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701630A - 전기 소제기 - Google Patents

전기 소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701630A
KR19980701630A KR1019970705024A KR19970705024A KR19980701630A KR 19980701630 A KR19980701630 A KR 19980701630A KR 1019970705024 A KR1019970705024 A KR 1019970705024A KR 19970705024 A KR19970705024 A KR 19970705024A KR 19980701630 A KR19980701630 A KR 19980701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cleaner body
suction
cleaner
swee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0041B1 (ko
Inventor
케사레 마리오 칸니 페르라리
Original Assignee
호르스르 줄리어스 푸드윌
테크르로닉 인더스트리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르스르 줄리어스 푸드윌, 테크르로닉 인더스트리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호르스르 줄리어스 푸드윌
Publication of KR19980701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1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1Storing of cleaning tools, e.g. containers therefor
    • A47L13/512Clamping devices for hanging the tool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Brushes (AREA)
  • Dry Shavers And Cl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다란 스틱 형태의 손잡이(5), 상기 손잡이 아래에 단단히 고정된 소제기 본체(4), 상기 소제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고 마루위에서 상기 소제기 본체를 끌어낸후 마루상에 먼지를 수집하도록 고안된 청소 수단을 포함하는 소제기에 관한것으로, 이것은 상기 청소 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단이 개방된 흡입 마우쓰(16)가 제공된 소제기 본체내에 봉입된 진공 청소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소제기
마루에서 먼지를 흡입하도록 디자인된 특정모양의 흡입 헤드가 갖춰진 진공 청소기로서 통상적으로 전기 소제기로 지칭되는 전기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어, 이런 종류의 장치는 EP-A-0192624, EP-A-0611544, FR-A-2213758, US-A-4766638, US-A-4956892에 기술되어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흡입헤드는 다양한 형태의 브러쉬에 의해 에워싸인 흡입 마우쓰가 제공된 박스형 본체로 구성되고 그리고 결합방식으로 기다란 손잡이에 연결된다. 사용할 때, 헤드는 흡입 마우쓰가 마루에 퍼져있는 쓰레기를 흡입하도록 마루위를 통과한다. 결합 연결은 흡입헤드가 손잡이의 경사와 관계없이 마루에 수평으로 유지되어, 바람직한 흡입 효과를 보장하도록 한다. 실제의 진공 세척기 유닛은 상술한 기다란 손잡이에 연결된 분리 트럭내에 봉입될수 있거나 또는 손잡이상에 직접 그리고 상기 흡입 헤드 자체상에 선택적으로 설치될수 있다.
이들 장치는 특히 마루를 세척할 목적으로 사용되지만 그러나 전기 소제기란 이들의 명칭에도 불구하고 쓸어내는데는 사용되지 않았다. 이들은 마루위의 쓰레기를 모아서, 이동시키고 그리고 축적하는데 쓰이는 빗자루의 전형적인 작용을 수행할수 없다. 이에따라 상기 장치의 사용방법은 빗자루를 사용하는 방법과는 상당히 다르다.
요약하자면, 통상적으로 전기 소제기로 지칭되는 장치들의 유용성은 종래의 빗자루와 같은 형태로 사용할수 있도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것이다.
이에따라, 용어 소제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강모(bristles)등과 같은 세척 수단이 제공된 본체에 고정된 스틱 손잡이을 구비하며, 모든 이들 요소는 상기 소제기가 쓸어내는데 사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배열된 기구 또는 장치를 일컸는다.
이와 같은 의미로 공지된 전기 소제기는 EP-A-0605280에 기술되어있다. 이것은 세척 강모가 제공된 소제기 본체에 단단히 고정된 손잡이을 갖춘다. 소제기 본체내에 봉입된 전기 진공 청소기 유닛에는 상기 소제기 본체의 상부 구석 부분이 개방된 흡입 마우쓰가 제공된다. 이러한 전기 소제기의 조작은 제 1 상태에서, 상기 소제기가 마루에 있는 쓰레기를 모으기 위한 통상적인 소제기로서 쓸어내는데 사용되고, 제 2 상태에서는, 전기 진공 청소기가 작용되어, 상기 소제기 몸체가 경사져서 마루로부터 모아진 쓰레기를 흡입하기 위한 통상적인 진공 청소기로서 사용된다. 그러나, 쓸어내면서 흡입작용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가정용 전기 소제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지지체상에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제 1 소제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소제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소제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소제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소제기용 지지체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3의 다른 변형예의 소제기를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소제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소제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7의 소제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쓸어내고 선택적으로, 연속적 또는 동시에 진공에 의해 쓰레기를 모으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아이디어를 토대로, 본 발명은 기다란 스틱형태의 손잡이, 소제기 본체에 의해 지지된 세척 수단 및 손잡이아래에 단단히 고정되고 마루위에서 소제기 본체를 끌어낸후 상기 마루상에 쓰레기를 수집하도록 고안된 소제기 본체, 및 상기 소제기 본체상에 봉입되고 상기 청소 수단에 인접한 위치의 아래에서 개방된 흡입 마우쓰가 제공된 진공 청소기 유닛을 포함하는 소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는 명백하게는 소제기이며 이러한 것은 진공 청소기 유닛을 조작하지 않고서 마루상의 쓰레기를 모으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진공 청소기가 꺼질 때 조작된 소제기에 의해 수집된 쓰레기는 항상 (먼지 팬(pan)을 사용하여)통상적인 방법으로 제거될 수 있거나 또는 단지 필요한 시간 동안만 진공 청소기 유닛을 조작함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명백한 에너지 절감이외에도 소음공해도 크게 감소시킨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진공 청소기는 켠상태로 유지하면서 쓸어내는 작업을 할수 있어서, 즉각적이고 연속적으로 쓰레기를 흡입하도록 할수 있다.
