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3307A - 폴리프로필렌계 고속 포장용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계 고속 포장용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3307A
KR19980083307A KR1019970018557A KR19970018557A KR19980083307A KR 19980083307 A KR19980083307 A KR 19980083307A KR 1019970018557 A KR1019970018557 A KR 1019970018557A KR 19970018557 A KR19970018557 A KR 19970018557A KR 19980083307 A KR19980083307 A KR 19980083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nent
random copolymer
resin composition
olefin rand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3905B1 (ko
Inventor
유제우
윤찬석
Original Assignee
하태준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태준,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태준
Priority to KR101997001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905B1/ko
Publication of KR1998008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3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905B1/ko

Link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이축 연신필름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 조성물은
(A) 프로필렌의 에틸렌 또는 1-부텐과의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체 53∼92중량부;
(B) 석유수지 3∼15중량부 ;
(C)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 0.1∼2.0중량부 ; 및
(D)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또는 1-부텐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5∼30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이축 연신필름(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은 슬립성, 내블로킹성이 우수하고 저온 열봉합이 가능하며, 열봉합 온도가 낮은 고속 포장용 필름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계 고속 포장용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이축 연신필름(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 BOPP)에 슬립성, 내블로킹성을 부여하고 저온 열봉합이 가능하여 열봉합 온도가 낮은 고속 포장용 필름 제조를 위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BOPP필름은 기계적 물성, 투명성, 포장특성이 우수하여 식품포장, 섬유포장, 라미네트용, 공업용 등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장기간 보관하거나 사용 온도가 40℃ 이상이 되면 필름의 슬립(slip)성이 나빠지고 80℃ 이상이 되면 블로킹(粘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인쇄, 라미네이터, 자동 포장 등 이차가공 공정의 고속화로 인하여 종래의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이축 연신필름으로는 슬립문제, 블로킹문제, 정전기문제 등이 발생되어 고속 포장기계에의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BOPP필름의 취약한 슬립성, 내블로킹성등과 관련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졌고, 또 그 동안 상당한 효과를 거두어 왔는데,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유럽 특허 EP-A-27568호, EP-A-189242호, EP-A-242055호, DE-A-224703호 및 일본특허 소 45-29056호에는 코아층과 양쪽 스킨층의 3층으로 이루어진 BOPP필름에서, 코아층은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고 양쪽 스킨층은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 수지를 사용하고 여기에 무기 안티블로킹제와 유기슬립제를 사용하여 적당한 슬립성 및 안티 블로킹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무기 안티블로킹제의 사용은 필름의 블로킹성은 개선시키지만 투명성, 내스크래치성, 광택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슬립제의 사용은 필름의 사용 온도에 따라 슬립성이 달라지는 문제 및 저온에서의 인쇄 잉크의 접착 불량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한편, 미국특허 4,659,612호, 4,692,379호 및 4,618,527호에는 저온 열봉합성을 위해서 에틸렌-프로필렌 렌덤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1-부텐 삼원공중합체를 한쪽 스킨층 또는 양쪽 스킨층에 사용하고 무기 안티블로킹제와 지방산 아마이드 또는 실리콘 오일을 슬립제로 사용하여 블로킹성 및 슬립성을 개선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 방법에 있어서는 필름의 블로킹성은 개선되지만 필름의 기계적 물성 및 투명성, 강성, 코로나지수가 떨어지고, 실리콘 오일의 취급이 쉽지 않으며, 표면에 이행된 슬립제가 반대면에 전사되어 인쇄잉크의 접착 불균일의 원인이 되고, 높은 열봉합 온도 및 낮은 열봉합 강도로 인하여 고속포장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이축 연신 필름(BOPP)의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유지하면서 이차 가공온도에서 낮은 슬립성을 유지하여 고속 포장기계에 적합하고, 저온 열봉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스킨용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프로필렌 공중합체에, 석유수지,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 및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프로필렌계α-올레핀 공중합체 수지 또는 1-부텐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A) 프로필렌의 에틸렌 또는 1-부텐과의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체 53∼92중량부;
(B) 석유수지 3∼15중량부 ;
(C)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 0.1∼2.0중량부 ; 및
(D)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또는 1-부텐계 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5∼30중량부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열봉합성 및 슬립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이축 연신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그리고 장점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란에 의해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코아층과 양쪽 스킨층의 3층으로 이루어진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이축 연신필름(BOPP)에서 BOPP필름이 갖는 우수한 기계적 물성, 투명성, 포장특성등을 유지하면서 이차 가공온도에서 낮은 슬립성을 유지하여 고속포장기계에 적합하고, 낮은 열봉합 온도 및 우수한 열봉합 강도를 갖는 BOPP필름을 제공하기 위해 프로필렌의 에틸렌 또는 1-부텐과의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체, 석유수지,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 및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또는 1-부텐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을 BOPP필름의 한쪽 스킨 층 또는 양쪽 스킨층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발견한 본 발명자의 발견에 기초를 두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A) 성분은 프로필렌의 에틸렌 또는 1-부텐과의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체로서, 바람직하게는 하기 조건 ①∼④를 만족하는 것이다.
