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4050A -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4050A
KR19980084050A KR1019970019645A KR19970019645A KR19980084050A KR 19980084050 A KR19980084050 A KR 19980084050A KR 1019970019645 A KR1019970019645 A KR 1019970019645A KR 19970019645 A KR19970019645 A KR 19970019645A KR 19980084050 A KR19980084050 A KR 19980084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wireless
predetermined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9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종현
이소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9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4050A/ko
Publication of KR1998008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050A/ko

Links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입력장치는 키입력신호와 좌표신호를 소정의 무선주파수로 송출시키고; 인터넷터미널은 무선입력장치가 장착되거나 이탈되더라도 소정의 무선주파수로 부터의 키입력신호와 좌표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터넷터미널은 원격지의 호스트장치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무선입력장치는 인터넷터미널과 결합 또는 분리되고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를 무선주파수로 송출시킬 수 있고, 인터넷터미널은 무선입력장치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더라도 무선주파수로부터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무선입력장치는 인터넷터미널과 정면 또는 배면으로 결합될 때 인터넷터미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Internet System with a Wireless Input Device)
본 발명은 인터넷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인터넷과 쉽게 접속하여 통신할 수 있고, 무선으로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예컨대 인터넷(Internet)을 통한 정보제공 서비스는 그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고 멀티미디어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즉,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는 문자정보, 화상정보, 음성정보, 사운드등 다양하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의 정보를 출력시키기 위해 멀티미디어기능을 갖는 통신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를 통한 인터넷터미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부호 10은 모니터, 12는 컴퓨터본체, 14는 키보드, 16은 마우스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인터넷터미널은 컴퓨터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소정의 모뎀을 구비하고 전화선을 통해 원격지와 통신을 하게 된다. 상기 모니터(10)는 문자정보 또는 화상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그리고 키보드(14)는 통신에 따른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시킨다. 또한, 마우스(16)는 상기 모니터(10)상에 소정의 포인팅입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인터넷터미널은 다양한 비디오출력장치(예컨대 TV)를 지원할 수 없다. 또한, 상기 모니터 화면은 표시영역이 한정된 크기를 갖게 되는데, 멀티미디어에서는 대형 화면을 요구하게 된다. 게다가 상기 키보드(14)와 마우스(16)는 라인을 통해 컴퓨터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이 불편하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키보드(14)에서와 같이 많은 키는 불필요하게 된다. 더욱이 인터넷은 언제 어디서나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터넷터미널을 휴대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인터넷터미널은 원격지의 호스트장치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무선입력장치는 인터넷터미널과 결합 또는 분리되고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를 무선주파수로 송출시킬 수 있고, 인터넷터미널은 무선입력장치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더라도 무선주파수로부터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무선입력장치는 인터넷터미널과 정면 또는 배면으로 결합될 때 인터넷터미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인터넷터미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통신 터미널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터미널과 주변장치의 접속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와 인터넷터미널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입력측면을 외부로 향하게 하여 인터넷터미널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와 같이 무선입력장치와 인터넷터미널이 결합되었을 때 전원공급 및 결합작용을 하는 단자를 중심으로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3에서 인터넷터미널의 레버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와 같이 무선입력장치와 인터넷터미널이 결합되었을 때 잠금장치와 레버의 중심에 대한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무선입력장치와 인터넷터미널이 잠금장치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무선입력장치의 입력측면을 내부로 향하게 하여 인터넷터미널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와 인터넷터미널의 구성 및 접속을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전원제어부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무선입력장치의 무선입력장치제어부와 키입력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무선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터미널의 실행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터미널의 무선인터페이스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터넷터미널200 : 무선입력장치
300 : 디스플레이장치400 : 오디오장치
500 : 키입력장치80 : 좌표입력펜
110 :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120 : 주제어부
130 : 통신인터페이스140 : 키입력인터페이스
150 : 무선인터페이스160 : 기억부
170 : 전원공급부210 : 무선입력장치제어부
220 : 키입력부230 : 좌표입력부