일반적으로 브러싱 수단은 강모 또는 그렇지 않으면 탄성 재료를 갖춘 다른 형태가 될 수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정방형 청소 립(lip)이 제공된 탄성 패드를 포함한다.
또한 강모는 이들사이로 공기가 통과하기 때문에 흡입 작용의 효과를 떨어뜨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는 기다란 형태를 갖추고 그리고 2개의 평형한 청소 립이 제공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흡입 마우쓰는 2개의 립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개방된다. 상기 2개의 립은 상기 소제기가 한면 또는 다른 한면상에서 자유롭게 경사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충분히 자연스런 방법으로 쓸어내도록 한다. 이외에도, 2개의 립사이에서는 소형이고 특히 효과적인 흡입 구역이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청소 립은 60。내지 90。범위의 α에서 상호 경사지고 그리고 2mm 내지 10mm의 곡률반경 γ으로 필릿(fillet)된 페드의 2개 표면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이들 값들은 패드가 효과적인 작용을 하도록 하고 그리고 적절한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는 진공 청소기 유닛은 소제기 본체에 봉입된 전기 모터, 상기 소제기 본체에 설치되고 그리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 팬(fan), 소제기 본체내의 흡입 마우쓰와 상기 팬사이에서의 흡입 통로, 상기 흡입 통로내의 여과 엘레멘트 및 흡입 통로옆의 소제기 본체내에 제공된 수집 탱크를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점유된 중량 및 공간이 하부 소제기 본체와 단순한 형태의 상부 스틱 손잡이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방식으로 분포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소제기일지라도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소제기를 조정할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제기 본체는 2개의 유닛, 즉 손잡이에 고정되고 그리고 모터와 팬(fan)이 제공된 상부 유닛 및 상기 청소 수단을 지지하고 그리고 수집 탱크와 흡입 마우쓰를 포함하는 하부 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2개의 유닛은 주변 그루브 및 상기 2개의 유닛사이의 텅(tongue) 결합부에 의해 그리고 다수의 훅킹(hooking) 수단에 의해 제거가능한 방법으로 일체식으로 되어있다. 2개 부품의 실시예는 쓰레기를 비우도록 수집 탱크의 사용을 용이하게하는 한편 그루브 및 텅 결합부의 수단에 의한 일체화 및 훅킹은 소제기로서 사용하기에 필요한 체적을 보장한다.
그루브 및 텅 결합부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변 그루브 및 텅 결합부는 상부 유닛에 제공된 수형 부분 및 하부 유닛상에 제공된 암형 부분사이에 제공된다. 상기 그루브 및 텅 결합부는 용이하게 제공되며 그리고 특히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제기는 전기 모터에 공급하기 위해 소제기 본체상에 봉입된 재충전가능한 베터리를 포함한다. 베터리 공급은 소제기를 매우 자유롭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여 그것의 실용성을 높인다.
바람직하게는 베터리 충전기와 소제기의 재충전 베터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지지체로 벽상에 소제기를 매달기 위한 지지체가 제공된다.
도면에서 번호(1)는 소제기(2) 및 지지체(3)을 포함한 전체 소제기 어셈블리를 지시한 것이다.
소제기(2)는 기다란 스틱 형태를 갖춘 손잡이(5)의 하부 단부에 단단히 고정된 소제기 본체(4)를 포함한다.
소제기 본체(4)는 수직으로 평평한 형태를 갖는데, 예컨데 이것은 제 1 수평 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 2 수평 방향 Y의 크기 및 수직 방향 Z의 크기보다 상당히 작은 제 1 수평 방향 X의 크기를 갖는다. 소제기 본체(4)는 청소 수단의 아래에 제공되고 그리고 특히 방향 Y로 기다란 형태의 패드(6)는 탄성 재료(발포성 고무등)로 제공되고 그리고 2개의 평형한 청소 립(7)과 결합된다. 청소 립(7)은 패드(6)의 2개의 표면, 측 표면(8) 및 각α로 서로 경사지고 그리고 곡률 반경γ로 필릿된 바닥 표면(9)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α는 60。내지 90。범위이며 γ은 2mm 내지 10mm이다.
