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3554A - Clock Regeneration Device for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Clock Regeneration Device for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3554A
KR19980083554A KR1019970018901A KR19970018901A KR19980083554A KR 19980083554 A KR19980083554 A KR 19980083554A KR 1019970018901 A KR1019970018901 A KR 1019970018901A KR 19970018901 A KR19970018901 A KR 19970018901A KR 19980083554 A KR19980083554 A KR 19980083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predetermined
pulse
receiv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9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51640B1 (en
Inventor
배성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8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640B1/en
Publication of KR19980083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5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6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33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using the transitions of the received signal to control the phase of the synchronising-signal-generating means, e.g. using a phase-locked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9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 H03L7/099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the oscillator being a digital oscillator, e.g. composed of a fixed oscillator followed by a variable frequency divider
    • H03L7/099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the oscillator being a digital oscillator, e.g. composed of a fixed oscillator followed by a variable frequency divider comprising a counter or a frequency divi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79Receiver details
    • H04L7/0087Preprocessing of received signal for synchronisation, e.g. by code conversion, pulse generation or edge detection

Abstract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한 양 극성 신호로부터 클럭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 극성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와, 상기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수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아게이트와, 상기 수신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폭을 갖는 펄스를 기준신호로서 생성하는 펄스생성부와, 상기 기준신호로부터 각 극성에 대한 위상 오차를 검출하는 위상검출부와, 상기 각 극성에 대한 위상 오차를 소정의 클럭으로 카운트하고 그 값이 일정 임계치에 이르면 증가 혹은 감소요구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오차 계산부와,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상기 증가 혹은 감소요구신호의 발생 상태에 따라 소정 분주하여 재생 클럭을 출력하는 재생클럭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clock from a bipolar signal received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first and second digital filters for removing noise of each polarity signal, and an output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filters An orifice for outputting a signal; a pul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uls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received data as a reference signal; a phase detector for detecting a phase error for each polarity from the reference signal; The phase error calculation unit which counts the phase error with a predetermined clock and generates an increase or decrease request signal when the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the increase or decrease request signal for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And a regeneration clock output unit which outputs a regeneration clock by divid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ccording to the occurrence state of.

Description

디지털 통신 시스템의 클럭 재생장치Clock Regeneration Device for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클럭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극성 신호인 G.703 수신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기준신호를 생성하고 클럭을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ck reproducing apparatus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and regenerating a clock from G.703 received data which is a bipolar signal.

디지털 전송은 아날로그 전송에 비해서 채널당 대역폭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경제성을 고려해볼 때 디지털 전송보다는 아날로그 전송이 더 유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전송 방식이 계속 발전해 온 것은 디지털 전송이 그 전송과정에서 생기는 신호의 왜곡이 없고 신호처리가 용이한 점 등 많은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Digital transmissions require more bandwidth per channel than analog transmissions. Also, considering economics, analog transmission is more advantageous than digital transmission. Nevertheless, digital transmission has continued to develop because digital transmission has many advantages, such as no signal distortion and easy signal processing.

디지털 통신에 사용되는 신호는 흔히 단극성 신호인 TTL(Transistor Transistor Logic) 혹은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신호가 사용된다. 그러나 국사간 통신 혹은 국사내 다른 시스템과의 신호 전송은 단극성(unipolar) 신호로는 전송이 어렵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극성 신호를 양극성(bipolar) 신호로 변환하여 사용하게 된다. G.703 64Kbps 양방향(codirectional) 데이터 전송의 경우에도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즉 64Kbps '1' 신호를 '1100'인 256Kbps 신호로, 64Kbps '0' 신호를 '1010'인 256Kbps 신호로 변환시키는 선로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송신측에서는 이렇게 주파수를 64Kbps에서 256Kbps로 높여서 양극성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측에서는 데이터로부터 클럭, 즉 256Kbps를 재생하고 그 재생된 클럭으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추출해낸다. 이 과정에서 수신 데이터로부터 기준신호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것은 위상동기루프(Phase Locked Loop: 이하 PLL이라 함.)를 구현하는데 중요한 요소(factor)가 된다.Signals used in digital communication are often unipolar, TTL (transistor transistor logic) or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signal. However, communication between stations or signals with other systems in the country is difficult to transmit with unipolar signals. In this case, the unipolar signal is converted into a bipolar signal and used. G.703 The same method is used for 64 Kbps co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That is, the line encoding method converts a 64Kbps '1' signal into a 256Kbps signal of '1100' and a 64Kbps '0' signal into a 256Kbps signal of '1010'. The transmitter increases the frequency from 64Kbps to 256Kbps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bipolar signal. The receiver reproduces the clock, that is, 256Kbps from the data, and extracts the received data from the reproduced clock. In this process, a reference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received data,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implementing a phase locked loop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LL).

