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324A -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324A
KR19980078324A KR1019970015839A KR19970015839A KR19980078324A KR 19980078324 A KR19980078324 A KR 19980078324A KR 1019970015839 A KR1019970015839 A KR 1019970015839A KR 19970015839 A KR19970015839 A KR 19970015839A KR 19980078324 A KR19980078324 A KR 19980078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line
operator
command
matching unit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9053B1 (ko
Inventor
김영숙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15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053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42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 H04Q3/54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 H04Q3/545Circuit arrangements for indirect selecting controlled by common circuits, e.g. register controller, marker in which the logic circuitry controlling the exchange is centralised using a stored programme
    • H04Q3/54575Software application
    • H04Q3/54591Supervision, e.g. fault localisation, traffic measurements, avoiding errors, failure recovery, monitoring, statistical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DX-10 계열의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홀딩(holding)중인 가입자 또는 중계선 번호로 중계선의 상태를 출력하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중인 중계선의 상태를 운용자가 자세하게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중계선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복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TDX-10 계열의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선복구 등에 의해 장시간 동안 홀딩중인 가입자 또는 중계선의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중계선의 상태를 운용자가 알 수 있도록하기 위해 운용자 터미널(18)을 통한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 해당 중계선의 상태를 운용자 터미널(18)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상술한 결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TDX-10 계열의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홀딩(holding)중인 가입자 또는 중계선 번호로 중계선의 상태를 출력하도록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사용중인 중계선의 상태를 운용자가 자세하게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중계선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복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TDX-10 계열의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선복구 등에 의해 장시간 동안 홀딩중인 가입자 또는 중계선의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중계선의 상태를 운용자가 알 수 있도록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 해당 중계선의 상태를 출력하도록할 수 있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TDX-10 계열 전전자교환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따른 ASS의 ASP 및 CCS의 OMP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각 부의 동작을 위한 알고리즘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 : 제1,제2 ASS 14 : INS
16 : CCS 18 : 운용자 터미널
20 : OMP 22 : 운용자 정합부
24 : 명령어 정합부 26 : ASP
28 : 자원 관리부 30 : 콜레지스터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TDX-10 계열 전전자교환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다수의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10,12)와,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14)와, CCS(central control subsystem)(16)와, 운용자 터미널(18)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제1,제2 ASS(10,12)는 가입자 정합을 위한 ASS-S, 중계선 정합을 위한 ASS-T, 패킷 교환을 위한 ASS-P, SS No.7 Signaling을 위한 ASS-7 등으로 각각 분류되며 각각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
트래픽 제어, SS No.7 유지 보수 ASS 보전 및 운용 관리, 기타 서비스 등을 수행한다.
ASMP(access switching maintenance processor):
기존 서브시스템인 ASS 내의 장애(fault) 수집 및 입력/출력 테스트 기능을 수행하며 개량형 서브시스템인 ASS 내에는 실장되지 않는다.
ASI(analog subscriber interface):
텔레포니 디바이스(telephony device) 중에서 가입자와의 인터페이스로서 아날로그 일반 가입자, 공중 전화 가입자, PABX 가입자, 파티 라인(party line) 가입자, 원격 검침 가입자 등을 수용한다.
RG(ring generator):
가입자 회로에 필요한 호출 신호 전류를 ASI로 공급하며 장애가 발생하면 경보 신호를 ASMP의 제어를 받는 경보 수집 장치인 FI(fault indication)(기존 서브시스템) 및 해당 PP(peripheral processor)(개량형 서브시스템)로 송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TSL(time switch local data link):
가입자/중계선 정합 장치 및 데이터 링크(data link)로(부터) 출력(입력)되는 타임 슬롯(time slot)의 인터체인지(interchange)가 대표적인 기능이며 ASS 내 텔레포니 디바이스 간의 연결은 이 타임 스위치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INS와의 연결을 위해서도 타임 스위치를 거쳐야 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 장치를 가입자/중계선 정합 장치 및 데이터 링크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필요시 A/μ-law 변환(conversion) 기능도 포함하며 PCM 데이터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 IPC 메시지의 삽입 및 추출 기능 등 데이터 링크를 제어 관리하고 데이터 에러 검출, 클록 추출 기능, E/O 및 O/E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LSI(local service interface):
R2 MFC, DTMF, CCT, tone 등의 신호 서비스를 위해 신호 서비스 장치를 직접 제어하여 관련 신호의 송수신 기능과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 감시 및 시험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 서비스 장치는 TLSP로부터 각종 제어를 받아 호 접속 진행 중에 필요한 R2 MFC, DTMF, CCT, tone 신호를 발생해서 TSL로 송출하는 기능과 TSL로부터 해당 신호를 수신하여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유지 보수를 위하여 자체 루프 시험 기능이 있으며, 경보를 발생시켜 경보 수집 장치인 FI 또는 해당 PP로 보내진다.
