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723A - 박막 형성 중합체 기재 메이크업 조성물 및 입술용 제품 - Google Patents

박막 형성 중합체 기재 메이크업 조성물 및 입술용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723A
KR19980081723A KR1019980014781A KR19980014781A KR19980081723A KR 19980081723 A KR19980081723 A KR 19980081723A KR 1019980014781 A KR1019980014781 A KR 1019980014781A KR 19980014781 A KR19980014781 A KR 19980014781A KR 19980081723 A KR19980081723 A KR 1998008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thin film
polymer
lips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4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8913B1 (ko
Inventor
드라뽀뜨리발레리
귀에레쟝-루이아슈.
Original Assignee
로스뜨까뜨린느
로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스뜨까뜨린느, 로레알 filed Critical 로스뜨까뜨린느
Publication of KR1998008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40/26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40/267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7Polyureth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박막 형성 중합체 입자의 분산액을 포함하는 중합체 계의 충분량을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계는 상기 입술의 움직임을 따를 수 있고/거나 무이동인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또한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저장기(2), 및 상기 용기의 밀폐용 제거 부재를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메이크업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특히 액체이고, 이것은 예를 들어 펠트형의, 도포 부재(4), 및 선택적으로 유출 장치(6)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Description

박막 형성 중합체 기재 메이크업 조성물 및 입술용 제품
본 발명은 조성물, 특히 입술에 바를 수 있는 미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특히, 박막 형성 중합체의 입자의 분산액을 포함하고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시판되도록 포장된 이 조성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제품에 관한 것이다.
입술에 바르는 조성물(예컨대 종래 립스틱)은 스틱, 연한 페이스트 또는 주조 페이스트의 형태로 통상 제공되고, 지방 물질 예컨대 오일, 페이스트성 화합물 및/또는 왁스, 및 통상 충진제 및 안료로 구성된 입자상을 포함한다.
이들 조성물은, 그러나, 이동의 단점이 있다. 이것은 조성물이 접촉되는 지지물, 예를 들어 유리, 컵, 옷 또는 피부에 최소 부분이 묻을 수 있다. 묻을시에, 상기 조성물은 상기 지지물에 표시를 남긴다. 그러므로 이것은 입술에 조성물의 불량한 지속성을 초래하고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이의 바르기를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 조성물의 또다른 단점은 표면이동의 문제에 있다. 어떤 조성물이 입술 주변에서 소주름 및/또는 보통 주름 내부에 퍼지는 경향을 지니고, 소비자가 매우 분명히 피하고 싶어하는 불쾌한 효과를 발생한다는 것을 실제로 발견하였다.
소위 무이동(transfer-free) 메이크업 조성물을 상기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하고; 이것은 통상, 이의 구성 지방 물질 중에서, 휘발성 오일, 특히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또는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 조성물은 매우 윤기가 없는 메이크업을 초래한다.
수년동안, 다수의 화장품 제조인은 미용 조성물, 특히 무이동 립스틱 또는 파운데이션을 연구해왔다. 그래서, 반복 실리케이트 단위를 함유하는 액체 실리콘 수지 1 내지 70 중량%, 휘발성 실리콘 오일 10 내지 98 중량% 및 미분 충진제를 함유하는 무이동 립스틱 조성물을 나타나게 했다. 그러나, 실리콘 오일의 증발후 입술에서 수득된 박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불편함(건조감 및 인장감)의 단점을 갖는다.
휘발성 실리콘 및 탄소수 12 이상의 현수 에스테르화쇄를 포함하는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무이동 립스틱이 또한 공지된다. 립스틱 박막은, 특히, 바르는 동안의 불편함, 특히 너무 건조되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통상, 휘발성 오일과 임의의 실리콘 화합물의 배합은 만족스런 무이동 결과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의 바르기 및 휘발성 물질의 증발후 수득된 박막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윤기가 없다는 단점을 갖고, 그래서 광택이 없는 메이크업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조금 이동하거나 전혀 이동하지 않는 미용 조성물, 즉 바르기의 용이성, 편리함 및 메이크업 제거의 용이성과 같은 양호한 미용 특성을 또한 소지하는 무이동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있다.
더욱이, 소비자는 무이동이고 입술에 광택성 박막을 제공할 수 있는 입술에 바르는 조성물을 여전히 기대하고 있다.
추가로, 조금 이동하거나 이동하지 않고, 게다가, 광택성일 수 있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입술용 미용 메이크업 제품은 없다.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것은, 특히, 산업적으로 제조되고, 일상 유통 경로에서 시판되며 수주 또는 심지어 수개월동안 소비자에 의해 바를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매우 양호한 보유성을 지닌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성물, 이동하지 않고 접촉될 수 있는 지지물을 더럽히지 않는 조성물, 및 시간이 경과하면서 표면이동하지 않으며, 입술에 광택성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은, 적어도 박막 형성 중합체 입자의 분산액을 매질에 포함하는 중합체 계의 충분량을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이고, 상기 계는 상기 입술의 움직임을 따를 수 있는 박막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적어도 박막 형성 중합체 입자의 분산액을 포함하는 중합체 계를 포함하는 입술에 바르는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메이크업 조성물이고, 상기 계는 무이동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벼운 조직을 갖고 하루종일 바르고 있어도 균질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박막은 전혀 점착성이지 않고, 피부에 부드럽고, 연하며, 탄성이고 유연하다. 이것은 입술에 완벽하게 유착하고; 이것은 균열 및/또는 벗겨짐 없이 및 당김감의 발생없이 묻어있는 입술의 움직임을 따른다.
박막은 매우 양호한 보유성을 갖고; 이것은 이동하지 않으며, 표면이동하지 않고 더럽히지 않는다.