① 용융지수 : 4∼10g/10분(230℃)
② 에틸렌 또는 1-부텐 단독 혹은 에틸렌과 1-부텐과의 합이 4∼15몰%
③ 용융온도가 140℃ 이하
④ 밀도가 0.89∼0.92g/㎤
상기 (A)성분으로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열봉합 온도를 낮추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에틸렌 또는 1-부텐과의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체를 사용한다.
또한, 성분 (A)의 열봉합 강도, 필름의 투명성 및 강성를 개선하기 위해 (B)성분인 석유수지의 첨가가 필요한데, 성분 (B)의 구체적인 예로는 지환족계 수첨수지인 디사이크로펜티디엔(DCPD계), 지방족계 석유수지인 C5계, 방향족계수지인 C9계, 지방족/방향족계 수지인 C5/C9계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하기 조건 ①∼②를 만족하는 것이다.
① 수첨율이 90% 이상
② 연화점이 120℃ 이상
이때, (B)성분의 사용량이 3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열봉합 강도, 필름의 투명성, 강성의 개선이 미미하고, 15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필름의 열봉합 강도, 투명성 및 강성은 양호하지만 필름의 수축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3∼1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슬립성을 개선하기 위해 (C)성분인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의 첨가가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탄소수 1∼4개의 알킬기를 갖으며, 점도가 약 40,000 CST정도이고 평균 분자량이 약 60,000정도인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며, 구체적으로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알킬폴리실록산, 알킬페닐폴리실록산 등을 열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성분의 사용량은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슬립성 개선의 효과가 없으며 2.0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슬립성은 상당히 좋아지지만 필름의 투명성, 권취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0.1∼2.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C)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열봉합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D)성분인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또는 1-부텐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로서, 바람직하게는 ①∼③을 만족하는 것이다.
① α-올레핀의 탄소수가 2∼20
② 용융지수가 0.1∼30g/10분(230℃)
③ 밀도가 0.900g/㎤ 이하
상기 (D) 성분의 함량은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열봉합 온도가 높고, 30중량부 이상인 경우에는 필름이 끈적끈적해지고, 필름의 투명성, 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5∼30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필름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한쪽 스킨층 또는 양쪽 스킨층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한쪽 스킨층으로 사용되는 경우 코아층은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정전기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스테아릭에탄올아민, 스테아릴디에탄올 아민 모노스테아레이트등의 대전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반대스킨층에는 필름의 용도에 따라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프로필렌-에틸렌 렌덤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고, 실리카, 실리케이트, 탈크 등의 무기 안테블로킹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은 통상적인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데, 이는 수지 조성물을 각각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3층 다이를 통해 압출된 용융 폴리머를 20∼40℃의 조건으로 냉각 고화시켜 시트(SHEET)를 얻은 후, 시트를 120∼150℃로 가열하여 기계방향으로 4∼7배 연신하고 계속해서 140∼160℃로 유지되는 텐터에서 횡 방향으로 7∼12배 연신한 후, 코로나 방전처리로 필름 표면을 화학 변성시켜 접착력을 개선시킴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필름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적의하게 선정될 수 있으나, 통상 10∼60㎛이고, 본 발명에서는 30㎛필름으로 스킨층의 두께는 1.5∼2㎛가 되도록 하여 슬립성이 우수한 고속 포장용 필름으로 열접착 온도 및 강도가 우수한 필름을 얻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시키고자 한다.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채택된 각종 물성의 평가방법은 다음의 시험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1. 용융지수 : ASTM D-1238에 의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2. 투명성: ASTM D-1003에 의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평가방법 :1.0% 이하 : 매우양호(◎)
1.1∼2.5% : 양호(○)
2.6% 이상 : 불량(×)
3. 열봉합 온도 및 강도 :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스킨층으로 하는 다층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온도가 23±1℃, 습도 50±5%의 항온 항습실에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열봉합 온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두 개의 필름 시편을 압력 2㎏/㎠, 시간 1초에서 온도가 경사진, 즉 110℃, 115℃, 120℃, 125℃, 130℃로 설정된 5개의 금속바로 표면을 접착시킨 후 인장 시험기로 인장실험을 실시하여 최대강도가 걸리는 온도를 열봉합 온도라하고, 그때의 강도를 열봉합 강도로 측정하였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250g이상의 열봉합 강도가 측정되는 온도를 측정하였다.
