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1545A - Absorbent article for treating body fluids - Google Patents

Absorbent article for treating body fluid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1545A
KR19980081545A KR1019980013994A KR19980013994A KR19980081545A KR 19980081545 A KR19980081545 A KR 19980081545A KR 1019980013994 A KR1019980013994 A KR 1019980013994A KR 19980013994 A KR19980013994 A KR 19980013994A KR 19980081545 A KR19980081545 A KR 19980081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fiber
flap
article according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39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게이이치로
유니챰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게이이치로, 유니챰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1998008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54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located outside the perimeter of the absorbent c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리대 등의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의 양 측부에 있어서의 플랩의 액 저항성, 통풍성, 표면 마찰 강도 등의 향상을 꾀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for body fluid treatment, which improves liquid resistance, air permeability, surface friction strength and the like of flaps on both sides of an absorbent article for body fluid treatment such as sanitary napkin.

본 발명의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은 그 양측에 플랩(10)을 구비하고, 이 플랩(10)은 제1 및 제2 섬유층(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11a, 11b)와, 이들 섬유층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하는 제3 섬유층(멜트 블로우 부직포)(11c)로 구성되어 있다.The absorbent article for treating body flui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flaps 10 on both sides thereof. The flaps 10 include first and second fiber layers (spunbond or spunlaced nonwoven fabric) 11a and 11b, And a third fiber layer (melt blown nonwoven fabric) 11c interposed integrally with the first fiber layer 11c.

Description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Absorbent article for treating body fluids

본 발명은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성의 경혈을 흡수 유지하는 생리대 또는 패드, 여성용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sorbent article such as a sanitary napkin or pad for absorbing and retaining the menstrual discharge of women, a female incontinence pad, and the like.

종래, 예컨대 여성의 경혈을 흡수 유지하는 생리대에 있어서, 생리대의 대향 측부에 액 저항성(또는 차단성)을 갖는 플랩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다수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for example, in a sanitary napkin that absorbs and retains menstrual discharge of women, it is known that a flap having liquid resistance (or barrier property)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a sanitary napkin.

그렇지만, 상기 플랩은 체액이 그 표면을 유동하기 쉬운 불투습성 플라스틱 시이트로 구성되어 있거나, 투습성을 갖지만, 액 불투과성이 뒤떨어지고(또는) 착용자의 가랑이에 의한 마찰로 용이하게 보풀이 일고, 게다가는 파손되기도 하는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거나, 착용자의 가랑이에 부드럽게 잘 밀착되지 않는 비교적 강성이 높은 플라스틱 필름과 부직포와의 복합 시이트로 구성되어 있거나 하는 것이었다.However, the flap is made of a moisture-impermeable plastic sheet which is easily permeable to the surface of the body fluids, has moisture permeability but is poor in liquid impermeability and / or is easily napmed by friction due to the crotch of the wearer, Or composed of a composite sheet of a relatively rigid plastic film and a nonwoven fabric which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which is also broken or which is not gently adhered to the wearer's crotch.

상기 플랩이 구비하는 바람직한 성능으로서는, 체액이 그 표면을 지나치게 유동하여 옆으로 누설되지 않을 것, 체액이 비교적 용이하게 투과되지 않을 것, 착용자의 가랑이에 의한 마찰로 비교적 용이하게 보풀어 일거나 파손되거나 하지 않을 것 및 착용자 가랑이의 피부에 부드럽게 밀착할 것 등을 들 수 있다.The preferred performance of the flaps is that the body fluids flow over the surface of the flaps so that they do not leak sideways, that the body fluids are not easily permeable, that they are relatively easy to bend or break due to friction by the crotch of the wearer And that it should be gently adhered to the skin of the wearer's crotch.

본 발명은 상기 바람직한 성능을 구비하고, 종래의 상기 결점을 해결할 수 있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for body fluid treatment, which has the above-described desirable properties and is abl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drawbacks.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의 일예로서의 생리대의 평면도.1 is a plan view of a sanitary napkin as an example of an absorbent article for body fluid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2-2선에 따른 확대 단면 사시도.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2-2 of Fig.