도 1 은 세로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메이크업 제품을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른, 입술용 메이크업 제품의 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그러므로 특히 립스틱 또는 립락커(lip lacquer)로서, 입술의 처리 분야에서 특히 유리한 바르기 및/또는 메이크업 바르기를 발견한다.
더욱이, 수득된 박막은 조성물의 성분의 특성에 따라 다소 정도로 매우 광택성, 윤기성 또는 매끄러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광범위의 광택성, 매끄러움 또는 윤기성 메이크업 제품을 종래 기술과 비교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발명의 구성내에서 바를 수 있는 박막 형성 중합체 중에서, 중축합물 형태 또는 자유 라디칼 형태의 합성 중합체, 자연발생 중합체, 및 이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그래서, 중축합물중에서,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우레아-폴리우레탄, 및 이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하기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 공중합체일 수 있다:
- 지방족 및/또는 지환족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기원의 하나 이상의 서열,
및/또는
- 하나 이상의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치환 또는 비치환 실리콘 서열, 예를 들어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폴리메틸페닐실록산,
및/또는
- 플루오르화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열.
본 발명에서 정의된 것과 같이 폴리우레탄을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폴리에스테르로부터, 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작용성 유기 화합물(예컨대 디히드로, 디아미노 또는 히드록시아미노)와의 반응에 의해 변형된 활성 수소원자를 포함하고, 추가로,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레이트기, 또는 술폰산 또는 술포네이트기, 또는 대신 중화가능한 3차 아민기 또는 4차 암모늄기를 포함하는 알키드로부터 또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폴리우레탄으로서, ZENECA 사에 의해 NEOREZ R-981 명, SANNCOR 사에 의해 SANCURE 875, SANCURE 2255, SANCURE 861 명으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중축합물중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지방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또한 언급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를 지방족 또는 방향족 이산과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올 또는 폴리올의 중축합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또한 수득할 수 있다. 방향족 이산으로서,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pimelic acid), 수베르산(suberic acid) 또는 세박산을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이산으로서, 테레프탈산 또는 이소프탈산, 또는 대신 프탈산 무수물과 같은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지방족 디올로서,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시클로헥산 디메탄올, 4,4'-(1-메틸프로필리덴)비스페놀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로서,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트리메틸올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아미드를 이산과 디아민 또는 아미노 알콜의 중축합에 의해 폴리에스테르와 유사한 방식으로 수득할 수 있다. 디아민으로서,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메타 또는 파라페닐렌디아민을 도포할 수 있다. 아미노 알콜로서, 모노에탄올아민을 사용할 수 있다.
중축합 도중에 사용될 수 있는 음이온성기를 운반하는 단량체로서, 예를 들어, 디메틸올프로피온산, 트리멜리트산(trimellitic acid) 또는 트리멜리트산 무수물과 같은 유도체, 3-술포펜탄디올산의 나트륨염, 5-술포-1,3-벤젠디카르복실산의 나트륨염을 언급할 수 있다.
지방쇄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를 중축합 도중에 지방쇄를 함유하는 디올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에폭시에스테르 수지를 지방산과 α,ω-디에폭시 말단을 함유하는 축합물의 중축합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자유 라디칼 중합체는 특히 에틸렌계 불포화를 함유하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해 수득된 중합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각 단량체는 단독중합(중축합에 대조)될 수 있다.
자유 라디칼 형태 중합체는 특히 비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특히 아크릴 중합체일 수 있다.
비닐 중합체는 하나 이상의 산성기를 지닌 에틸렌계 불포화의 단량체 및/또는 이들 산성 단량체의 에스테르 및/또는 이들 산성 단량체의 아미드의 중합으로부터 생긴다.
음이온성 자유 라디칼 중합체, 즉 산성기를 함유하는 단량체 하나 이상을 지닌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성기를 운반하는 단량체로서, α,β-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이타콘산을 도포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및 크로톤산을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이다.
산성 단량체의 에스테르를 유리하게는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테르(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칭함), 특히 알킬, 구체적으로 C1-C20, 바람직하게는 C1-C8,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아릴, 특히 C6-C10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알킬, 특히 C2-C6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한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히드록시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아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중에서, 벤질 아크릴레이트 및 페닐 아크릴레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라, 에스테르의 알킬기를 플루오르화 또는 퍼플루오르화할 수 있고, 즉 알킬기의 수소원자의 일부 또는 모두를 불소 원자에 의해 치환된다.
산성 단량체의 아미드로서, 예를 들어, 특히 C2-C12알킬의 형태로, (메트)아크릴아미드, 특히 N-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를 인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N-알킬 (메트)아크릴아미드 중에서, N-에틸 아크릴아미드, N-t-부틸 아크릴아미드 및 N-t-옥틸 아크릴아미드를 언급할 수 있다.
비닐 중합체는 비닐 에스테르 및 스티렌 단량체로부터 선택된 단량체의 단독중합 또는 공중합으로부터 또한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이들 단량체를 상기와 같이, 산성 단량체 및/또는 이의 에스테르 및/또는 이의 아미드로 중합할 수 있다.
비닐 에스테르의 예로서,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비닐 피발레이트, 비닐 벤조에이트 및 비닐 t-부틸벤조에이트를 언급할 수 있다.
스티렌 단량체로서, 스티렌 및 알파-메틸스티렌을 언급할 수 있다.
주어진 단량체의 목록은 제한되지 않고 아크릴 및 비닐 단량체의 범주(실리콘쇄에 의해 변형된 단량체를 포함)내에 속하는 당업자에 공지된 임의의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아크릴 중합체로서, ZENECA 사에 의해 NEOCRYL XK-90, NEOCRYL A-1070, NEOCRYL BT-62, NEOCRYL A-1079, NEOCRYL A-523, DOW CHEMICAL 사에 의해 DOW LATEX 432 명으로 시판되는 것을 언급할 수 있다.
