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2625A -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 방법 - Google Patents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2625A
KR19980082625A KR1019970017634A KR19970017634A KR19980082625A KR 19980082625 A KR19980082625 A KR 19980082625A KR 1019970017634 A KR1019970017634 A KR 1019970017634A KR 19970017634 A KR19970017634 A KR 19970017634A KR 19980082625 A KR19980082625 A KR 19980082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ding
length
sleeve
circumference
incr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7659B1 (ko
Inventor
장승옥
Original Assignee
이진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이진주
Priority to KR101997001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659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 A41H3/007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patterns using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의복패턴을 3차원적으로 그레이딩을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드롭(Drop)차에 의한 체형분류로 체형별 사이즈와 증감량을 설정하여, 그레이딩(Grading) 증감값 계산법 설정 및 그레이딩 방법을 분류하고 사용목적에 따라 그레이딩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가능케 하므로서 그레이딩의 사용범위를 확대하고, 불특정다수인에게 착용되는 기성복의 피트(fit)성 증진 및 기성복 착용자들의 미적인 면과 동작의 기능성을 최대화하므로서, 각 업체에서의 사이즈 부적합성에 의한 재고율 및 수선율을 최소화시킨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 방법.

Description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 방법
본 발명은 인간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의복의 패턴을 3차원적으로 그레이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복패턴에 있어서는 기본이 되는 패턴을 맞춤용 종이위에 밀착시킨 후 작업자가 직접 수공에 의하여 옷의 크기에 따라 늘여줄 부위의 칫수를 눈금자로 일정하게 맞추어 주면서 자를 대고 모형선을 그려주고, 그려놓은 모형에 따라 재단하여 맞춤용 원형 등에 옷의 크기에 맞추어 옷본을 그려 의복을 만들도록 되어있다. 이와 같이 의복패턴을 재단사가 만들때에는 많은 시간의 낭비가 따르며 패턴의 형태가 일정하게 등급된 규격별로 칫수를 맞추지 못하므로 의복을 만들게 되어도 옷의 균형이 잡히지 않게되고 재단사의 숙련정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이 좌우되어 기성복을 구입하려는 사람들에게 흡족함을 줄 수 없었던 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내특허공고 제 78-188호(1978. 05. 13)로 여자용 상의의 재단에 있어서 진동선과 허리옆선을 기준으로 하여 기계적으로 체형을 측정하여 의상의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 재단용 몸통 측정기가 개발된 바 있고,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 87-2279호(1987. 06. 30)로 각종의류의 형태에 따른 옷본을 옷의 크기에 맞추어 등급별로 재단하도록 옷본을 알맞은 비례로 형성할 수 있는 그레이딩 기계를 작업대위에 설치하여 옷본을 만들 종이위에 기본 옷본을 집게면에 고정시켜 전후좌우로 눈금의 칫수만큼 유동판을 이동시키면서 종이 위에 옷본을 등급별로 그려줄 수 있도록 한 기술이 개발된 바 있으며, 국내실용신안공고 제 93-4496호(1993. 07. 21)로 주문에 의하여 양복을 제조하는 업자들이 이용하기 간편하도록 치수별, 체형별로 제작된 다수의 앙복견본과 양복견본의 재봉선으로 분리되는 재단된 원단의 구성각편을 아크릴판으로 제작한 도안원판으로 구성하여 양복견본으로 맞춤자의 체형을 측정하고, 그에 대응되는 도안원판으로 양복원단을 재단ㆍ제작하므로가봉없이 양복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맞춤양복 제작셋트가 제안된 바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고 소 45-28425호(1970. 09. 17)로 인체의 곡면상(曲面上)을 년령별, 직업별, 성별, 지방별에 따라 각개인마다 계측하여 통계조사한 결론에 의하여 개인차를 합리적으로 통합하여 현대인에게 적합한 대표적이고도 보편적인 십수종의 체형을 제작하고 이 구도중에서 작도하는 신사나 부인의 의복상반신부의 원형에 대한 기술이 제안된 바 있고,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6-25904호(1994. 02. 01)로 사이즈의 국제규격에 따라 의복의 모든 타입 및 부분사이즈의 등급별 제도를 위하여 적당한 칫수 및 재질의 장방형의 2개 측면과 눈금 및 등급에 비례한 자와 그외의 보조적 디자인을 가지며 기본의 패턴상에 등급별 정위치를 표시하는 복수의 긴구멍을 갖는 패턴의 등급별 제도용 템플레이트(template)를 사용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6-158409호(1994. 06. 07)로 원형인 형지의 데이터를 사이즈별로 기억하는 원형기억수단과 원형기억수단에 기억된 원형중 보다 소망적인 원형을 선택하는 선택수단과 선택된 원형의 데이터에 소망의 변형을 실시하는 패턴메이킹 수단과, 패턴메이킹수단에 의하여 작성된 형지의 데이터로 선택된 원형의 종류와 패턴메이킹 수단에 의해 선택된 원형과 사이즈가 다른 원형에 기억된 패턴메이킹수단을 실행함에 따라 형지기억수단에 기억된 형지와 사이즈가 다른 형지를 작성하는 형지 작성수단을 갖추므로서 그레이딩에 관한 특별한 지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복수의 사이즈형지 작성기능을 위한 전용데이터를 작성할 필요가 없는 형지작성 장치가 제안된 바 있고, 아울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7-166405호(1995. 06. 27)로 의복의 일부를 이루는 패턴의 형상을 나타내는 형상 데이터에 기인하여 그 패턴의 형상을 편집이나 확인하기 위하여 패턴배치수단, 사이드연산수단, 편집영역 표시가능범위 설정수단 등에 의하여 설정된 표시가능범위에 위치하는 패턴의 형상을 형상데이터에 기인하여 표시할 수 있는 표시수단을 갖춘 어패럴 캐드(CAD)시스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요즈음의 체형구분방법과 일치하지 못하므로 각업체에서 생산되는 기성복들은 사이즈의 부적합성에 의한 재고율 및 수선율이 많게 되었으며, 또한 적합성도 맞춤복보다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체형기본방법은 일반적으로 ISO(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rganization : 국제표준화기구)의 기술보고서(technical report)와 한국의류치수규격(K 0051-1994)에서 제시되는 드롭(Drop : 엉덩이둘레에서 가슴둘레를 뺀 칫수)값을 이용하기는 하나 아직까지 소비자의 집단별 특성에 따른 통계자료에 준할 수 있는 체형에 대한 사이즈 및 증감량이 설정된 한국형 그레이딩 방법의 개발과 그레이딩방법의 분류에 의한 그레이딩 기술개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인체의 체형과 형태의 특징을 수량화하여 기본 원형의 기본 실루엣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의복의 피트성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게 드롭차이에 의해 분류된 체형과 그레이딩 방법에 의한 3차원적 그레이딩 기술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는 표준체형 보디스(Bodice)원형의 그레이딩 결과도.