도 3은 제2 플랩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확대 단면도.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nonwoven fabric constituting the second flap;

도 4는 도 2와 동일한 확대 사시도이지만,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Fig.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imilar to Fig. 2, bu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Fig.

도 5는 도 2와 동일한 확대 사시도이지만,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imilar to Fig. 2 but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 : 적층 패널1: laminated panel

3 : 피부 접촉면3: Skin contact surface

4 : 피부 비접촉면4: Skin non-contact side

5 : 톱 시이트5: Top sheet

6 : 백 시이트6: back sheet

7 : 코어7: Core

9 : 제1 플랩9: first flap

10 : 제2 플랩10: second flap

11 : 부직포11: Nonwoven fabric

11a : 제1 섬유층11a: first fibrous layer

11b : 제2 섬유층11b: second fibrous layer

11c : 제3 섬유층11c: third fibrous layer

본 발명은 피부 접촉면 및 피부 비접촉면을 갖는 적층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적층 패널은 상기 피부 접촉면에 위치하는 투액성 톱 시이트와, 상기 피부 비접촉면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백 시이트와, 이들 시이트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와, 이 코어의 대향 측가장자리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적어도 상기 백 시이트에 형성되는 액 저항성을 갖는 제1 플랩과, 이 제1 플랩과 나란히 늘어서 있는 액 저항성을 갖는 제2 플랩으로 구성되어 있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The laminated panel includes a liquid-pervious topsheet positioned on the skin-contacting surface, a liquid-impervious backsheet positioned on the skin-non-contacting surface, and a liquid-impervious backsheet disposed on the skin- A first flap having liquid resistance formed in at least the back sheet extending outwar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an opposite side edge of the core, and a liquid fl exible liquid fl oW lined side by side with the first fla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ment of an absorbent article for bodily fluid treatment comprising two flaps.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랩은 1데니어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만들어지고, 통풍성을 갖는 제1 및 제2 섬유층과, 상기 데니어보다도 작은 극히 미세한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섬유층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하며, 내수압치가 상기 제1 및 제2 섬유층보다도 높고 통풍성을 갖는 제3 섬유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second flap is made of thermoplastic synthetic fiber having a density of 1 denier or more and has air permeability. The second flap is made of extremely fine thermoplastic synthetic fiber smaller than the denier. And a third fibrous layer integral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ibrous layer and the second fibrous layer and having a water resistanc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and having air permeability.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섬유층이 스펀 본드 부직포인 것이다.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are spun-bonded nonwoven fabric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섬유층이 스펀 레이스 부직포인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fiber layers are spun lace nonwoven fabric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3 섬유층이 멜트 블로우 부직포인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fiber layer is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2 플랩의 평량이 10∼30g/m2인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s weight of the second flap is 10 to 30 g / m 2 .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3 섬유층의 내수압치가 적어도 30mm인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ressure value of the third fibrous layer is at least 30 mm.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섬유층 각각의 섬유 구성 비율이 20∼45중량%인 것이고, 또한, 상기 제3 섬유층의 섬유 구성 비율이 10∼60중량%인 것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er constitution ratio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ber layers is 20 to 45% by weight, and the fiber constitution ratio of the third fiber layer is 10 to 60% by weight.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섬유층의 섬유 섬도가 1∼3데니어이고, 상기 제3 섬유층의 섬유 섬도가 1데니어 미만인 것이다.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iber fineness of the first and second fiber layers is 1 to 3 denier and the fiber fineness of the third fiber layer is less than 1 deni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2 플랩의 5% 신장시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 응력이 400∼1000g/25mm이고, 또한, 가로 방향 응력이 50∼300g/25mm인 것이다.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ongitudinal stress in the second flap at 5% elongation is 400 to 1000 g / 25 mm and the transverse stress is 50 to 300 g / 25 mm.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섬유층과 상기 제3 섬유층과의 적층이 간헐적으로 분포하는 도트형의 엠보싱 가공에 의한 융착부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am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and the third fibrous layer is held by fusion-bonded portions by dot-shaped embossing which is intermittently distribut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융착부의 면적 비율이 5∼30%인 것이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ratio of the fused portion is 5 to 30%.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섬유층과 상기 제3 섬유층과의 적층이 섬유 교락(交絡)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다.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am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and the third fibrous layer is kept in fiber entanglement.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여성의 경혈을 흡수 유지하는 생리대 또는 패드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absorbent article for body fluid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sanitary napkin or pad absorbing and retaining menstrual blood as an example.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생리대는 적층 패널(1)을 포함하고, 적층 패널(1)은 피부 접촉면(3)과, 피부 비접촉면(4)을 구비하고 있다. 적층 패널(1)은 피부 접촉면(3)을 형성하는 투액성 톱 시이트(5)와, 피부 비접촉면(4)을 형성하는 불투액성 백 시이트(6)와, 이들 시이트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7)를 포함하고 있다. 톱 시이트(5)와 백 시이트(6)는 코어(7)를 피복하고 그것들의 바깥 둘레 가장자리에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들의 연장되어 나온 부분에 양 단부의 플랩(8)과 양 측부의 플랩(9)을 형성하고 있다. 단지, 톱 시이트(5)는 폭 치수에 있어서 백 시이트(6)보다도 작다. 그 때문에, 플랩(9)에 있어서, 백 시이트(6)의 양 측가장자리가 이 톱 시이트(5)의 양 측가장자리를 외측으로 넘어서 연장되어 나오고 있다. 플랩(8, 9)의 각각을 형성하는 톱 시이트(5)와 백 시이트(6)의 연장되어 나온 부분은 용착 또는 접착제 등의 주지의 접합 수단으로 서로 접합되어 있다.1 and 2, the sanitary napkin includes a laminated panel 1, and the laminated panel 1 has a skin contact surface 3 and a skin non-contact surface 4. The laminated panel 1 includes a liquid-pervious topsheet 5 forming a skin-contacting surface 3, a liquid-impervious backsheet 6 forming a skin-noncontacting surface 4, and a liquid- (7). The topsheet 5 and the backsheet 6 have a size that covers the core 7 and extends outwardly from the outer peripheries of the topsheet 5 and the backsheet 6 and has flaps 8 at both ends Thereby forming flaps 9 on both sides. However, the top sheet 5 is smaller in size than the back sheet 6 in the width dimension. Therefore, in the flap 9, both side edges of the back sheet 6 extend outward beyond both side edges of the top sheet 5. The top sheet 5 forming each of the flaps 8 and 9 and the extended portion of the back sheet 6 are joined to each other by well-known bonding means such as welding or adhesive.