임의로 변형된, 자연 발생 중합체를 쉘락(shellac) 수지, 산다락(sandarac) 검, 다마스(dammars), 엘레미스(elemis), 코팔스(copals), 셀룰로오스 유도체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자유 라디칼 단량체 내부 및/또는 부분적으로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및/또는 알키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기존 입자의 표면에서 자유 라디칼 중합으로부터 중합체를 발생할 수 있다. 이들 중합체는 통상 혼성 중합체로 칭한다.
적어도 박막 형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분산액을 이의 일반 지식에 기재된 당업자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산액의 건조 물질 함량은 5∼6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40 중량% 이다.
조성물은 박막 형성 중합체의 건조 물질 함량의 1∼60 중량%, 바람직하게는 5∼40 중량% 를 함유할 수 있다.
수용성 분산액에서의 중합체의 입자 크기는 10∼500 nm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150 nm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매질은 유리하게는 물 및 임의로 수용성 용매를 함유하는 수성 매질이다.
박막 형성 중합체가 상기 특성을 갖는 박막을 단독으로 얻을 수 없을 경우, 원하는 중합체계를 수득하기 위해 박막 형성 중합체의 특성을 변형시키는 역할을 하는 화합물을 첨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박막 형성 중합체에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갖는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박막 형성 보조제를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박막 형성 보조제는 특히 입술의 움직임을 잘 따르는 부드럽고 연한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런 박막 형성 보조제는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당업자에 공지된 모든 화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특히 가소제 및 융합조제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를 박막 형성 중합체의 입자의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후자를 특히 사용한다. 박막 형성 보조제는 사용된 매질에서 가용성 또는 불용성일 수 있고 임의로 분산액의 형태, 특히 수성 분산액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일상 가소제 또는 융합조제, 예컨대 하기를 언급할 수 있다:
- 글리콜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또는 대신 디에틸렌 글리콜 헥실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헥실 에테르;
- 글리세롤 에스테르;
- 프리필렌 글리콜의 유도체 및 특히 프로필렌 글리콜 페닐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및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 산 에스테르, 특히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예컨대 시트레이트,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카르보네이트, 타트레이트, 포스페이트, 세바케이트;
- 옥시에틸렌화 유도체 예컨대 옥시에틸렌화 오일, 특히 식물성 오일(예컨대 피마자유); 실리콘 오일,
- 25 ℃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 미만의 저유리 전이 온도의 수용성 중합체.
박막 형성 보조제의 양은 원하는 기계적 특성을 지니면서, 조성물에서 미용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특성을 보유하는 박막을 초래하는 중합체 계를 얻기 위해 이의 일반 지식에 기재된 당업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하나 이상의 하기 물리화학적 특성을 갖는 박막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중합체 계를 사용할 수 있다:
- 신장율 약 200 % 초과, 바람직하게는 300 % 초과 및 심지어 400 % 초과, 및/또는
- 경도 약 110 미만, 바람직하게는 70 미만,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55 미만(경도는 바람직하게는 1 초과, 및 특히 약 5 초과이다), 및/또는
- 영탄성율(Young's modulus) 약 200 MPa, 바람직하게는 약 100 MPa,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MPa 미만(영탄성율은 바람직하게는 1 MPa 초과이다), 및/또는
- 유리 전이 온도(Tg) 10 ℃ 이하, 및 심지어 0 ℃ 이상.
신장율, 경도 및 영탄성율의 측정 방법을 실시예 전에 기재한다.
조성물을 매질에서 가용성 특히 수용성인 하나 이상의 착색제 및/또는 입술 화장품 또는 메이크업 분야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안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안료는 백색 또는 착색, 무기 또는 유기, 매질에서 불용성이고, 조성물을 착색 및/또는 불투명하게 하는 입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안료는 조성물에서 최종 조성물의 0∼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백색 또는 착색, 무기 및/또는 유기, 일상 또는 나노미터(10-9) 크기일 수 있다. 무기 안료 및 나노안료(nanopigments) 중에서, 티타늄, 지르코늄 또는 세륨 옥시드, 뿐만 아니라 아연, 철 또는 크롬 옥시드, 제 2 철 블루(ferric blue)를 언급할 수 있다. 유기 안료 중에서, 카본 블랙, 및 바륨, 스트론튬, 칼슘 및 알루미늄 락카를 언급할 수 있다. 수용성 착색제 중에서, 고려되는 분야에서 일상적인 착색제, 예컨대 선홍색의 이나트륨염, 알리자린 녹색, 퀴놀린 노랑색의 이나트륨염, 자주색의 삼나트륨염, 타르트라진의 이나트륨염, 로다민의 일나트륨염, 푹신, 크산토필의 이나트륨염, 및 이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입술에 바르는 제품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착색 재료 중에서, 착색 지수에서 참조 착색제 CI 12085, CI 15850, CI 15985, CI 15985 Ba 락카, CI 15985 Zr 락카, CI 17200, CI 19140, CI 19140 Ba 락카, CI 19140 Zr 락카, CI 42053, CI 42090, CI 45370, CI 45380, CI 45410, CI 45410 Ba, Sr, Zr 락카, CI 47005, CI 61570, CI 73360, CI 75120, CI 75130, CI 75170, CI 75470, CI 77163, CI 77489, CI 77491, CI 77492, CI 77499, CI 77742, CI 77891, CI 77947 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증점제, 예컨대 점토, 실리카, 셀룰로오스 유도체, 합성 중합체(예컨대 아크릴 중합체 또는 폴리우레탄 형태의 조합 중합체); 검 및 특히 크산탄검; 전착제; 분산제; 방부제, 특히 수용성 방부제; 소포제; 습윤제; UV 차단제; 방향제, 충진제, 미용학적 또는 조제학적 활성제; 가습제, 비타민 및 이의 유도체; 생물학적 재료 및 이의 유도체와 같은 임의의 일상적인 첨가제를 입술에 바르는 조성물 분야를 위해 첨가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물론, 당업자는 가능한 이 첨가제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은 제시된 첨가에 의해 반대로 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제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기를 포함한다:
-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중합체의 건조 물질 함량 1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40 중량%,
- 조성물의 전량에 대해, 박막 형성 보조제 1 중량% 내지 8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5 중량%,
- 안료 및/또는 충진제 0 중량%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 중량%,
- 미용 첨가제,
- 액체 매질, 특히 물로서 나머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액체, 겔, 반고체, 연한 페이스트, 또는 심지어 스틱 또는 장대와 같은 고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비고체 배합물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25 ℃ 에서 브룩필드 장치, 4 LVT 회전기의 도움으로 측정하여 0.05 Pa.s 내지 20 Pa.s(50 cPs 내지 20,000 cPs), 및 특히 0.05 Pa.s 내지 10 Pa.s 범위의 점도를 갖는다.
