬유를 포함할 것이며 기초섬유가 없이도 완전해질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본 기술분야에서 고려된다. 그러나, 발전은 완전히 역행되어 왔다. 매우 거대한 압착 압력을 갖춘 더욱 빠른 가공에는 매우 높은 안정성, 개선된 강도 특성 및 조절능력을 갖춘 압착 펠트가 요구되었으며, 이에 따라 두꺼운 기초섬유 및 다수층 설계를 갖는 압착 펠트의 양은 끊임없이 증가했다.
소위 적층된 압착 펠트는 특별한 형태의 다수층 압착 펠트이고 2개의 기초섬유가 포함되는 앞으로의 함축된 큰 단계를 있으며, 상기 기초섬유는 분리된 실 시스템을 갖추고 있고 상기 펠트를 제조하는 동안 결합, 즉 적층된다. 적층된 압착 펠트는 특히 낮은 표시를 요구하는 많은 경우에서 많은 양의 물이 처리되는 높은 부하의 압착 위치에서 사용된다. 상부 및 하부 섬유의 서로 다른 조합에 의해서, 요구되는 가공 위치로 상기 구조체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90년대 초에는, 출원인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Albany International Corp.)에 의해 출원된, 나선형으로 로울된 스트립, 바람직하게는 평평하게 짜여진 스트립으로 구성된 2개의 기초섬유 중 적어도 하나의 기초섬유, 즉 서로 적층된 2개의 층 중 한 층으로 된 상표명 다이나텍스(DYNATEX)라는 새로운 형태의 적층된 압착 펠트가 도입되었다. 이러한 나선형으로 로울된 기초섬유는 도입 방식에 의해 언급된 스웨덴 특허 제 468,602호의 주제이다. 주요 내용은 상기 나선형으로 로울된 기초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첨부된 도면 중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평행한 축을 갖춘 2개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로울러(10,12)는 공통적인 축 거리(D)로 배열된다. 공급 코일(14)은 종방향 에지(26 및 28) 사이의 폭(w)을 가진 방사로 만들어진 섬유의 평평하게 짜여진 스트립(20)의 말아올려진 공급에 편의를 제공한다. 스트립(20)은 도면부호(22 및 24)로 개략적으로 각각 도시된 종방향 실(감긴 실) 및 횡방향 실(씨실)로 각각 이루어진 2개의 서로 수직인 실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공급 코일(14)이 도면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되는 것처럼, 스트립(20)은 축(10,12)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로울되도록 무한 제품, 즉 하기에 언급된 무한 밴드(endless band;40) 안쪽으로의 화살표(30) 방향으로 배출된다. 밴드(40)의 최종 폭은 B로 지정되고 밴드(40)의 측면이 스파이럴 로울링된 후 절단되는 선(34 및 36)에 의해 한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20)은 참조부호(MD)로 지시되고 가공이 마무리된 압착 펠트의 작동 방향인 가공 방향과 각(α)을 이루고 공급된다. 스트립(20)의 종방향 에지(26,28)는 에지에 의해 또는 오버래핑(overlapping) 형태, 바람직하게는 서로 결합된 형태로 위치된 에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완성된 적층된 압착 펠트는 스파이럴 회전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폭(B)과, 축거리(D)의 대략 2배로 동일화함으로써 축거리(D)의 변형에 의해 쉽게 다양해질 수 있는 길이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스파이럴 로울링의 잇점은 스웨덴 특허 제 468,60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다.
특별한 잇점은 다이나텍스(DYNATEXTM)의 다축(multiaxial) 변형체로 달성되었고, 전술된 바와 같은 상기 다축 변형체의 두 나선형으로 로울된 무한 기초섬유 밴드는 한 밴드의 스파이럴 회전이 다른 밴드의 스파이럴 회전과 교차하는 방법으로 적층된다. 도 1에 따른 제 1 기초섬유를 나선형으로 로울링함으로써, 그리고 본래 동일한 길이를 갖지만 상반되는 피치각을 갖는 제 2 기초섬유 밴드를 나선형으로 로울링함으로써 상기 다축의 적층된 기초섬유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2 기초섬유 밴드에서 스트립은 도 1에서와 같이 명확하게 좌측 상방으로 향하는 대신 명확하게 우측 상방으로 향해 있다.) 그 후, 이들 두 무한 밴드는 적층된 기초섬유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적층된 기초섬유는 한편으로는 서로 및 가공 방향(MD)과 각을 이루고 있는 종방향 실(22)로 된 2개의 시스템을, 다른 한편으로는 서로, 그리고 종방향 실(22) 및 가공 방향(MD)과 각을 이루고 있는, 즉 전체적으로 4개의 방향으로 각을 이루고 있는 횡방향 실(22)로 된 2개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어서, 다축의 적층된 기초섬유에는 니이들형 속솜층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니이들형 속솜층은 두 층 상에서 결합효과를 발생시킨다. 최종 제품은 다축의 적층된 압착 펠트로 불리운다.
다축의 적층된 압착 펠트와의 작동은 참조된 다수의 잇점을 갖는데, 주로 압력하의 형태를 서로의 내부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실 시스템의 교차를 위해 생각하도록 하기 위한 개선된 안정성이다. 추가의 잇점은 그것이 긴 시간동안 더욱 개방을 유지하기 때문에 압착 펠트의 수명이 증가한다는 것이며, 따라서 그 특성은 시간내에 변화하는 양이 적다.
그러나, 다축의 적층된 압착 펠트의 문제점은 적층에 대하여 상기 압착 펠트의 제조가 비교적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는 것이다.
다축의 적층된 압착 펠트의 추가의 문제점은 어떠한 개방가능한 봉합부도 갖지 않는 것이며, 따라서 봉합된 펠트를 요구되는 가공 위치에서 설치 및 작동시킬 수가 없다.
잘못된 개방가능한 봉합부는 단지 수직의 실 시스템, 즉 가공 방향(MD) 및 교차 가공 방향 (CD)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제조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첫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층된 직물 및, 청구범위 제 1항 및 제 7항에서 한정된 형태를 갖는 상기 적층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라, 적층된 직물의 제조를 위해 지정된 블랭크(blank)는 청구범위 제 14항에 따라 제공된다.