DTI(digital T1 interface):
T1 방식의 디지털 중계선을 직접 제어하여 신호의 송수신, 중계선의 동작 상태 감시 및 시험을 수행한다. 텔레포니 디바이스 중 T1 방식의 디지털 중계선과의 인터페이스로서 신호의 송수신 및 시험을 수행한다.
DCI(digital CEPT interface):
CEPT 방식의 디지털 중계선을 직접 제어하여 신호의 송수신, 중계선의 동작 상태 감시 및 시험을 수행한다. 텔레포니 디바이스 중 CEPT 방식의 디지털 중계선과의 인터페이스로서 신호의 송수신 및 시험을 수행한다.
VMH(voice message handling):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재생하고 유지 보수를 위한 자체 시험을 수행한다. 음성 메시지를 장치에서 직접 녹음과 재생을 할 수 있도록 녹음기와 시험대용 송수화기의 정합 기능을 갖는다.
CMX(conference mixer):
제어 장치에 의해 3자 통화 또는 회의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PCM 음성 신호를 혼합하여 TSL로 출력하며, 제어 장치의 요구에 따라 회로의 동작 상태를 시험하여 시험 결과를 제어 장치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INS(14)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INP(interconnection network processor):
스페이스 스위치를 사용하는 통화로 검색 및 관리를 수행한다.
NTP(number translation processor):
각 ASP에서 오는 번호 번역 요구에 응답하며 루트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INMP(interconnection network maintenance processor):
INS 내의 모든 장애를 수집하며 OMP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SW(space switch):
스페이스 스위치의 연결 및 절단 기능을 담당한다. 데이터 링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타임 슬롯 데이터를 공간 분할 스위칭하여 데이터 링크로 재송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스페이스 스위치는 SM(switch module) 단위로 필요 용량에 따라 구성 가능하다.
CDL(central data link):
PCM 데이터의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 IPC 메시지의 삽입 및 추출 기능 등 데이터 링크를 제어 관리한다. 데이터 에러 검출, 클록 추출 기능, E/O 및 O/E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NES(network synchronizer):
망동기 장치의 제어 및 운용 기능을 단당한다. 국내 망동기에 동기된 TDX-10 개량형 기본 클록 발생 및 분배, 교환기의 실시간 클록 공급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CCS(16)는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시스템 내의 일련의 운용과 유지 보수 관련 기능을 총괄한다. 따라서 이에 필요한 보조 기억 장치로 MT 및 디스크를 제어한다. MT에는 요금 기록, 통계, 유지 보수, 운용 관리 정보 등이 수록되며 디스크에는 제네릭 프로그램(generic program) 및 데이터 등이 수록된다.
MMP(man machine processor):
운용자와 시스템 간 또는 운용 센터와 시스템 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운용자와 시스템 간의 대화를 위해서는 시스템 콘솔을 포함한 VDU(visual display unit)들과 출력 데이터를 프린트하기 위한 프린터들이 사용된다. 원격 운용 센터와의 데이터 링크를 위해서는 동기/비동기 채널을 사용한다. VDU의 visibility 보완, command file, logging file 저장 등의 용도로 local 디스크를 활용한다. 이외에 시험대용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및 프린터는 비동기 채널을 통한다.