톱 시이트(5), 백 시이트(6) 및 코어(7)에는 생리대 등의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의 구성 재료로서 주지의 것이 사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톱 시이트(5)로는, 예컨대 다수의 개공 또는 모세관을 가지거나 가지지 않는 투액성 부직포나, 다수의 개공 또는 모세관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된다. 백 시이트(6)로는, 예컨대 투습성 플라스틱 필름이나, 이것과 부직포와의 적층 플라스틱 시이트가 사용된다. 코어(7)로는 예컨대, 목재 플랩 펄프와 초흡수성 히드로겔 입자와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상기 부직포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로서, 멜트 블로우,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서멀 본드, 스펀 본드, 케미컬 본드의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이들 부직포로는 평량 10∼45g/m2이고, 섬도 0.1∼10데니어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필름으로는, 예컨대, 무기질 입자를 함유하고 연신 처리에 의해 다수의 미세 구멍이 부여되어 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들 수 있다. 상기 히드로겔로는, 예컨대 자체 가교형 아크릴산 알카리 금속염 중합체, 전분의 그라프트 중합체, 셀룰로스 변성물, 수용성 고분자 가교물을 들 수 있다.A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absorbent article for body fluid treatment such as a sanitary napkin, known ones are used for the top sheet 5, the back sheet 6 and the core 7. More specifically, as the top sheet 5, for example, a liquid-pervious nonwoven fabric having or not having a plurality of pores or capillaries, or a plastic film having a plurality of pores or capillaries is used. As the back sheet 6, for example, a moisture-permeable plastic film or a laminated plastic sheet of this and a non-woven fabric is used. As the core 7, for example, a mixture of wood flap pulp and superabsorbent hydrogel particles is used. Examples of the nonwoven fabric include polyolefin-based, polyester-based, and polyamide-based nonwoven fabrics of melt blow, spun lace, needle punch, thermal bond, spun bond and chemical bond. These nonwoven fabrics include fibers having a basis weight of 10 to 45 g / m 2 and having a fineness of 0.1 to 10 denier. Examples of the plastic film include a low-density polyethylene film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and having a plurality of micropores applied by stretching treatment. Examples of the hydrogel include self-crosslinking acrylic acid alkali metal salt polymer, starch graft polymer, cellulose modified product and water-soluble polymer crosslinked product.