직물(clothing) 이란 용어는 설치용으로 마무리된 제품, 이를테면 적층된 기초섬유 및, 상기 기초섬유에 니이들된 방사(batt)를 포함하는 압착 펠트, 또는 마무리된 제품의 일부분, 이를테면 압착 펠트용의 단지 적층된 기초섬유를 의미한다. 직물 이라는 용어는 또한 압착 펠트 분야에 한정되어 고려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본 원의 다른 가능한 분야는 롱 니프 압착(long nip presses) 밴드, 운반 밴드, 형상 또는 건조용 직물 등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지기 또는 셀룰로오스 제조기 용의 적층된 직물이 제공되는데, 상기 직물은 두께 방향으로 제 1층 및 상기 제 1 층에 적층된 제 2층을 갖추고 있고, 각각의 층은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을 각각 갖추고 있으며, 상기 실 시스템은 직물의 가공 방향 및 서로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새로운 및 특별한 형태는 제 1 및 제 2층이 너무 평평하기 때문에 두 에지 폴드가 가공 방향에 대해 횡으로 형성되고 서로 결합된 상기 에지 폴드와 중첩되는 무한 밴드의 외부 및 내부로 각각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밴드는 가공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밴드의 평면화 및 중첩으로 인한 제 1 및 제 2층의 서로 경사진 상기 실 시스템을 형성하는 한정된 방향의 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의 근본이 되고 특징이 되는 기술적 효과는 적층된 층 내에 포함되고 마무리된 제품에서 서로 및 가공 방향과 각을 이루는 실 시스템의 교차가 어떤 및 동일 무한 밴드의 평면화 및 중첩에 의해 완전 자동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만일 무한 밴드의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이 가공 방향(MD)과 각(+α)을 이룬다면, 평평하고 중첩된 밴드는 그것의 주요면에 수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각(2α)을 이루고 가공 방향(MD)과 각(+α 및 -α)을 이루는 2개의 실 시스템을 가질 것이다.
상기 설계의 다축의 적층된 직물은 전체 직물이 함께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최초 분리 밴드로부터 적층된 직물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공지된 기술과 비교하여 제조하기가 더 쉽다. 2개의 분리 밴드의 치수에 대하여 어떠한 추가도 요구되지 않는다. 더욱이, 단지 하나의 무한 밴드만이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시간이 감소된다. 추가의 잇점은 실 시스템의 축소 및 각에 관한 기술과 같은 제품 특성이 적층된 층 내에서 일정하다는 것이다.
가장 폭 넓은 양태로, 무한 밴드는 상기 밴드의 종방향과 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을 포함하는 어떤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테면, 무한 밴드는 또한 랩 니트(wrap knit)일 수도 있다. 또한, 무한 밴드 란 용어는 비록 상기 설계가 아마도 별로 바람직하지 않을지라도, 그 횡방향에서 하나 이상의 개방가능한 봉합을 갖는 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무한 밴드는 나선형으로 로울된 스트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립은 무한 밴드의 폭보다 폭이 좁으며 상기 스트립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무한 밴드의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을 구성하는 한정된 방향의 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나선형으로 로울된 스트립을 이용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파이럴 로울링의 공지된 잇점에 추가하여 중첩으로 인한 새로운 잇점이 달성된다. 종래 기술의 다축 제품에서처럼 상기 정 및 부 피치각(α 및 -α)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실상 스트립 폭의 2배인 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순서상 결합될 스트립에 대한 소량의 미터를 의미한다. 이제 도 1에서 종래기술의 나선형으로 로울된 기초섬유의 제조에 대해 추측해보면, 축 거리(D)는 10m이고 가공 방향에 대한 스트립의 피치각은 α이며, 상기 피치각은 전체 길이가 약 20m인 무한 밴드를 발생시킨다. 만일 본 발명의 직물이 이와 같은 나선형으로 로울된 스트립으로 구성된 무한 밴드로부터 제조된다면, 축 거리는 약 40m의 긴 무한 밴드을 형성하기 위해 2배, 즉 20m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증가된 축거리는 만일 피치각이 스트립의 폭이 α와 동일하도록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면 스트립의 폭은 대체로 2배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넓은 스트립의 나선형 로울링 및 그로부터의 초기에는 보다 짧은 제조시간을 위해, 한편으로는 실제 스트립을 제조하는데 요구된 시간에 대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스파이럴 회전을 나선형으로 로울링 및 결합시키기 위해 요구된 시간을 추측하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제공한다. 나선형으로 로울된 스트립을 갖춘 본 설계의 추가 잇점은 2개의 적층된 층에서 실의 각을 보다 잘 점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무한 밴드를 평평하게 하고 중첩시킴으로써 어떤 및 동일 무한 밴드로부터 다축 형상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본 발명의 주요 사항은 또한 서로 결합된 에지 폴드에 인접한 개방가능한 봉합부를 구비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비록 개방가능한 봉합부를 갖춘 본 발명의 설계가 바람직할지라도, 청구범위의 한정부는 바람직하게는 서로 영구 결합된 에지 폴드의 별로 재미없는 경우를 위해 개방가능한 봉합부 없이 직물을 포함하도록 고려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밴드의 에지 폴드는 2줄 봉합 루프에 의해 개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줄은 핀틀 와이어(pintle wire)와 함께 직물의 개방가능한 봉합부를 형성한다. 경사진 실 시스템을 갖춘 무한 밴드를 평평하게 하고 중첩시키는 것에 관한 본 발명의 주요 사항은 경사진 실 시스템을 갖춘 직물에서 개방가능한 봉합부를 확실히 제공할 수 있게 하는데 직접적으로 도움이 된다.
봉합 루프 및 핀틀 와이어를 구비한 개방가능한 봉합부는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경사진 실 시스템, 즉 가공방향(MD) 및 교차 가공방향(CD)과 각을 이룬 실 시스템을 갖춘 구조체 내에서 봉합 루프의 줄을 배열하는 것은 적층된 구조체 내에서 근본적으로 완전히 새로운 것이다. 섬유 내에서 봉합 루프를 제조하기 위한 현대 기술은 섬유가 그 자체 상에 봉합 루프를 형성하거나 또는 교차 가공방향(CD)으로 삽입된 봉합 스파이럴을 고정시킬 수 있는 가공 방향(MD) 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에 완전 의존한다.
