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900A -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900A
KR19980085900A KR1019970022086A KR19970022086A KR19980085900A KR 19980085900 A KR19980085900 A KR 19980085900A KR 1019970022086 A KR1019970022086 A KR 1019970022086A KR 19970022086 A KR19970022086 A KR 19970022086A KR 19980085900 A KR19980085900 A KR 19980085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yucca extract
weight
compound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8093B1 (ko
Inventor
황성수
Original Assignee
황성수
주식회사 우성양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수, 주식회사 우성양행 filed Critical 황성수
Priority to KR101997002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8093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1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소독약제인 디덱실 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와 천연 유카추출액을 복합조성한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동물용 소독약제에 비하여 유기물내에 침투효과가 우수하고 축사내 악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본 발명은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동물용 소독약제인 디덱실 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와 천연 유카추출액을 복합조성한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소독약제에 비하여 유기물내에 침투효과가 우수하고 축사내 악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소, 돼지, 닭 등의 가축을 건강하게 키우고 생산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질병없는 쾌적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러나 국내 축산환경을 살펴보면 집단사육, 다두사육 등으로 질병이 만연되어 커다란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다. 이러한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바로 병원체인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에 기인한다. 따라서 농장내에 번식하는 병원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소독약(disinfectant)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소독약은 가축에서 유해한 미생물을 사멸시켜 질병 감염의 위험성을 줄여주는 살균제(germicide)를 말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동물용 소독약제로는 페놀화합물계 소독약, 할로겐화합물계 소독약, 알데히드화합물계 소독약, 4급 암모늄화학물계 소독약 등이 있다.
페놀화합물계 소독약은 소독성분으로 크레졸, 페놀 또는 올소디클로로벤젠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크레졸이나 페놀은 세균에만 효과가 있을 뿐 아포세균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력은 거의 없고, 올소디클로로벤젠은 그람음성세균, 곰팡이, 원충, 충란에 대한 살균력을 갖고 있으며 바이러스에는 거의 작용을 하지 못하고, 또한 광선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햇빛이 드는 곳에서는 소독효과가 빠르게 감소하며 유기물내 침투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할로겐화합물계 소독약은 소독성분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 안정화 이산화염소, 요오드화합물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대부분 할로겐화합물의 강력한 산화능력에 의하여 병원체의 단백질을 변성시킴으로서 살균력을 발휘하는데, 염소나 요오드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소독약은 세균, 바이러스, 아포세균, 곰팡이, 조류 등의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하여 살균력을 가지고 있으나 피막형성 바이러스에 대한 소독력은 미약하고, 온도가 상승하면 소독력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알칼리성에서는 거의 소독력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축사내부의 소독에는 부적합하다.
알데히드 화합물계 소독약은 소독성분으로 포름알데히드, 글리옥살, 글루탈알데히드 등이 사용되는 것으로, 세균, 바이러스, 원충 등 광범위한 소독력을 나타내고 있는데, 포름알데히드는 독성이 강하고 곰팡이나 유기물내 소독력이 낮다는 단점이 있고, 글루탈알데히드는 포름알데히드에 비하여 소독력이 우수하나 피부나 눈등의 인체에 독성을 나타내는 단점이 있다.
4급 암모늄화합물계 소독약은 소독성분으로 염화벤잘코늄, 메틸도데실 벤질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메틸도데실크실렌 트리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옥틸데실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디덱실 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화합물(역성비누 또는 양성(陽性)비누라고도 함)이 사용되는 것으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원충, 조류 등 광범위한 소독력을 갖고 있으나,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철 이온 등이 존재하는 경수에서는 살균련이 저하되고, 또한 종래의 4급 암모늄화합물계 소독약은 농장의 유기물에 침투효과가 미약하여 유기물이나 단백질 존재시 소독효과가 저하되고 농장내에서 이미 생성된 암모니아가스나 황화수소가스 등의 악취제거 효과가 전혀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소독약제의 소독 및 악취제거기전은 소독약을 농장에 살포시 소독약입자가 병원체 미생물과 접촉을 하여 미생물의 균체막을 파괴하거나 균체단백질의 변성을 초래하여 소독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때 농장내 오염되어 있는 병원 미생물은 주로 분변, 뇨, 사료찌꺼기, 기름때 등과 같은 유기물에 서식하는데 이는 유기물이 병원미생물의 좋은 서식처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병원미생물은 유기물내에서 증식하면서 암모니아가스나 황화수소가스 등의 유해가스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종래 소독약제는 유기물내 침투력이 미약하기 때문에 유기물속에서 서식하는 병원미생물을 강력하게 살멸시키지 못하며 이미 생성된 유해가스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유기물 분해촉진물질이면서 악취제거효과를 나타내는 유카추출액을 복합조성하므로써 기존 소독약제의 취약점인 소독성분의 유기물내 침투효과와 악취제거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유카추출액을 복합조성하므로써 약제성분의 유기물내 침투효과가 개선되어 병원미생물의 살균효과가 우수하고, 생선된 악취제거 효과가 우수한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유카추출액(Yucca extracts)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주로 서식하는 유카 시디게라(Yucca schidigera)라는 선인장과 비슷한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물질로서 주요작용성분인 사르사포닌(sarsaponine)이 10% 이상 함유되어 있다. 