도 2은 어깨다트(dart)의 토르소(torso)원형에 있어서, 기본원형의 백(back) 그레이딩 결과도.
도 3는 어깨다트의 토르소(torso)원형에 있어서, 기본원형의 프론트(front) 그레이딩 결과도.
도 4는 어깨다트의 그레이딩 결과도.
도 5은 소매 그레이딩 방법 중 소매산 높이 및 폭 변화량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소매의 높이변화 결과도.
도 7은 소매폭의 변화 결과도.
도 8은 한장소매의 그레이딩 결과도.
도 9는 두장소매의 그레이딩 결과도.
도 10은 X축이 앞소매붙임점을 지나는 두장소매의 그레이딩 결과도.
도 11은 라글란슬리브(Raglan Sleeve)에 있어서 몸판의 백(back) 그레이딩 결과도.
도 12은 라글란슬리브에 있어서 몸판의 프론트(front) 그레이딩 결과도.
도 13은 라글란슬리브에 있어서 소매의 백(back) 그레이딩 결과도.
도 14은 라글란슬리브에 있어서 소매의 프론트(front) 그레이딩 결과도.
도 15는 스커트에 있어서 백(back) 그레이딩 결과도.
도 16는 스커트에 있어서 프론트(front) 그레이딩 결과도.
도 17은 바지에 있어서 백(back) 그레이딩 결과도.
도 18은 바지에 있어서 프론트(front) 그레이딩 결과도.
도 19는 쟈켓의 그레이딩 결과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체계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드롭차에 의한 체형분류로 체형별 사이즈와 증감량 설정 및 그레이딩 증감계산식을 설정하고, 3가지의 그레이딩 방법(신장은 일정하고 둘레항목만을 그레이딩, 둘레항목은 일정하고 신장만을 그레이딩, 신장과 둘레항목 모두를 그레이딩)분류를 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그레이딩 방법을 조합하므로써 체형에 적합한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엉덩이둘레에서 가슴둘레를 뺀 치수를 드롭값으로 하여 체형을 3가지로 분류하고 그 체형별 사이즈와 증감값을 설정한다. 하기 표 1은 1992년 국민체위조사의 20대 여성 인체계측데이타를 이용한 체형분류별 평균 드롭값 및 드롭값의 범위, 분포율이다.
[표 1]
(단위:㎝)
체 형 평균드롭값 드롭값의 범위 분포율(%) 인원수
엉덩이둘레가 작은 체형 0 -3 ≤ drop 〈 3 12.7 55
표 준 체 형 6 3 ≤ drop 〈 9 63.9 276
엉덩이둘레가 큰 체형 11 9 ≤ drop 〈12 23.4 101
아담(Adam) S/W에서 측정되지 않은 계측항목은 표 2와 같이 그레이딩 계산식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데, 이러한 그레이딩 계산식은 패턴제작시의 기본공식을 사용할 수 있게하여 그레이딩 증감값의 계산을 용이하게 하고, 다트(Dart: 의복구성에서 평면인 천을 입체로 하기 위하여 삼각형으로 잡는 것)의 증감량과 체표면적의 변화율을 수량화시킨 3차원적 그레이딩 증감량과 방향을 설정하며, 기본패턴 제작시 치수의 변형에 따라 패턴이 변화하는 점을 그레이딩점으로 설정하여, 디자인에 적합한 기준점과 기준선을 융통성있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각 그레이딩 점의 증감값은 컴퓨터 그레이딩에 적용될 수 있도록 XY좌표값으로 나타낸다.
[표 2]
항 목 증 감 값 계 산 방 법
등 길 이 체형별 치수증감량표의 변화량
앞 길 이 참고치수(Adam S/W에서 측정되지 않은 항목으로 기존의치수를 참고하였음)
목 둘 레 체형별 치수증감량표의 변화량 또는 1/2(목둘레)×1/3
어깨길이 치수표의 변화량 또는 (뒷품)-(목둘레)
앞 품 1/2(B)×50%
뒷 품 1/2(B)×30%
겨드랑이폭 1/2(B)×20%
소매길이 체형별 치수증감량표의 변화량
안소매길이 체형별 치수증감량표의 변화량
유두간격 체형별 치수증감량표의 변화량
가슴둘레 체형별 치수증감량표의 변화량
엉덩이둘레 체형별 치수증감량표의 변화량
대퇴둘레 체형별 치수증감량표의 변화량
무릎둘레 체형별 치수증감량표의 변화량
힙 길 이 참고치수
밑 길 이 둔부길이+1/20(H)
등 높 이 1/6(B)
바지길이 4.5/7.5×(신장)한국여성을 7.5등신으로하였을 때의 바지길이의 비율로유행에 따라 변화
스커트길이 2.5/7.5×(신장)한국여성을 7.5등신으로하였을 때의 스커트길이의비율로 스타일과 유행에 따라 변화
본 발명에서, 그레이딩 방법은 다음과 같이 3가지로 분류하는 데, 그레이딩 방법분류에 의한 그레이딩의 증감값은 사스 패키지(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Package : 범용 통계분석 시스템)를 이용하여 회귀식으로 계산한 후, 신장과 가슴둘레를 각각 5㎝, 3㎝ 간격으로 각 인체항목의 평균차를 구하고, 회귀식으로 구한 증감값을 검토 확인한 후 체형별로 증감값을 단일화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그레이딩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므로서 그레이딩의 사용 범위가 확대된다.
첫 번째로, 신장은 일정하고 둘레항목만을 그레이딩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의 응용범위는 신장이 일정하고 둘레항목이 변화되는 치수체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기준이 되는 둘레항목인 가슴둘레에 따른 다른 인체항목과의 상관을 사스 패키지를 이용하여 회귀식을 구하여 그레이딩 항목의 증감값을 계산한 후 그레이딩에 적용한다.
두번째로는, 둘레항목은 일정하고 신장만을 그레이딩하는 방법으로, 가슴둘레가 일정하고 신장만이 변화하는 치수체계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준이 되는 신장과 각 부위의 인체항목과의 상관을 사스 패키지를 이용하여 회귀식을 구하여 그레이딩 항목의 증감값을 계산한 후 그레이딩에 적용한다.
마지막으로는, 신장과 둘레항목을 모두 그레이딩 하는 방법으로, 신장과 둘레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각 항목간의 상관을 사스 패키지를 이용하여 회귀식을 구하여 그레이딩 항목의 증감값을 계산한 후 그레이딩에 적용하는 것이다.
하기 표 3은 그레이딩 방법분류에 의한 체형별 평균사이즈 및 치수증감량표이다.