가공 방향(MD) 실 시스템을 갖춘 압착 펠트의 종래 기술의 루프 봉합부의 실시예는 스웨덴 특허 제 429,982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는 2개의 층으로 된 가공 방향 실 시스템을 갖춘 기초섬유를 포함하는 적층되지 않은 압착 펠트에 관한 것이고, 상기 가공 방향(MD) 실은 상기 층들 사이에서 변화된 봉합 루프를 형성한다.
더욱이, 핀란드 특허 제 77072호, 유럽 특허 제 0 425 523호 및 미국 특허 제 5,015,220호는 직물을 설명하고 있고, 상기 직물에서 수직의 실 시스템을 갖춘 무한 밴드는 평평하고 중첩되어 있으며, 두 에지 폴드는 가공 방향(MD) 실로 구성된 봉합 루프에 의해 개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들 모든 종래 기술에서, 실제 가공 방향(MD) 실은 봉합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절대 요건으로서 필요하다. 봉합 루프는 에지 폴드 내에서의 이러한 회전과 같이 가공 방향(MD) 실로 구성된다. 봉합 루프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교차 가공방향(CD) 실을 풂(ravelling)으로써 에지 폴드를 따라 재료를 개방한다. 따라서, 중첩된 구조의 봉합 루프를 제조하기 위한 이들 종래 기술 중 어떠한 기술도 본 발명에 사용할 수가 없으며, 본 발명은 경사진(수직이 아닌) 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비록 적층된 직물에 대해 무한 밴드를 평평하게 하고 중첩시키고 에지 폴드와 결합시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할지라도, 실제는 이것이 개방가능한 봉합부의 제조를 위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모든 공지된 구조에서 수직인 실 시스템을 갖춘 재료로 만들어진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종래 기술에 대한 해결책은 본래 평면화 및 중첩으로 인한 상기 층의 실 시스템의 자동 교차와 관련된 본 발명의 특징인 기술상의 효과를 갖지 않는다.
봉합 루프를 제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결점은 교차 가공방향(CD) 실을 풂으로 해서 봉합 루프의 줄을 따라 물질의 구조 및 특성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화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새로운 기술이 제시되는데, 이 새로운 기술은 경사진 실 시스템을 갖춘 직물에서, 특히 경사진 교차 실 시스템을 갖춘 적층된 직물에서 봉합 루프의 제조를 허용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봉합 루프는 봉합 루프 실 아래의 분리된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되고, 상기 봉합 루프 실은 특별한 루프 구성장치에 의해 밴드내의 루프 안으로 형성된다. 무한 밴드의 구조는 손상되지도 영향을 받지도 않으며, 본 기술은 밴드 재료내에 가공 방향(MD) 실이 존재하도록 요구하지 않는다. 한 줄의 봉합 루프를 제조하기 위해, 루프 구성장치 및 밴드는 최종 중첩을 실행하기 전에 밴드의 종방향 에지에 수직인 지시된 봉합선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움직이도록 유도된다. 루프 구성장치 및 밴드의 이러한 상대적인 작동시, 봉합 루프 실은 두께 방향 및 봉합 루프가 제공된 각 지점에서 밴드를 통해 중첩 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동일 구멍을 통해 밴드로 들어가는 및 떠나는, 바람직하게는 그들 표면에 수직인, 즉 지시된 에지 폴드에 수직인 실 가이드와 함께 실행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실 루프는 바람직하게는 다음 실 루프의 구성시 반대측 상에 유지되고 구성부재 등과, 구성부재에 대하여 긴장되어 있음으로써 구성부재 둘레에 소정의 루프 형상을 이루는 봉합 루프 실의 둘레에 형성된다.
봉합 루프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된 본 기술의 잇점은 본 기술이 봉합선에 수직인 어떤 가공 방향(MD) 실 시스템, 또는 봉합선에 평행하게 교차 가공방향(CD) 실 시스템의 존재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봉합 에지를 따라 겹쳐지는 모든 형태의 평평한 직물 구조체 상에서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루프 구성기술의 다른 잇점은,
봉합부가 재료 및 치수에 대하여 나머지 구조체에 따라 치수화될 수 있고,
구성된 봉합 루프 스파이럴은 충격에서 유지될 필요가 없으며,
무한 밴드는 준비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손상되지 않으고,
봉합 루프는 매우 정확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봉합 루프는 에지 폴드에 정확한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직물의 주요 평면에 수직으로 위치될 수 있고,
본 방법은 빠른 속도로 실행될 수 있으며, 그리고
최종 봉합부는 매우 균일한 압력, 탈수 특성, 낮은 표시 및 청정성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은 경사진 실 시스템을 갖춘 직물에서, 특히 경사진 상호 교차 실 시스템을 갖춘 적층된 직물에서 봉합 루프의 제조를 허용하는 것으로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라, 봉합 루프는 수행된 스파이럴로부터 만들어진다.
미국 특허 제 4,896,702호는 에지 폴드를 따라 봉합 루프의 줄을 구성하기 위한 미리 형성된 봉합 스파이럴의 평평한 이중 밴드의 에지 폴드에서의 배열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스파이럴은 교차 가공방향(CD)으로 삽입될 것이며 이것이 반드시 가능해야만 하고, 상기 구조체는 특별한 교차 가공방향(CD) 충전부재와, 선택적으로 섬유내의 교차 가공방향(CD) 실을 제거함으로써 에지 폴드를 따라 가장 먼저 개방된다. 따라서, 이러한 공지된 기술은 어떠한 가공 방향(MD) 실도 다축의 적층된 구조로 된 에지 폴드에 인접하여 풀려있지 않기 때문에 경사진 실 시스템을 갖춘 다축의 적층된 직물에서 사용될 수가 없다.
본 발명의 전술된 선택적인 실시예에 따라, 봉합 루프는 에비 형성된 스파이럴로부터 제조되고, 대신에 상기 스파이럴은 주요 평면이 횡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지시된 에지 폴드에 대체로 수직으로 밴드를 통해 끌어당겨지거나 또는 압착된다.