유카추출액은 1965년부터 인체분야에 아무런 규제가 없이 음료수의 거품제(foaming agent)로서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축산분야에서는 축사의 악취제거제, 분변의 유기물 분해촉진, 농장내 파리 발생감소, 가축의 성장촉진 및 사료효율 개선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은 유카추출액을 1-20중량% 함유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의 약제성분인 페놀화합물, 할로겐화합물, 알데히드화합물 또는 4급암모늄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화합물과 유카추출액을 복합조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페놀화합물, 할로겐화합물, 알데히드화합물 또는 4급암모늄화합물의 함량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임상적 관점에서 볼 때 4급암모늄화합물 2-20중량%, 알데히드화합물 1-20중량%, 할로겐화합물 2-20중량%, 또는 페놀화합물 30-9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급암모늄화합물 2-2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4급 암모늄화합물은 디덱실 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Didecyl dimethyl ammonium chloride ; 이하, DDAC라 함)가 적합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은 유카추출액 1-20중량%와 DDAC 2-20중량%를 복합조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카추출액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유기물내 침투효과가 미약하여 미생물의 살균효과가 저하되고 유해가스 제거효과가 미약하며, 20중량%초과시에는 유기물내 침투효과 및 유해가스 제거효과는 우수하지만 동결후 융해과정에서 분리현상을 초래하여 안정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DDAC의 함량이 2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살균효과가 미약하고, 20중량% 초과시에는 살균효과는 우수하지만 자극성 냄새로 인하여 소독약 살포시 소독자의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소독약제 조성물의 작용기전을 설명한다.
유카추출액은 각종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시키며, 유카추출액중의 사르사포닌성분이 악취를 풍기는 유해가스와 결합하여 악취를 제거시키고, 또한 DDAC는 약이 온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유화, 침투, 세척, 분산 기포 특성과 살균 작용이 있으며 물에 녹을 경우 (+)전기를 띠고 있어 (-)전기를 띠고 있는 병원체에 쉽게 접근하여 병원체의 세포벽 파괴나 세포질을 변성시켜 병원체를 사멸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유카추출액과 DDAC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소독약제 조성물은 유카추출액과 DDAC가 복합조성된 소독약 입자가 강력한 브라운 운동 및 전기적 흡인력에 의하여 병원체에 보다 쉽게 접근하여 병원체의 세포벽을 침투하여 세포벽의 지질단백질 복합체를 해리시킴과 동시에 세포막의 투과성을 증대시켜 세포질내에 침투하여 세포질내의 단백질과 핵산의 변성을 일으키며 자기유리효소의 활성화를 촉진시켜 퓨린, 피리미딘 함유물질과 유리아미노산 및 펩티드가 세포벽 밖으로 흘러나와 병원체를 사멸시키고, 또한 유기물이 병원체를 감싸고 있을 경우, 유카추출액과 DDAC가 복합조성된 소독약 입자의 세척성분에 의해 병원체를 감싸고 있는 유기물층을 일차적으로 벗겨내고 이어서 (+)전기를 띠고 있는 소독약 입자의 소독성분이 (-)전기를 띠고 있는 병원체에 강력하게 접근하여 병원체를 사멸시키고, 또한 악취제거성분(유카추출액)이 부패세균에 의해 생성된 암모니아가스(NH3)나 황화수소가스(H2S)와 결합(binding)하여 악취를 제거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적당량의 정제수에 0.5중량의 글루콘산나트륨과 0.085중량%의 구연산나트륨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5분 정도 교반한 후 10중량%의 에탄올과 5중량%의 DDAC를 투입하여 다시 5분 정도 교반하였다. 여기에 0.5중량%의 유카추출액을 투입하여 15분정도 교반후 적당량의 향료를 첨가하고 전체의 양이 100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가하고 15분 정도 교반하여 동물용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유카추출액을 1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동물용 소독양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유카추출액을 5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동물용 소독양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유카추출액을 10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동물용 소독양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유카추출액을 20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동물용 소독양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유카추출액을 30중량%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동물용 소독양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0.5중량의 글루콘산나트륨과 0.085중량%의 구연산나트륨을 적당량의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5분 정도 교반한 후 10중량%의 에탄올과 5중량%의 DDAC를 투입하여 다시 5분 정도 교반하고, 여기에 전체의 양이 100중량%가 되도록 정제수를 가하고 15분 정도 교반하여 동물용 소독약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전술한 실시에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의 소독력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조성물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여 비교평가하였다.