평가방법 :115℃ 이하 : 매우양호(◎)
116∼125℃ : 양호(○)
126℃ 이상 : 불량(×)
4. 슬립성 : ASTM D 1894-78에 의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평가방법 :0.3 이하 : 매우양호(◎)
0.4∼0.5 : 양호(○)
0.6 이상 : 불량(×)
5. 수축율 : 필름을 8㎝×8㎝의 크기로 시편을 만든 후 140℃ 오븐에서 15분간 가열한 후, MD(Machine Direction)와 TD(Transverse Direction)의 길이변화를 측정하였다.
평가방법 : MD 수축: 4% 이하, TD 수축: 2% 이하 → 매우 양호(◎)
MD 수축: 4.1∼6%, TD 수축: 2.1∼3% → 양호(○)
MD 수축: 6.1% 이상, TD 수축: 3.1% 이상 → 불량(×)
6. 강성 : ASTM D-2923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평가방법 : MD 강성: 0.35g 이상, TD 강성: 0.5g 이상 → 매우 양호(◎)
MD 강성: 0.3∼0.34g, TD 강성: 0.4∼0.5g → 양호(○)
MD 강성: 0.3g 미만, TD 강성: 0.4g 미만 → 불량(×)
7. 블로킹성 : 성형된 필름을 20㎝×20㎝의 크기로 20장을 겹쳐 놓은 후, 40℃의 오븐에서 5㎏ 무게의 추를 올려놓고 48시간 동안 방치하여 전단 박리시 걸리는 힘을 측정하였다.
평가방법 : 1㎏f 미만 : 매우 양호(◎)
1∼2㎏f : 양호(○)
2㎏f 이상 : 불량(×)
[실시예 1]
열봉합이 가능한 필름의 한쪽 스킨층으로는 용융지수가 5g/10분, 녹는점이 130℃, 에틸렌 함량이 3몰%, 1-부텐 함량이 5몰%인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A) 84.5중량부에, 수첨율이 92%이고 연화점이 125℃인 코오롱사의 C9계 석유수지인 하이페트롤 레진(B) 5중량부, 점도가 40,000 CST이고, 평균 분자량이 60,000인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인 디메틸폴리실론산(C) 0.5중량부, 에틸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수지(D) 10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코아층으로는 정전기 발생억제를 위해 스테아릭에탄올아민으로 구성된 대전방지제를 0.3중량부 처방하고, 아이소택틱 인덱스가 97%, 용융지수가 2g/10분인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를, 반대 스킨층으로는 무기 안티블로킹제를 0.2중량부 처방하고, 아이소택틱 인덱스가 97%, 용융지수가 3g/10분인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다층 이축 연신필름을 제조하고 숙성공정을 거친 후, 필름의 물성을 상기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열봉합이 가능한 필름의 양쪽 스킨층으로는 용융지수가 5g/10분, 녹는점이 130℃, 에틸렌 함량이 3몰%, 1-부텐 함량이 5몰%인 프로필렌-에틸렌-1-부텐 삼원 공중합체(A) 84.5중량부에, 수첨율이 92%이고 연화점이 125℃인 코오롱사의 C9계 석유수지인 하이페트롤 레진(B) 5중량부, 점도가 40,000 CST이고, 평균 분자량이 60,000인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인 디메틸폴리실론산(C) 0.5중량부, 에틸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수지(D) 10중량부로 이루어진 조성물에 별도로 무기 안티블로킹제 0.2중량부를 처방한 수지 조성물을, 코아층으로는 정전기 발생억제를 위해 스테아릭에탄올아민으로 구성된 대전방지제를 0.3중량부 처방하고, 아이소택틱 인덱스가 97%, 용융지수가 2g/10분인 호모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사용하여 다층 이축 연신필름을 제조하고 숙성공정을 거친 후, 필름의 물성을 상기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86.5중량부와 (B)성분을 3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79.5중량부와 (B)성분으로서 엑숀사의 디사이크로펜타디엔(DCPD)계 석유수지 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74.5중량부와 (B)성분으로서 삼정석유화학공업사의 C5계 석유수지인 털펜수지 1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89.8중량부, (C)성분 0.2중량부 및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계α-올레핀 렌덤공중합체 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84.8중량부, (C)성분 0.2중량부 및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1-부텐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74.8중량부, (C)성분 0.2중량부 및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1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74.8중량부, (C)성분 0.2중량부 및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2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0∼12]
실시예 1에 있어서,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10중량부를 사용하고, (A) 및 (C)성분의 함량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4]