[표 3]
(신장의 편차: 5㎝, 가슴둘레의 편차: 3㎝)
수정된평균치수 둘레항목만그레이딩 신장만그레이딩 둘레항목과신장의그레이딩
신 장 160.0 160.0 160.0 - - - 5.0 5.0 5.0 5.0 5.0 5.0
가슴둘레 88.0 82.0 82.0 3.0 3.0 3.0 - - - 3.0 3.0 3.0
엉덩이둘레 90.0 90.0 92.0 3.0 2.7 3.0 - - - 3.0 2.7 3.0
등 길 이 39.5 39.5 39.5 - - - 0.7 0.8 0.7 0.7 0.8 0.7
둔부길이 28.5 28.5 29.0 - - 0.7 0.7 0.7 0.3 0.7 0.7 1.0
어깨길이 14.0 14.0 14.0 - - - 0.15 0.25 0.3 0.15 0.25 0.3
소배길이 56.0 56.0 56.5 - - - 1.6 1.5 1.4 1.6 1.5 1.4
안소매길이 47.0 47.0 48.0 -0.1 -0.2 -0.3 1.0 1.2 1.4 0.9 1.0 1.1
밑 위 앞뒤길이 69.0 68.0 69.0 1.6 1.0 1.8 2.4 1.5 0.7 4.0 2.5 2.5
유듀간격 17.5 17.0 16.5 0.6 0.5 0.3 0.3 0.1 - 0.9 0.6 0.3
목 둘 레 39.5 39.0 39.0 0.9 0.6 0.6 0.6 0.6 0.3 1.5 1.2 0.9
윗팔둘레 28.0 27.0 26.0 1.0 1.0 0.8 - - - 1.0 1.0 0.8
진동둘레 36.0 35.5 35.5 1.0 1.0 0.9 - - - 1.0 1.0 0.9
윗가슴둘레 85.0 81.0 81.0 2.5 2.5 2.2 - - - 2.5 2.5 2.2
밑가슴둘레 75.5 73.0 72.0 2.3 2.3 2.3 - - - 2.3 2.3 2.3
허리둘레 68.5 65.5 64.5 3.0 3.0 2.5 - - - 3.0 3.0 2.5
배 둘 레 83.0 81.0 79.5 4.0 3.0 3.0 - - - 4.0 3.0 3.0
넓적다리둘 레 52.0 52.0 53.0 1.3 1.8 2.0 - - - 1.3 1.8 2.0
무릎둘레 34.5 35.0 35.0 0.6 0.9 1.2 - - - 0.6 0.9 1.2
Ⅰ : 엉덩이둘레가 작은 체형, Ⅱ: 표준체형, Ⅲ : 엉덩이둘레가 작은체형
상기한 체형별 체표면의 크기 변화율을 고려하여 사이즈에 따라 앞몸판 다트, 하의에서의 허리다트 및 사이드 다트의 크기가 변화되며, 앞뒤중심길이의 차이를 그레이딩에 반영하여 뒷판 어깨선의 발란스를 높이고 피트성을 높여 몸에 알맞는 의복에 적합한 3차원적 그레이딩을 하는 데, 본 발명에서는 앞뒤 몸판 완성패턴과 스커트 원형 패턴, 바지원형 패턴으로 나눈다.
앞뒤 원형패턴의 3차원적 그레이딩 방법은 유방의 크기에 의해 앞길이와 등길이의 차이가 나는 데, 유방이 클수록 차이가 크고 유방이 작을 수록 차이가 적으므로, 앞다트 분량은 등길이와 앞길이의 차이를 반영하여 다트량을 설정한다. 반신체형과 굴신체형에서 뒷판 어깨 옷깃 끝부분(shoulder neck point)은 앞길이와 등길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발란스를 맞춘다. 앞품의 증가량은 ½(B)×50%으로하고, 뒷품의 증가량은 ½(B)×30%, 겨드랑이 폭의 증가량은 ½(B)×20%로 설정하여 사이즈에 적합한 인체의 체표율을 반영하며, 여기에서 (B)는 가슴둘레의 증감량을 말한다.
스커트와 바지의 3차원적 그레이딩 방법은 사이즈가 클수록 뒷다트의 양이 길고 커지며 앞다트의 양은 작아지게 되므로, 다트의 크기는 엉덩이둘레와 허리둘레의 차이에 의하여 결정하며,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차이는 아래와 같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 데, 허리둘레 증감값과 엉덩이둘레 증감값 차이의 배분은 인체의 체형을 고려하여 ¼(W)-(H)를 100%로 하였을 때, 앞판다트에 20%, 뒷판다트에 30%, 옆선에 50%로 각각 배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허리둘레의 증감량과 엉덩이둘레의 증감량치수 차이가 같을 때는 엉덩이둘레와 허리둘레의 증감이 일치하는 데, 이때의 허리둘레 증감량과 엉덩이둘레 증감량의 차이는 0이다.
또한, 허리둘레의 증감량이 엉덩이둘레 증감량보다 큰 경우로 엉덩이둘레보다 허리둘레의 증감량이 크게 될 때는, 허리둘레 증감량이 엉덩이둘레 증감량보다 커서 차이가 +가 되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허리둘레 증감량이 엉덩이둘레 증감량보다 작아 차이가 ­가 되어, 허리선에서의 다트량이 커지게 되며 옆선의 다트량도 커지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기본몸판원형은 표준체형, 굴신체형, 반신체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기본몸판원형을 그레이딩할 때 기준선 X축은 앞판에서의 앞소매 붙임점을 지나는 선, 뒷판에서의 뒷소매 붙임점을 지나는선으로 하고, Y축은 가슴둘레선으로 한다. 스타일에 따라 X축을 앞ㆍ뒤 몸판 중심선으로도 할 수 있다. 이 때, 체형별로 통계치 앞품과 뒷품을 구하여 적용하는 데, 앞품의 증가량은 ½(B)×50%로, 뒷품의 증가량은 ½(B)×30%, 겨드랑이폭의 증가량은 ½(B)×20%로 설정하며, 뒷 어깨선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 때 앞 어깨선은 가슴둘레가 클수록 어깨가 각지게 된다. 등길이는 3체형 모두 둘레항목의 증감과는 상관없이 단지 신장의 증감량에 따라 증감값을 설정한다. 앞진동(Armhole: 앞몸판과 뒷몸판의 상부에 소매를 달기 위하여 도려낸 부분: 이하 AH라 약칭함)선은 윗가슴과 어깨근육을 반영토록 증감값은 진동둘레의 연장선상에 증감되며, 뒷 AH선은 뒷품과 활동량을 감안하여 앞과는 달리 곡선형태보다 스므스하게 증감이 되도록 어깨선에 수평선상으로 증감되어 곡선을 설정한다. 반신체형과 굴신체형에서 앞, 뒷판 어깨선에서 목점과 어깨점은 앞길이와 등길이의 차이를 ½반영하여 어깨선의 발란스를 맞춘다. 앞길이와 등길이의 차이는 유방이 클수록 차이가 크고 유방이 작을 수록 차이가 적으므로 앞다트 분량은 등길이와 앞길이의 차이를 반영하여 다트량을 설정한다.