240 : 전원제어부250 : 밧데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은 키입력신호와 좌표신호를 소정의 무선주파수로 송출시키는 무선입력장치와; 무선입력장치가 장착되거나 이탈되더라도 소정의 무선주파수로 부터의 키입력신호와 좌표신호를 수신하는 인터넷터미널을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터미널은 터미널의 각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고, 소정의 외부 직류전원을 출력시키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호스트장치에 대한 접속정보와, 부팅 설정정보, 데이터송수신 응용프로그램, 처리데이타의 정보를 기억시키는 기억부와; 원격지와 인터넷터미널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복조하는 통신인터페이스와; 원격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출력시키는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와; 소정의 무선채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키입력신호인 경우에는 대응되는 키스캔데이타로 출력시키고, 수신된 데이터가 좌표신호인 경우에는 대응되는 시리얼데이타를 출력시키는 무선인터페이스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소정의 키스캔데이타 또는 무선인터페이스로 부터의 키스캔데이타를 소정의 키데이타로 출력시키는 키입력인터페이스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원격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타를 상기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에서 처리하여 출력시키고, 상기 키입력인터페이스 또는 무선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타 또는 시리얼데이타에 따라 대응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에 따라 인터넷터미널을 제어하거나 상기 원격지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의 직류전원은 밧데리전원이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직류전원을 공급하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와 지지결합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단자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는 상기 무선입력장치와의 지지결합을 강화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단자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는 탄성부재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터미널은 무선입력장치와 기구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입력단과;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는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를 점검하고, 설정이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통신을 자동으로 접속시키고, 메뉴로 설정된 경우에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 메뉴선택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메뉴선택루틴을 수행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페이스는 소정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시키고, 수신된 신호를 디코드하고, 디코드된 데이터가 기능버튼데이타이면 해당 버튼의 스캔코드를 발생시키고, 디코드된 데이터가 좌표데이타이면 해당 데이터를 소정의 시리얼데이타로 출력시킨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는 소정의 전압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밧데리와;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직류전원을 무선입력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하면서 상기 밧데리를 충전시키고,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밧데리로 부터의 전원을 무선입력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와; 소정의 기능입력 및 메뉴선택키를 입력시키는 키입력부와; 2차원 좌표를 입력시키는 좌표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선택된 키입력신호와 좌표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좌표신호를 소정의 무선신호로 송출시키는 무선입력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소정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일정방향을 극성을 갖도록 출력시키는 브리지다이오드와; 전압을 일정하게 출력시키는 레귤레이터와; 밧데리로 부터의 전원이 레귤레이터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전원제어다이오드와; 전원공급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인터넷터미널의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상기 인터넷터미널과 지지결합할 수 있도록 전원입력단자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제어부는 적외선신호를 출력시키는 적외선다이오드와; 상기 적외선다이오드의 출력세기를 제어하는 출력가변저항와; 소정의 음을 발생시키는 부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상향버튼스위치와; 하향버튼스위치와; 좌향버튼스위치와; 우향버튼스위치와; 제1기능버튼스위치와; 제2기능버튼스위치와; 메뉴버튼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제어부는 무선전송이 가능한지를 점검하고, 기능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해당 버튼신호를 인코드하고, 좌표값이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좌표신호를 인코드하고, 인코드된 데이터를 무선송신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소정의 공중망을 통해 원격지의 호스트장치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는 인터넷터미널은 터미널의 각부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호스트장치에 대한 접속정보와, 부팅 설정정보, 데이터송수신 응용프로그램, 처리데이타의 정보를 기억시키는 기억부와; 원격지와 인터넷터미널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복조하는 통신인터페이스와; 원격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출력시키는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와; 소정의 무선채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키입력신호인 경우에는 대응되는 키스캔데이타로 출력시키고, 수신된 데이터가 좌표신호인 경우에는 대응되는 시리얼데이타를 출력시키는 무선인터페이스와; 상기 입력장치로부터의 소정의 키스캔데이타 또는 무선인터페이스로 부터의 키스캔데이타를 소정의 키데이타로 출력시키는 키입력인터페이스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원격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타를 상기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에서 처리하여 출력시키고, 상기 키입력인터페이스 또는 무선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타 또는 시리얼데이타에 따라 대응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에 따라 인터넷터미널을 제어하거나 상기 원격지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소정의 무선주파수를 통해 키입력신호와 좌표신호를 출력시키는 무선입력장치는 소정의 전압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밧데리와;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직류전원을 무선입력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하면서 상기 밧데리를 충전시키고,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밧데리로 부터의 전원을 무선입력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와; 소정의 기능입력 및 메뉴선택키를 입력시키는 키입력부와; 2차원 좌표를 입력시키는 좌표입력부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선택된 키입력신호와 좌표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좌표신호를 소정의 무선신호로 송출시키는 