메이크업 제품, 특히 립스틱 도는 립 락카, 또는 대신 입술용 트리트먼트 제품으로서 특히 바르는 것을 발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입술용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보호막으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와 같은 조성물을 사용하는, 입술에 메이크업을 바르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적어도 박막 형성 중합체의 분산액을 매질에 포함하는 중합체 계(이 계는 입술의 움직임에 따라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의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립락카이다.
적어도 박막 형성 중합체의 분산액을 매질에 포함하는 중합체 계(이 계는 입술에 무이동 박막을 형성할 수 있다)의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립락카가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한 편으로, 상기와 같이 입술에 바르는 미용 조성물, 및 다른 한 편으로, 상기 조성물의 바르기 및 포장용 장치를 포함하는 입술용 메이크업 제품이다.
포장 및 도포 장치는 이의 일반 지식에 기초하여 당업자에 의해 선택되고 제조되며, 포장되는 조성물의 특성에 따라 채택된다. 실제로, 사용되는 장치의 형태는 조성물의 밀도, 특히 이의 점도에 연결될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조성물에 존재하는 성분의 특성, 휘발성 화합물의 존재에 또한 달려 있다.
통상적으로, 포장 및 도포 장치는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 바르는 조성물을 함유하기 위한 저장기, 및
- 상기 저장기를 바람직하게는 기밀(氣密)식으로 밀폐하기 위한 제거 부재.
상기 장치는, 추가로, 입술에 미용 조성물을 바르기 위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 부재는 조성물의 제거 및 입술에 제품의 바른동안 제거된 상기 제품의 회복을 허용한다.
이 도포 부재를 기밀식으로 장치를 밀폐하기 위한 부재에 완전히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유출 부재를 저장기에 완전히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부재는 펜, 펠트, 연한 끝, 브러쉬, 기포, 임의로 군집, 소결기(sinter)일 수 있다.
그래서, 입술에 바르는 조성물을 페이스트 밀도로 유체를 지닌 제품의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 장치는 공지된 방식으로, 배급되는 제품용 저장기(1), 저장기에 올려 놓고 하나 이상의 배급 구멍이 제공된 도포 표면을 포함하는 도포 끝(2), 및 배급 구멍을 통해 제품의 퇴거를 일으킬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고, 끝의 도포 표면은 구멍이 위치한 하부에서 하나 이상의 동공(3)을 포함한다. 이런 장치는 FR-A-2,727,608 및 FR-A-2,727,909 문서에 특히 기재되어 있다.
도포 끝 또는 부재를 연한 재료, 예를 들어 열가소성 물질,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천연 및 합성 고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유연 또는 반강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포 끝은 개방 또는 밀폐 셀을 함유하는 다공성 기포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도포 끝은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블록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비닐 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및 디엔의 삼원공중합체(EDPM); 블록 스티렌-부타디엔 중합체(SEBS-SIS)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도포 끝의 도포 표면은 유리하게는 이의 표면 전체 또는 부분에 걸쳐 균일하게 배급된 꺼칠꺼칠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도포 끝의 덮개는 천연 또는 합성 섬유, 예컨대 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의해 수득된 군집 덮개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포 끝은 원형, 삼각형 및 타원형 단면으로부터 선택된 단면을 갖는다. 도포 부재를 실제로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약간 솟거나 평평하고, 원뿔형쪽에 비스듬이 위치하며, 배급 구멍을 갖춘 도포 표면이 제공된 원뿔형으로 설계한다. 이 도포 부재은, 예를 들어 망사의 형태로 다수의 제품 배급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제품을 구제할 수 있는 부재는 특히 상기 저장기 내부에 병진운동에 의해 미끄러질 수 있는 피스톤, 저장기에서 형성된 세로 홈을 횡단하는 병진 운동의 구동 부재, 상기 저장기에 연결된 시트(seat), 및 병진 운동으로 피스톤을 구동시키는 부재를 포함한다. 저장기 및 시트는 유리하게는 한 블록에서 제조되고 홈은 바람직하게는 저장기의 단지 일부로 제조된다. 더욱이, 저장기에서 피스톤을 유지하기 위해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장치는 목부와 도포 부재를 갖춘, 제품용 저장기(1), 상기 목부에 솟은 상기 도포 부재의 포착 성분(2), 및 제품의 제거 및 바르기 위한, 도포 부재에 완전히 부착된 제 1 유리 말단, 및 포착 성분에 완전히 부착된 제 2 말단을 갖는 스틱(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다른 방식의 도포 부재는 펠트, 브러쉬, 소결기 또는 주로 군집 기포일 수 있다.