하기 표 4는 표준체형 보디스원형의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이며, 표 5는 굴신체형 보디스원형의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 표 6은 반신체형 보디스(Bodice: 몸판)원형의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이다.
[표 4]
GP 증감값 계산식(표준체형)
기준선 X축 : 앞 뒷소매 붙임점을 지나는 선Y축 : 가슴둘레선
(1) X = (등길이) - (등높이), Y = (뒷품)
(2) X = (등길이) - (등높이), Y = ½(겨드랑이폭)
(3) X = 0,Y = ½(겨드랑이폭)
(4) X = ¼(등높이),Y = 0
(5) X = (등높이),Y = 0
(6) 표준체형에서는 그레이딩하지 않음
(7) X = (등높이),Y = (어깨길이) 또는 (뒷품)-(목둘레)
(8) X = (등높이),Y = (뒷품)
(9) X = 0,Y = (뒷품)
(10) X = (등길이)-(등높이)±½((앞길이)-(등길이)),Y = ½(겨드랑이폭)
GP 증감값 계산식(표준체형)
(11) X = (등길이)-(등높이)±½((앞길이)-(등길이)),Y = (앞품)
(12) X = 0,Y = (앞품)
(13)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목둘레),Y = (앞품)
(14)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Y = (앞품)-(목둘레)
(15) X = (등높이),Y = ½((앞품)-(뒷품))
(16) X = 0,Y = 0
(17) X = 0,Y = ½(겨드랑이폭)
(18) X = 0,Y = ½(겨드랑이폭)
(19) X = 0,Y = ½(유두간격)
(20) X = ((앞길이)-(등길이)),Y = ½(겨드랑이폭)
※ (10), (11)에서 +는 큰 사이즈로 그레이딩시
[표 5]
GP 증감값 계산식(굴신체형)
(1) X = (등길이) - (등높이), Y = (뒷품)
(2) X = (등길이) - (등높이)
(3) X = 0,Y = ½(겨드랑이폭)
(4) X = ¼(등높이),Y = 0
(5) X = (등높이)+½((뒷품)-(앞품))
(6) X = 다트폭을 ½((뒷품)-(앞품))만큼 늘린다
(7) X = (등높이)+½((뒷품)-(앞품)),Y = (어깨길이) 또는 (뒷품)-½(목둘레)
(8) X = (등높이),Y = (뒷품)
(9) X = 0,Y = (뒷품)
(10) X = (등길이)-(등높이)±½((앞길이)-(등길이)),Y = ½(겨드랑이폭)
GP 증감값 계산식(굴신체형)
(11) X = (등길이)-(등높이)±½((앞길이)-(등길이)),Y = (앞품)
(12) X = 0,Y = (앞품)
(13)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목둘레),Y = (앞품)
(14)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Y = (앞품)-(목둘레)
(15) X = (등높이)-½((뒷품)-(앞품))
(16) X = 0,Y = 0
(17) X = 0,Y = ½(겨드랑이폭)
(18) X = 0,Y = ½(겨드랑이폭)
(19) X = 0,Y = ½(유두간격)
(20) X = ((앞길이)-(등길이)),Y = ½(겨드랑이폭)
※ (10), (11)에서 +는 큰 사이즈로 그레이딩시
[표 6]
GP 증감값 계산식(반신체형)
기준선 X축 : 앞 뒷소매 붙임점을 지나는 선,Y축 : 가슴둘레선
(1) X = (등길이) - (등높이), Y = (뒷품)
(2) X = (등길이) - (등높이), Y = ½(겨드랑이폭)
(3) X = 0,Y = ½(겨드랑이폭)
(4) X = ¼(등높이),Y = 0
(5) X = (등높이)-½((뒷품)-(앞품)),Y = 0
(6) X = 다트폭을 ½((뒷품)-(앞품))만큼 줄인다
(7) X = (등높이)-½((뒷품)-(앞품))
(8) X = (등높이),Y = (뒷품)
(9) X = 0,Y = (뒷품)
(10) X = (등길이)-(등높이)±½((앞길이)-(등길이))Y = ½(겨드랑이폭)
GP 증감값 계산식(반신체형)
(11) X = (등길이)-(등높이)±½((앞길이)-(등길이))Y = (앞품)
(12) X = 0,Y = (앞품)
(13)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목둘레),Y = (앞품)
(14)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Y = (앞품)-(목둘레)
(15) X = (등높이)+½((뒷품)-(앞품))
(16) X = 0,Y = 0
(17) X = 0,Y = ½(겨드랑이폭)
(18) X = 0,Y = ½(겨드랑이폭)
(19) X = 0,Y = ½(유두간격)
(20) X = ((앞길이)-(등길이)),Y = ½(겨드랑이폭)
※ (10), (11)에서 +는 큰 사이즈로 그레이딩시
도 4는 어깨다트 그레이딩으로 어깨다트 토르소(Torso: 몸통)원형의 기본원형 뒷판과 앞판의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은 표 7, 8에 나타내어진다.