전기 모터(10),팬(11), 흡입 통로(12), 여과 엘레멘트(13) 및 수집 탱크(14)를 포함하는 진공 세척기 유닛은 소제기 본체에 봉입된다. 전기 모터(10)는 필수적으로 손잡이(5)과 정렬된 소제기 본체(4)내에서 중앙위치에서 수직 모터 축(15)과 함께 설치된다. 팬(11)은 원심분리기 형태이며 모터 축(15)에 직접 쐐기로 조여진다.
흡입 통로(12)는 소제기 본체(4)에서 흡입 마우쓰(16) 및 다수의 배출 루우버(louver)(17)사이에 형성된다. 흡입 마우쓰(16)는 청소 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소제기 본체(4)의 바닥에 제공되고 그리고 2개의 청소 립(7)들사이의 이들의 중앙 위치에서 패드(6)를 가로지른다. 배출 루우버(17)는 손잡이(5)의 접한 위치에서 소제기 본체(4)의 상단에 제공된다.
흡입 마우쓰(16)와 배출 루우버(17)사이에서, 흡입 통로(12)는 나란히 개방되고 소제기 본체(4)의 내부 공간을 향해서는 차단된 일련의 챔버들을 포함한다. 제 1 관형 벽(19)에 의해 형성된 제 1 챔버(18)는 흡입 마우쓰(16)에 접해있고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제 2 관형 벽(20)은 관형 벽(19)을 공축으로 에워싼다. 하위에서, 상기 관형 벽(20)은 소제기 본체(4)의 바닥 벽(21)에 의해 폐쇄되고 그리고 수집 탱크(14)와 경계지워진다. 상위에서, 관형 벽(20)은 관형 벽(19)보다 더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상단에서 개방되고 제 1 챔버(18)을 개방한 제 2 챔버를 형성한다. 제 3 챔버(23)는 제 3 관형 벽(24)에 의해 챔버(22)의 상향 연장부로서 형성되고 그리고 제 4 챔버(25)는 제 4 관형 벽(26)에 의해 챔버(23)의 상향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제 2 챔버(22)와 제 3 챔버(23)사이에는 여과 엘레멘트(13)가 배치되고 그리고 제 3 챔버(23)와 제 4 챔버(25)사이에는 팬(11)이 봉입되는 원형 중앙 홀(28)을 갖춘 격벽(27)이 배치된다. 제 4 챔버(29)는 제 5 관형 벽(30)으로부터 배출 루우버(17)가 제공된 소제기 본체(4)의 상단 벽(31)에 이르는 챔버(25)의 상향 연장부로서 형성된다. 흡입 도관(12)에서의 공기 흐름에 의해 접촉되고 그리고 에워싸여진 다수의 공급 베터리(32)와 전기 모터(10)가 챔버(29)에 봉입된다. 모든 관형 벽(19, 20, 24, 26, 및 30)은 축 X의 방향으로 평평해진 소제기 본체(4)의 내부 공간을 더 용이하게 사용하도록 축 X의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겨지거나 또는 원형은 아니지만 타원형인 단면을 갖는다.
소제기 본체(4)에는 2개의 분리 가능한 부가 유닛, 예컨데 박스형 구조를 갖추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주형 플라스틱이 제공된 하단 유닛(34)과 상단 유닛(33)이 제공된다. 상단 유닛(33)은 챔버(23, 25, 29)에의해 형성된 흡입 통로(12)를 포함하는 한편 하단 유닛(34)은 챔버(18 및 22)에 의해 형성된 흡입 통로(12)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에따라, 전기 모터(10), 팬(11) 및 베터리(32)는 또한 손잡이(5)을 지지하는 상단 유닛(33)내에 봉입된다. 수집 탱크(14)는 또한 패드(6)를 지지하는 하단 유닛(34)내에 밀봉된다. 여과 엘레멘트(13)는 관형 벽(24)상에 결합된 탄성 재료의 선반(36)상에 고정된 (소위, 부직포가 제공된) 마이크로피어스(micropierce) 섬유를 포함하고 그리고 2개의 유닛(33 및 34)이 조립될 때 관형 벽(20)으로 내기성을 제공한다. 다수의 이격 치차(37)는 중앙 홀(28)둘레에서 격벽(27)에 고정되고 그리고 팬(11)에 대해 섬유(35)를 공기 파쇄함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피하고 그리고 이에따라 여과 표면적을 감소시키도록 여과 섬유(35)에 대해 하향되어 놓여진다.