각 플랩(9)의 상면에는 플랩(10)이 위치하고 있다. 각 플랩(10)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부직포(11)로 구성되어 있다. 부직포(11)는 1데니어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만들어지고, 통풍성을 갖는 제1 및 제2 섬유층(11a, 11b)과, 그들 데니어보다도 작은 극히 미세한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만들어지고, 제1 및 제2 섬유층(11a, 11b)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하며, 내수압치가 제1 및 제2 섬유층(11a, 11b)보다도 높고 통풍성을 갖는 제3 섬유층(11c)으로 구성되어 있다.A flap 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flap 9. [ Each of the flaps 10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11 as shown in Fig. The nonwoven fabric 11 is made of thermoplastic synthetic fibers having a density of 1 denier or more and is formed of first and second fiber layers 11a and 11b having air permeability and extremely fine thermoplastic synthetic fibers smaller than denier thereof, And a third fiber layer 11c integrall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11a and 11b and having a water pressur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11a and 11b and having air permeability.

제1, 제2 및 제3 섬유층(11a, 11b, 11c)의 재료로는, 예컨대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부직포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섬유층(11a, 11b)은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이고, 또한, 제3 섬유층(11c)은 멜트 블로우 부직포이다. 부직포(11)의 평량은 10∼30g/m2이고, 그 가운데 제1 및 제2 섬유층(11a, 11b)의 각각이 20∼45중량%를 차지하고, 또한, 제3 섬유층(11c)이 10∼60중량%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목적하는 강도 및 촉감을 얻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제3 섬유층(11c)은 제1 및 제2 섬유층(11a, 11b)보다도 섬유 밀도가 높은, 즉, 섬유사이의 공간이 적기 때문에, 통풍성이 낮지만, 생리대에 목적하는 통풍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평량 및 중량%가 상기 수치 미만이면, 목적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상기 수치를 초과하면, 목적하는 촉감을 얻을 수 없다. 또한, 제3 섬유층(11c)이 10중량% 미만이면, 목적하는 내수압치를 얻을 수 없다. 이 내수압치는 JIS 규정에 의한 측정에 있어서, 30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수압치가 상기 수치 미만이면, 액 저항성이 충분하지 않아, 체액이 투과하기 쉽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1 및 제2 섬유층(11a, 11b)은 1∼3데니어이고, 또한, 제3 섬유층(11c)은 1데니어 미만의 소위 극히 미세한 섬유로서, 섬유 밀도가 제1 및 제2 섬유층(11a, 11b)보다도 높은 것이 부직포(11)의 목적하는 내수압치, 강도 및 촉감 등을 얻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ber layers 11a, 11b and 11c include polyolefin-based, polyester-based and polyamide-based nonwoven fabrics. Particularly preferably,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11a and 11b are spunbond or spunlaced nonwoven fabrics, and the third fibrous layer 11c is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The basis weight of the nonwoven fabric 11 is 10 to 30 g / m 2 ,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11a and 11b each occupy 20 to 45 wt%, and the third fibrous layer 11c is 10 to 30 g / By weight and 60% by weight is preferable in obtaining the desired strength and feel. The third fibrous layer 11c has a fiber densit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11a and 11b, that is, a space between the fibers is small, so that air permeability is low, but it is possible to impart desired ventilation to the sanitary napkin. If the basis weight and the weight percentage are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values, the desired strength can not be obtained, and if the basis weight and the weight percentage are exceeded, the desired touch can not be obtained. If the third fibrous layer 11c is less than 10% by weight, desired water pressure can not be obtained. This water pressure value is preferably 30 mm or more in the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JIS standard. If the water pressure value is less than the above-mentioned value, the liquid resistance is insufficient and body fluids are liable to permeate, which is not preferable.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11a and 11b are 1 to 3 denier and the third fibrous layer 11c is a so-called extremely fine fiber having a density of less than 1 denier. ) Is preferable in obtaining the desired water pressure value, strength and feel of the nonwoven fabric 11.