CCMP(central control subsystem maintenance processor):
CCS 내의 모든 장애를 수집하며 경보 패널을 구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P(alarm panel):
경보 구동용 하드웨어 장치로서 CCMP의 제어를 받아 critical, major, minor 등의 경보 등급을 표시하여 준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다수의 제1,제2 ASS(10,12)에 각각 설정되어 있는 ASP 및 CCS(16)에 설정되어 있는 OMP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로서, 상술한 도 1에서 기설명된 운용자 터미널(18)로부터 운용자 명령을 받고 그 운용자 터미널(18)로 결과를 출력하는 OMP(20) 내의 운용자 정합부(22)와, 운용자 정합부(22)로부터 명령어 메시지를 받아 해당 ASP(26)의 자원 관리부(28)에 명령어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 자원 관리부(28)로부터 결과 메시지를 받아 운용자 정합부(22)에 전달하는 명령어 정합부(24)와, 명령어 정합부(24)로부터 명령어 메시지를 받으면 콜레지스터(call register)(30)로부터 홀딩중인 중계선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 결과를 명령어 정합부(24)에 통보하는 자원 관리부(28)와, 호처리시 각 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콜레지스터(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도 2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각 부의 동작을 위한 알고리즘(algorithm)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의 일 실시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운용자가 운용자 터미널(18)을 통해 OMP(20)에 있는 운용자 정합부(22)에 특정 ASP의 홀딩중인 가입자 또는 중계선 번호로 중계선의 상태를 출력하도록 요구하면 운용자 정합부(22)는 명령어 정합부(24)에 중계선 상태 출력 명령어 메시지를 송신한다(40,42,44).
다음, 명령어 정합부(24)는 입력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입력 파라미터가 이상없으면 중계선 상태 출력 메시지를 송신할 해당 ASP의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이면 해당 ASP(26)의 자원 관리부(28)로 중계선 상태 출력을 요구한다(46,48).
이에, 자원 관리부(28)는 현재 콜레지스터(30)를 사용하고 있는 가입자 또는 중계선중에서 요구된 가입자 또는 중계선의 번호를 조사하여 콜레지스터(30)에 요구된 가입자 또는 중계선 번호가 없을 경우 NOK와 이유를 메시지에 담고 요구된 가입자 또는 중계선 번호가 있으면 콜레지스터(30)의 내용중 착신/발신 ASP 번호, 착신/발신 라인 번호(가입자 라인 번호 또는 중계선 라인 번호), 착신/발신 디렉토리(directory) 번호(중계호일 경우 중계선 번호), 이 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스 ID, 루트(route) 번호를 중계선 상태 출력 결과 메시지에 담아 명령어 정합부(24)에 송신한다(50,52,54).
다음, 명령어 정합부(24)는 결과 메시지를 분석하여 NOK이면 그 이유를 출력하도록 운용자 정합부(22)에 요구하고 이에 반하여, OK이면 중계선 상태 출력 결과를 운용자 터미널(18)에 출력하도록 운용자 정합부(22)에 요구한다(56,58,6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TDX-10 계열의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선복구 등에 의해 장시간 동안 홀딩중인 가입자 또는 중계선의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중계선의 상태를 운용자가 알 수 있도록하기 위해 운용자 터미널(18)을 통한 운용자의 요구에 의해 해당 중계선의 상태를 운용자 터미널(18)을 통해 출력함으로써 시스템의 신뢰성이 확보되고 시스템의 디버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OMP(20)는, 기설정된 운용자 터미널(18)로부터 운용자 명령을 받고 그 운용자 터미널(18)로 결과를 출력하는 운용자 정합부(22)와, 상기 운용자 정합부(22)로부터 명령어 메시지를 받아 해당 자원 관리부에 명령어 메시지를 전달하고 그 자원 관리부로부터 결과 메시지를 받아 상기 운용자 정합부(22)에 전달하는 명령어 정합부(24)를 포함하며; ASP(26)는, 상기 명령어 정합부(24)로부터 명령어 메시지를 받으면 콜레지스터(call register)로부터 홀딩중인 중계선 상태 정보를 조사하여 결과를 상기 명령어 정합부(24)에 통보하는 자원 관리부(28)와, 호처리시 각 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콜레지스터(30)를 포함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운용자가 상기 운용자 터미널(18)을 통해 상기 운용자 정합부(22)에 특정 ASP의 홀딩중인 가입자 또는 중계선 번호로 중계선의 상태를 출력하도록 요구하면 상기 운용자 정합부(22)는 상기 명령어 정합부(24)에 중계선 상태 출력 명령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1단계(40,42,44); 상기 제1단계(40,42,44) 수행 후, 상기 명령어 정합부(24)는 입력 파라미터를 분석하여 입력 파라미터가 이상없으면 중계선 상태 출력 메시지를 송신할 해당 ASP의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 