무선입력장치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입력장치는 키입력신호와 좌표신호를 소정의 무선주파수로 송출시키고; 인터넷터미널은 무선입력장치가 장착되거나 탈착되더라도 소정의 무선주파수로 부터의 키입력신호와 좌표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터넷터미널은 원격지의 호스트장치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무선입력장치는 인터넷터미널과 결합 또는 분리되고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를 무선주파수로 송출시킬 수 있고, 인터넷터미널은 무선입력장치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더라도 무선주파수로부터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무선입력장치는 인터넷터미널과 정면 또는 배면으로 결합될 때 인터넷터미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규한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터미널은 무선입력장치(200)와 인터넷터미널(100)을 구비하여, 인터넷터미널(100)은 원격지의 호스트장치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무선입력장치(200)는 인터넷터미널과 결합 또는 분리되고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를 무선주파수로 송출시킬 수 있고, 인터넷터미널(100)은 무선입력장치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더라도 무선주파수로부터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무선입력장치(200)는 인터넷터미널(100)과 정면 또는 배면으로 결합될 때 인터넷터미널(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터미널(100)은 전화라인에 의해 공중통신망과 접속되어 원격지와 통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터넷터미널(100)은 송수신 및 처리되는 데이터에 따른 비디오신호를 표시시키도록 예컨대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300)가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인터넷터미널(100)에서 처리된 오디오신호는 임의의 오디오장치(400)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무선입력장치(200)를 통해 인터넷터미널(100)에 대한 명령, 데이터, 또는 포인팅좌표를 무선으로 입력시킬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키입력장치(500; 예컨대 키보드)를 유선으로 접속시키고 인터넷터미널(100)에 대한 명령 및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200)와 인터넷터미널(100)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무선입력장치(200)를 인터넷터미널(100)로부터 분리시켜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무선입력장치(200)의 부호 52는 디지타이저, 80은 포인팅입력펜, 58은 방향키입력부, 62는 메뉴키입력부, 60은 엔터키입력부, IR_TD는 무선송신부, D_A와 D_B는 전원입력단자, 64는 제2결합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인터넷터미널(100)의 부호 IR_RD1는 제1무선수신부, IR_RD2는 제2무선수신부, S_A와 S_B는 전원공급단자, 31과 34는 제1결합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이 무선입력장치(200)와 인터넷터미널(100)이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무선송신부(IR_TD)로부터 송출된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는 인터넷터미널(100)의 제1무선수신부(IR_RD1) 또는 제2무선수신부(IR_RD2)로 수신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200)의 입력측면을 외부로 향하게 하여 인터넷터미널(100)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입력장치(200)는 인터넷터미널(100)상에 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무선입력장치(200)의 무선송신부(IR_TD)로부터 송출된 신호는 인터넷터미널(100)의 제2부선수신부(IR_RD2)로 수신된다.
도 5는 도 4와 같이 무선입력장치(200)와 인터넷터미널(100)이 결합되었을 때 전원공급 및 결합작용을 하는 단자(S_A,S_B,D_A,D_B)의 중심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부호 74는 탄성부재(예컨대 인장스프링), 76은 전원공급선, 75는 전원입력선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입력장치(200)와 인터넷터미널(100)이 결합되면, 인터넷터미널(100)의 전원공급단자(S_A,S_B)와 무선입력장치(200)의 전원입력단자(D_A,D_B)가 서로 접속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단자(S_A,S_B)는 전원공급선(76)이 각각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원입력단자(D_A,D_B)는 전원입력선(75)이 각각 접속된다. 이때, 인터넷터미널(100)의 전원공급단자(S_A,S_B)는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되고, 무선입력장치(200)의 전원입력단자(D_A,D_B)는 홈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터넷터미널의 전원공급단자(S_A,S_B)는 인장스프링(74)에 의해 탄력이 가해져 전원입력단자(D_A,D_B)와 서로 밀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단자(S_A,S_B)는 전원입력단자(D_A,D_B)의 어느 단자와 접속되더라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도 3에서 인터넷터미널(100)의 제1결합장치의 레버(31)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4와 같이 무선입력장치(200)와 인터넷터미널(100)이 결합되었을 때, 제1결합장치와 제2결합장치의 중심에 대한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무선입력장치(200)와 인터넷터미널(100)이 결합되었을 때, 제1결합장치와 제2결합장치의 중심에 대한 정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무선입력장치(200)의 입력측면을 내부로 향하게 하여 인터넷터미널(100)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무선입력장치(2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입력장치(200)와 인터넷터미널(100)과 결합시키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입력장치(200)와 인터넷터미널(100)의 구성 및 접속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인터넷터미널(100)의 부호 110은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 120은 주제어부, 130은 통신인터페이스, 140은 키입력인터페이스, 150은 무선인터페이스, 160은 기억부, 170은 전원공급부를 각각 나타낸다. 그리고 무선입력장치(200)의 부호 210은 무선입력장치제어부, 220은 키입력부, 230은 좌표입력부, 240은 전원제어부, 250은 밧데리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인터넷터미널(100)의 구성블록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주제어부(120)는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인터넷터미널(100)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리고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110)는 예컨대 비디오카드와 오디오카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카드는 주제어부(120)에서 처리되는 디지털 비디오데이타를 예컨대 RGB비디오신호 또는 NTSC방식의 비디오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킨다. 그리고 오디오카드는 주제어부(120)에서 처리되는 오디오데이타를 소정의 아날로그사운드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킨다.