미리 형성된 스파이럴이 봉합 루프을 구성하는 한 측부(루프측) 및 밴드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한 측(고정측)을 갖는다는 의미에서 이중이기 때문에, 밴드를 통해 측부가 끌어당겨지거나 또는 압착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 1 방법에 따라, 스파이럴의 루프측은 밴드의 후측으로 앞측까지 밴드를 통해 압착된다. 핀틀 와이어 등은 그것들이 후측으로 물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루프를 통해 추후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을 장착하기 위한 두 번째 방법에 따라, 스파이럴의 장착측은 앞측으로부터 밴드의 후측까지 밴들를 통해 압착된다. 핀틀 와이어 등은 앞측 상에서 스파이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밴드의 후측상의 스파이럴을 통해 압착될 수 있다.
장착용 스파이럴 상에 견인력 또는 압축력을 가하기 위해, 실제는 한 줄로 된 니이들 등이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니이들은 지시된 에지 폴드와, 스파이럴 루프와 맞물려 있는 각각의 니이들을 따라 밴드를 통해 압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범위 제 14항에 따른 직물이 또한 제공되는데, 상기 직물은 전술된 실시예에 비례하여 연속적으로 연결된 둘 이상의 무한 벨트를 포함한다. 기본적인 주요내용은 동일하지만, 긴 직물의 제조는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기술에 의해 단순화된다. 제 1 실시예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은 변형체 및 제조방법은 또한 청구범위 제 14항에 따라 연속적으로 연결된 변화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연결된 밴드로 구성된 무한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결합된 에지 폴드에 인접해 개방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인 것으로서 단지 영구 결합된 에지 폴드 만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나선형으로 로울된 스트립으로부터 무한 밴드에대한 잘 알려진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의 방향을 도시하기 위한 도 1의 밴드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주요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 3에 따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나선형으로 로울된 무한 밴드 상의 봉합 루프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루프 구성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루프 구성장치의 작동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은 고정된 루프 구성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루프 구성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루프 구성장치의 형태 또는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따른 단순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미리 형성된 스파이럴을 장착하기 위한 방법의 서로 다른 단계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 즉 압착 펠트용의 적층된 기초 섬유의 실시예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음 설명은 일반적으로 제지기 또는 셀룰로오스 제조기용의 다른 직물을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단계에서, 무한 밴드는 스트립으로부터 만들어지고, 이 스트립은 도 1과 연결하여 이미 전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선형으로 로울된다. 따라서, 스웨덴 트허 제 468,602호에 개시된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는 스파이럴 로울링 기술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스트립(20)은 마무리된 기초 섬유의 폭(B)보다 작은 폭(W)으로 이루어지며, 종방향 및 횡방향 실 시스템(22,24)을 구비한 각각의 평면 파형(flat-woven) 형태를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축 거리(D)는 스웨덴 특허 제 468,602호에서 상기의 경우와 이중으로 비교될 것이므로, 최종 무한 밴드(40)는 마무리된 압착 펠트의 원주 길이에 약 2배인 원주 길이를 이룬다. 본 발명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에서, 무한 밴드는 스트립으로 구성되지는 않는 대신, 동일한 구조체로 이루어진다.
스파이럴 로울링의 완성 후, 무한 밴드는 (도 4에 도시된) 밴드의 에지 폴드와 일치하는 봉합선(L1 및 L2)을 따라 2줄로 된 봉합 루프(42,44)를 갖추고 있다. 봉합선(L1 및 L2)은 실선 및 점선으로 도 5에 각각 지시된 바와 같이 밴드(40) 상에 전진 표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봉합선(L1 및 L2)이 스트립의 스파이럴 회전과 관련하여 경사진다. 즉, 횡방향 실(24)과 마찬가지로 종방향 실(22)과 관련하여 경사진다.
봉합 루프(42,44)는 밴드로부터 분리된,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방법인 모노 필라멘트 폴리아미드로부터 분리된 봉합 루프 실(46)로 만들어진다.
루프(42,44)의 완성 후, 무한 밴드는 봉합선(L1 및 L2)이 2개의 에지 폴드(48,50)와 일치하도록 평평해진다. 이어서, 무한 밴드는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중첩되고, 상기 형태의 루프 줄(42,44)을 구비한 에지 폴드(48 및 50)는 서로 반대쪽에 배열된다. 상기 평면화 및 중첩에 의해, 적층된 구조체는 외부층(O) 및 내부층(I)을 갖춘 상태로 달성된다.
도 3 및 도 4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외부층(O)의 일부는 분해되고, 이러한 방법에 의해 외부층(O)의 스트립(20)과 관련된 내부층(I) 스트립(20)의 자동 교차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적층된 기초섬유(40)는 그것의 주요면에 수직으로, 내부층(I)에서의 종방향 및 횡방향 실(22,24) 및 외부층(O)에서의 종방향 및 횡방향 실(22,24)의 상기 가공 방향 MD, viz.와 관련하여 모두 경사진 4개의 일치하지 않는 실 방향을 갖는다.
도 3 및 도 4에 따른 밴드(40)를 이중으로 중첩시키기 전에 봉합 루프(42,44)를 구비한 무한 밴드(40)를 제공하기 위해, 실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루프 구성장치(52)의 제 1 실시예로 만들어진다. 루프의 구성은 이것이 축(10 및 12) 상에남겨지는 동안 밴드(40) 상에서 직접 실행될 수 있다.
루프 구성장치(52)는 서로 동시에 움직이도록 되고 상기 및 하기의 각각의 고정 밴드(40)와, 화살표(54)로 지시된 방향의 봉합선(L1)에 간헐적으로 연결된 상부 및 하부 부분을 포함한다.
루프 구성장치(52)의 하부 부분은 밴드(40)의 하부면에 대하여 접해 있는 지지 플레이트(56)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의 작동하에서 단속 운동을 초래하는 회전 이송 로울러(58)와, 그리고 플레이트(56)에 수직으로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와 같은 실 가이드(60)를 포함한다. 또한, 도 6은 실 가이드(60)의 (도 7에 도시된) 상부 바늘구멍(eye)을 통해 로울러(64)를 거쳐 이송되는 봉합 루프 실(46)을 저장하고 있는 공급 코일(62)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루프 구성장치(52)의 상부 부분은 이중 화살표(7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74) 상에 장착된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70)에 의해 종방향으로 왕복운동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는 연장된 루프 구성부재(68)를 포함한다. 연장된 루프 구성부재(68)는 설명된 실시예에서 봉합 루프(42 및 44)의 소정의 형상과 합치하는 횡단면을 갖추고 있고, 봉합선(L1)과 평행을 이루고 상기 봉합선(L1)으로부터 약간 분파된(offset) 선을 따라 연장된다. 이와같이, 루프 구성장치(52)는 실 가이드(60)를 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실 가이드(60)는 실제 봉합선(L1)에서 밴드(40)를 통해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한다. 플레이트(74) 및 상기 플레이트 상에 장착된 루프 구성부재(68)는 구동수단에 의해 화살표(54)의 방향으로 루프 구성장치(52)의 하부 부분과 조합되어 움직이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만들어진다.