실시예 1에 있어서, (A), (B), (C) 및 (D)성분을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실시예 1에 있어서, (B)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A)성분 89.7중량부, (C)성분 0.3중량부 및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공중합체 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74.5중량부, (B)성분 20중량부, (C)성분 0.5중량부 및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공중합체 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59.5중량부, (B)성분 5중량부, (C)성분 0.5중량부 및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공중합체 3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8]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89.7중량부, (B)성분 10중량부 및 (C)성분 0.3중량부를 사용하고, (D)성분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84.6중량부, (B)성분 5중량부, (C)성분으로 에루카마이드(erucamide)0.4중량부 및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공중합체 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0]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77.5중량부, (B)성분 5중량부, (C)성분 2.5중량부 및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공중합체 1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1]
실시예 1에 있어서, (A)성분 79.95중량부, (B)성분 5중량부, (C)성분 0.05중량부 및 (D)성분으로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공중합체 1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고, 그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표1]
구분 A B C D 슬립성 투명성 수축율 강성 열봉합 온도 블로킹
중 량 부 % % g kgf
실시예 1 84.5 5 0.5 10
실시예 2 84.5 5 0.5 10
실시예 3 86.5 3 0.5 10
실시예 4 79.5 10 0.5 10
실시예 5 74.5 15 0.5 10
실시예 6 89.8 5 0.2 5
실시예 7 84.8 5 0.2 10
실시예 8 79.8 5 0.2 15
실시예 9 74.8 5 0.2 20
실시예10 84.0 5 1.0 10
실시예11 83.5 5 1.5 10
실시예12 83 5 2.0 10
비교예 1 100 0 0 0 × × × ×
비교예 2 95 5 0 0 × × × ×
비교예 3 99.5 0 0.5 0 × ×
비교예 4 90 0 0 10 × × × ×
비교예 5 89.7 0 0.3 10 × × × ×
비교예 6 74.5 20 0.5 5 × × × × ×
비교예 7 59.5 5 0.5 35 × × × × ×
비교예 8 89.7 10 0.3 0 ×
비교예 9 84.6 5 0.4 10 × ×
비교예10 77.5 5 2.5 15 × ×
비교예11 79.95 5 0.05 15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다층 이축 연신필름(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에 슬립성, 내블로킹성을 부여하고 저온 열봉합이 가능하여 열봉합 온도가 낮은 고속 포장용 필름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7)

  1. 다층 이축 연신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A) 프로필렌의 에틸렌 또는 1-부텐과의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체 53∼92중량부 ;
    (B) 석유수지 3∼15중량부 ;
    (C)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 0.1∼2.0중량부 ; 및
    (D)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의 에틸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또는 1-부텐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5∼30중량부
    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이축 연신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은 에틸렌 또는 1-부텐 단독 혹은 에틸렌과 1-부텐의 성분합이 4∼15몰%이고, 용융지수가 4∼10g/10분이며, 용융온도가 140℃ 이고, 밀도가 0.89∼0.92g/㎤인 프로필렌의 에틸렌 또는 1-부텐과의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성분은 수첨율이 90% 이상이고, 연화점이 125±5℃인 석유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석유수지는 지환족계 수첨수지인 디사이크로펜타디엔(DCPD)계, 지방족계 수지인 C5계, 방향족계 수지인 C9계 또는 지방족/방향족계 수지인 C5/C9계 임을 특징으로하는 폴리프로필린계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성분은 탄소 1∼4개의 알킬기를 갖으며, 점도가 약 40,000CST이고, 평균 분자량이 약 60,000인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린계 수지 조성물.