더욱이 부직포(11)의 촉감에 관해서 언급하면, 주름이 생겼을 때에 강성의 촉감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5% 신장시, 세로 방향에 있어서의 응력이 400∼1000g/25mm이고, 또한,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응력이 50∼300g/25mm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러한 부직포(11)는 상기 섬유 구성으로 함으로써 얻어진다.In addition, in order to avoid feeling of rigidity when wrinkles are formed, the str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preferably 400 to 1000 g / 25 mm at the time of 5% elongation, Is preferably 50 to 300 g / 25 mm, but such a nonwoven fabric 11 is obtained by the above-mentioned fiber constitution.

제1, 제2 및 제3 섬유층(11a, 11b, 11c)의 적층은 간헐적으로 실시된 열 엠보싱 처리에 의한 융착부 또는 고속 수류 처리에 의한 섬유 교락으로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들 각 층이 유지되어 있는 것도 부직포(11)의 목적 강도 및 촉감을 얻는 데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열 엠보싱 처리에 의한 융착부의 경우, 이 융착부의 면적 비율이 5∼30%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수치 미만이면, 목적하는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또한, 그 수치를 초과하면, 목적하는 촉감을 얻을 수 없으며, 또한, 통풍성도 저하한다.The lamina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ber layers 11a, 11b, and 11c is maintained by fiber entanglement by a fused portion by a heat embossing treatment or an intermittent high-speed water treat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pective layers are hel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obtain the desired strength and tactile feeling of the nonwoven fabric 11. In the case of a fused portion by thermal embossing, the area ratio of the fused portion is preferably 5 to 30%, and if it is less than the above value, the desired strength can not be obtained, and if it exceeds that value, And the air permeability also decreases.

도 2에 도시되는 제2 플랩(10)은 기저 말단 영역(12)과, 자유 말단 영역(13)을 구비하고, 자유 말단 영역(13)이 내측으로 쓰러진 상태에 있어서, 기저 말단 영역(12)과 자유 말단 영역(13)의 세로 방향 양 단부(14)가 각 플랩(9)의 상면에 용착·접착 등의 주지의 접합 수단으로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자유 말단 영역(13)에는 그 일부의 안쪽으로의 접힘에 의해 형성된 슬리브(15)내에 그것에 따라서 수축하는 탄성 부재(16)가 위치하고 있다. 탄성 부재(16)는 주지의 핫멜트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고, 그 수축에 의해 자유 말단 영역(13)에 일어서는 성향을 부여하고 있다.The second flap 10 shown in Figure 2 has a base end region 12 and a free end region 13 and a base end region 12 in the state where the free end region 13 is collapsed inward. And the longitudinally opposite end portions 14 of the free end region 13 are integrally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each flap 9 by a known joining means such as welding or bonding. The free end region 13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16 which contracts in the sleeve 15 formed by folding inward of a part thereof. The elastic member 16 is fixed by a known hot-melt adhesive agent, and tends to stand up in the free end region 13 due to its shrinkage.