이 장치는, 추가로, 저장기의 목부에 부착되고 스틱을 통과시키는 환상 유출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이 부재는 이 스틱 및/또는 도포 부재를 유출시킬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 유출 부재는 임의로 군집될 수 있는 중앙 통로를 갖춘 골무의 모양을 갖는다. 이런 장치를 특히 프랑스 특허 출원 96/02477 및 문서 FR-A-2,705,876 에 기재한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포장 및 도포용 장치는 목부를 갖춘, 제품용 저장기(1) 및 저장기의 목부의 밀폐용 마개(2)를 포함할 수 있고, 마개가 밀폐된 위치에 있는 경우 저장기 내부에 침적시키는 도포기 부재(3)을 갖추고 있다.
이런 장치와 함께, 저장기를 밀폐시키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장치를 흔들기 또는 움직임에 의해 도포 부재를 주입시켜 도포기 부재와 제품 간의 접촉을 촉진시킨다.
그 다음 마개를 저장기로부터 제거시켜, 제품과 함께 주입된, 도포기 부재를 사용하고, 이 제품을 원하는 위치에 바른다. 이런 장치를 특히 EP-A-673,612 문서에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고점도를 갖고, 그러므로 상당히 단단한 밀도를 갖는 스틱 또는 장대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입술용 전체 메이크업은 포도 또는 장대 형태의 제품, 컵이라 부르는, 도포되는 제품을 수용하는 유동성 지지물(1), 피복 캡(3)에 부착된 컵이 솟아있는 덮개(2) 및 포도 모양의 병진 운동을 하는 메카니즘을 포함시켜 저장 기간 동안 이것을 덮개속에 수용시키고, 입술에 제품을 도포하는 동안 덮개로부터 이것을 제거한다. 이런 장치는 특히 FR-A-1,501,043 문서에 기재한다.
FR-A-2,715,916 문서에 기재된 장치를 또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A/ 신장율 측정
수득된 박막의 신장율을 ASTM 표준, 06.01 D 2370-92 호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Organic Coatings 에 따라 측정한다.
B/ 경도 측정
박막의 경도를 ASTM D-43-66 표준, 또는 NF-T 30-016 표준(1981 년 10 월)에 따라 퍼소즈(Persoz) 추의 도움으로 측정한다.
지지체에 축적된 박막은 건조전 경도가 약 300 μm 이다.
30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24 시간 동안 건조후, 경도 약 100 μm 의 박막을 수득하고; 그 다음 이의 경도를 30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측정한다.
C/ 영탄성율 측정
영탄성율을 ASTM 표준, 06.01 D 2370-92 호 Standard Test Method for Tensile Properties of Organic Coatings 에 따라 측정한다.
지지체에 묻은 박막은 건조전 경도가 약 300 μm 이다. 21 ℃ 및 상대 습도 50 % 에서 7 일 동안 건조후, 경도 약 100 μm 의 박막을 수득한다.
측정된 샘플은 폭 5 mm 및 두께 100 μm 이다. 그립(grip)간의 거리는 25 mm 이다. 당김 속도는 분당 1000 mm 이다.
하기 기재는 수반하는 특징을 참조한다:
- 도 1 은 세로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입술용 메이크업 제품을 나타낸다.
- 도 2 는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예에 따른, 입술용 메이크업 제품의 전면이다.
도 1 에서 나타낸 도포기 단위를 참조예 1 에 의해 완전히 나타낸다. 이것은 바르는 조성물 7을 함유하는 병 2, 포착 부재를 형성하는, 병 2 에 부착된 캡 3, 캡 3 에 완전히 스틱에 의해 운반된 도포 부재 4 로 구성된다. 이 단위는 저장기의 목부에 부착된 환상 유출 장치 6 의 형태로 유출 부재를 포함한다. 유출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저장기의 목부의 부근에 부착된 골무의 형태이다. 예증된 구현예에서, 도포기 4 는 플로킹(flocking)으로 피복되거나 안될 수 있는, 펠트 끝의 형태이다.
병 2 는 숄더(shoulder) 23 에 의해, 소직경을 갖는, 목부 22 에 연결된 원통체 21 로 구성된다. 목부 22 는 외부에 실부 24 를 갖춘다. 캡 3 은 원형 단면도의 내부에 목부 22 의 실부 24 와 협력할 수 있는 실부 33 을 갖춘, 원형 단면도의 원통형 스커트 32 와 원형 플랫 베이스 31 을 포함한다.
펠트 끝을 임의의 적당한 부재(접착, 용접, 스냅피팅(snapfitting) 등)에 의해 스틱 5 에 부착시킨다. 스틱 5 는 필요한 역할을 허용하는, 스커트 32 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외부 직경의 원통형 부착 스커트 51 로 끝을 맺는다. 스커트 51 은 캡 3 내부에 강하게 올라 있다. 스틱 5 는 배열된 소직경 53 의 해머링(hammering)을 갖춘 원통형 성분 52 로 구성되어 저장 위치에서, 즉 캡을 병 2 에서 돌려 죄는 경우, 상기 해머링 53 은 유출 장치 6 의 입술 수준에 있다.
도 1 에서 나타낸 유출 장치 6 은 스커트 형태이다. 이것은 이의 올라옴에 필요한 역할을 허용하는, 목부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외부 직경의 제 1 원통형 성분 61 을 포함한다. 상기 성분 61 은 한쪽 끝에서 목부 22 의 자유 모서리에 놓여 있는 외부 보유 깃 62 를 갖춘다. 다른 말단은 유출 장치 6 의 립 63 을 형성한다. 이 립은 적어도 일부가 플로킹 섬유 64 로 피복되고, 이들 섬유는 모서리에 부착되고 립 63 의 외부 및 내부 표면의 일정 높이 이상에 있다.