[표 7]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뒷소매 붙임점을 지나는 선,Y축 : 가슴둘레선
(1) X = (옷길이) - (등높이), Y = (뒷품)
(2) X = (옷길이) - (등높이), Y = ½(겨드랑이폭)
(3) X = (등길이) - (등높이), Y = ½(겨드랑이폭)단, 등길이가 등높이보다 작을 경우는 반대방향
(4) X = 0,Y = ½(겨드랑이폭)
(5) X = ¼(등높이),Y = 0
(6) X = (등높이),Y = 0
GP 증감값 계산식
(7) X = (등높이),Y = (뒷품)-(목둘레) 또는 (어깨길이)
(8) X = (등높이),Y = (뒷품)
(9) X = 0,Y = (뒷품)
(10) X = (등길이)-(등높이),Y = (뒷품)단, 등길이가 등높이보다 작을 경우는 반대방향
[표 8]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앞소매 붙임점, Y축 : 가슴둘레선
(11) X = (옷길이) - (등높이), Y = ½(겨드랑이품)
(12) X = (옷길이) - (등높이), Y = (앞품)
(13) X = (등길이) - (등높이), Y = (앞품)단, 등길이가 등높이보다 작을경우는 반대방향
(14) X = 0,Y = (앞품)
(15)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목둘레),Y = (앞품)
(16)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Y = (앞품)-(목둘레)
(17)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Y = ½(유두간격)
(18) X = 0,Y = ½(유두간격)① (17)'에서 (18)'를 중심으로 호를 긋는다② 점(20)에서 진동둘레 연장선으로 (등높이)만큼 연장한 점을 ⓐ로 표시한다③ ⓐ를 중심으로 (어깨길이)만큼을 반지름으로하여 원을 그려④ 원래의 어깨길이에서 (16)'∼(17)'의 길이를 뺀 길이가 (17)'에서 그은 호와 만나도록하여 (19)'와 (20)'를 설정한다
(19) X, Y = 좌표값을 자로 잰다
(20) X, Y = 좌표값을 자로 잰다
(21) X = 0,Y = 0
(22) X = 0,Y = ½(겨드랑이폭)
(23) X = 0,Y = ½(겨드랑이폭)
소매그레이딩에는 한장소매와 두장소매 그레이딩 방법이 있는 데, 먼저, 한 장소매의 그레이딩 방법에서 기준선은 의복의 스타일에 따라 기준선 X축이 앞소매붙임점을 지나는 선이고, Y축은 소매산(山)선인 것과 기준선 X축은 소매중심점을 지나는 선이고, Y축은 소매산인 것으로 나눌수 있으며, 소매산의 높이 변화량은 (몸판의 소매진동 높이 변화량)×9/10으로, 소매의 폭변화량은 (몸판의 겨드랑이폭 변화량)×2로 한다.
소매의 진동둘레(도 5참조)는 (가+나+다+라)×6∼8%로 여유분을 유지하도록 그레이딩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에서 6∼8%의 비율은 소매의 형태와 원단의 물성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고, AH의 편차가 큰 경우는 패턴을 이용한 그레이딩방법(1:1 대응법)으로 한다. 패턴을 이용하여 그레이딩 할 경우에는 소매그레이딩의 정확한 계산을 위하여 소매의 높이변화(소매산의 변화, 도 6참조)는 ½×(②+①)×9/10으로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소매폭의 변화를 보면, 우선 ½겨드랑이 폭 만큼 늘리는 데, 이 때, 앞소매 붙임점은 기준점으로 변치 않는다. 수직방향으로 소매산만큼 올린 후, 이 점을 (마)로 표시하고, 앞소매 붙임점을 표시하는 데, 이 점이 소매중심점(3)의 그레이딩후의 점이 된다. 수직방향으로 ½등높이만큼 올린 점(바)에서 수평선을 긋고, (3)'에서 몸판의 (다)길이만큼 재어서 수평이 되게 하여 만나는 점을 (4)'가 되게 하며, (4)'의 수평방향으로 그레이딩된 량에 ½겨드랑이 폭을 더한 길이가 (5)'가 된다. 표 9는 패턴에 의한 한장소매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이다.
[표 9]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앞소매 붙임점을 지나는 선,Y축 : 소매산선
(1) X = (소매길이) - (소매산높이), Y = (7)
(2) X = (소매길이) - (소매산높이), Y = ½(겨드랑이폭)
(3) X = 0,Y = ½(겨드랑이폭)
(4) X = 0,Y = 0
(5) X = (소매산높이),Y = 자로잰다
(6) X = ¼(등높이),Y = 자로잰다
(7) X = 0,Y = (6) + ½(겨드랑이폭)
도 8은 한장소매 그레이딩 결과이며, 표 10과 11은 계산에 의한 한장소매 그레이딩 방법으로 표 10은 앞소매붙임점을 기준점으로 한 한장소매 증감값 계산식이고, 표 11은 X축이 소매중심선을 지나는 한장소매 증감값 계산식이다.
[표 10]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앞소매 붙임점,Y축 : 소매산선
(1) X = (소매길이) - (소매산높이), Y = (7)
(2) X = (소매길이) - (소매산높이), Y = ½(겨드랑이폭)
(3) X = 0,Y = ½(겨드랑이폭)
(4) X = 0,Y = 0
(5) X = (소매산높이),Y = 자로잰다
(6) X = ¼(등높이),Y = 자로잰다
(7) X = 0,Y = 1 + ½(겨드랑이폭)
[표 11]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소매중심점을 지나는 선,Y축 : 소매산선
(1) X = (소매길이) - (소매산높이),Y = ½(겨드랑이폭) 또는 (손목둘레)
(2) X = (소매길이) - (소매산높이),Y = ½(겨드랑이폭) 또는 (손목둘레)
(3) X = 0,Y = ½(겨드랑이폭)
(4) X = 0,Y = ½(겨드랑이폭)
(5) X = 9/10(등높이),Y = 0
(6) X = ¼(등높이),Y = ½(겨드랑이폭)
(7) X = 0,Y = (겨드랑이폭)
두장소매의 그레이딩 방법(도 5참조)에서 윗소매 소매산의 변화는 (①+②)/2 또는 (몸판의 소매진동 높이 변화량)×9/10이며, 윗소매 앞쪽 소매폭의 변화는 ②′×(1.06∼1.08), 윗소매 뒤쪽 소매폭은 ①×(1.06∼1.08)이고, 아랫소매 폭의 변화는 (③+④)×(1.06∼1.08)이며, 아랫소매 높이의 변화는 0이다.
도 9는 AH의 편차가 클 경우에 1:1대응시키는 방법으로 그레이딩 하는 것으로, 윗소매의 그레이딩점 (4), (7)의 위치가 기본 사이즈에서의 패턴제작시 어느점에 위치하는가를 잘 보아 소매산선에서의 넓이비율에 따라 증감량을 설정해 그레이딩하여야하며, 표 12는 그에 따른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이다.
[표 12]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소매중심점을 지나는 선,Y축 : 소매산선
(1) X = (소매길이) - 9/10(등높이), Y = ½(7)
(2) X = (소매길이) - 9/10(등높이), Y = ½(4)
(3) X = ½(2),Y = (4)와 (2)의 연결점
(4) X = 0,Y = (½+½×⅓)(겨드랑이폭)
(5) X = 0,Y = ½(겨드랑이폭)
(6) X = 9/10(등높이),Y = 0
(7) X = ½×9/10(등높이),Y = ½(겨드랑이폭)
(8) X = (소매길이) - 9/10(등높이),Y = ½(13)
(9) X = (소매길이) - 9/10(등높이),Y = ½(11)
(10) X = ½(9),Y = (9)와 (11)의 연결점
(11) X = 0,Y = ⅔×½(겨드랑이폭)
(12) X = 0,Y = 0
(13) X = ½×9/10(등높이),Y = ½(겨드랑이폭)
도 10은 두장소매의 그레이딩시 윗소매의 X축 기준선을 앞소매붙임점으로 설정하여 그레이딩 증감량을 가급적 한쪽으로 고정시켜 원래 디자인된 소매곡선의 변형을 가급적 방지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그레이딩 방법이며, 표 13은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이다.