루프 구성장치(52)의 작동 형태는 도 7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도시되며, 상기 도 7에서 무한 밴드의 주요 평면은 참조번호(40)로 표시되고, 밴드는 4중 방사(fourfold yarn)로 만들어진다. 2개의 봉합 루프(42a 및 42b)는 실 가이드(60)의 좌측에 이미 제조되어 있고, 새로운 봉합 루프(42c)는 제조 중에 있다. 루프(42c)를 제조하기 위해, 루프 구성장치(52)는 다음의 작업을 수행한다.
제 1 단계에서, 실(46)은 밴드(40) 내의 구멍을 통해 상방으로 실 가이드(60)에 의해 상승된다. 이러한 제 1 단계 동안, 루프 구성부재(68)는 이미 형성된 봉합 루프(42a,42b) 내에 삽입되고, 루프 구성장치(52)는 밴드(40)에 대하여 고정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 1 단계에서, 새 루프(42c)는 아직 상기 루프 구성부재(68) 상에 설치되지 않는다. 상기 루프(42b) 내에 삽입되어 있는 루프 구성부재(68)와 관련하여, 루프(42b)는 제 1 단계 동안 루프 구성부재(68)의 둘레에서 긴장상태로 된다.
제 2 단계에서, 실 가이드(60)는 연전히 상부 위치에 있고, 루프 구성부재(68)는 오목해진 위치를 향해 이미 형성된 루프(42b,42a)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제 3 단계에서, 실 가이드(60)는 하방으로 이동하고 바늘구멍(66)을 통해 미끄러지므로, 새 루프(42c)는 밴드940)의 상부 측면상에 현재 위치된 실의 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새 루프(42c)는 소정의 적절한 방법, 이를테면 루프의 외부 상에서 작동하는 안내 레일 등에 의해, 연속적인 단계로 상기 루프 구성부재(68)가 루프(42c)를 통해 삽입될 수 있는 상기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루프의 상기 안내에 대한 예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에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4 단계에서, 루프 구성부재(68)는 한편으로는 새 루프(42c), 다른 한편으로는 적절한 수의 상기 형성된 루프(42b,42a) 등을 붙잡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제 5 단계에서, 실 가이드(60)는 밴드(40) 아래의 그 하부 회전위치로 이동한다.
제 6 단계에서, 루프 구성장치(52)의 화살표(54) 방향 표시는 봉합선(L1)을 따라 다음 위치로 실행된다.
루프 구성부재(68)의 주요 목적은 봉합 루프(42)의 바람직한 크기가 형성되도록 실(46)의 충분한 양을 보유하는 것이다. 만일 어떤 형태의 루프 구성부재(68)가 사용된다면, 이 경우에서와 같이 사기 루프 구성부재(68)는 또한 루프(42)를 구성하고 설치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루프 구성부재(68)는 설치를 위해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분리된 연속 공정에서 루프(42)를 설치하는 것은 또한 가능하며, 상기 공정에서 루프(42)는 루프 구성부재(68) 상에 잔류할 수 있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새 특별 삽입 실은 소정의 형태로 제공되도록 상기 루프(4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따른 왕복하는 루프 구성부재(68)의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루프의 구성에서 2개의 실 시스템과, 추후 제거가능한 상부 실 교체 루프 구성부재(68)를 사용하는 것은 또한 가능하다.
봉합 루프 실(46)은 적합한 치수, 이를테면 0.35 내지 0.50 ㎜의 모노매니폴드 방사와, 이중 모노필라멘트 방사, 멀티필라멘트 방사 등일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루프(42,44)는 1.7㎜의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직경 1.5㎜의 삽입 실에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이 구성 작업동안 진작에 실행되지 않는 경우, 이어서 열처리가 실행될 수 있다. 이어서, 삽입 실이 직경 0.7㎜의 가는 실로 바뀔 수 있고, 그 때문에 적층된 기초섬유(40)에는 외부층(O) 및 내부층(I)을 통해 바느질함으로써 (도면에 도시된) 속솜층(batt layer)이 제공된다. 바느질 작업과 관련하여, 속솜 섬유에 대한 부착 지점을 형성하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봉합 루프 충전기 실 안으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삽입실이 제거되고, 이어서 봉합부는 개방되며 각 줄의 루프에는 저장 및/또는 운반용의 (도며에 도시되지 않은) 보호 실이 제공되어 있다. 특히 폴리아미드가 루프 실 용으로 선택된다면, 제지기 상에 장착하기 위한 모든 고정 단계동안 형상 및 크기에 대하여 제어하의 루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지기와 관련하여, 펠트는 압착 단면에 장착되고 직경 0.20㎜의 5겹으로 된 모노필라멘트 방사로 구성된 직경 1.2㎜의 결합 실에 의해 봉합된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루프의 제조를 수행하기 위한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루프 구성장치(52)의 구성 및 작용은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를 위해 전술한 바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및 전술한 실시예 간의 차이점은 그중에서도 도 8 내지 도 11의 장치(52)가 고정되고, 그대신 무한 밴드(40)는 도 8 내지 도 11의 화살표(54)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봉합선(L1/L2)의 방향으로 장치(52)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만들어진다.
루프 구성장치(52)는 고정 프레임(80) 상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 플레임(80)은 수평 비임(82)의 대략 중심에 배열되며, 상기 수평 비임(82)은 무한 밴드(40)가 비임(82) 위로 미끄러질 수 있고 상기 비임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참조부호(86)에서 작동가능한 한 단부 및 다리(84)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비임(82)은 밴드(40)의 폭(B)의 약 2배인 길이를 갖는다.
도 9로부터 잘 나타나는 것처럼, 루프 구성장치(52)는 도 6의 장치와 근본적으로 같은 구성을 갖는다. 도 9는 또한 실 가이드(60)를 구동시키기 위한 피스톤 및 실린더 조립체(88) 및, 밴드(40)의 단속적인 공급을 위한 추가의 이송 로울러(58)를 도시하고 있다.
