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020A - 복합형 소각장치 - Google Patents

복합형 소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020A
KR19980078020A KR1019970015386A KR19970015386A KR19980078020A KR 19980078020 A KR19980078020 A KR 19980078020A KR 1019970015386 A KR1019970015386 A KR 1019970015386A KR 19970015386 A KR19970015386 A KR 19970015386A KR 19980078020 A KR19980078020 A KR 199800780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kiln
gas
discharged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5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0188B1 (ko
Inventor
정수영
정삼용
Original Assignee
최무웅
주식회사 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무웅, 주식회사 대환 filed Critical 최무웅
Priority to KR1019970015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188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adapted for burning two or more kinds, e.g. liquid and solid, of waste being fed through separate in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rotating or oscillating dr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0007Co-combustion of two or more kinds of waste, separately fed into the furn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폐기물이나 특정폐기물을 분류해서 소각할 수 있는 복합형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형 소각장치는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저온에서 연소시키는 건류기와, 상기 건류기에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수단과, 상기 건류기의 1차 연소공기 공급수단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탱크와, 상기 냉각수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상기 건류기의 1차 연소공기 공급수단에 공급하는 냉각수펌프와, 상기 건류기에서 배출되는 건류가스를 받아 제3 점화버너에 의해 화염을 생성하여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과 혼합해서 연소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킬른과, 상기 킬른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를 10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온하여 미연소가스를 고온열분해하여 무색·무취의 열풍가스로 고온열분해하는 고온열분해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형 소각장치
본 발명은 일반폐기물이나 특정폐기물을 분류해서 소각할 수 있는 복합형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각로는 폐기물의 소각방법에 따라 직연소각로와 건류식소각로의 2종류로 구분된다. 직연소각로는 로내의 폐기물이 화염을 일으키며 연소될 수 있을 정도의 열과 공기를 공급해서 폐기물을 소각하는 것으로서 소각시간이 짧아 통상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직연소각로에 의한 폐기물의 소각시에는 폐기물이 표면연소되므로 완전연소가 곤란하여 폐기물의 소각시에는 매연, 냄새, 분진이 다량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집진장치와 같은 환경오염 방지시설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와같은 직연소각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로(爐)내의 폐기물이 화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연소될 수 있을 정도의 열과 공기를 공급하여 폐기물을 건류소각하는 건류소각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건류소각로에 의한 소각은 폐기물을 가연성 가스화하고, 이 가연성가스를 연소실에서 연소시키는 것이므로 폐기물의 완전연소를 이를 수 있어 매연, 냄새, 분진등의 2차 공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건류소각로는 폐기물을 매연, 냄새, 분진등을 발생시킴이 없이 소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각처리중 발생하는 많은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 및 전력생산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건류소각로는 재(fire Ash)의 배출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소각로내에 폐기물을 운전초기에 투입하고, 상기 소각로내에 투입된 폐기물을 소각한 후에 건류소각로가 자연 냉각될 때까지 운전을 중지한 후, 소각로가 냉각된 후에는 로내의 재를 인력으로 배출 운반한 다음, 다시 건류소각로내에 폐기물을 인력으로 투입 운전하는 배치식 방식으로, 폐기물의 소각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효율적인 소각을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생활폐기물을 착화시킨 후에는 자체 열에 의해 보조연료없이 폐기물을 연소시킬 수 있는 복합형 소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산업폐기물 또는 생활폐기물과 분리해서 연소시킬 수 있는 복합형 소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기물 소각에 따른 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복합형 소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합형 소각장치는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저온에서 연소시키는 건류기와, 상기 건류기에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수단과, 상기 건류기의 1차 연소공기 공급수단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탱크와, 상기 냉각수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건류기의 1차 연소공기 공급수단에 공급하는 냉각수펌프와, 상기 건류기에서 배출되는 건류가스를 받아 제3 점화버너에 의해 화염을 생성하여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과 혼합해서 연소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킬른과, 상기 킬른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를 10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온하여 미연소가스를 고온열분해하여 무색·무취의 열풍가스로 고온열분해하는 고온열분해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합형 소각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류기에 설치되는 1차연소공기공급수단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Ⅲ-Ⅲ을 따라 취한 건류기의 하부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온 열분해실을 킬른측에서 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건류기 101a,101b : 화염투입구