도 4에 도시되는 각 플랩(10)은 기저 말단 영역(12)과, 자유 말단 영역(13)을 구비하고, 자유 말단 영역(13)이 외측으로 쓰러진 상태에 있어서, 기저 말단 영역(12)과 자유 말단 영역(13)의 세로 방향 양 단부(14)가 각 플랩(9)의 상면에 용착·접착제 등의 주지의 접합 수단으로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자유 말단 영역(13)에는 그 일부의 안쪽으로의 접힘에 의해 형성된 슬리브(15)내에 그것에 따라 수축하는 탄성 부재(16)가 위치하고 있는 것, 및 탄성 부재(16)는 주지의 핫멜트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고, 그 수축에 의해 자유 말단 영역(13)에 일어서는 성향을 부여하고 있는 것은 도 2의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Each of the flaps 10 shown in Fig. 4 has a base end region 12 and a free end region 13, and the base end region 12 and the free end region 13, The longitudinally opposite end portions 14 of the free end region 13 are integrally joined to the upper surface of each flap 9 by a known joining means such as welding or adhesive. The free end region 13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member 16 which contracts in the sleeve 15 formed by folding inwardly of the portion thereof and the elastic member 16 is fixed with the known hot melt adhesive And the tendency to stand up in the free end region 13 due to the contrac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도 5에 도시되는 각 플랩(10)은 기저 말단 영역(12)과, 자유 말단 영역(13)을 갖는 점에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되는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폭 방향 중앙부에서 단면이 거의 U자형으로 절곡되어 전체가 슬리브를 형성하고 있고, 양 기저 말단 영역(12)이 플랩(9)을 협지하는 상태에 있어서, 용착·접착제 등의 주지의 접합 수단으로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자유 말단 영역(13)의 절곡 가장자리의 내면을 따라 수축하는 탄성 부재(16)가 위치하고 있는 것, 및 탄성 부재(16)는 주지의 핫멜트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고, 그 수축에 의해 자유 말단 영역(13)에 일어서는 성향을 부여하고 있는 것은 도 2의 실시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단지, 도 5에 도시되는 탄성 부재(16)는 비교적 광폭으로 단면이 거의 U자형으로 만곡하여 자유 말단 영역(13)에 뛰어난 유연성과 탄력성(쿠숀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 쿠숀성이 뛰어난 탄성 부재(16)의 경우는, 반드시 수축하도록 부착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Each flap 10 shown in Fig. 5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and 4 in that it has a base end region 12 and a free end region 13, And is folded in a U-shape to form a sleeve as a whole. Both base end regions 12 are integrally joined to each other by well-known bonding means such as welding and adhesive in a state in which the flap 9 is sandwiched therebetween. The elastic member 16 which is contract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edge of the free end region 13 is located and the elastic member 16 is fixed by a known hotmelt adhesive agent and the free end region 13 )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The elastic member 16 shown in Fig. 5 is curved to have a substantially U-shaped cross section with a relatively wide width, thereby giving the free end region 13 excellent flexibility and elasticity (cushioning). In the case of the elastic member 16 having excellent cushioning property, it may not necessarily be attached so as to shrink.

탄성 부재(16)로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엘라스토머 등이 사용된다. 도 5에 도시되는 탄성 부재(16)로서는 오픈 셀을 갖는 폴리우레탄이 적합하다. 이 폴리우레탄은 유연성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통풍성과 흡액성도 갖기 때문이다.As the elastic member 16, natural or synthetic rubber, elastomer or the like is used. As the elastic member 16 shown in Fig. 5, polyurethane having an open cell is suitable. This polyurethane is not only rich in flexibility, but also has ventilation and liquid-absorbing properties.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체액이 제2 플랩의 표면에서 함부로 유동하거나 제2 플랩을 투과하여 물품의 측가장자리로부터 새거나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풍성을 갖고 있어 물품과 착용자의 피부사이에 진무름이 생기지 않고, 또한 목적하는 유연성을 가지어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충분히 밀착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의한 마찰로 보풀이 일어나거나 파손되거나 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luid does not flow from the surface of the second flap or penetrate the second flap to leak from the side edge of the article, and also has ventilation property, And yet has the desired flexibility so that it is sufficiently close to the wearer's crotch portion and nevertheless does not cause napping or breakage due to friction caused by the crotch portion of the wearer.