저장 위치에서, 캡 3 을 병 2 의 목부 22 에서 돌린다. 도포기 4 는 병 2 의 몸체 21 에 함유되고, 바르게 되는 제품에 침적한다. 스틱 5 의 원통형 성분 52 의 해머링은 유출 장치 6 의 립 63 의 수준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제품을 지우고 싶을 때, 사용자는 캡 3 을 돌려 느슨하게 하고 도포기 4 를 운반하는 스틱 5 를 제거한다. 스틱 52 는 플로킹 섬유 64 와 접촉하는 유출 장치 6 의 립 63 에서 통과한다. 스틱 52 및 유출 장치 6 의 립 63 간의 플로킹 섬유 64 의 존재는 공기가 병 2 에 들어가는 것을 허용하고, 그래서 진공의 형성을 피한다. 그 다음 도포기를 유출 장치 6 의 립 63 을 통과한다. 립 63 은 도포기(이 도포기는 바로 사용한다)에 묻은 여분의 생성물을 제거한다. 입술에 생성물 7 을 바른후, 사용자는 도포기를 병 2 에 다시 넣고 캡 3 을 돌려 조인다. 도포기 단위는 또다른 사용을 준비한다. 조성물 7 은 특히 실시예 2 의 립락카이다.
도 2 를 참조하여, 스틱의 축방향에 따라 실제로 배향된 스틱(105)의 말단(105a)에 부착된 강모(103)의 타래(102)를 포함하는 락카(112)를 바르기 위한 브러쉬(101)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립락카의 단위를 볼 수 있다. 원통형 슬리브(106)는 타래(102)와 반대이고 슬리브(106)에 연결된 스틱(105)의 다른 말단에 완전히 부착된다. 이 원통형 슬리브(106)는 브러쉬의 포착용 부재으로서 작용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실시예 7 에 기재된 것과 같이 립락카(112)를 함유하는 병(111)의 목부(113)에 샘방지식으로 돌려 조이기 위한 마개로서 또한 작용한다. 타래(102)는 대략 반이 밑에 있는, 2 부분으로 접혀진 실제로 평형 강모(103)의 덩어리로부터 타래(102)를 얻는다.
조성물의 실시예
실시예 1:
하기 조성물을 갖는 립스틱 배합물을 제조한다:
- 폴리우레탄의 수성 분산액(SANCURE 861) 38 g AI
- 안료 2 g
- 가소제(글리세린) 1.25 g
- 물 q.s. 100 g
입술에 바르기 쉬운 조성물은 윤택한 외양을 제공하고, 이동하지 않으며 흘러내지리 않는 것이다.
SANCURE 861 은 신장율 580 %, 경도 24, 1000 mm/분에서 영탄성율 5.5 MPa 및 10 mm/분에서 9.8 MPa 이다.
실시예 2
하기 조성물을 갖는 립스틱을 제조한다:
- 폴리우레탄의 수성 분산액(NEOREZ R-981) 3O.4 g AI
- 안료 2 g
- 가소제(글리세린) 1.25 g
- 물 q.s. 100 g
입술에 바르기 쉬운 조성물을 수득하고; 수득된 박막은 광택성이며; 이것은 이동하지 않고 소주름으로 표면이동하지 않으며; 이것은 잘 견디고 입술의 움직임을 따른다.
NEOREZ R-981 은 신장율 330 %, 경도 104, 1000 mm/분에서 영탄성율 168.1 MPa 이다.
실시예 3:
하기 조성물을 갖는 립스틱을 제조한다:
- 폴리우레탄의 수성 분산액(SANCURE 2255) 46.55 g AI
- 안료 2 g
- 가소제(글리세린) 1.25 g
- 물 q.s. 100 g
실시예 2 에서의 것과 동일한 특성의 박막을 수득한다.
SANCURE 2255 는 신장율 550 %, 경도 33.5 %, 1000 mm/분에서 영탄성율 44.3 MPa 및 10 mm/분에서 16.1 MPa 이다.
실시예 4:
하기 조성물을 갖는, 입술에 바르는 액체 조성물을 제조한다:
- 다우 케미칼사에 의해 DOW LATEX 432 명으로 시판되는
아크릴/스티렌 중합체의 수성 분산액 25 mg AI
- 플루오르화 왁스의 수성 분산액(MICROPOWDERS 로부터
MICRODISPERSION 411) 5 g AI
- 안료 2 g
- 가소제(글리세린) 1.25 g
- 물 q.s. 100 g
이 조성물을 입술에 바르고, 균열이 없고 벗겨짐이 없이 입술의 움직임을 따르는 연한 박막을 수득한다. 추가로, 박막은 이동하지 않는다.
실시예 5:
하기 조성물을 갖는 액체 립스틱을 제조한다:
- 아크릴 중합체의 수성 분산액(ZENECA 사로부터 NEOCRYL A-523) 20 g AI
- 플루오르화 왁스의 미소분산액(MICROPOWDERS 로부터
MICRODISPERSION 411) 2.5 g AI
- 글리세린(가소제) 1.875 g
- 증점제 0.5 g
- 안료 3 g
- 물 q.s. 100 g
조성물은 입술에 쉽게 퍼지고 균열이 없는, 바르고 있기에 편안하며 이동하지 않는 연한 박막을 남긴다.
실시예 6:
하기 조성물을 갖는 액체 립스틱을 제조한다:
- 아크릴/스티렌 중합체의 수성 분산액(ZENECA 로부터 NEOCRYL A-1052) 20 g AI
-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 2.5 g
- 안료 2 g
- 글리세린(가소제) 1.25 g
- 물 q.s. 100 g
입술에 바르기 쉬운 조성물을 수득한다. 수득된 박막은 이동하지 않고 양호한 보유성을 나타내며: 이것은 잘 견디고 입술의 움직임을 따른다.