상단 유닛(33)에는 주변 계단형부(38)가 하부에 제공되면서 하단 유닛(34)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계단형부(38)와는 본질적으로 보완적으로 주변 모서리(39)가 제공된다. 계단형 부(38) 및 주변 모서리(39)는 각각 주변 그루브의 수형 부분 및 암형 부분 그리고 2개 유닛(33 및 34)사이의 텅 결합부를 구성한다. 상기 그루브 및 텅 결합부이외에도 2개의 유닛(33 및 34)에는 번호(40)로 전체가 지시된 상호 결합 수단이 제공된다.
접속 수단(40)은 상단 유닛(33)상에 피봇하게 설치되고 하향되어 돌출된 한쌍의 샤프트(41) 및 하단 유닛(34)에 제공되고 상향되어 놓여진 한쌍의 대응 시트(42)를 포함한다. 각각의 샤프트(41)에는 적어도 하나의 편심된 치차가 하부에 제공되면서 각각의 시트(42)에는 치차(43)에 대해 대응 후킹 모서리(44)가 제공된다. 이어서 각각의 샤프트(41)에는 창(46)을 통해 상단 유닛(33)의 외면으로 돌출된 회전 구동 레버(45)와 유닛(33)상의 고정 지점(49)에 스프링(48)에 의해 접속된 다수의 레버(47)가 제공된다.
탄성 재료의 패드(6)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강성 지지체, 즉 서로 일체식으로 된 하부 지지체(50) 및 상부 지지체(51)사이에 설치된다. 특히 하부 지지체(50)에는 상향되어 놓여지고 그리고 패드(6)내의 통로(54)를 통해 상부 지지체(51)상에 형성된 대응 홀(53)에서 결합되는 2개의 기둥(52)이 제공된다. 그밖에도 하부 지지체(50)에는 상향되어 연장되고 그리고 패드(6)내의 통로(57)를 통해 상부 지지체(51)내의 대응 홀(56)에 결합되는 개구의 중앙 위치에 제공된다. 패드(6)가 설치된 관형 벽(55)은 흡입 통로(12)의 제 1 관형 벽(19)을 연결한다. 사실상 관형 벽(55)은 흡입 마우쓰(16)를 형성한다. 소제기 본체(4)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기둥(52)에는 상기 하단 유닛(34)내에 형성된 시트(59)에 삽입하고 그리고 상기 시트내에서 치차(60)와 스냅 결합되도록 상향되어 놓여지는 탄성 치차 부속물(58)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소제기 본체(4)에는 하부 지지체(50) 및 이와함께 패드(6) 및 상부 지지체(51)가 고정된다. 최상의 상호 위치조정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하단 유닛(34)에는 기둥(52)둘레에서 홀(53) 및 통로(54)에 삽입되도록 고안된 각각의 관형 연장부(61)가 시트(59)둘레에 제공된다. 이외에도 상부 지지체(51)로부터 위로 돌출된 2개의 가로대(62) 및 소제기 본체(4)의 하단 유닛(34)의 하부 벽에 형성된 2개의 대응 홀(63)이 제공된다.
또한 소제기에는 전기 모터(10)를 시동시키고 정지시키는 상단 유닛(33)상에 봉입된 스위치(64a)가 제공된다.
소제기(2)용 지지체는 벽에 고정하도록 고안된 수직 벽(64) 및 마루상에 놓여질수 있거나 또는 지지체(3)가 벽상에 배치되는 높이에 따라 놓여질수 있는 수평 브래킷(bracket)(65)을 포함한다.
벽(64)상에는 소제기(2)의 손잡이(5)을 유지하는 2개의 대응 탄성 변형 아암(66)이 제공된다. 브래킷(65)에는 흡입 마우쓰(16)에 삽입되도록 고안된 위치 조정 돌출부(67)가 제공된다. 2개의 다른 소 돌출부(68)는 기둥(52)에 대칭되어 패트(6)의 하부 지지체(50)에 제공된 홀(69)에 삽입되도록 브래킷(65)상에 제공된다.
지지체(3)과 소제기(2)사이에는 베터리(32)를 재충전하도록 하는 전기 접촉부가 제공된다. 특히 지지체(3)의 벽(64)상에는 2개의 접촉부(70a)가 제공되고 그리고 소제기 본체(4)의 상단 유닛(33)상에는 2개의 대응 접촉부(70)가 제공된다. 접촉부(70a) 및 접촉부(70b)는 전기 접속을 효과적으로 하도록 스프링 설치된다. 접촉부(70)는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베터리(32)와 배선에 의해 연결된다. 접촉부(70a)는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베터리 충전기 또는 통상적인 타입의 외부 동력 공급원과 배선에 의해 연결된다.