도 1은 종래의 클럭 재생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아날로그-PLL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clock reproducing apparatus, which adopts an analog-PLL scheme.

수신된 양극성 신호가 단극성 신호 RD+, RD-로 변환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오아게이트 10에 입력되면 상기 오아게이트 10은 그 두 신호를 논리합하여 수신 데이터 DAT를 출력한다. 펄스생성부 100은 상기 수신 데이터 DAT로부터 소정의 폭을 갖는 펄스를 기준신호 REF로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지연부 24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 DAT를 소정 지연시켜 출력하면 에지검출부 25는 상기 지연부 24의 출력으로부터 상승 에지를 검출한다. 펄스 발생부 26은 소정의 펄스를 생성하는데, 상기 펄스의 폭은 상기 상승 에지의 검출에 따른다.When the received bipolar signals are converted into unipolar signals RD + and RD- and input to the oragate 10 as shown, the oragate 10 outputs the received data DAT by ORing the two signals. The pulse generator 100 generates a puls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received data DAT as a reference signal REF. Specifically, when the delay unit 24 delays and outputs the received data DAT, the edge detector 25 detects a rising edge from the output of the delay unit 24. The pulse generator 26 generates a predetermined pulse, the width of which depends on the detection of the rising edge.

위상비교기 11은 상기 기준신호 REF와 내부에서 생성된 가변신호 VAR를 비교한 후 위상오차를 검출한다. 루프필터 12는 상기 위상오차의 크기에 따라 제어전압의 변화 폭을 결정한다. 전압제어발진기(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이하 VCO라 함.) 13은 상기 제어전압에 일치하는 256KHz 클럭을 생성한다.Phase comparator 11 compares the reference signal REF with the variable signal VAR generated therein and then phase error. Detect. Loop filter 12 is the phase error The width of control voltag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VCO) 13 generates a 256KHz clock that matches the control voltage.

그런데 상기 도 1의 구성은 연산증폭기, VCO 등과 같은 능동(active)소자 및 저항, 콘덴서, 코일 등과 같은 수동소자가 외부에 별도로 필요하다. 또한 이들 소자들은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요인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동일한 회로 특성을 얻기 어렵다. 그러므로 제품을 생산할 때 많은 제작 공정이 필요하며, 생산 원가를 높이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However, the configuration of FIG. 1 requires an active device such as an operational amplifier, a VCO, and a passive device such as a resistor, a capacitor, and a coil separately. In addition, these devices have a great influence on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thus,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same circuit characteristics. Therefore, a lot of manufacturing process is required when producing a product, and has a problem of raising the production cost.

다른 측면에서, 양극성인 G.703 신호를 단극성으로 변환하게 되면 전송 구간에서 발생하는 임펄스(impulse)성 잡음 및 레벨 검출에 의한 슬라이싱(slicing) 과정에서 글리치(glitch)가 발생될 수 있다. 글리치에 의한 클럭 재생시의 문제점은 루프필터 12로써 해결할 수 있으나 수신 데이터에 대한 잡음은 제거할 수 없어 에러를 유발할 우려가 높다.In another aspect, when the polarized G.703 signal is converted to unipolar, glitch may be generated during slicing by impulsive noise and level detection occurring in a transmission interval. The problem of clock reproduction due to the glitch can be solved by the loop filter 12, bu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an error since noise on the received data cannot be removed.