실시예 7:
하기 조성물을 갖는 액체 립스틱을 제조한다:
- 아크릴/스티렌 중합체의 수성 분산액(ZENECA 로부터 NEOCRYL A-1070) 42. 75 g AI
- 안료 2 g
- 물 q.s. 100 g
입술에 바르기 쉬운 조성물을 수득한다. 수득된 박막은 이동하지 않고 양호한 보유성을 나타내며: 이것은 잘 견디고 입술의 움직임을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가벼운 조직을 갖고 하루종일 바르는데 편안한 균질 박막(이것은 전혀 점착성이지 않고, 피부에 부드럽고, 순하며, 탄성이고 유연하다)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입술에 완벽하게 접착하고; 이것은 균열 및/또는 벗겨짐 없이 및 당김감의 발생없이 묻어있는 입술의 움직임을 따른다.

Claims (49)

  1. 적어도 박막 형성 중합체 입자의 분산액을 포함하는 중합체 계 충분량을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계가 입술의 움직임에 따를 수 있는 박막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성물.
  2. 적어도 박막 형성 중합체 입자의 분산액을 포함하는 중합체 계를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실용적인 입술에 바르는 메이크업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계가 무이동 박막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계가 110 미만의 경도를 갖는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계가 200 % 초과의 신장율을 갖는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계가 200 MPa 미만의 영(Young)탄성율을 갖는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중합체 계가 10 ℃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박막 형성 중합체가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지방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또는 비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 천연 또는 개질 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또는 알키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기존 입자의 내부 또는 부분적으로 표면에서 하나 이상의 자유 라디칼 단량체의 자유 라디칼 중합으로부터 생성된 중합체;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분산액내의 중합체의 입자 크기가 10 내지 50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중합체 계가 박막 형성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매질에 용해되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 또는 하나 이상의 안료 또는 이들 모두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매질이 수성 매질인 조성물.
  12. 조성물이 제 1 항에 따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4, 112)을 함유하는 저장기(2,111) 및 용기를 밀폐시키는 제거 부재(3,106)를 포함하는 입술용 메이크업 제품(1, 101).
  13. 제 12 항에 있어서, 입술에 조성물을 바르기 위한 부재(4, 103)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도포 부재(4, 103)가 제거가능한 밀폐 부재(3, 106)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도포 부재가 펜, 펠트(4), 연한 끝, 브러쉬(103), 기포, 임의 플로킹, 골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유출용 부재(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7.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유체(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8.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페이스트 또는 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병진 운동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20. 적어도 박막 형성 중합체의 분산액을 매질내에 포함하는 중합체 계의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립락카에 있어서, 계가 입술의 움직임에 따르는 박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립락카.
  21. 적어도 박막 형성 중합체의 분산액을 매질에 포함하는 중합체 계의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립락카에 있어서, 계가 입술상에 무이동 박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립락카.
  2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또는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따른 립락카를 입술에 바르는 것으로 구성되는, 입술에의 메이크업의 도포 방법.
  23. 제 2 항에 있어서, 계가 110 미만의 경도를 갖는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4. 제 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계가 200 % 초과의 신장율을 갖는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5. 제 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계가 200 MPa 미만의 영탄성율을 갖는 박막을 수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제 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중합체 계가 10 ℃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7. 제 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박막 형성 중합체가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또는 양쪽성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지방쇄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에폭시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또는 비닐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아크릴/실리콘 공중합체; 천연 또는 개질 중합체;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또는 알키드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중합체의 기존 입자의 내부 또는 부분적으로 표면에서 하나 이상의 자유 라디칼 단량체의 자유 라디칼 중합으로부터 생성된 중합체;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8. 제 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분산액내의 중합체의 입자 크기가 10 내지 50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9. 제 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중합체 계가 박막 형성 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0. 제 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매질에 용해되는 하나 이상의 착색제 또는 하나 이상의 안료 또는 이들 모두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1. 제 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매질이 수성 매질인 조성물.
  32. 제 3 항에 있어서, 경도가 55 미만인 조성물.
  33. 제 23 항에 있어서, 경도가 55 미만인 조성물.
  34. 제 4 항에 있어서, 신장율이 400 % 초과인 조성물.
  35. 제 24 항에 있어서, 신장율이 400 % 초과인 조성물.
  36. 제 5 항에 있어서, 영탄성율이 80 MPa 미만인 조성물.
  37. 제 25 항에 있어서, 영탄성율이 80 MPa 미만인 조성물.
  38. 제 6 항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가 0 ℃ 미만인 조성물.
  39. 제 26 항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가 0 ℃ 미만인 조성물.
  40. 제 8 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입자 크기가 20 내지 150 nm 인 조성물.
  41. 제 28 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입자 크기가 20 내지 150 nm 인 조성물.
  42. 조성물이 제 2 항에 따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입술용 메이크업 조성물(4, 112)을 함유하는 저장기(2,111) 및 용기를 밀폐시키는 제거 부재(3,106)를 포함하는 입술용 메이크업 제품(1, 101).