벽(64)의 뒤에는 베이스보오드(baseboard)의 존재하에 설치를 용이하게 하도록하는 계단형부(71)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제기의 조작은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진다.
전기 모터(10)가 차단될 때, 소제기(2)는 통상적인 소제기로서 편리하게 사용될수 있다. 청소 립(7)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소제기(2)를 조작함에 의해 마루에 있는 쓰레기를 옮겨서 수집하도록 한다.
전기 모터(10)를 시동하여 흡입 마우쓰(16)에 의해 흡입작용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 작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제기(2)를 수동으로 사용하여 쓰레기를 수집한후 또는 그렇지 않으면 쓰레기를 즉시 흡입하도록 쓰레기(2)를 조작하는 동안 사용될 수 있다.
마우쓰(16)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 및 쓰레기는 챔버(18)를 통과하고 그리고 이들이 여과 엘레멘트(13)에 의해 가로채여 지는 챔버(22)로 들어간다. 공기가 상기 여과 엘레멘트(13)를 통과하면서 쓰레기는 멈춰져서 수집 탱크(14)로 떨어진다. 공기는 챔버(23, 25)를 연속해서 통과한후 배출 루우버(17)로부터 흘러서 전기 모터(10) 및 베터리(32)를 냉각시키도록 한다.
수집 탱크(14)를 비우고 선택적으로 여과 엘레멘트(13)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2개의 유닛(33 및 34)을 분리할 필요가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시트(42)의 모서리(44)로부터 치차(43)의 결합이 풀리도록 레버(45)를 조작하여 샤프트(41)를 회전시킨다. 연속해서 하단 유닛(34)으로부터 상단 유닛(33)을 당겨낼수 있다. 탱크(14)는 하단 유닛(34)을 단지 뒤집음에 의해 용이하게 비워낼수 있다. 여과 섬유(35)는 브러쉬를 사용하여 청소될 수 있거나 또는 전체 여과 엘레멘트(13)가 제거되어 씻겨질 수 있다.
또한 청소 패드(6)는 청소를 더 우수하게 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교체가 가능하도록 용이하게 제거될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소제기 본체(4)와의 연결은 스냅식이기 때문에 단지 잡아끄는 수단에 의해 하부 지지체(50)를 끌러내는 것으로 충분하다.
소제기(2)의 청소 패드(6)는 도 6에 도시된 변형예에 따른 비대칭 구조를 갖는 다른 청소 패드(90)에 의해 교체될수도 있다. 청소 패드(990)에는, 수직 방향 Z와 관련된 각으로 있는 흡입 마우쓰가 제공되고 더 특별하게는, 마우쓰(91)는 45。이상이고 90。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60。내지 75。인 방향 Z으로 각β을 형성하는 평면을 따라 배치된 마우쓰 통풍 구역(92)을 갖춘다.
마우쓰(91)는 구별되어 방향 Y로 배향된 2개의 장방향 청소 립(93 및 94)에 의해 에워싸인다. 보다 상세하게는, 립(93)은 둔각을 형성하는 2개의 표면사이에서 밀봉되는 한편 립(94)은 예각을 형성하는 2개의 표면사이에서 밀봉된다. 흡입 마우쓰(91)의 통로 구역(92)의 평면과 관련하여, 립(94)은 평면 바로 위에 놓여지는 한편, 립(93)은 평면에 대해 우측으로 또는 바로 위에(위 및 아래는 소제기의 수직 위치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놓여진다. (다음에 기술될 조작을 고려하여), 립(93)은 비작동 립으로 칭해지고 그리고 립(94)은 작동 립으로 칭해질 것이다.
청소 패드(90)는 특히 사용자가 쓰는 조작을 하는 동안 흡입 조작을 하기를 원할 때 특히 적절하다. 청소 패드(90)가 장치된 소제기(2)는 비작동 립(93)은 전향되고 그리고 작동 립(94)은 후향되도록 조작되고, 손잡이(5)이 경사져 유지되어 비작동 립(93)은 마루로부터 약간 상승되고 작동 립(94)은 그것으로부터 활주되도록 된다. 먼지는 작동 립(94)에 의해 수집되고 그리고 흡입에 의해 흡입 마우쓰(91)로 즉시 제거되며, 비작동 립(93)은 청소 패드(90)와 마루사이에 흡입 용적을 생성하도록 협력되어, 이에따라 먼지의 흡입을 촉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소제기는 도 7 내지 9 에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번호(102)로 전체가 지시된다. 소제기(102)는 많은 경우에 소제기(2)와 유사하고, 예를들어, 이것은 기다란 스틱의 형태를 갖춘 손잡이(103)의 하부 단부에 단단히 고정된 소제기 본체(104)를 구비한다. 소제기(2)의 부품 및 엘레멘트에 직접 대응하는 소제기(102)의 부품 및 엘레멘트는 소제기(2)에 대해 100만큼 더 큰 참조 번호를 가질것이고 그리고 직접 대응되지 않는 부품 및 엘레멘트에 있어서, 200보다 더 큰 번호가 사용될 것이다.