102 : 외벽층 104 : 단열층
106 : 내화층 107 : 탑캡
109a,109b : 제1 및 제2 점화버너 110 : 지지구조물
113 : 안전밸브 116 : 냉각수 공급관
120 : 냉각수 분출수단 130 : 건류가스 배출구
139 : 냉각수펌프 141 : 제1 공기공급팬
142 : 노즐 143 : 공기공급관
144 : 밸브 145 : 에어탱크
146a, 146b : 냉각수 공급관 148a, 148b : 냉각수 배출관
149 : 냉각수 탱크 150 : 에쉬배출수단
151 : 애쉬배출 스크레이퍼 153 : 스크레이퍼 구동모터
154 : 감속기 155 : 에쉬토출구
200 : 폐기물투입수단 202 : 호퍼
204 : 소각물수용통체 206 : 실린더
300 : 킬른 301 : 동체부
302 : 도입구 304 : 제2 공기공급팬
306 : 경유탱크 308 : 제3 점화버너
310 : 폐기물 투입구 311 : 제3 공기공급팬
312 : 종동기어 313 : 감속기어
314a, 314b : 타이어 315 : 동체구동모터
317a, 317b : 지지롤러 320 : 외벽층
322 : 단열층 324 : 내화층
400 : 고온열분해실 402 : 화격자
403 : 2차연소용 공기공급팬 404 : 스크류 콘베이어
406 : 보조점화버너 407 : 에쉬배출구
408 : 폐유저장탱크 410 : 폐유연소버너
412 : 안전밸브 414 : 맨홀
416 : 열풍배출구 420 : 외벽층
422 : 단열층 424 : 내화층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합형 소각장치의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건류기에 설치되는 1차연소공기 공급수단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화살표Ⅲ-Ⅲ을 따라 취한 건류기의 하부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고온 열분해실을 킬른측에서 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합형 소각장치에 있어서, 건류기(100)는 지지용 구조물(110)상에 설치되어서 폐기물 투입수단(200)에 의해 투입되는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저온에서 연소시키는 원통형상의 것으로써, 상기 건류기(100)의 벽체는 철판재질의 외벽층(102)과, 상기 외벽층(102)의 내주면에 설치되어서 폐기물의 연소시에 발생된 열의 방열을 차단하는 단열층(104)과, 상기 단열층(104)내에 조적되어 있는 내화층(1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104)은 단열재질 또는 단열벽돌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내화층(106)은 내화재질 또는 내화벽돌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건류기(100)는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탑캡(107)과, 폐기물 투입수단(200)에 의해 투입되는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저온에서 연소시키도록 상기 폐기물에 화염투입구(101a,101b)를 통해서 화염을 인가하는 제1 및 제2 점화버너(109a)(109b)와, 상기 폐기물의 연소시에 필요한 1차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1차 연소공기 공급수단(140)과, 상기 제1 및 제2 점화버너(109a)(109b)에 의해 인가되는 화염에 의해 폐기물이 연소될 때, 발생하는 화력에 의해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이상 되었을 경우에 개방되는 압력조절용 안전밸브(113)와, 폐기물의 연소에 따라 내부의 온도가 일정온도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냉각수 공급관(116)을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를 분출하는 다수개의 냉각수 분출수단(120)과, 상기 폐기물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건류가스를 배출하는 건류가스배출구(130)와, 상기 폐기물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에쉬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쉬배출수단(150)과, 내부의 이상발생시 점검하도록 출입용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개폐도어(16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소용 1차 연소공기 공급수단(140)은 건류기(100)내에 연소용 공기를 분출하도록 분출구(142a)를 가진 노즐(142)과, 상기 노즐(142)이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용접고정되며 수평을 이루면서 지그개그 형상으로 병렬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 본의 공기공급관(143)과, 상기 다수본의 공기공급관(143)에 각각 밸브(144)를 개재하여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도록 서로 대향해서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에어탱크(145)와, 상기 한쌍의 에어탱크(145)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공급팬(141)과, 상기 다수본의 공기공급관(143)에 일정간격을 두고 외감되어서 폐기물의 연소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상기 노즐(142)이 공기공급관(143)으로 부터 탈리되지 않도록 상기 노즐(142)을 냉각시키는 한쌍의 냉각수 공급관(146a,146b)과, 상기 냉각수 공급관(146a,146b)에 냉각수 탱크(149)에 저류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는 냉각수 펌프(13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에쉬배출수단(150)은 상기 1차 연소공기 공급수단(140)의 하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에쉬배출스크레이퍼(151)와, 상기 에쉬배출스크레이퍼(15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3)와, 상기 구동모터(153)의 구동력을 감속기(154)에 의해 감속하여 상기 에쉬배출스크레이퍼(151)를 선회시켜 폐기물의 연소시에 생성되는 애쉬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쉬토출구(15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냉각수 공급관(146a,146b)은 2파트로 나누어지며, 각 파트의 냉각수 공급관(146a,146b)은 일측과 타측이 교호로 H자형상의 조인트(147)에 의해 냉각수가 지그재그로 흘러서 냉각수 배출관(148a,148b)을 통해서 흐르도록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건류기(100)에 폐기물을 투입하는 폐기물 투입수단(200)은 호퍼(202)와, 상기 호퍼(202)를 통해 도입되는 폐기물을 수집하는 소각물수용통체(204)와, 상기 소각물수용통체(204)내에 수집된 폐기물을 도시하지 않은 압압판에 의해 압압하면서 가이드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상기 건류기(100)에 투입하는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슬라이딩가능하게 내설된 실린더(206)을 구비하고 있다.