상태이면 해당 자원 관리부(28)로 중계선 상태 출력을 요구하는 제2단계(46,48); 상기 제2단계(46,48) 수행 후, 상기 자원 관리부(28)는 현재 콜레지스터(30)를 사용하고 있는 가입자 또는 중계선중에서 요구된 가입자 또는 중계선의 번호를 조사하여 상기 콜레지스터(30)에 요구된 가입자 또는 중계선 번호가 없을 경우 NOK와 이유를 메시지에 담고 요구된 가입자 또는 중계선 번호가 있으면 상기 콜레지스터(30)의 내용중 착신/발신 ASP 번호, 착신/발신 라인 번호, 착신/발신 디렉토리(directory) 번호, 이 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스 ID, 루트(route) 번호를 중계선 상태 출력 결과 메시지에 담아 상기 명령어 정합부(24)에 송신하는 제3단계(50,52,54); 상기 제3단계(50,52,54) 수행 후, 상기 명령어 정합부(24)는 결과 메시지를 분석하여 NOK이면 그 이유를 출력하도록 상기 운용자 정합부(22)에 요구하고, OK이면 중계선 상태 출력 결과를 상기 운용자 터미널(18)에 출력하도록 상기 운용자 정합부(22)에 요구하는 제4단계(56,58,60)를 포함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KR1019970015839A 1997-04-28 1997-04-28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KR100239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39A KR100239053B1 (ko) 1997-04-28 1997-04-28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839A KR100239053B1 (ko) 1997-04-28 1997-04-28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324A true KR19980078324A (ko) 1998-11-16
KR100239053B1 KR100239053B1 (ko) 2000-01-15

Family

ID=1950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839A KR100239053B1 (ko) 1997-04-28 1997-04-28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0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9053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92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all services for remote users in the event of a communication failure
EP0852095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ensuring emergency communication
KR100239053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US6304633B1 (en) Testing system for voice system equipment in switchboard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KR100239052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콜레지스터 감사방법
KR100211889B1 (ko) Tdx-10계열 교환기의 호처리장애시 원격교환모듈의 단독기능수행방법
KR100295236B1 (ko) 원격교환모듈접속 데이터링크의 자기진단방법
US5063584A (en) Method for testing subscriber's equipment
KR100285506B1 (ko) 집적디지틀루프캐리어(idlc)가입자회선및통화로시험장치
KR0168883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디지탈 가입자에 대한 회선 경로 시험방법
KR970004824B1 (ko) 서비스 교환기(tdx-10 ssp)의 안내 방송 장치 다중화 방법
KR100295747B1 (ko) 교환 시스템의 브이5.2 인터페이스에서 프로토콜 메시지분석방법
KR960016657B1 (ko) 호의 설정시 넘버 7(No.7) 신호 방식의 연속성 시험 제어 방법
KR960020568A (ko) 모국교환기와 원격교환 장치간의 e1(유럽)방식 pcm링크 정합장치
KR0123254B1 (ko) 서비스 교환기(ssp)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시험하기 위한 응용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방법
KR100366541B1 (ko) 이동통신 교환기 시스템에서의 ass-t 구간별 신호링크경로 테스트 방법
KR100247024B1 (ko) 유사 동기식 디지털 계위(pdh)호에 대한 비동기전송모드(atm) 궤환 시험 방법
KR10023748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야간서비스 비활성화방법
KR19990052732A (ko)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중계호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방법
KR100284047B1 (ko) 소용량 교환기
KR100247428B1 (ko) 전전자교환기의 중계선 슬립상태 출력방법
KR100600947B1 (ko) 시분할전자교환기(tdx-100)에서정합서브시스템(ass) 재시동시 불복구 현상 제거 방법
KR20010045537A (ko) 가입자선 운용보전시스템의 요구에 의한 접근망 가입자라인 시험 방법
KR20000001566A (ko) 사설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 접속부의 회선 시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