더욱 구체적으로 그 이유를 개략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2 플랩을 구성하고 그 양 표면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섬유층은 소수성으로 1데니어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 표면이 플라스틱 필름과 같이 체액이 지나치게 유동하는, 소위 매끈매끈한 또는 미끈미끈한 평활성을 갖고 있지 않다. 제2 플랩을 구성하고 그 중간에 위치하는 제3 섬유층은 섬도가 1데니어 이하의 소위 극히 미세한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 섬유사이의 공간이 제1 및 제2 섬유층과 비교하여 적기 때문에, 체액이 투과하지 않을 정도의 내수압치를 가지고 있다. 제1 및 제2 섬유층은 물론, 제3 섬유층도 통풍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물품과 착용자의 피부사이에 충분한 통풍이 이루어진다. 제2 플랩은 제1, 제2 및 제3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즉, 그 전체가 섬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목적하는 유연성을 갖고 있어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한다. 제1 및 제2 섬유층은 1데니어 이상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즉, 제3 섬유층의 극히 미세한 섬유와는 다르기 때문에,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의한 마찰로 섬유가 끊기거나 하여 보풀이 일거나 파손되거나 하지 않을 정도의 표면 마찰 강도를 갖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as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at is, since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constituting the second flap are hydrophobic and made of fibers of 1 denier or more, th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is formed of a so-called smooth or smooth It does not have smooth smoothness. Since the third fiber layer constituting the second flap and the middle fiber layer are made of so-called extremely fine fibers having a fineness of 1 denier or less and the spaces between the fibers are smaller than those of the first and second fiber layers, Water pressure value. Since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as well as the third fibrous layer have air permeability, sufficient ventilation is provided between the article and the skin of the wearer. The second flap is composed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ber layers, that is, the entirety of which is made of fibers, so that it has the desired flexibility and adheres to the skin of the wearer. Since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are made of fibers of 1 denier or more, that is, they are different from the extremely fine fibers of the third fibrous layer, the fibers are broken by the friction caused by the crotch part of the wearer, The surface friction strength is not high enough.

Claims (12)

피부 접촉면 및 피부 비접촉면을 갖는 적층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적층 패널은 상기 피부 접촉면에 위치하는 투액성 톱 시이트와, 상기 피부 비접촉면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백 시이트와, 이들 시이트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와,And a laminate panel having a skin contact surface and a skin noncontact surface, wherein the laminate panel has a liquid-pervious topsheet positioned on the skin-contact surface, a liquid-impervious backsheet positioned on the skin non-contact surface, A liquid core, 상기 코어의 대향 측가장자리로부터 가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적어도 상기 백 시이트에 형성되는 액 저항성을 갖는 제1 플랩과, 이 제1 플랩과 나란히 늘어서 있는 액 저항성을 갖는 제2 플랩으로 구성되어 있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A first flap having liquid resistance formed on at least the back sheet extending outwar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rom the opposite side edge of the core and a second flap having liquid resistance which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flap, In the absorbent article for treatment, 상기 제2 플랩은 1데니어 이상의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만들어지고, 통풍성을 갖는 제1 및 제2 섬유층과, 상기 데니어보다도 작은 극히 미세한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섬유층사이에 일체적으로 개재하며, 내수압치가 상기 제1 및 제2 섬유층보다도 높고 통풍성을 갖는 제3 섬유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Wherein the second flap is made of a thermoplastic synthetic fiber having a denier of at least 1 denier, and has first and second fiber layers having air permeability, and made of extremely fine thermoplastic synthetic fibers smaller than the denier, And a third fiber layer having a water pressure value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fiber layers and having air permeability.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섬유층은 스펀 본드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are spunbonded nonwoven fabrics.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섬유층은 스펀 레이스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are spun lace nonwoven fabrics. 제1항에 있어서, 제3 섬유층은 멜트 블로우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fibrous layer is a melt blown nonwoven fabric. 제1항에 있어서, 제2 플랩의 평량은 10∼30g/m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is weight of the second flap is 10 to 30 g / m 2 . 제1항에 있어서, 제3 섬유층의 내수압치는 적어도 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pressure of the third fiber layer is at least 30 mm.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섬유층 각각의 섬유 구성 비율은 20∼45중량%이고, 제3 섬유층의 섬유 구성 비율은 10∼6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fiber constitution ratio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ber layers is 20 to 45 wt%, and the fiber constitution ratio of the third fiber layer is 10 to 60 wt%.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섬유층의 섬유 섬도는 1∼3데니어이고, 제3 섬유층의 섬유 섬도는 1데니어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ber fineness of the first and second fiber layers is 1 to 3 denier and the fiber fineness of the third fiber layer is less than 1 denier. 제1항에 있어서, 제2 플랩의 5% 신장시에 있어서의 세로 방향 응력은 400∼1000g/25mm이고, 가로 방향 응력은 50∼300g/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ngitudinal stress in the second flap at 5% elongation is 400 to 1000 g / 25 mm and the transverse stress is 50 to 300 g / 25 mm.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섬유층과 제3 섬유층의 적층은 간헐적으로 분포하는 도트형의 엠보싱 가공에 의한 융착부에 의하여 유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m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and the third fibrous layer is maintained by a fused portion formed by intermittently distributed dot-shaped embossing. 제10항에 있어서, 융착부의 면적 비율은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area ratio of the fused portion is 5 to 30%.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섬유층과 제3 섬유층의 적층은 섬유 교락(交絡)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처리용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m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brous layers and the third fibrous layer is held in fiber entanglement.
KR1019980013994A 1997-04-25 1998-04-20 Absorbent article for treating body fluids KR1998008154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9213A JPH10295724A (en) 1997-04-25 1997-04-25 Absorptive article for body fluid treatment
JP97-109213 1997-04-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545A true KR19980081545A (en) 1998-11-25