소제기 본체(104)는 수직으로 평평하게 된 형태를 갖추고, 이것에는 세척 수단(106)이 하부에 제공되는데, 이 수단은 탄성 재료(발포 고무등)에 제공된 패드(201) 및 강모(202) 다발을 구비한다. 패드(201) 및 강모(202) 다발은 양쪽 다 방향 Y로 기다란 형태이고 그리고 동일한 방향 Y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패드(201)는 청소 립(107)이 결합되고, 그밖에도 Y 방향으로 연장된다.
소제기 본체(104)에는 전기 모터(110), 팬(111), 흡입 통로(112), 여과 엘레멘트(113) 및 수집 탱크(114)를 포함한 진공 청소기 유닛이 봉입된다. 전기 모터(110)는 손잡이과 정렬된 소제기 본체(104)내의 중앙 위치에서 수직 모터 축(115)과 함께 설치된다. 팬(111)은 원심 분리기 형태이고 모터 축(115)상에 직접 쐐기로 조여진다.
흡입 통로(112)는 소제기 본체(4)에서 흡입 마우쓰(116) 및 다수의 배출 루우버(117)사이에 형성된다. 흡입 마우쓰(116)는 소제기 본체(104)의 바닥에 제공되고 그리고 45。보다는 크고, 90。보다는 작은 바람직하게는 60。내지 75。인 방향 Z의 각 β을 형성하는 평면에 따라 배치되는 마우쓰 통풍 구역(192)을 갖춘다. 상기 통풍 구역(192)은 상기 강모(202)에 대칭되는 측면상에서 패드(201)에 인접한 위치에 있다. 배출 루우버(17)는 손잡이(105)의 접한 위치에서 소제기 본체(104)의 상단에 제공된다.
흡입 마우쓰(116)와 배출 루우버(117)사이에서, 흡입 통로(112)는 소제기(2)와 매우 유사한 일련의 챔버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이유로 인해, 이들 챔버는 다음에 더 상세하게 기술하지는 않았다.
소제기 본체(104)에는 2개의 분리 가능한 부가 유닛, 예컨데 박스형 구조를 갖추고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주형 플라스틱이 제공된 하단 유닛(134)과 상단 유닛(133)이 제공된다. 전기 모터(110), 팬(111) 및 베터리(132)는 또한 손잡이(105)을 지지하는 상단 유닛(133)내에 봉입된다. 수집 탱크(114)는 또한 청소 수단(6)를 지지하는 하단 유닛(134)내에 봉입된다. 여과 엘레멘트(113)는 소제기(2)의 여과 엘레멘트(13)과 동일하다.
상단 유닛(133) 및 하단 유닛(134)는 수형-암형 결합을 사용하여 그루브 및 텅 결합부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상기 그루브 및 텅 결합부이외에도 2개의 유닛(133 및 134)에는 하단 유닛상에 고정된 탄성 돌출부(203) 및 상단 유닛(133)상에 형성된 대응 시트(204)를 구비한 상호 결합 수단(140)이 제공되고, 상기 2개의 유닛(133 및 134)의 분리는 시트(204)로부터 돌출부(203)가 분리된후에 만 달성될 수 있다.
패드(201)는 장방형 단면적(참조 도 8)을 갖추고 그리고 상기 하단 유닛(134)에 형성된 2개의 대칭 벽(205 및 206)사이에서 유지함에 의해 소제기 본체(104)에 해체가능하게 고정되고, 유지 작용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벽(205 및 206)에는 패드(201)를 관통하는 돌출부(207)가 제공된다.
또한 소제기(102)에는 전기 모터(11)를 시동하고 정지시키기위해 상단 유닛(133)상에 봉입된 스위치(164)가 제공된다.
소제기(2)와 유사하게, 소제기(102)에는 지지체(3)에 대응되는 지지체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지지체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며 설명하지 않았다.
특히 소제기(2)에 청소 패드(90)이 제공된다면, 소제기(102)의 조작은 소제기(2)의 조작과 동일하다. 진공 청소기를 조작하지 않고 수동으로 쓸어낼 때 마루위의 먼지를 수집하도록 탄성 재료의 패드(201) 또는 강모(202)의 다발로 작업하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때는 상당히 다른 차이가 있다.