또한, 통신인터페이스(130)는 예컨대 모뎀(MODEM)으로 구성되어, 원격지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시키거나, 주제어부(120)로부터 원격지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변조시키면서 통신을 제어한다.
기억부(160)는 예컨대 RAM, ROM,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등 으로 구성되어 호스트장치와의 접속에 대한 접속정보와, 부팅 설정정보, 데이터송수신 응용프로그램,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기억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억부(160)는 소정의 휘발성 기억장치(RAM)와 비휘발성기억장치를 복합적으로 구성시킨다. 그러나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기억된 정보가 소거되지 않도록 원하는 경우에는 플래시메모리로 기억부(160)를 구성시켜도 된다. 이때, 상기 기억부(160)에 기억되는 데이터송수신 응용프로그램으로는 예컨대 네스케이프, MS익스플로러와 같은 소위 웹브라우저와 검색하고자 하는 다양한 주소(SITE)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접속정보로는 특정목적에 의한 정보제공자(예컨대 UNITEL)에 대한 전화번호 및 통신설정코드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부팅 설정정보로는 인터넷터미널(100)이 동작을 개시할 때 원격지의 호스트와 자동적으로 접속시킬 것인지, 메뉴의 선택에 따라 접속시킬 것인지를 나타내는 설정정보를 포함한다. 주제어부(120)는 원격지의 호스트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기억부(160)에 저장되는 응용프로그램 및 각종 등록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무선인터페이스(150)는 무선입력장치(200)로부터 키입력신호 또는 좌표신호를 무선(예컨대 적외선)으로 수신하고, 각각의 신호를 분리시켜 출력시킨다. 즉, 수신된 신호가 좌표신호인 경우에는 소정의 직렬데이타로 변환시켜 주제어부(120)측으로 전송시킨다. 한편, 수신된 신호가 키입력신호인 경우에는 소정의 키스캔데이타로 변환시켜 키입력인터페이스(140; 예컨대 키보드인터페이스)측으로 출력시킨다. 그러면 키입력인터페이스(140)는 상기 무선인터페이스(150)로 부터의 키스캔데이타 또는 외부의 키입력장치(500)로 부터의 키스캔데이타를 소정의 시스템스캔코드로 변환시켜 주제어부(120)측으로 출력한다.
전원공급부(170)는 소정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VA)으로 변환시켜 상기 인터넷터미널(100)의 각 전원공급부에 공급시킨다. 상기 전원공급부(170)는 휴대가 가능하도록 밧데리를 구비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70)는 무선입력장치(200)측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전원(VB)을 외부로 출력시킨다.
도 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터미널(100)의 실행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터미널(100)의 동작이 개시되면, 주제어부(120)는 터미널과 접속되 주변장치 및 시스템사양등을 점검하게 된다(S110).
이어서 부팅설정이 '자동'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160)에 기억된 접속정보에 따라 통신인터페이스(130)를 구동하여 원격지의 호스트와 접속한다(S140). 그리고 예컨대 웹브라우저와 같은 응용프로그램을 수행시킨다(S150).