  6.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초고분자 실리콘 수지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메틸알킬폴리실록산 또는 알킬페닐폴리실록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성분은 α-올레핀의 탄소수가 2∼20이고, 용융지수가 0.1∼30g/10분이며, 밀도가 0.900g/㎤ 이하인 무정형 또는 저결정성 에틸렌계 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프로필렌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 1-부텐계α-올레핀 렌덤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19970018557A 1997-05-13 1997-05-13 폴리프로필렌계 고속 포장용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수지 조성물 KR10019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557A KR100193905B1 (ko) 1997-05-13 1997-05-13 폴리프로필렌계 고속 포장용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8557A KR100193905B1 (ko) 1997-05-13 1997-05-13 폴리프로필렌계 고속 포장용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3307A true KR19980083307A (ko) 1998-12-05
KR100193905B1 KR100193905B1 (ko) 1999-06-15

Family

ID=6599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557A KR100193905B1 (ko) 1997-05-13 1997-05-13 폴리프로필렌계 고속 포장용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90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301A (ko) * 2001-03-22 2002-10-04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및 연신 필름
KR100418603B1 (ko) * 2001-10-09 2004-02-11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한포장용 필름
KR102093566B1 (ko) * 2018-11-14 2020-03-25 한화토탈 주식회사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5301A (ko) * 2001-03-22 2002-10-04 스미또모 가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연신 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및 연신 필름
KR100418603B1 (ko) * 2001-10-09 2004-02-11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성형한포장용 필름
KR102093566B1 (ko) * 2018-11-14 2020-03-25 한화토탈 주식회사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열수축성 블로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3905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507B2 (en) Silicone-free multilayer shrink film for high speed packaging lines
US8617717B2 (en) Heat sealable films from propylene and α-olefin units
US7323252B2 (en) Biaxially oriented multilayer polypropylene film
AU2017273732B2 (en) Shrink film
KR20000075694A (ko) Hdpe 외피층을 보유한 일축 수축성이고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EP3749721A1 (en) Polyethylene film compositions, laminat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20020032295A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structure having improved mechanical and barrier properties
BG64958B1 (bg) Термозаваряемо биаксилно ориентирано полипропиленово фолио с подобрени бариерни свойства
AU780213B2 (en) Multi-layer oriented polypropylene films with modified core layer
US8815377B2 (en) Multi-layer opaque films, articles including such films, and uses thereof
CN115362199B (zh) 聚烯烃系树脂薄膜
KR20040014366A (ko) 열수축성 폴리올레핀계 필름
WO2021025039A1 (ja) 包装用積層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
KR100193905B1 (ko) 폴리프로필렌계 고속 포장용 다층 이축 연신 필름의 수지 조성물
CN115362198B (zh) 聚烯烃系树脂薄膜和使用其的层叠体
US20220259390A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based resin film and package using same
WO2013119316A1 (en) Metalized polypropylene films with improved adhesion
JP7484908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4853431B2 (ja) 多層フィルム
KR100783554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20240032740A (ko) 2축 배향 적층 폴리프로필렌 필름
WO2024176054A1 (en) Pp-containing-post-consumer-reclaimed shrink films
CN116710281A (zh) 层叠体和使用其的包装体
KR20240101935A (ko) 포장 재료용 수지 적층체
KR20240101936A (ko) 포장 재료용 수지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