Family

ID=1450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3994A KR19980081545A (en) 1997-04-25 1998-04-20 Absorbent article for treating body fluid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H10295724A (en)
KR (1) KR19980081545A (en)
CN (1) CN1175789C (en)
ID (1) ID20850A (en)
MY (1) MY128196A (en)
TW (1) TW391873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268A (en) * 2000-05-09 2001-11-13 Uni Charm Corp Gas permeable and liquid impermeable composite sheet
US7341963B2 (en) * 2005-05-17 2008-03-11 Milliken & Company Non-woven material with barrier skin
CN101542032B (en) * 2006-06-23 2011-08-2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Non-woven fabric
JP4789793B2 (en) * 2006-12-20 2011-10-12 花王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JP5060819B2 (en) * 2007-03-30 2012-10-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Absorbent articles
CN105696198B (en) * 2014-11-26 2017-12-12 聚隆纤维股份有限公司 The method with moisture absorption metastatic adhesive-bonded fabric is prepared using spunbond mode
CN105696192B (en) * 2014-11-26 2017-12-12 聚隆纤维股份有限公司 The method with moisture absorption metastatic adhesive-bonded fabric is prepared using melt-blown mode
JP6973998B2 (en) * 2015-09-29 2021-12-01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layered go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295724A (en) 1998-11-10
ID20850A (en) 1999-03-11
CN1201651A (en) 1998-12-16
CN1175789C (en) 2004-11-17
TW391873B (en) 2000-06-01
MY128196A (en) 2007-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561B1 (en) Sanitary absorbent article
KR100596646B1 (en) Body fluid absorbable articles
EP1864635A1 (en) Absorbent article
JP4789793B2 (en) Absorbent articles
KR100590456B1 (en) Topsheet for body fluids absorbent article
US7438708B2 (en) Sanitary napkin
KR100673913B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capable of absorbing body fluid
KR100633749B1 (en) Absorbable article having a surface structure
KR19990083328A (en) Absorbable article
KR100648156B1 (en) Fluid-permeable top sheet of article for absorbing body fluid
JP2006345909A (en) Absorbent article
KR20110034605A (en) Absorbent article
KR102636768B1 (en) absorbent article
JP6813274B2 (en) Absorbent article
HU215074B (en) An absorbent article
JP4359020B2 (en) Sanitary napkin
KR100779041B1 (en) Body fluid absorbent wearing article
CN114667124B (en) Absorbent article
KR19980081545A (en) Absorbent article for treating body fluids
JP4546104B2 (en) Absorbent article and inner absorbent article
JP3862528B2 (en) Absorbent articles
JP3865565B2 (en) Absorbent article with high pre-leakage prevention effect
TWI823849B (en) absorbent articles
JPH1119120A (en) Absorptive article
JP2020137731A (en) Ad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