또 다른 측면에서, G.703 신호의 수신 데이터가 0[1010]인 경우에는 256KHz 주파수의 클럭 재생이 용이하나, 1[1100] 신호의 경우 클럭 재생이 어렵다. 경우에 따라서는 루프 필터의 수동 소자들의 크기가 변경될 경우 1[1100]신호가 반복되면 클럭 재생에 실패할 가능성이 많다.In another aspect, when the received data of the G.703 signal is 0 [1010], the clock reproduction of 256 KHz frequency is easy, but the clock reproduction of the 1 [1100] signal is difficult. In some cases, if the size of the passive elements of the loop filter is changed, the clock regeneration may fail when the 1 [1100] signal is repeat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극성 신호인 G.703 수신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기준신호를 생성하고 클럭을 재생할 때 안정된 클럭을 재생하여 시스템의 에러를 감소시키고 어떤 환경에서도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generate a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from the G.703 received data, which is a bipolar signal, and to provide a device capable of stable operation in any environment by reducing a system error by reproducing a stable clock. Is i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한 양 극성 신호로부터 클럭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 극성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와, 상기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수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아게이트와, 상기 수신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폭을 갖는 펄스를 기준신호로서 생성하는 펄스생성부와, 상기 기준신호로부터 각 극성에 대한 위상 오차를 검출하는 위상검출부와, 상기 각 극성에 대한 위상 오차를 소정의 클럭으로 카운트하고 그 값이 일정 임계치에 이르면 증가 혹은 감소요구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오차 계산부와,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상기 증가 혹은 감소요구신호의 발생 상태에 따라 소정 분주하여 재생 클럭을 출력하는 재생클럭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clock from a polarity signal received in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the apparatus comprising: first and second digital filters for removing noise of each polarity signal; An OR gate for outputting received data by ORing the outputs of two digital filters, a pul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uls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received data as a reference signal, and detecting a phase error for each polarity from the reference signal. A phase detection unit for counting the phase error of each polarity with a predetermined clock and generating an increase or decrease request signal when the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a predetermined frequency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Reproduction for outputting a reproduction clock by divid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according to the state of occurrence of the increase or decrease Characterized by the configured portion Luck output.

도 1은 종래의 클럭 재생 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clock reproduc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럭 재생 장치의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클럭 재생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3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the clock reproducing apparatus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Als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many specific details such as components of specific circuits are shown, which are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is self-evident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in Esau.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럭 재생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디지털-PLL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clock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ploys a digital-PLL scheme.

수신된 양극성 신호가 단극성 신호 RD+, RD-로 변환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 21, 22로 입력된다. 상기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 21, 22는 각 극성 신호의 잡음을 제거한다. 오아게이트 10은 상기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 21, 22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수신 데이터 DAT를 출력한다. 펄스생성부 100은 상기 수신 데이터 DAT로부터 소정의 폭을 갖는 펄스를 기준신호 REF로서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지연부 24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 DAT를 소정 지연시켜 출력하면 에지검출부 25는 상기 지연부 24의 출력으로부터 상승 에지를 검출한다. 펄스 출력부 26은 소정의 펄스를 생성하는데, 상기 펄스의 폭은 상기 상승 에지의 검출에 따른다.The received bipolar signals are converted into unipolar signals RD + and RD- and input to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filters 21 and 22, respectively, as shown.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filters 21 and 22 remove noise of each polarity signal. The OR gate 10 outputs the received data DAT by ORing the outputs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filters 21 and 22. The pulse generator 100 generates a puls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received data DAT as a reference signal REF. Specifically, when the delay unit 24 delays and outputs the received data DAT, the edge detector 25 detects a rising edge from the output of the delay unit 24. The pulse output section 26 generates a predetermined pulse, the width of which depends on the detection of the rising edge.