[표 13]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앞소매 붙임점을 지나는 선,Y축 : 소매산선
(1) X = (소매길이) - 9/10(등높이), Y = ½(7)
(2) X = (소매길이) - 9/10(등높이), Y = 0
(3) X = ½(2),Y = 0
(4) X = 0,Y = 0
(5) X = 0,Y = 0
(6) X = 9/10(등높이),Y = ½(겨드랑이폭)
(7) X = ½×9/10(등높이),Y = (겨드랑이폭)
(8) X = (소매길이) - 9/10(등높이)
(9) X = (소매길이) - 9/10(등높이),Y = 0
(10) X = ½(9),Y = 0
(11) X = 0,Y = 0
(12) X = 0,Y = ½(겨드랑이폭)
(13) X = ½×9/10(등높이),Y = (겨드랑이폭)
라글란슬리브(Raglan sleeve: 소매산 중앙의 박음땀을 생략하여 2장소매단을 1장소매로 한 소매)의 그레이딩은 라글란슬리브 몸판 뒷부분과 라글란슬리브 몸판 앞부분, 라글란슬리브 소매 뒷부분, 라글란슬리브 소매 앞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 라글란슬리브 그레이딩시 길이맞춤을 요하는 곳으로는 뒷판의 라글란시접과 뒷소매의 라글란선, 앞판의 라글란시접과 앞소매의 라글란선, 어깨너비와 어깨높이 등으로 증감량이 같도록 증감값을 설정하여야 하며, 라글란슬리브 몸판 그레이딩시는 소매에 붙는 몸판을 동시에 그레이딩 하여야 한다.
표 14는 라글란슬리브 몸판 뒷부분의 증감값 계산식이며, 표 15는 라글란슬리브 몸판 앞부분의 증감값 계산식, 표 16은 라글란슬리브 소매 뒷부분의 증감값 계산식, 표 17은 라글란슬리브 소매 앞부분의 증감값 계산식이다.
[표 14]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뒷소매붙임점을 지나는 선,Y축 : 가슴둘레선
(1) X = (옷길이) - (등높이), Y = ½(뒷품)
(2) X = (옷길이) - (등높이), Y = ½(겨드랑이폭)
(3) X = (등길이) - (등높이), Y = ½(겨드랑이폭)
(4) X = 0,Y = ½(겨드랑이폭)
(5) X = 0,Y = 0
(6) X = (등높이),Y = 0
(7) X = (등높이),Y = ½(뒷품) - (목둘레)
(8) X = (등높이),Y = ½(뒷품) - (목들레)
(9) X = (등높이),Y = ½(뒷품)
(10) X = 0,Y = ½(뒷품)
(11) X = (등길이) - (등높이),Y = ½(뒷품)
[표 15]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앞소매붙임점을 지나는 선,Y축 : 가슴둘레선
(12) X = (옷길이) - (등높이), Y = ½(겨드랑이폭)
(13) X = (옷길이) - (등높이), Y = (앞품)
(14) X = (등길이) - (등높이), Y = (앞품)
(15)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목둘레), Y = ½(앞품)
(16)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Y = (앞품)-(목둘레)
GP 증감값 계산식
(17)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Y = (앞품)-(목둘레)
(18) X = (등높이),Y = ½((앞품)-(뒷품))
(19) X = 0,Y = 0
(20) X = 0,Y = ½(겨드랑이폭)
(21) X = (등길이) - (등높이),Y = ½(겨드랑이폭)
[표 16]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뒷소매붙임점을 지나는 선,Y축 : 소매산선
(5) X = 0,Y = 0
(6) 소매에 뒷판 (6)∼(5)를 고정시키고 XY좌표값을 자로 잰다
(7) 소매에 뒷판 (6)∼(5)를 고정시키고 XY좌표값을 자로 잰다
(8) 소매에 뒷판 (6)∼(5)를 고정시키고 XY좌표값을 자로 잰다
(22) X = (안소매길이),Y = ¼(겨드랑이폭)
(23) X = (안소매길이),Y = ¼(겨드랑이폭)
(24) X = 0,Y = ½(겨드랑이폭)
[표 17]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앞소매붙임점,Y축 : 소매산선
(25) X = (안소매길이),Y = ¼(겨드랑이폭)
(26) X = (안소매길이),Y = ¼(겨드랑이폭)
(27) X = 0,Y = ½(겨드랑이폭)
(16) 앞판의 (19), (18)을 소매에 고정시키고 XY좌표값을 잰다
(17) 앞판의 (19), (18)을 소매에 고정시키고 XY좌표값을 잰다
GP 증감값 계산식
(18) 앞판의 (19), (18)을 소매에 고정시키고 XY좌표값을 잰다
(19) X = 0,Y = 0
스커트와 바지의 그레이딩시는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의 차이를 기준으로 3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옆선의 다트량과 허리다트량을 결정하여 패턴제도법의 기본패턴원리에 부합되는 그레이딩 증감값을 설정하고, 허리둘레 증감값과 엉덩이둘레 증감값의 차이의 배분은 인체의 체형을 고려하여 ¼((W)-(H))를 100%로 하였을 때 앞판다트에 20%, 뒷판다트에 30%, 옆선에 50%로 각각 배분하며, 3차원적 그레이딩 방법으로 허리 앞, 뒤 변화량과 엉덩이둘레 변화량의 차이를 감안하여 다트를 그레이딩 한다.
또한, 엉덩이둘레가 100㎝ 이상일 경우에는 앞 뒤 허리둘레의 비율변화와 엉덩이둘레의 비율변화를 감안하여 그레이딩하는 데, 허리둘레의 증가비율은 앞이 55%, 뒤가 45%이며, 엉덩이둘레의 증가비율은 앞이 45%, 뒤를 55%가 되게 한다.
스커트의 그레이딩(도 15, 16)시에는 기준선 X축을 뒷중심선, 앞중심선으로 하고, Y축은 엉덩이둘레선으로 한다. 만일, 엉덩이 둘레가 100㎝보다 큰 체형일 경우에는 표 18의 스커트 뒷부분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 (3)에서 X=0, Y=105%×¼(H)로 하고, (4)에서는 X를 엉덩이길이로, Y는 105%×¼(H)±¼((W)­(H))×5/10으로하며, 표 19의 스커트 앞부분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 (19)에서는 X를 엉덩이길이로, Y는 105%×¼(H)±¼((W)­(H))×1/2로 하고, (20)에서는 X를 0, Y를 95%×¼(H)로 한다.