만일, 부팅설정이 '메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억부(160)에 기억된 메뉴선택루틴을 호출하여 수행하고(S130), 선택된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한다(S150). 이때 메뉴선택은 무선인터페이스(150)를 통해 무선입력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키입력데이타 또는 좌표데이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제어부(120)는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150), 소정의 메뉴표시 키입력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무선인터페이스(150)로부터 감지한다(S160). 이때 메뉴를 표시시키도록 키입력데이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주제어부(120)는 상기 기억부(160)에 기억된 소정의 메뉴를 호출하여 표시시키고, 키입력신호에 따라 선택된 메뉴를 처리하게 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여 무선입력장치(200)의 구성블록을 상세히 설명한다.
키입력부(220)는 예컨대 상하좌우를 나타내는 방향키, 메뉴를 호출하는 메뉴키, 선택을 나타내는 엔터키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해당버튼이 선택되게 되면, 소정의 키입력신호(K_SIG)를 출력시킨다.
좌표입력부(230)는 예컨대 디지타이저로 구성되어 소정의 포인터에 의한 좌표값을 좌표신호(D_SIG)로서 출력시킨다.
상기와 같이 키입력부(220)로 부터의 키입력신호(K_SIG) 또는 좌표입력부(230)로 부터의 좌표신호(D_SIG)는 무선입력장치제어부(210)로 입력된다. 무선입력장치제어부(210)는 상기 입력되는 신호(K_SIG, D_SIG)를 엔코딩하여 소정의 무선주파수(예컨대 적외선)로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무선입력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무선주파수와 인터넷터미널(100)의 무선인터페이스(150)에서 수신하는 주파수는 서로 일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무선주파수는 허용되는 범위내에서 여러 RF채널을 구비하고 통신상태가 가장 양호한 채널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한편, 전원제어부(240)는 상기 인터넷터미널(100)의 전원공급부로 부터의 소정의 직류전원(VB)을 공급받아 무선입력장치(200)의 각 전원입력단(Vcc)에 공급시킨다. 그리고 전원제어부(240)는 이와같이 인터넷터미널(100)의 전원공급부(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밧데리(250)를 충전시키고,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밧데리(250)의 전원을 무선입력장치(2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전원제어부(24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제어부(240)는 전원입력단(D_A,D_B)으로 공급되는 직류전원의 극성이 바뀌더라도 레귤레이터(241)의 입력단(L1)으로는 양극성(+)의 전압이 인가된다. 즉, 4개의 다이오드(D1~D4)로 브리지정류회로를 구성시킴으로써, 레귤레이터(241)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은 바뀌지 않는다. 레귤레이터(241)는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전원전압의 레벨이 다소 불규칙하게 변화되더라도 일정한 전압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파워스위치(PWR_SW)가 스위칭온되게 되면, 상기 레귤레이터로부터 출력된 전압은 전원방향제어 다이오드(D5)와 스위치접점(a,c)을 통해 무선입력장치(200)의 각 전원입력단(Vcc)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레귤레이터(241)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다이오드(D5)를 통해 밧데리(250)에 공급되게 됨으로써 밧데리가 충전되게 된다. 한편 전원입력단(D_A,D_B)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밧데리(250)에 충전된 전압이 무선입력장치(200)의 각 전원입력단(Vcc)으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밧데리(250)로 부터의 전원은 레귤레이터(241)의 출력단(L2)측으로 흐르지 않도록 전원방향제어 다이오드(D5)에 의해 차단된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무선입력장치(200)의 무선입력장치제어부(210)와 키입력부(22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입력장치제어부(210)는 소정의 마이콤(21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키입력부(220)는 예컨대 상향버튼스위치(U_BT)와, 하향버튼스위치(D_BT), 좌향버튼스위치(L_BT), 우향버튼스위치(R_BT), 제1기능버튼스위치(F1_BT), 제2기능버튼스위치(F2_BT), 제3기능버튼스위치(FN_BT)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기능버튼스위치(F1_BT,F2_BT)는 예컨대 메뉴호출등의 기능버튼으로 사용되고, 제3기능버튼스위치(FN_BT)는 예컨대 엔터키(Enter)로 사용된다.