디지털 PLL부 200은 위상검출부 27, 위상오차 계산부 28과 재생클럭출력부 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상검출부 27은 상기 기준신호로부터 각 극성에 대한 위상 오차를 검출한다. 상기 위상오차 계산부 28은 상기 각 극성에 대한 위상 오차를 소정의 클럭으로 카운트하고 그 값이 일정 임계치에 이르면 감소요구신호 Dec 혹은 증가요구신호 Inc를 발생한다. 상기 재생클럭출력부 55는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Temperture Compensation Crystal Oscillator: 이하 TCXO라 함.)서 발생되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상기 감소요구신호 Dec 혹은 증가요구신호 Inc의 발생 상태에 따라 소정 분주하여 재생 클럭을 출력한다.The digital PLL unit 200 includes a phase detector 27, a phase error calculator 28, and a reproduction clock output unit 55. The phase detector 27 detects a phase error for each polarity from the reference signal. The phase error calculator 28 counts the phase error for each polarity with a predetermined clock and generates a decrease request signal Dec or an increase request signal Inc when the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regeneration clock output unit 55 divide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generated by a temperature compensation crystal oscill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CXO) according to the generation state of the reduction request signal Dec or the increase request signal Inc. To output the reproduction clock.

상기 재생클럭출력부 55는 상기 TCXO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상기 증가요구신호 Dec, 정상상태, 상기 감소요구신호 Inc의 발생에 각각 대응하여 제1, 제2, 제3분주하는 발진부(number controlled oscillator) 29와, 상기 발진부 29의 출력을 소정 분주하여 재생 클럭을 출력하는 분주부 30으로 이루진다.The regeneration clock output unit 55 divides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generated by the TCXO into first, second, and third divisions in response to generation of the increase request signal Dec, the steady state, and the decrease request signal Inc, respectively. (number controlled oscillator) 29 and a divider 30 for dividing the output of the oscillator 29 to output a reproduction clock.

도 3은 도 2의 클럭 재생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이다. 상기 클럭 재생 장치의 동작을 상기 타이밍도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n operation timing diagram of the clock reproducing apparatus of FIG. 2. The operation of the clock reproducing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timing diagram as follows.

(3a)는 64Kbps 데이터를 나타내고, (3b)는 256Kbps 데이터를 나타낸다.(3a) represents 64 Kbps data, and (3b) represents 256 Kbps data.

(3c)는 잡음 성분이 포함된 G.703 신호이고, (3d)는 상기 잡음 성분 때문에 G.703 신호로부터 변환된 RD+신호에 글리치가 존재하는 형태를 나타낸다. (3e)는 상기 G.703 신호로부터 변환된 RD-신호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제1 혹은 제2디지털 필터 21, 22는 다수결 논리 정정 방법을 사용하는데, TCXO의 출력인 16.384MHz 클럭으로 RD+, RD- 신호를 읽고 연속된 '1' 사이에 포함된 소수의 '0'을 '1'로 간주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연속된 '0' 사이에 포함된 소수의 '1'을 '0'으로 간주한다. 이렇게 생성된 RDP신호 혹은 RDN신호는 원래 신호에 포함된 글리치를 제거하며, 원래 신호에 비해 다소의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상기 RDP신호와 RDN신호를 논리적으로 합한 신호가 수신 데이터 DAT이고, 이 수신 데이터 DAT는 종래의 경우보다 잡음 내성(imunity)이 강해진다. (3f)는 상기 RDP신호이고, (3g)는 상기 RDN신호이며, (3h)는 상기 수신 데이터 DAT이다.(3c) is a G.703 signal including a noise component, and (3d) shows a form in which glitches exist in the RD + signal converted from the G.703 signal because of the noise component. (3e) shows the form of the RD-signal converted from the G.703 signal. The first or second digital filters 21 and 22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use a majority vote logic correction method, which reads the RD + and RD- signals with a 16.384 MHz clock, which is the output of the TCXO, and includes a small number between the consecutive '1's. '0' is regarded as '1'. In the same way, a small number of '1's contained between consecutive' 0's are regarded as '0'. The generated RDP signal or RDN signal removes the glitch included in the original signal, and a slight time delay occurs compared to the original signal. The logical sum of the RDP signal and the RDN signal is the received data DAT, and the received data DAT has a stronger noise immunity than the conventional case. (3f) is the RDP signal, (3g) is the RDN signal, and (3h) is the received data DAT.