[표 18]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뒷중심선Y축 : 엉덩이둘레선
(1) X = (스커트길이) - (엉덩이길이),Y = 0
(2) X = (스커트길이) - (엉덩이길이), Y = ¼(H)
(3) X = 0,Y = ¼(H)
(4) X = (엉덩이길이),Y = ¼(H)±¼((W)-(H))×5/10+ : +차이일 때, - : -차이일 때
(5) X = (엉덩이길이),Y = ⅔(4)
(6) X = 0,Y = ⅔(4)
(7) X = (엉덩이길이),Y = ⅓(4)±¼((W)-(H))×3/10
(8) X = 0,Y = ⅓(4)
(9) X = (엉덩이길이),Y = ⅓(4)
(10) X = (엉덩이길이),Y = 0
(11) X = 0,Y = 0
[표 19]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앞중심선Y축 : 엉덩이둘레선
(12) X = (스커트길이) - (엉덩이길이),Y = ¼(H)
(13) X = (스커트길이) - (엉덩이길이), Y = 0
(14) X = 0,Y = 0
(15) X = (엉덩이길이),Y = 0
(16) X = (엉덩이길이),Y = ⅔(19)
(17) X = 0,Y = ⅔(19)
(18) X = (엉덩이길이),Y = ⅔(19)±¼((W)-(H))×1/5
(19) X = (엉덩이길이),Y = ¼(H)±¼((W)-(H))×½
(20) X = 0,Y = ¼(H)
바지의 그레이딩(도 17, 18)시 기준선은 X축이 앞, 뒤바지중심선, Y축을 밑길이선이 되게하며, 대퇴둘레의 그레이딩은 옆솔기박기(side seam)와 안다리 심에 대퇴둘레의 증감량에서 엉덩이둘레의 증감량을 제외한 양 이상의 증감량을 주지않고 엉덩이둘레로 조정한다. 밑길이선상에서의 증가량은 대퇴둘레 증가량을 만족시켜야 하며, 대퇴둘레는 13/10×½×(H)으로, 앞판대퇴둘레는 6/20(H), 뒷판대퇴둘레는 7/20(H)로 한다. 또한, 체형별로 허리너비×½를 앞중심선(주름선)의 기준선으로 한다.
만일, 엉덩이 둘레가 100㎝보다 큰 체형일 경우에는 표 20의 바지 뒷부분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 (18)에서의 X는 (밑길이)­(엉덩이길이)로 Y는 4/5×105%×¼(H), (19)에서 X는 밑길이, Y는 4/5×95%×¼(H)±¼((W)­(H))×5/10, (23)에서는 X를 밑길이, Y는 1/5×95%×¼(H), (24)에서는 X를 (밑길이)­(엉덩이길이), Y는 1/5×105%¼(H)로 하고, 표 21의 바지(front)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식중 (5)에서 X는 (밑길이)­(엉덩이길이)로, Y를 ⅔×95%×¼(H), (6)에서 X는 밑길이, Y는 ⅔×105%×¼(H)±¼((W)­(H))×5/10, (10)에서는 X를 밑길이, Y는 ⅓×10%×¼(H), (11)에서는 X를 밑길이, Y는 ⅓×95%¼(H)로 한다.
[표 20]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뒷중심선Y축 : 밑길이선
(14) X = (바지길이) - (밑길이),Y = ½(바지부리폭)
(15) X = (바지길이) - (밑길이), Y = ½(바지부리폭)
(16) X = ½(15), Y = (17)과 (15)를 연결 도는 ¼(무릎둘레)
(17) X = 0, Y = ½(뒤대퇴둘레) 또는 7/40(H)
(18) X = (밑길이) - (엉덩이길이),Y = 4/5×¼(H)
(19) X = (밑길이),Y = 4/5×¼(H)±¼((W)-(H))×5/10
(20) X = (밑길이),Y = ½(19)±¼((W)-(H))×3/10
(21) X = 0,Y = ½(19)
(22) X = (밑길이),Y = ½(19)
(23) X = (밑길이),Y = 1/5×¼(H)
(24) X = (밑길이) - (엉덩이길이),Y = 1/5×¼(H)
(25) X = 0,Y = ½(뒷대퇴둘레) 또는 7/40(H)
[표 21]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앞바지중심선Y축 : 밑길이선
(1) X = (바지길이) - (밑길이),Y = ½(바지부리폭)
(2) X = (바지길이) - (밑길이), Y = ½(바지부리폭)
(3) X = ½(2),Y = (4)와 (2)를 연결 도는 ¼(무릎둘레)
(4) X = 0,Y = ½(앞대퇴둘레) 또는 3/20(H)
(5) X = (밑길이) - (엉덩이길이),Y = ⅔×¼(H)
(6) X = (밑길이),Y = ⅔×¼(H)±¼((W)-(H))×5/10
GP 증감값 계산식
(7) X = (밑길이),Y = ½(6)±¼((W)-(H))×2/10
(8) X = 0,Y = ½(6)
(9) X = (밑길이),Y = ½(6)
(10) X = (밑길이),Y = ⅓×¼(H)
(11) X = (밑길이) - (엉덩이길이),Y = ⅓×¼(H)
(12) X = 0,Y = ½(앞대퇴둘레) 또는 3/20(H)
(13) X = ½(1),Y = (10)과 (1)의 연결 또는 ¼(무릎둘레)
또한, 스타일에 따른 그레이딩 응용중 칼라(Collar)와 라펠(Lapel: 옷깃)이 있는 쟈켓의 그레이딩시에 칼라의 증감값은 몸판 앞 뒤 목둘레의 증감값과 일치하여야 하며, 도 19는 쟈켓의 그레이딩이고, 쟈켓의 증감값 계산식은 표 22에 나타난다.