Claims (13)

  1. 기다란 스틱 형태의 손잡이, 상기 손잡이 아래에 단단히 고정된 소제기 본체, 상기 소제기 본체에 의해 지지되고 마루위에서 상기 소제기 본체를 끌어낸후 마루상에 먼지를 수집하도록 고안된 청소 수단, 및 상기 청소 수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하단이 개방된 흡입 마우쓰가 제공되어 있는 상기 소제기 본체내에 봉입된 진공 청소기 유닛을 포함하는 소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장방형 청소 립이 제공된 탄성 재료의 패드를 포함하는 소제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가 기다란 형태를 갖추고 그리고 상기 패드에 2개의 평행한 청소 립이 제공된 소제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마우쓰가 2개의 청소 립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개방되는 소제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청소 립은 각α로 서로 경사지고 α가 60。내지 90。이고 γ가 2mm 내지 10mm인 곡률 반경 γ으로 필릿된 2개의 패드 표면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소제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청소기 유닛은 상기 소제기 본체내에 봉입된 전기 모터, 상기 소제기 본체내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조작되는 흡입 팬, 상기 흡입 마우쓰와 상기 팬사이의 상기 소제기 본체내의 흡입 통로, 흡입 통로내의 여과 엘레멘트 및 상기 흡입 통로에서 떨어져서 상기 소제기 본체에 제공된 수집 탱크를 포함하는 소제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제기 본체는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고 모터와 팬이 제공된 상부 유닛 및 상기 청소 수단을 지지하고 수집 탱크와 흡입 마우쓰를 포함하는 하부 유닛인, 2개의 유닛을 포함하는데, 상기 2개의 유닛은 주변 그루브와 상기 2개의 유닛사이의 텅 결합부의 수단에 의해 그리고 다수의 훅킹 수단에 의해 해체가능한 방법으로 일체식으로 되어있는 소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그루브 및 텅 결합부가 상부 유닛상에 제공된 수형 부분과 하부 유닛상에 제공된 암형 부분사이에 제공되는 소제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전기 모터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소제기 본체상에 봉입된 재충전 가능한 베터리를 더 포함하는 소제기.
  10. 제 6 항에 따른 소제기 및 벽에 소제기를 매달고 그리고 베터리 충전기에 소제기의 재충전 베터리의 전기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소제기 조립체.
  11. 제 3 항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45。보다 크고 90。보다 작은 각을 형성하도록 평면을 따라 배치된 통풍 구역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2개의 청소 립이 상기 평면의 다른 측면에 위치되는 소제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수단이 탄성 재료의 패드에 접해서 강모 다발을 더 포함하는 소제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재료의 패드가 상기 흡입 마우쓰와 상기 강모 다발사이에 있는 소제기.
KR1019970705024A 1995-01-24 1996-01-24 전기소제기 KR100430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T1995/000005 WO1996022725A1 (en) 1995-01-24 1995-01-24 Electric broom
WOPCT/IT95/00005 1995-0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1630A true KR19980701630A (ko) 1998-06-25
KR100430041B1 KR100430041B1 (ko) 2004-09-08

Family

ID=11332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024A KR100430041B1 (ko) 1995-01-24 1996-01-24 전기소제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638572A (ko)
EP (1) EP0809460B1 (ko)
JP (1) JPH11506352A (ko)
KR (1) KR100430041B1 (ko)
CN (1) CN1145454C (ko)
AU (1) AU703016B2 (ko)
BR (1) BR9606984A (ko)
CA (1) CA2165960C (ko)
DE (2) DE809460T1 (ko)
WO (2) WO1996022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1499A (en) * 1996-01-11 1997-09-30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with all components in floor traveling head
AU709962B2 (en) * 1996-02-07 1999-09-09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Sweeping brooms
AU710003B2 (en) * 1996-02-07 1999-09-09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Vacuum cleaner head
US6125500A (en) * 1996-07-05 2000-10-03 Kat; Niels Combination swing broom and vacuum cleaner assembly
US6049944A (en) * 1998-06-29 2000-04-18 Lopez; Evelyn A. Web vac
US7014949B2 (en) * 2001-12-28 2006-03-21 Kabushiki Kaisha Toshiba Battery pack and rechargeable vacuum cleaner
KR100548895B1 (ko) * 2004-05-17 2006-02-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 진공청소기의 충전장치
CN100427019C (zh) * 2004-11-05 2008-10-22 王一川 吸尘手推扫地机
US7631387B2 (en) * 2005-05-13 2009-12-15 Black & Decker Inc. Motorized broom and collector
DE102005025457A1 (de) * 2005-05-31 2006-12-07 Leifheit Ag Saugbesen
FR2904838B1 (fr) * 2006-08-10 2016-05-13 Stihl Ag & Co Kg Andreas Appareil manuel de balayage
US20100132151A1 (en) * 2007-12-18 2010-06-03 David Khalil Sweepable electric vacuum cleaner