상기 버튼스위치의 각각의 일단은 마이콤(211)의 각각의 스위치신호입력단(IB1~IB7)과 접속되고, 타단은 접지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콤(211)의 스위치신호입력단(IB1~IB7)은 각각 풀업저항(R1~R7)을 통해 소정의 전압으로 풀업된다. 그러므로 버튼스위치가 눌려지지 아니하면, 상기 마이콤(211)의 입력단(IB1~IB7)으로는 소정의 하이레벨신호가 인가된다. 그리고 임의의 버튼스위치가 눌려지게 되면, 상기 마이콤(211)의 해당 입력단으로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인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눌려진 버튼스위치의 신호는 마이콤(211)에 의해 인코드된 후 무선송신단(IR_TX)을 통해 전송되게 된다. 즉, 마이콤(211)의 무선송신단(IR_TX)으로 부터의 신호는 저항(R8)과 적외선다이오드(IR_TD)를 통해 적외선으로 송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저항(R8)은 적외선다이오드(IR_TD)의 출력레벨을 조절하는 가변저항이다.
한편, 무선입력장치제어부(210)의 소정의 좌표입력단(XY)으로는 예컨대 디지타이저로 구성된 좌표입력부(230)로 부터의 좌표신호(D_SIG)가 입력된다. 마이콤(211)의 좌표입력단(XY)과 좌표입력부(230)간에는 소정의 직렬통신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마이콤(211)은 좌표입력단(XY)으로 입력되는 좌표신호를 인코드하여 무선송신단(IR_TX)를 통해 전송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무선송신부만 도시되어 있으나, 인터넷터미널과 무선입력장치간의 제어명령등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무선수신부도 구성시킬 수 있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상기 무선입력장치제어부(210)의 마이콤(211)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마이콤(211)은 무선송출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점검한다(S310,S320). 상기에서 무선송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211)은 키입력부(220)와 좌표입력부(230)를 감지하여 버튼스위치신호(K_SIG)가 있는지(S330), 좌표신호(D_SIG)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350). 상기에서 임의의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211)는 해당 버튼에 대한 정보를 인코드한 후(S340), 적외선다이오드(IR_TD)를 통해 무선송신시킨다(S370). 마찬가지로 좌표값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211)는 해당 좌표신호를 인코드한 후(S360), 적외선다이오드(IR_TD)를 통해 무선송신시킨다(S370). 한편 마이콤(211)은 밧데리(250)의 전압이 정상인지를 판단하고(S380), 이상상태로 판단되면 부저(BZ)를 통해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킨다(S390).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인터넷터미널의 무선인터페이스(15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IR_RD1과 IR_RD2는 적외선입력부, 151은 마이콤, RCV_LED는 표시LED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적외선입력단은 상기 무선입력장치로 부터의 무선신호를 분리된 위치에서 수신할 수 있도록 각각 별도로 설치된다.
도 16은 상기 도 13에 도시된 무선인터페이스(150)의 제어동작을 도시한 상세히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마이콤(151)는 적외선입력부(IR_RD1,IR_RD2)로부터 무선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10). 이때, 신호가 수신되면, 신호가 수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도록 상기 표시LED(RCV_LED)를 점등시킨다(S220). 이어서 마이콤(151)은 수신된 신호를 디코드하고(S230), 디코드된 데이터가 키데이타인지(S240) 또는 좌표데이타인지(S270)를 판단한다. 이때, 좌표데이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51)은 해당 좌표데이타를 시리얼데이타(S_DATA)로 변환시켜 주제어부(120)측으로 전송시킨다. 만일, 키데이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마이콤(151)은 현재 키입력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유선키보드(500)로 부터의 키입력여부를 감지하고(S250), 키입력이 없으면 상기 키입력인터페이스(140)측으로 해당 버튼의 스캔코드값을 발생시킨다(S260). 이와 같이 발생된 스캔코드값은 키입력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시스템스캔코드로 변환된 후 주제어부(120)로 전송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인터넷터미널은 다양한 비디오출력장치(예컨대 TV)를 지원할 수 없는 문제점과, 모니터 화면은 표시영역이 한정된 크기를 갖게 되는데 멀티미디어에서는 넓은 화면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 키보드와 마우스는 소정의 라인을 통해 컴퓨터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이 불편하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 인터넷을 통해 멀티미디어정보를 검색하는 경우에는 많은 키들이 불필요하게 되는 문제점, 인터넷터미널을 휴대할 필요성을 해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터넷터미널은 원격지의 호스트장치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무선입력장치는 인터넷터미널과 결합 또는 분리되고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를 무선주파수로 송출시킬 수 있고, 인터넷터미널은 무선입력장치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더라도 무선주파수로부터 키입력신호 및 좌표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무선입력장치는 인터넷터미널과 정면 또는 배면으로 결합될 때 인터넷터미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은 인터넷의 터미널로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임의의 통신망을 통한 터미널 및 인터넷 TV에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6)

  1. 소정의 공중망을 통해 원격지의 호스트장치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소정의 입력장치를 통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는 인터넷시스템에 있어서:
    소정의 키입력신호(K_SIG)와 좌표신호(D_SIG)를 소정의 무선주파수로 송출시키는 무선입력장치(200)와;