(3i)는 상기 수신 데이터 DAT로부터 생성된 소정의 폭을 갖는 펄스, 즉 기준신호 REF를 나타낸 것이다. (3j)는 내부에서 생성된 가변신호 VAR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 데이터 DAT는 지연부 24에 의해 소정 시간 지연되는데, 그 이유는 본 실시 예에서 적용된 기준신호 REF의 펄스 폭이 256KHz 재생 클럭 주기보다 작으므로 재생 클럭이 수신 데이터 DAT의 중간에서 정확히 읽기 위해 필요하다. 에지검출부 25 및 펄스출력부 26은 상기 지연부 24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승 에지로부터 시작되는 펄스를 상기 (3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신호가 디지털-PLL부 200의 기준 클럭이며, 상기 펄스의 폭은 상기 (3j)에 도시한 가변신호 VAR의 주기보다 적게 한다. 이러한 방법은 수신 신호가 1[1100]이든 0[1010]인 경우이든 동일한 기준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신호의 형태에 관계없이 동일한 재생 특성을 가지도록 한다. 위상검출부 27은 상기 기준신호 주기동안만 위상 오차를 검출한다. 상기 기준신호 주기동안 가변신호 VAR이 하이[1]일 경우 '-' 위상오차[-]로 간주하며, 로우[0]일 경우 '+' 위상오차[+]로 간주한다. 위상오차 계산부 28은 위상 오차를 16.384MHz 클럭으로 카운트한다. 즉 상기 위상오차 계산부 28은 상기 '-' 위상오차[-]와 '+' 위상오차[+]를 계속해서 계수하여 일정 임계치 이상에 이를 경우 감소요구신호 Dec 혹은 증가요구신호 Inc를 생성한다. 상기 감소요구신호 Dec 혹은 증가요구신호 Inc가 모두 존재하지 않으면, 즉 정상적으로 동작되면 발진부 29는 상기 16.384MHz 클럭을 4분주한다. 반면에 상기 감소요구신호 Dec가 존재할 경우에는 5분주하고, 상기 증가요구신호 Inc가 존재할 경우 3분주한다. 256KHz 재생 클럭은 상기 발진기 26의 출력을 16분주해서 얻어지며, 이 신호는 디지털-PLL부 200의 가변신호 VAR로서 피드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사용한 상기 256Kbps의 주파수는 수신 데이터를 리타이밍(retiming)하는 데 사용하며, (3j)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데이터 DAT의 중간에서 정확히 읽을 수 있다.(3i) shows a puls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generated from the received data DAT, that is, the reference signal REF. (3j) shows the variable signal VAR generated therein. Referring to FIG. 2, the reception data DAT is delayed by the delay unit 24 for a predetermined time because the pulse width of the reference signal REF applied in this embodiment is smaller than the 256 KHz reproduction clock period, so that the reproduction clock is in the middle of the reception data DAT. It is necessary to read exactly from The edge detector 25 and the pulse output unit 26 generate pulses starting from the rising edg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delay unit 24 as shown in (3i) above. The signal thus generated is the reference clock of the digital-PLL unit 200, and the width of the pulse is smaller than the period of the variable signal VAR shown in (3j). This method generates the same reference signal whether the received signal is 1 [1100] or 0 [1010], thereby having the same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signal. The phase detector 27 detects a phase error only during the reference signal period. '-' Phase error [-] when the variable signal VAR is high [1] during the reference signal period. ], If low [0] '+' phase error [+ ] Is considered. The phase error calculator 28 counts the phase error with a clock of 16.384 MHz. That is, the phase error calculation unit 28 performs the '-' phase error [- ] And '+' phase error [+ ] Is continuously counted to generate the decrement request signal Dec or the increase request signal Inc when the threshold is reached. If neither the reduction request signal Dec nor the increase request signal Inc are present, that is, in normal operation, the oscillator 29 divides the 16.384 MHz clock into four divisions. On the other hand, if the decrease request signal Dec is present, the frequency divider is divided by 5, and when the increase request signal Inc is present, the frequency divider is divided. A 256 KHz reproduction clock is obtained by dividing the output of the oscillator 26 by 16, and this signal is fed back as a variable signal VAR of the digital-PLL unit 200. The frequency of 256 Kbps used in this embodiment is used for retiming the received data, and can be read accurately in the middle of the received data DAT as shown in (3j).