도 8 및 도 9의 고정장치(52)의 잇점은 상기 고정장치(52)의 상부 및 하부가 상호 기계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이고, 이로 인해 도 6 에서처럼 이들이 서로 동시에 2개의 부분으로 유도되어야할 필요성을 막을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루프의 제조시 루프(42)가 측방으로 안내되고, 이로 인해 상기 루프(42)를 붙잡고 왕복중인 부재(68)의 둘레에 상기 루프(42)를 형성시키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수평으로 연장된 플랫폼형(platform-type) 가이드(90)는 프레임(80) 상에 가요성있게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80)의 긴 측면을 따라 접촉되어 있는 부재(68) 및 루프(42), 제 1 안내벽(92) 및 제 2 안내벽(94)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안내벽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며 경사진 구획(96)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실 가니드(60)에 의해 현재 형성되어 있는 루프(42˝)는 경사진 구획에 직접 근접한 제 1 안내벽(92)에 인접해 위치된다. 루프(42˝)가 형성되고 밴드(40)가 화살표(54) 방향으로 표시되어 있을 때, 경사진 구획(96)의 작용하에서 루프는 루프 구성부재(68)의 이동 통로와 합치하는 측방으로 분파된 위치를 향해 봉합선(L1)의 반대쪽에 따로 안내된다. 도 10 도시된 적절한 수의 루프(42´)는 제 2 안내벽(9)에 의해 이러한 측방으로 분파된 위치에 고정된다.
루프(42)가 루프 구성장치(52)를 떠날 때, 루프(42)는 도 10의 좌측에 지시된 바와 같이 봉합선(L1)과 합치하는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10은 또한 새롭게 구성된 루프(42 ˝)가 루프를 놓치는 상기 영역을 향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접합부(abutment;98)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봉합 루프(42,44)를 제조하기 위한 서로 다른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따라, 실제는 각각의 에지 폴드(48,50)에 인접한,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는 잘 알려진 스파이럴(100), 이를테면 폴리아미드로 만들어진다. 밴드(40)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파형의 구조체일 수도 있고, 그 바느질(stitches)은 스파이럴(100)의 장착을 위해 사용된다.
스파이럴(100)을 장착하기 위해, 실제는 근본적으로 한 단부에 후크(hook;104)를 구비한 크로셰 니이들(crochet needle)의 형태를 각각 갖는 한 세트의 니이들(102)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니이들(102)은 또한 축회전가능한 록킹아암(106)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아암(106)의 기능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니이들(102)은 밴드(40)를 통해, 이를테면 밴드(40)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제일 먼저 압착된다. 명료하게 도시된 록킹 아암(106)은 니이들(102)과 평행하고 밴드(40)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향한다. 니이들(102)은 록킹아암(106)의 자유단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이들의 배출측 상에서 밴드와 대응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압착된다.
이어서, 니이들(102)의 후크(10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100)의 루프측 또는 장착측 상에서 스파이럴 루프 내에 부착되고, 이 때문에 핀틀(pintle) 로드 또는 와이어(108)는 스파이럴(100)이 후트(104)를 해제하지 않도록 스파이럴(100)을 통과한다.
그 후, 니이들(102)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13에 따라 밴드(40)의 작용하에서 록크된 위치로 이동된, 결합된 후크(104)를 구비한 각각의 록킹 아암(106)은 스파이럴 루프가 붙잡혀 있는 니이들의 페쇄된 바늘 구멍을 형성한다.
핀틀 로드 도는 와이어(108)는 이제 교체(얇은 것으로 선택적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니이들(10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40)를 통해 최종거리를 하방으로 끌어내려질 수 있다.
스파이럴(100)은 밴드(40)에서 바람직한 위치에 장착되고 어떤 적절한 방법, 이를테면 밴드(40)의 후측부 상의 스파이럴을 통해 교차 가공방향(CD)으로 핀틀 와이어를 삽입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만일 밴드가 전술한 것과 다른 몇몇 방법으로 제조된다면, 봉합 루프 또는 선택적인 스파이럴은 이러한 순화상태를 만들기 전에 밴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루프의 상기 줄이 삽입 와이어에 결합될 때, 봉합부에서의 투과성을 제어하고 필요하다면 보다 양질의 속솜을 부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충전 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만일 직물이 비교적 두껍다면 에지 폴드에 인접한 2줄 이상의 평행한 루프를 배열할 수 있을 것이다. 겹줄의 루프와 함께, 서로 결합된 에지 폴드에서 두께의 변화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6)

  1. 직물이 그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제 1층(O) 및 제 2층(I)을 갖추고 있고, 각각의 상기 층(O 및 I)이 경사 방향으로 한정된 실 시스템(22;22)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실 시스템(22;22)이 직물의 가공 방향(MD) 및 서로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제지기 또는 셀룰로오스 제조기 용의 적층된 직물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O) 및 제 2 층(I)은 너무 평탄하여 2개의 에지 폴드가 상기 가공 방향(MD)의 횡으로 형성된 무한 밴드(40)의 외부 및 내부로 각각 구성되고, 상기 무한 밴드(40)는 서로 결합된 에지 폴드(48,50)와 중첩되어 있고, 상기 밴드(40)는 밴드의 평면화 및 중첩으로 인해 제 1층(O) 및 제 2층(I)으로 서로 경사져 있는 상기 실 시스템(22;22)을 형성하고 상기 가공 방향(MD)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한정된 방향의 실 시스템(22)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40)는 나선형으로 로울된 스트립(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립(20)은 밴드(40)의 폭(B)보다 작은 폭(w)을 갖추고 있고 스트립(20)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정된 방향의 실 시스템(22)을 가지며 상기 밴드(40)의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2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40)는 방사로 만들어진 섬유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40)는 짜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40)의 서로 결합된 에지 폴드(48,50)는 2줄의 봉합 루프(42,44)에 의해 서로 결합되고, 상기 봉합 루프(42,44)는 핀틀 와이어와 함께 직물의 개방가능한 봉합을 이루기 위해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6. 