    상기 무선입력장치(200)가 장착되거나 이탈되더라도 소정의 무선주파수로 부터의 키입력신호(K_SIG)와 좌표신호(D_SIG)를 수신하는 인터넷터미널(100)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터미널(100)은 터미널의 각부에 직류전원(VA)을 공급하고, 소정의 외부 직류전원(VB)을 출력시키는 전원공급부(170)와;
    상기 호스트장치에 대한 접속정보와, 부팅 설정정보, 데이터송수신 응용프로그램, 처리데이타의 정보를 기억시키는 기억부(160)와;
    원격지와 인터넷터미널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복조하는 통신인터페이스(130)와;
    원격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출력시키는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110)와;
    소정의 무선채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키입력신호인 경우에는 대응되는 키스캔데이타로 출력시키고, 수신된 데이터가 좌표신호인 경우에는 대응되는 시리얼데이타를 출력시키는 무선인터페이스(150)와;
    상기 입력장치(500)로부터의 소정의 키스캔데이타 또는 무선인터페이스(150)로 부터의 키스캔데이타를 소정의 키데이타로 출력시키는 키입력인터페이스(140)와;
    상기 기억부(160)에 기억된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원격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타를 상기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110)에서 처리하여 출력시키고, 상기 키입력인터페이스(140) 또는 무선인터페이스(150)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타(K_DATA) 또는 시리얼데이타(S_DATA)에 따라 대응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에 따라 인터넷터미널을 제어하거나 상기 원격지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2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70)의 직류전원은 밧데리전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170)는 외부직류전원(VB)을 공급하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200)와 지지결합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단자(S_A,S_B)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단자(S_A,S_B)는 상기 무선입력장치(200)와의 지지결합을 강화시키도록 상기 전원공급단자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는 탄성부재(74)를 각각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터미널은 무선입력장치(200)와 기구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수단(31,34)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페이스(150)는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입력단(IR_RD1,IR_RD2)과;
    데이터가 수신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표시수단(RCV_LED)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부(120)는 설정상태 및 동작상태를 점검하고(S110),
    설정이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통신을 자동으로 접속시키고, 메뉴로 설정된 경우에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S120,S130,S140),
    소정의 응용프로그램을 수행하면서(S150), 메뉴선택입력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메뉴선택루틴을 수행하는(S160,S170)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터페이스(150)는 소정의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표시시키고(S220),
    수신된 신호를 디코드하고(S230),
    디코드된 데이터가 기능버튼데이타이면 해당 버튼의 스캔코드를 발생시키고(S240,S250,S260),
    디코드된 데이터가 좌표데이타이면 해당 데이터를 소정의 시리얼데이타로 출력시키는(S270,S280)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200)는 소정의 전압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밧데리(250)와;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직류전원을 무선입력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하면서 상기 밧데리(250)를 충전시키고,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밧데리(250)로 부터의 전원을 무선입력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240)와;
    소정의 기능입력 및 메뉴선택키를 입력시키는 키입력부(220)와;
    2차원 좌표를 입력시키는 좌표입력부(230)와;
    상기 키입력부(220)로부터 선택된 키입력신호와 좌표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된 좌표신호를 소정의 무선신호로 송출시키는 무선입력장치제어부(21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240)는 소정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직류전압을 일정방향을 극성을 갖도록 출력시키는 브리지다이오드(D1~D4)와;
    전압을 일정하게 출력시키는 레귤레이터(241)와;
    밧데리로 부터의 전원이 레귤레이터(241)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전원제어다이오드(D5)와;
    전원공급스위치(PWR_SW)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240)는 상기 인터넷터미널(100)의 전원공급부(1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면서 상기 인터넷터미널(100)과 지지결합할 수 있도록 전원입력단자(D_A,D_B)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제어부(210)는 적외선신호를 출력시키는 적외선다이오드(IR_TD)와;
    상기 적외선다이오드의 출력세기를 제어하는 출력가변저항(R8)와;
    소정의 음을 발생시키는 부저(BZ)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입력장치제어부(210)는 무선전송이 가능한지를 점검하고(S310,S320),
    기능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해당 버튼신호를 인코드하고(S330,S340),
    좌표값이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좌표신호를 인코드하고(S350,S360),