  43. 제 42 항에 있어서, 입술에 조성물을 바르기 위한 부재(4, 103)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44. 제 43 항에 있어서, 도포 부재(4, 103)가 제거가능한 밀폐 부재(3, 106)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45. 제 43 항 또는 제 44 항에 있어서, 도포 부재가 펜, 펠트(4), 연한 끝, 브러쉬(103), 기포, 임의 플로킹, 골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46. 제 42 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조성물의 유출용 부재(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47. 제 42 항 내지 제 4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유체(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48. 제 42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페이스트 또는 고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병진 운동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1019980014781A 1997-04-28 1998-04-24 박막형성중합체기재메이크업조성물및입술용제품 KR100298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7400954.0 1997-04-28
EP97400954A EP0875234A1 (fr) 1997-04-28 1997-04-28 Composition et produit de maquillage des lèvres à base de polymère filmogè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723A true KR19980081723A (ko) 1998-11-25
KR100298913B1 KR100298913B1 (ko) 2001-09-06

Family

ID=8229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4781A KR100298913B1 (ko) 1997-04-28 1998-04-24 박막형성중합체기재메이크업조성물및입술용제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75234A1 (ko)
JP (1) JPH10298036A (ko)
KR (1) KR100298913B1 (ko)
BR (1) BR9801966A (ko)
CA (1) CA2233342A1 (ko)
PL (1) PL325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1200B1 (fr) * 1999-11-19 2003-04-25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apillaire procurant de bonnes proprietes de tenue et comprenant des polymeres filmogenes
ITMI20000036A1 (it) * 2000-01-17 2001-07-17 Kosm Italia Srl Liquido per trucco
FR2810236B1 (fr) * 2000-06-15 2002-07-26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filmogene
FR2865911B1 (fr) * 2004-02-06 2008-01-25 Oreal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comportant un organe d'essorage
US8318187B2 (en) 2004-04-30 2012-1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with improved shine
US9308397B2 (en) 2004-04-30 2016-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ng-wearing cosmetic compositions
US8932570B2 (en) 2005-05-12 2015-01-13 Elc Management Llc Long-wearing glossy cosmetic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01043A (fr) * 1966-09-22 1967-11-10 Ejectoret Sa étui pour bâton de produit pâteux
US4792444A (en) * 1985-06-14 1988-12-20 Kao Corporation Cosmetic comprising fluoroalkyl (meth)acrylate copolymers
US4795631A (en) * 1986-03-26 1989-01-03 Chesebrough-Pond's, Inc. Water based lip color comprising an alkali soluble film-forming agent
FR2705876B1 (fr) * 1993-06-03 1995-08-11 Oreal Ensemble applicateur pour un produit fluide, notamment un produit cosmétique.
FR2711059B1 (fr) * 1993-10-15 1996-02-02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sous forme de vernis à ongles aqueux, coloré ou incolore, contenant en tant que substance filmogène des particules de polyester-polyuréthanne anionique à l'état dispersé.
FR2717057B1 (fr) * 1994-03-14 1996-04-12 Oreal Pinceau de vernis à ongles et ensemble d'application de vernis à ongles muni d'un tel pinceau.
FR2718350B1 (fr) * 1994-04-08 1996-12-27 Oreal Compositions cosmétiques à appliquer sur l'ongle.
FR2735689B1 (fr) * 1995-06-21 1997-08-01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e dispersion de particules de polymeres dans un milieu non aqueux
FR2740330B1 (fr) * 1995-10-27 1997-12-05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 systeme polymerique et utilisation dudit systeme
FR2745494B1 (fr) * 1996-03-04 1998-08-07 Oreal Composition comprenant une dispersion aqueuse de particules de polymere filmogene,et utilisation d'un systeme polymerique comprenant ladite dispersion notamment en cosme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801966A (pt) 2000-01-11
PL325990A1 (en) 1998-11-09
MX9803124A (es) 1998-12-31
EP0875234A1 (fr) 1998-11-04
JPH10298036A (ja) 1998-11-10
CA2233342A1 (fr) 1998-10-28
KR100298913B1 (ko) 200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566B1 (ko) 화장료 제제
CA2199053C (fr) Composition comprenant un systeme polymerique et utilisation dudit systeme
KR101480200B1 (ko) 케라틴 섬유 화장 방법 및 패키지 조립체
KR100814653B1 (ko) 블록 중합체 및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함유하는 미용조성물
JP3981130B2 (ja) 配列ポリマーを含む耐移行性化粧品組成物
US8080238B2 (en) Oil-based cosmetic composition
US20090317432A1 (en) Felt-tip pen for making up or caring for nails, skin, lips eyelashes or teeth
KR100645282B1 (ko) 특정한 열적 프로파일을 가지는 화장용 조성물
JP2007296331A (ja) メイクアップおよび/またはケアキット
EP1466579A2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 polymère filmogène amorphe et présentant un profil thermique particulier
FR2740330A1 (fr) Composition comprenant un systeme polymerique et utilisation dudit systeme
JP2011503141A (ja) 2つの組成物を塗付することを含む睫毛のメイクアップ方法
JP2007289696A (ja) まつ毛用のメイクアップキットならびにそのための方法
FR2984096A1 (fr) Dispositif d'application comprenant une composition a base de polymere acrylique particulier et de copolymere silicone, procede de traitement des fibres keratiniques le mettant en oeuvre
FR2782917A1 (fr) Composition de maquillage a base de polymere filmogene
KR100298913B1 (ko) 박막형성중합체기재메이크업조성물및입술용제품
JPH1067646A (ja) ポリマー系を含む組成物と特に化粧品への該ポリマー系の使用
FR2925849A1 (fr) Procede cosmetique procurant un effet allongeant des cils et kit correspondant a base d'un polymere filmogene
JP2000178171A (ja) 特定のコポリマ―、非被覆固体粒子、および油性分散ポリマ―を含有する安定な化粧品組成物
MXPA98003124A (en) Composition and lip make-up product based on a pelicum-forming polymer
FR2740336A1 (fr) Composition comprenant un melange polymerique et utilisation dudit melange dans une composition notamment cosmetique
MXPA98003053A (en) Composition that comprises a polymeric system containing a fluorated polymer in dispersion, and use of such system mainly combined by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