[표 22]
GP 증감값 계산식
기준선 X축 : 앞소매 중심선, Y축 : 가슴둘레선
(1) X = (옷길이) - (등높이), Y = ½(겨드랑이폭)
(2) X = (옷길이) - (등높이), Y = ½(유두간격)
(3) X = (등길이) - (등높이), Y = ½(유두간격)
(4) X = 0,Y = ½(유두간격)
(5) X = (등길이)-(등높이)±½((앞길이)-(등길이)), Y = (앞품)
(6) X = ½(7),Y = (앞품)
(7)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목둘레), Y = (앞품)
(8)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목둘레),Y = (앞품) - ½(목둘레)
GP 증감값 계산식
(9)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목둘레),Y = (앞품) - (목둘레)
(10) X = (앞길이)-((등길이)-(등높이)), Y = (앞품) - (목둘레)
(11) X = (등높이),Y = ½(앞품) - ½(뒷품)
(12) X = 0,Y = 0
(13) X = 0,Y = ½(겨드랑이폭)
(14) X = 0,Y = ½(겨드랑이폭)
(15) X = 0,Y = ½(유두간격)
(16) X = (앞길이) - (등길이),Y = ½(겨드랑이폭)
(17) X = (등길이)-(등높이)±½((앞길이)-(등길이)),Y = ½(겨드랑이폭)
(18) X, Y = 화살표방향으로 ½(목둘레)만큼 연장시켜서 XY좌표값을 자로잰다
(19) X = (18),Y = 0 또는 스타일에 따라 증감값을 준다
(20) X = 2X(목둘레),Y = 0 또는 (19)
(21) X = 2X(목둘레),Y = 0
(22) X = (목둘레),Y = 0
(23) X = 0,Y = 0
본 발명으로 인해, 무특정다수에게 착용되는 기성복의 피트성이 증진되고, 기성복 착용자에 있어서는 미적인 면과 동작의 기능성이 최대화되며, 각 업체에서는 사이즈의 부적합성에 의한 재고율 및 수선율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그레이딩 방법을 분류하여 체형별 그레이딩의 증감값을 단일화하므로서, 사용목적에 따라 그레이딩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레이딩의 사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어패럴 CAD시스템을 사용한 그레이딩의 생산성 향상과 병행하여 정확한 인풋(input) 데이타인 그레이딩 방법개발로 의류산업의 인적자원 및 상용 어패럴 CAD의 사용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한편, 의복 설계단계의 과학화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대한 의류산업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드롭차에 의한 체형분류로 체형별 사이즈와 증감량을 설정하고, 그레이딩 증감값 계산법 설정 및 신장은 일정하고 둘레항목만을 그레이딩하는 방법, 둘레항목은 일정하고 신장만을 그레이딩하는 방법, 신장과 둘레항목을 모두 그레이딩 하는 방법으로 분류하여 그 사용목적에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그레이딩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체형과 그레이딩 방법분류에 의한 3차원적 그레이딩 방법을 기본몸판원형, 소매, 라글란슬리브, 스커트, 바지로 나눈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기본몸판원형을 표준체형, 반신체형, 굴신체형으로 나누어 그레이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소매 그레이딩을 한장소매와 두장소매로 나누어 그레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한장소매 그레이딩시 AH의 편차가 큰 경우에 패턴을 이용한 그레이딩 방법(1:1대응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스커트와 바지 그레이딩시 엉덩이둘레가 100㎝이상일 경우 허리둘레의 증가비율은 앞이 55%, 뒤가 45%이며, 엉덩이둘레의 증가비율은 앞이 45%, 뒤가 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스커트와 바지 그레이딩시 허리둘레 증감값과 엉덩이둘레 증감값의 차이의 배분을 ¼((W)-(H))를 100%로 하였을 때, 앞판다트에 20%, 뒷판다트에 30%, 옆선에 50%를 각각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 방법
KR1019970017634A 1997-05-08 1997-05-08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방법 KR10024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634A KR100247659B1 (ko) 1997-05-08 1997-05-08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634A KR100247659B1 (ko) 1997-05-08 1997-05-08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625A true KR19980082625A (ko) 1998-12-05
KR100247659B1 KR100247659B1 (ko) 2000-04-01

Family

ID=19505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634A KR100247659B1 (ko) 1997-05-08 1997-05-08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6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782B1 (ko) * 2001-04-27 2004-04-03 주식회사 나자인 컴퓨터 상에서 실행가능한 스커트 패턴의 자동 설계 방법
KR100706649B1 (ko) * 2000-10-18 2007-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 디자인 시스템
KR100727630B1 (ko) * 2006-02-10 2007-06-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차원 스캔 인체 데이터를 이용한 잠수복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잠수복
KR100935175B1 (ko) * 2007-09-17 2010-01-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인체 치수를 결정하기 위한 인체 부위별 측정점 설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249B1 (ko) * 2001-06-14 2004-08-30 서동은 가슴둘레와 등길이 치수를 이용한 애완견 의류의 패턴설계방법
KR101182256B1 (ko) 2012-02-13 2012-09-28 전병원 굴신체형의 양복재단방법
KR101672299B1 (ko) 2016-02-22 2016-11-03 이정구 의복패턴의 자동맞춤 서비스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및 이를 이용해 제작되는 맞춤의복
KR101875272B1 (ko) 2016-06-24 2018-07-05 박정호 유니폼
KR102372939B1 (ko) * 2020-08-07 2022-03-08 김수정 의류용 모듈식 패턴 교구를 사용하는 디자인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649B1 (ko) * 2000-10-18 2007-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 디자인 시스템
KR100425782B1 (ko) * 2001-04-27 2004-04-03 주식회사 나자인 컴퓨터 상에서 실행가능한 스커트 패턴의 자동 설계 방법
KR100727630B1 (ko) * 2006-02-10 2007-06-1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차원 스캔 인체 데이터를 이용한 잠수복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잠수복
KR100935175B1 (ko) * 2007-09-17 2010-01-06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인체 치수를 결정하기 위한 인체 부위별 측정점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7659B1 (ko) 200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8549B2 (en) Patterning system for a selected body type and methods of measuring for a selected body type
CN100430949C (zh) 分部位组合式三维参数化数字人台构建方法
CN104346744A (zh) 改进衣服合身性的系统和方法
CN108634459B (zh) 一种基于3d人体测量数据的女上装衣身样板生成方法
KR100247659B1 (ko) 의복패턴의 체형분류별 3차원적 그레이딩(grading)방법
Lagė et al. Virtual try-on technologies in the clothing industry: basic block pattern modification
US4137634A (en) Universal custom fit garment pattern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Lim et al. Automatic pattern generation process for made-to-measure
Olaru et al. Innovative concept for personalized pattern design of safety equipment
Schofield Pattern grading
KR100727630B1 (ko) 3차원 스캔 인체 데이터를 이용한 잠수복 제조 방법 및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잠수복
Watanabe Body type classific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torso shape of Japanese men aged 20 to 70 Years for efficient clothing design
JP2003342818A (ja) 型紙パターンの自動作製方法及び型紙パターンの自動作製システム。
Ujević et al. Anthropometry and the comparison of garment size systems in some European countries
Cupar et al. CASP methodology applied in adapted garments for adults and teenagers with spine deformity
US6539636B1 (en) Garment pattern sizing template system
Ünal et al. Impacts of female body shapes on patternmaking
Morlock et al. Hohenstein Institute for Textilinnovation gGmbH, Boennigheim, Germany
CN111165981A (zh) 一种有普适性的服装精确制板方法
NL2022419B1 (en) Method for grading a semi-tailored line of women's clothing
RU2399355C2 (ru) Способ конструирования одежды
Zhang et al. Calculation of the body measurements after analyzing the historical pattern block
JPS63152402A (ja) 婦人用ドレスの製作方法
Zhang et al. Method of historical pattern analyzing
CN113536410B (zh) 一种3d立裁服装纸样智能模拟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