    인코드된 데이터를 무선송신하는(S370)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15. 소정의 공중망을 통해 원격지의 호스트장치와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는 인터넷터미널에 있어서:
    터미널의 각부에 직류전원(VA)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70)와;
    상기 호스트장치에 대한 접속정보와, 부팅 설정정보, 데이터송수신 응용프로그램, 처리데이타의 정보를 기억시키는 기억부(160)와;
    원격지와 인터넷터미널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거나 복조하는 통신인터페이스(130)와;
    원격지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출력시키는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110)와;
    소정의 무선채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가 키입력신호인 경우에는 대응되는 키스캔데이타로 출력시키고, 수신된 데이터가 좌표신호인 경우에는 대응되는 시리얼데이타를 출력시키는 무선인터페이스(150)와;
    상기 입력장치(500)로부터의 소정의 키스캔데이타 또는 무선인터페이스(150)로 부터의 키스캔데이타를 소정의 키데이타로 출력시키는 키입력인터페이스(140)와;
    상기 기억부(160)에 기억된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원격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타를 상기 오디오/비디오인터페이스(110)에서 처리하여 출력시키고, 상기 키입력인터페이스(140) 또는 무선인터페이스(150)로부터 입력되는 키데이타(K_DATA) 또는 시리얼데이타(S_DATA)에 따라 대응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에 따라 인터넷터미널을 제어하거나 상기 원격지와의 통신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2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터미널.
  16. 소정의 무선주파수를 통해 키입력신호와 좌표신호를 출력시키는 무선입력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전압을 충전 또는 방전시키는 밧데리(250)와;
    외부로 부터 공급되는 소정의 직류전원을 무선입력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하면서 상기 밧데리(250)를 충전시키고, 외부로부터 직류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밧데리(250)로 부터의 전원을 무선입력장치의 각 부분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240)와;
    소정의 기능입력 및 메뉴선택키를 입력시키는 키입력부(220)와;
    2차원 좌표를 입력시키는 좌표입력부(230)와;
    상기 키입력부(220)로부터 선택된 키입력신호와 좌표입력부(230)로부터 입력된 좌표신호를 소정의 무선신호로 송출시키는 무선입력장치제어부(210)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입력장치.
KR1019970019645A 1997-05-21 1997-05-21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KR19980084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645A KR19980084050A (ko) 1997-05-21 1997-05-21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9645A KR19980084050A (ko) 1997-05-21 1997-05-21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050A true KR19980084050A (ko) 1998-12-05

Family

ID=65991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9645A KR19980084050A (ko) 1997-05-21 1997-05-21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40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48518A1 (en) Remot control devices
KR100513281B1 (ko) 확장형 통합 리모컨 및 작동 방법
US20060192855A1 (en)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US20050166240A1 (en)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068247A1 (en) State-Based Remote Control System
JP2001224079A (ja) 制御システム
EP2110796A2 (en) Universal remote control method for display systems
US66502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home appliance communications network
KR100450251B1 (ko) 만능 리모콘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112101A (ko) 방송수신장치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915291B2 (ja) テレビ装置
US20090072993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685985B1 (ko)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휴대형 단말장치,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프로그램 실행 방법
KR20040031159A (ko)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90011298A (ko) 디지털 tv의 무선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9980084050A (ko) 무선입력장치를 갖는 인터넷시스템
US20030214604A1 (e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9130857A (ja) 携帯機器、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赤外線通信システム
KR100744185B1 (ko) 티브이의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시스템
KR10066351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외부의 av 장치로 출력중에도 다른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20067315A (ko) 통합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10128B1 (ko) 통합 리모트 콘트롤러에 의한 tv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51188B1 (ko) 전화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JP2001275171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KR19980069039A (ko) 인터네트 기능 및 오디오/비디오 기기 통합 제어 셋탑박스와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