제 5항에 있어서, 각각의 줄의 봉합 루프(42,44)는 밴드 재료로부터 분리된 실(4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7. 제 5항에 있어서, 각각의 줄의 봉합 루프(42,44)는 밴드 재료로부터 분리된 미리 형성된 스파이럴(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8. 직물이 그 두께 방향으로 제 1층(O) 및, 상기 제 1층(O)에 적층된 제 2층(I)을 갖추고 있고, 각각의 상기 층(O,I)이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22;22)을 갖추고 있고, 상기 실 시스템(22;22)이 상기 직물의 가공 방향(MD) 및 서로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제지기 또는 셀룰로오스 제조기 용의 적층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마무리된 직물의 원주길이의 약 2배인 원주를 갖고 상기 밴드(40)의 종방향(MD)과 각을 이루고 있는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22)을 갖춘 무한 밴드(40)를 제조하는 단계와,
    2개의 에지 폴드(48,50)를 구성하기 위해 상기 밴드(40)를 평평하게 만드는 단계와, 그리고
    2개의 에지 폴드(48,50)와 결합시킴으로써 평평해진 밴드를 중첩함으로 해서 상기 중첩된 밴드(40)의 외부 반부 및 내부 반부가 제 1층(O) 및 제 2층(I)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제 1층(O) 및 제 2층(I)의 상기 한정된 방향의 실 시스템(22,22)이 모두 상기 밴드(40)의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한 밴드(40)의 제조 단계는,
    상기 직물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지고 종방향으로 연장된 한정된 방향의 실 시스템(22)을 갖춘 스트립(20)을 만드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무한 밴드(40)와, 상기 스트립(20)의 실 시스템(22)으로 이루어진 상기 밴드(40)의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22)을 형성하기 위해 스트립(20)을 나선형으로 로울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20)을 만드는 일부 단계는 평평하게 짜여진 스트립(20)의 치수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40)의 에지 폴드(48,50)와 결합시키는 단계가 개방가능한 루프 봉합에 의해 이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봉합 루프는 결합된 에지 폴드(48,50)를 따라 각각의 줄이 연장되어 있는 2줄 봉합 루프(42,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루프(42,44)는 지시된 봉합선(L1,L2)을 따라 밴드(40) 안으로 연속 삽입된 분리 실(46)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8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루프(42,44)는 분리 형성된 스파이럴(100)로 만들어지고, 상기 스파이럴(100)의 한쪽 측면은 그 주요 평면의 횡방향으로 밴드(40)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직물이 두께 방향으로 제 1층(O) 및, 상기 제 1층(O)에 적층된 제 2층(I)을 갖추고 있고, 각각의 층이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22;22)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실 시스템(22;22)이 직물의 가공 방향(MD) 및 서로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제지기 또는 셀룰로오스 제조기 용의 적층된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너무 평평해서 2개의 에지 폴드가 상기 가공 방향의 횡방향으로 각각 형성된 둘 이상의 무한 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평평한 밴드는 상기 에지 폴드와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무한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가공 방향에서 직렬로 연속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층(O) 및 제 2층(I)은 각각 상기 무한 구조체의 외부 및 내부이며, 상기 밴드(40)는 평면화로 인해 상기 제 1층(O) 및 제 2층(I)이 서로 경사져 있는 상기 실 시스템(22,22)을 형성하고 상기 가공 방향(MD)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한정된 방향의 실 시스템(22)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15. 제지기 또는 셀룰로오스 제조기 용의 적층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로서, 상기 직물이 그 두께 방향으로 제 1층(O) 및, 상기 제 1층에 적층된 제 2층(I)을 갖추고 있고, 각각의 층은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22;22)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실 시스템(22;22)이 직물의 가공 방향(MD) 및 서로 경사져 있는 블랭크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가 상기 가공 방향(MD)에 대하여 경사진 한정된 방향의 실 시스템(22)을 갖추고 있고 너무 평평하기 때문에 2개의 에지 폴드(48,50)가 상기 밴드의 종방향에 횡으로 형성되어 있는 무한 밴드(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밴드(40)의 한정된 방향의 경사진 실 시스템(22)은 상기 밴드(40)의 평면화 때문에 상기 제 1층(O) 및 제 2층(I)이 서로 경사져 있는 상기 실 시스템(22;22)을 형성하며, 상기 평평해진 밴드는 서로 결합되어 에지 폴드(48,50)와 중첩되도록 개선됨으로 해서 상기 적층된 직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40)의 에지 폴드(48,50)는 각각 한 줄의 봉합 루프(42,44)를 갖추고 있고, 상기 줄은 핀틀 와이어와 함께 직물의 개방가능한 봉합을 이루기 위해 개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크.