-항균력 측정방법-
배지위에 공시균(E. coli ATCC 25922)을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배지 중앙에 시험편을 올려놓고 시험액으로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동물용 소독약 각각의 원액과 10% 희석액(원액을 증류수로 희석하여 10% 농도로 희석한 액)을 각각의 시험편에 50㎛씩 접종하여 다시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완료후 시료의 지름(D)과 배지상의 세균의 생육이 억제된 세균저지대의 지름(T)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세균저지대의 크기(W)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냈다. 표 1의 결과에서 세균저지대의 크기(W)가 클수록 항균력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즉, 세균저지대의 크기(W)가 클수록 살균력이 우수하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에서, W는 세균저지대의 폭(mm), T는 배지상의 세균의 생육이 억제된 세균저지대의 지름(mm), D는 시료의 지름(mm)을 나타낸다.
[표 1a]
항균력 측정결과
[표 1b]
표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종래의 동물용 소독약제인 비교예 1에 비하여 소독력 향상이 없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은 유카추출액을 함유함으로써 기존 소독약제에 비하여 소독약의 유기물내 침투효과가 개선되어 살균효과가 우수하고, 축사내 악취제거효과가 개선되고, 또한 기존 소독약제의 자극성 냄새를 감소시켜 소독자의 건강보호효과가 있다.

Claims (2)

  1. 약제성분으로서 페놀화합물, 할로겐화합물, 알데히드화합물 또는 4급암모늄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에 있어서, 유카추출액 1-20중량%를 함유하는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약제성분은 4급암모늄화합물인 디덱실 디메틸 암모늄클로라이드 2-20중량%와 유카추출액 1-20중량%를 복합조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KR1019970022086A 1997-05-30 1997-05-30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KR10021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086A KR100218093B1 (ko) 1997-05-30 1997-05-30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086A KR100218093B1 (ko) 1997-05-30 1997-05-30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900A true KR19980085900A (ko) 1998-12-05
KR100218093B1 KR100218093B1 (ko) 1999-10-01

Family

ID=1950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086A KR100218093B1 (ko) 1997-05-30 1997-05-30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8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786A (ko) * 2000-04-12 2000-09-05 전현숙 천연 탈취제 조성물
US6891079B2 (en) 2001-12-20 2005-05-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pe
US7154018B2 (en) 2001-12-20 2006-12-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7485110B2 (en) 2001-12-20 2009-02-03 Kimberly Clark Worldwide, Inc. Wipe comprising a pathogen selective antimicrob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8093B1 (ko) 199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49378B1 (en)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JP4899434B2 (ja) 新規な物理化学融合型殺菌消毒液
FI74584B (fi) Vaetskesteriliseringskomposition.
US20130344172A1 (en) Antimicrobial acid formulation
KR100218093B1 (ko) 유카추출액 함유 동물용 소독약제 조성물
JP4052535B2 (ja) 動物用薬剤及び動物用飼料
WO2010105217A1 (en) Animal lesion treatment and prevention formulations and methods
JPH09249886A (ja) 竹酢・木酢液の処理方法
Bajgai et al. Application of New Concept Disinfectant, Huureka®, On Livestock Farming
EP3856165A1 (en) Volatile organic compound formulations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CN104886110A (zh) 一种多用途的复合阳离子表面活性剂消毒剂
CN110946995A (zh) 天然草本宠物专用除臭除虫消毒剂
RU2816103C1 (ru) ДЕЗИНФИЦИРУЮЩЕЕ СРЕДСТВО С РЕПЕЛЛЕНТ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DEZ GARANT anti fly»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200371077Y1 (ko) 스프레이타입으로 된 정제목초액과 은용액
Rahil et al. COMPARATIVE STUDY OF VARIOUS DISINFECTANTS EFFICIENCY IN POULTRY FARMS
RU2169012C2 (ru) Способ дезинфекции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объектов
JP2004210726A (ja) 二酸化塩素による動物コクシジウムの殺滅
RU2391821C2 (ru) 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фузобаквелт" на основе наносомной субстанции
JPS59101425A (ja) 畜産動物の伝染性疾患の抑制方法
KR100448926B1 (ko) 아스코르빈산 처리 안정화 목초액을 함유하는 소독약 조성물
JP2007137888A (ja) 植物用薬剤
CN117100896A (zh) 一种宠物用杀菌除臭喷雾剂及其制备方法
Grillo et al. Evaluation of some chemical disinfectant formulations against Pseudomonas and Staphylococcus species from poultry and poultry environment
CN107281173A (zh) 一种兽用有机酸药浴液及其制备方法
RU2130320C1 (ru) Дезинфицирующее средство "селодез" и способ дезинфекции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