본 실시예에서는 VCO 대신에 TCXO를 사용한다. 상기 VCO는 아날로그 디바이스로서 온도 변화, 습도 등 외부 환경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PLL회로에서 사용되어지는 상기 TCXO에 비하여 비싸다. 다시 말해서, 상기 TCXO의 경우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외부 환경 변화에 민감하지 않아 좋다. 또한 상기 TCXO는 유닛(unit)내에서 여러 집적회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 개의 유닛에서 여러 개의 클럭 재생(recovery)회로가 필요할 경우 더욱 유리하다.In this embodiment, TCXO is used instead of VCO. The VCO is an analog device that is not only sensitive to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temperature changes and humidity, but also more expensive than the TCXO used in digital-PLL circuits. In other words, the TCXO may be relatively inexpensive and not sensitive to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In addition, since the TCXO can be commonly used in multiple integrated circuits in a unit, it is more advantageous when several clock recovery circuits are required in one unit.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안정된 클럭 재생을 위해 클럭 재생에 필요한 모든 회로를 디지털화함으로써 시스템의 에러를 감소시키고 어떤 환경에서도 시스템이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error of the system by digitizing all the circuits required for clock reproduction for stable clock reproduction and to enable the system to operate in any environment stable.

Claims (9)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한 양 극성 신호로부터 클럭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clock from a bipolar signal received by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각 극성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와,First and second digital filters for removing noise of each polarity signal; 상기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수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아게이트와,An orifice for outputting received data by ORing the outputs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filters; 상기 수신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폭을 갖는 펄스를 기준신호로서 생성하는 펄스생성부와,A pulse generator for generating a puls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from the received data as a reference signal; 상기 기준신호로부터 각 극성에 대한 위상 오차를 검출하는 위상검출부와,A phase detector for detecting a phase error of each polarity from the reference signal; 상기 각 극성에 대한 위상 오차를 소정의 클럭으로 카운트하고 그 값이 일정 임계치에 이르면 증가 혹은 감소요구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오차 계산부와,A phase error calculator for counting the phase error of each polarity with a predetermined clock and generating an increase or decrease request signal when the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상기 증가 혹은 감소요구신호의 발생 상태에 따라 소정 분주하여 재생 클럭을 출력하는 재생클럭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regeneration clock output unit for divid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generated by a 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by a predetermined division according to a state of generating the increase or decrease request signal and outputting a regeneration c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데이터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ed data, G.703 64Kbps 양극성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G.703 Device characterized by a 64 Kbps bipolar signal.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16.384MHz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Wherein the signal generated by the 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is 16.384 MHz.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수신 데이터는 256Kbps의 직렬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received data is 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ial signal of 256Kbp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재생 클럭이 상기 위상검출부로 피드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the reproduction clock is fed back to the phase detec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생성부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ulse generation unit, 상기 수신 데이터를 소정 지연시키는 지연부와,A delay unit for delaying the received data a predetermined delay; 상기 지연부의 출력으로부터 상승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검출부와,An edge detector for detecting a rising edge from an output of the delay unit; 상기 상승 에지의 검출에 따르는 폭을 가지는 소정의 펄스를 출력하는 펄스출력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pulse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pulse having a width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rising ed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클럭출력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generation clock output unit,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상기 증가요구신호, 정상상태, 상기 감소요구신호의 발생에 각각 대응하여 제1, 제2, 제3분주하는 발진부와,An oscillator for divid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generated by a 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in response to generation of the increase request signal, the steady state, and the decrease request signal, respectively; 상기 발진부의 출력을 소정 분주하여 재생 클럭을 출력하는 분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divider for dividing an output of the oscillator and outputting a reproduction clock. 제1항 혹은 제7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폭은 상기 재생 클럭의 주기보다 짧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8.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pulse width is shorter than a period of the reproduction clock. 디지털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한 양 극성 신호로부터 클럭을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clock from a bipolar signal received by a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각 극성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와,First and second digital filters for removing noise of each polarity signal; 상기 제1 및 제2디지털 필터의 출력을 논리합하여 수신 데이터를 출력하는 오아게이트와,An orifice for outputting received data by ORing the outputs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filters; 상기 수신 데이터를 소정 지연시키는 지연부와,A delay unit for delaying the received data a predetermined delay; 상기 지연부의 출력으로부터 상승 에지를 검출하는 에지검출부와,An edge detector for detecting a rising edge from an output of the delay unit; 소정의 펄스를 생성하며, 상기 펄스의 폭은 상기 상승 에지의 검출에 따르는 펄스 발생부와,Generating a predetermined pulse, the width of the pulse being a pulse generator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rising edge; 상기 기준신호로부터 각 극성에 대한 위상 오차를 검출하는 위상검출부와,A phase detector for detecting a phase error of each polarity from the reference signal; 상기 각 극성에 대한 위상 오차를 소정의 클럭으로 카운트하고 그 값이 일정 임계치에 이르면 증가 혹은 감소요구신호를 발생하는 위상오차 계산부와,A phase error calculator for counting the phase error of each polarity with a predetermined clock and generating an increase or decrease request signal when the value reaches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온도 보상 수정 발진기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상기 증가요구신호, 정상상태, 상기 감소요구신호의 발생에 각각 대응하여 제1, 제2, 제3분주하는 발진부와,An oscillator for dividing a signal having a predetermined frequency generated by a temperature compensated crystal oscillator in response to generation of the increase request signal, the steady state, and the decrease request signal, respectively; 상기 발진부의 출력을 소정 분주하여 재생 클럭을 출력하는 분주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And a divider for dividing an output of the oscillator and outputting a reproduction clock.
KR1019970018901A 1997-05-16 1997-05-16 Apparatus for regenerating clock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KR1002516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901A KR100251640B1 (en) 1997-05-16 1997-05-16 Apparatus for regenerating clock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901A KR100251640B1 (en) 1997-05-16 1997-05-16 Apparatus for regenerating clock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554A true KR19980083554A (en) 1998-12-05
KR100251640B1 KR100251640B1 (en) 2000-04-15