KR1019970705146A 1995-11-30 1996-11-26 적층된직물및,이러한직물을제조하기위한방법및블랭크 KR100479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504275A SE505390C2 (sv) 1995-11-30 1995-11-30 Laminerad beklädnad samt metod och ämne för framställning därav
SE9504275-0 1995-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750A true KR19980701750A (ko) 1998-06-25
KR100479565B1 KR100479565B1 (ko) 2005-05-16

Family

ID=2040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146A KR100479565B1 (ko) 1995-11-30 1996-11-26 적층된직물및,이러한직물을제조하기위한방법및블랭크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6265048B1 (ko)
EP (1) EP0805895B1 (ko)
JP (1) JP4128218B2 (ko)
KR (1) KR100479565B1 (ko)
CN (1) CN1077937C (ko)
AT (1) ATE207558T1 (ko)
AU (1) AU703689B2 (ko)
BR (1) BR9607080A (ko)
CA (1) CA2209529C (ko)
DE (1) DE69616278T2 (ko)
ES (1) ES2162121T3 (ko)
MX (1) MX9705747A (ko)
NO (1) NO309616B1 (ko)
NZ (1) NZ323498A (ko)
SE (1) SE505390C2 (ko)
TW (1) TW338776B (ko)
WO (1) WO1997020105A1 (ko)
ZA (1) ZA9699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995B1 (ko) * 1998-09-03 2002-07-03 실버 챨스 제이 제지기상에서이음가능한다축프레스패브릭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2483B2 (ja) * 1998-06-15 2003-12-02 市川毛織株式会社 抄紙用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939176A (en) * 1998-09-01 1999-08-17 Albany International Corp. Warp loop seam
US5916421A (en) * 1998-09-02 1999-06-29 Albany International Corp. Preformed seam fabric
FI107517B (fi) * 1999-04-21 2001-08-31 Tamfelt Oyj Abp Menetelmä kutisteviiran valmistamiseksi ja kutisteviira
WO2002035000A1 (en) * 2000-10-23 2002-05-02 Albany International Corp. Improvements for seamed papermaker's fabrics
DE10115007A1 (de) * 2001-03-26 2002-10-10 Huesker Synthetic Gmbh & Co Gittermatte
US6776878B2 (en) 2002-04-02 2004-08-17 Albany International Corp. Laminated multiaxial press fabric
US6880583B2 (en) * 2002-05-29 2005-04-19 Albany International Corp. Papermaker's and industrial fabric seam
US6918998B2 (en) * 2002-11-13 2005-07-19 Albany International Corp. On-machine-seamable industrial fabric comprised of interconnected rings
US7086128B2 (en) 2002-12-27 2006-08-08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 assist attachment device
US7147756B2 (en) * 2003-02-11 2006-12-12 Albany International Corp. Unique fabric structure for industrial fabrics
US6989080B2 (en) * 2003-06-19 2006-01-24 Albany International Corp. Nonwoven neutral line dryer fabric
US7381308B2 (en) * 2004-05-12 2008-06-03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 for multiaxial papermaking fabrics
US7410554B2 (en) * 2004-11-11 2008-08-12 Albany International Corp. Unique modular construction for use as a forming fabric in papermaking or tissue or nonwovens
US7473336B2 (en) * 2005-04-28 2009-01-06 Albany International Corp. Multiaxial fabrics
US7207355B2 (en) * 2005-05-06 2007-04-24 Astenjohnson, Inc. Multi-axial seamed papermaking fabric and method
GB2432337A (en) * 2005-11-22 2007-05-23 Marc Pierre Despault Offset intermeshing industrial fabric seam
US8640862B2 (en) * 2006-04-10 2014-02-04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on laminated belt
US7523532B2 (en) * 2006-04-10 2009-04-28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Non-woven self-wrapping acoustic sleev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20080182938A1 (en) * 2007-01-25 2008-07-31 Heping Zhang Toughened monofilaments
US7712336B2 (en) * 2007-01-31 2010-05-11 Albany International Corp. Subassembly for industrial fabrics
JP5148401B2 (ja) * 2008-07-25 2013-02-20 日本フエルト株式会社 製紙用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497678B2 (ja) * 2015-07-21 2019-04-10 イチカワ株式会社 抄紙用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521447B2 (ja) 2015-07-28 2019-05-29 イチカワ株式会社 抄紙用フェルト
EP3235949B1 (en) * 2016-04-21 2018-05-23 Ichikawa Co., Ltd. Papermaking fel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56351A (en) * 1963-07-03 1967-01-25 Drytex Ltd Jointing of endless bands
DE1471431A1 (de) * 1963-08-29 1969-04-10 Siemen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lustarmen,magnetisch stabilen Mangan-Zink-Ferritkernen fuer Frequenzen unterhalb etwa 2 MHz
DE3034709A1 (de) * 1979-10-03 1981-04-16 Albany International Corp., Menands, N.Y. Papiermaschinen-bespann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4315049A (en) * 1979-12-06 1982-02-09 Asten Group, Incorporated Stitchless low bulk, pin-type seam for use in paper making equipment fabrics, such as dryer felts
US4695498A (en) * 1982-07-20 1987-09-22 Asten Group, Inc. Papermakers flat woven fabric
US5015220A (en) * 1988-08-03 1991-05-14 Tamfelt, Inc. Seam for work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4896702A (en) 1988-12-01 1990-01-30 Niagara Lockport Industries Inc. Seam construction for papermaking fabrics
SE468602B (sv) * 1990-12-17 1993-02-15 Albany Int Corp Pressfilt samt saett att framstaella densamm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995B1 (ko) * 1998-09-03 2002-07-03 실버 챨스 제이 제지기상에서이음가능한다축프레스패브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73412D0 (no) 1997-07-24
CA2209529A1 (en) 1997-06-05
ES2162121T3 (es) 2001-12-16
US6265048B1 (en) 2001-07-24
JPH10513511A (ja) 1998-12-22
CA2209529C (en) 2005-02-01
NZ323498A (en) 1998-08-26
CN1169762A (zh) 1998-01-07
NO309616B1 (no) 2001-02-26
JP4128218B2 (ja) 2008-07-30
AU1045297A (en) 1997-06-19
SE9504275D0 (sv) 1995-11-30
EP0805895B1 (en) 2001-10-24
SE505390C2 (sv) 1997-08-18
KR100479565B1 (ko) 2005-05-16
ZA969918B (en) 1997-06-17
SE9504275L (sv) 1997-05-31
DE69616278T2 (de) 2002-04-18
ATE207558T1 (de) 2001-11-15
MX9705747A (es) 1997-11-29
AU703689B2 (en) 1999-04-01
DE69616278D1 (de) 2001-11-29
TW338776B (en) 1998-08-21
WO1997020105A1 (en) 1997-06-05
EP0805895A1 (en) 1997-11-12
NO973412L (no) 1997-07-24
BR9607080A (pt) 1997-11-04
CN1077937C (zh)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1750A (ko) 적층된 직물 및, 이러한 직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블랭크
KR100331149B1 (ko) 제지용직물과그중간산물및그제조방법
RU2466233C2 (ru) Полноразмерная по ширине ткань, полученная плоским тканьем и выполненная с возможностью сшивания при установке
KR100474031B1 (ko) 날실루프심
KR100352025B1 (ko) 기계위에서이음가능한다축압착직물
US8353252B1 (en) Process for preparing a seam area for a PMC base fabric
CN100365204C (zh) 叠合式多轴向压榨织物
CN1950566B (zh) 用于多轴造纸织物的改良式接缝
KR100324995B1 (ko) 제지기상에서이음가능한다축프레스패브릭
KR20050012218A (ko) 제지기 및 산업용 직물 시임
US7712336B2 (en) Subassembly for industrial fabrics
TW585950B (en) Seaming of spirally wound paper machine clothing
RU2391454C2 (ru) Четырехполосн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ткань, соединяемая швом
TWI285230B (en) Method to increase bond strength and minimize non-uniformities of woven two-layer multiaxial fabrics and fabric produced according to same
CN100580177C (zh) 透明缝合螺旋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