US8015662B2 (en) * 2008-08-27 2011-09-13 Euro-Pro Operating Llc Cleaning device
GB2478599B (en) * 2010-03-12 2014-07-16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arrangement
US8590103B2 (en) 2011-10-05 2013-11-26 Shop Vac Corporation Vacuum cleaner with removable battery pack
US8745816B2 (en) 2012-03-08 2014-06-10 Greg Salvato Combination broom vacuum cleaning device
EP2661165A1 (en) * 2012-05-02 2013-11-06 ABB Research Ltd. Cooling assembly
CN102987998A (zh) * 2012-11-19 2013-03-27 无锡商业职业技术学院 一种扫帚
US8997294B2 (en) 2013-01-02 2015-04-07 Eileen Patricia Spencer Broom sweeper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2845203C (en) 2014-01-24 2016-08-16 John Albert Ireland Curling broom incorporating a motor
JP6653533B2 (ja) * 2015-07-31 2020-02-26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掃除機
USD787197S1 (en) * 2015-09-25 2017-05-23 Humanhaus Inc. Self-standing cleaning tool
US11122947B2 (en) 2017-03-22 2021-09-21 Enhance Product Development, Inc Broom-style cleaning appliance
CN107981798A (zh) * 2017-12-13 2018-05-04 董秀玲 一种适合中小学使用的房屋地表清洁装置
KR101982453B1 (ko) 2018-12-19 2019-08-28 양혜정 보조소제부가 구비된 청소기구
US11891766B2 (en) 2021-02-02 2024-02-06 Virnig Manufacturing, Inc. Pick-up broom attachment with internal water tank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772A (en) * 1909-12-09 1911-05-30 United Electric Company Suction-nozzle.
US3934302A (en) * 1972-11-14 1976-01-27 Kenichi Mabuchi Portable, multi-purpose, rechargeable cigarette lighter
SE371928B (ko) * 1973-01-16 1974-12-09 Electrolux Ab
DE3143355A1 (de) * 1981-10-31 1983-05-11 May + Lipfert, 3300 Braunschweig "saugduese zum absaugen von fluessigkeiten"
US4573234A (en) * 1984-01-30 1986-03-04 The Scott & Fetzer Company Hand-held vacuum cleaner
US4665582A (en) * 1985-02-22 1987-05-19 National Union Electric Corp. Lightweight battery powered suction broom
US4766638A (en) * 1987-03-04 1988-08-30 Bissell Inc. Four-way vacuum cleaner
IT1225847B (it) * 1988-10-31 1990-12-07 Poli Vincenzo E Poli Giovanni Mini motoscopa aspirante a batteria
US4934020A (en) * 1989-01-09 1990-06-19 Black & Decker Inc. Charging unit and vacuum cleaner
US4956892A (en) * 1989-05-03 1990-09-18 Fawkes Donald G Cordless vacuum brush
JPH0397423A (ja) * 1989-09-12 1991-04-23 Toray Ind Inc 電気掃除機用吸込具
US5099545A (en) * 1990-08-28 1992-03-31 Black & Decker Inc. Vacuum cleaner including a squeegee
FR2699393B1 (fr) * 1992-12-23 1995-02-10 Jean Alazet Dispositif de ramassage de résidus et de poussières.
JPH0711732Y2 (ja) * 1992-12-28 1995-03-22 アズマ工業株式会社 真空掃除機の吸込み具
DE4304681C2 (de) * 1993-02-16 1996-06-05 Wessel Werk Gmbh Einteilige Staubsaugerdü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65960A1 (en) 1996-07-25
JPH11506352A (ja) 1999-06-08
CN1185096A (zh) 1998-06-17
EP0809460A1 (en) 1997-12-03
EP0809460B1 (en) 2002-07-31
DE69622694D1 (de) 2002-09-05
KR100430041B1 (ko) 2004-09-08
CN1145454C (zh) 2004-04-14
BR9606984A (pt) 1997-11-04
US5638572A (en) 1997-06-17
DE809460T1 (de) 1998-09-03
DE69622694T2 (de) 2003-03-13
WO1996022724A1 (en) 1996-08-01
WO1996022725A1 (en) 1996-08-01
AU703016B2 (en) 1999-03-11
AU4664096A (en) 1996-08-14
CA2165960C (en)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701630A (ko) 전기 소제기
EP3854284B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two-stage collection
US7293322B2 (en) Cleaning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
AU710010B2 (en) Cleaning heads and adaptors for use therewith
US20180263444A1 (en) Vacuum cleaner
RU2496402C2 (ru) Переносной пылесос для очистки от волос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US20090300873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JPH09308597A (ja) ほうき機能を有する電気掃除機
EP3868268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damp cleaning
EP1361813B1 (en) A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AU2002231965A1 (en) A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GB2468797A (en) Handheld vacuum cleaner
JPH0585341U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