Family

ID=19506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901A KR100251640B1 (en) 1997-05-16 1997-05-16 Apparatus for regenerating clock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64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322B1 (en) * 2002-09-18 2005-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lock recovery Apparatus for burst mode signal and method of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322B1 (en) * 2002-09-18 2005-0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lock recovery Apparatus for burst mode signal and method of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1640B1 (en)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7679A (en) Digital phase lock loop circuit
US4857866A (en) Phase-locked loop having elongated time for charge and discharge
US60087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noisy, intermittent data, such as manchester encoded data or the like
US7466772B2 (en) Decoding coded data streams
US5828678A (en) Digital audio resolving apparatus and method
US3908115A (en) Adaptively tuned data receiver
US52978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 digital data clock in a receiver with a digital data clock in a transmitter
US9425781B2 (en) Syncless unit interval variation tolerant PWM receiver circuit, system and method
JPH04142812A (en) Phase locked loop circuit
US5666388A (en) Clock recovery circuit with matched oscillators
US5889423A (en) Generating circuit including selection between plural phase regulators
US5404362A (en) Very low jitter clock recovery from serial audio data
US6608875B1 (en) Free-running-frequency adjustment circuit for a clock recovery system
KR100251640B1 (en) Apparatus for regenerating clock i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EP1006660B1 (en) Clock reproduction and identification apparatus
US6891402B2 (en) Clock's out-of-synchronism state detection circuit and optical receiving device using the same
US5612938A (en) Correcting recorded marks and land lengths taken from an optical disk
US20010028693A1 (en) Method and circuit for glithch-free changing of clocks having different phases
KR100629519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lock to receive data packet in intermitent and method therefor
KR0176139B1 (en) Bit synchronization circuit
KR0179216B1 (en) Phase lock loop control circuit
JPH0461421A (en) Pll circuit
KR900002636B1 (en) A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ransmission clock signal
JPH08331189A (en) Clock phase synchronization circuit
JPH07307727A (en) Method and circuit for sampling data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