킬른(300)은 회전하면서 상기 건류기(100)에서 배출되는 미연소가스를 받아 완전연소시킴과 동시에, 합성수지, 폐품 등의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을 완전연소시키는 것으로써, 상기 킬른(300)은 상기 건류기(100)의 건류가스배출구(130)에서 배출되는 건류가스를 밸브(355)를 통해서 받는 도입구(302)와, 상기 도입구(302)로 도입되는 건류가스를 연소시키도록 2차 연소가스를 공급하는 제2 공기 공급팬(304)과, 상기 제2 공기 공급팬(304)에 의해 도입되는 연소용 공기와 함께 경유저장탱크(306)로 부터 분출되는 경유를 연소시켜서 화염을 형성하는 제3 점화버너(308)와, 상기 제3 점화버너(308)에서 출력되는 화염에 의해 상기 도입구(302)를 통해 도입되는 미연소 건류가스를 다시 연소시킴과 동시에, 폐기물투입구(310)를 통해 도입되는 생활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을 연소시키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제3 공기공급팬(311)과, 상기 상기 도입구(302) 및 폐기물 투입구(310)의 후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도입구(302)를 통해 도입되는 미연소 건류가스를 다시 연소시킴과 동시에, 폐기물투입구(310)를 통해 도입되는 생활폐기물 및 산업폐기물을 연소시키는 원통체 형상의 동체부(301)와, 상기 동체부(30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감속기어(312)와, 상기 감속기어(31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베어링(309)과, 상기 베어링(309)을 회전시키는 감속기어(3l3)와, 상기 감속기어(313)를 구동시키는 동체부구동모터(315)와, 상기 종동기어(312) 양측 동체부외주면에 각각 설치되어서 상기 동체부(30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타이어(314a,314b)와, 상기 타이어(314)를 지지하는 한쌍의 지지롤러(317a,317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킬른(300)은 수평면에 대해 3-5℃의 경사를 유지해서 설치되는 것으로써, 그 벽체는 금속재질의 외벽층(320)과, 상기 외벽층(3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단열층(322)과, 상기 단열층(322)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화층(324)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온열분해실(400)은 킬른(300)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를 10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온하여 미연소가스를 고온열분해하여 냄새를 제거함과 동시에 다이옥신 등의 발암물질을 고온열분해하는 것으로써, 상기 고온열분해실(400)은 상기 킬른(300)에서 합성수지, 폐품등의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불완전연소된 에쉬를 받아 재연소시키는 화격자(402)와, 상기 화격자(402)상의 불완전연소된 에쉬를 재연소시키도록 2차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2차연소용 공기공급팬(403)과, 상기 화격자(402)에서 떨어지는 애쉬를 일측으로 밀어내는 스크류콘베이어(404)와, 상기 스크류콘베이어(404)로부터 밀려오는 애쉬를 외부로 배출하는 애쉬배출구(407)와, 상기 경유저장탱크(306)에서 배출되는 경유를 연소시켜서 상기 킬른(300)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와 상기 화격자(402)에서 재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배출가스를 열분해시키도록 승온하는 보조점화버너(406)와, 폐유저장탱크(408)로부터 분출되는 폐유를 연소시켜서 상기 킬른(300)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와 화격자(402)에서 재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배출가스를 열분해시키도록 다시 승온시키는 폐유연소버너(410)와, 상기 보조점화버너(406)와 폐유연소버너(410)에 의해서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이상 되었을 경우에 개방되는 안전밸브(412)와, 내부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맨홀(414)과, 상기 보조점화버너(402)와 폐유연소버너(410)의 승온에 의해서 무색·무취의 열풍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열풍가스배출구(416)와, 상기 열풍가스배출구(416)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킬른(300)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와 상기 화격자(402)에서 재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배출가스가 상기 열풍가스배출구(416)로 직접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칸막이벽(41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고온열분해실(400)의 벽체는 금속재질의 외벽층(420)과, 상기 외벽층(420)의 내측에 설치되는 단열층(422)과, 상기 단열층(422)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화층(424)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합형 소각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폐기물투입수단(200)의 호퍼(202)를 통하여 소각할 폐기물을 소각물수용통체(204)내에 투입하면, 유압작용에 의해 상기 실린더(206)내의 피스톤(도시하지 않음)이 전진하면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파이프를 통해 소각용 폐기물이 상기 건류기(100)에 투입되어 냉각수 공급관(146a,146b) 및 노즐(142)의 상부에 쌓인다.
이와 같이 해서 건류기(100)내에 소각할 폐기물이 일정량이상 쌓이면, 폐기물 투입을 중단한 다음, 각각의 에어탱크(145)와 공기공급관(143)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밸브(144)를 개방함과 동시에, 냉각수펌프(139) 및 제1 공기공급팬(141)을 가동시킨다.
이때, 각각의 공기공급관(143)에는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므로, 상기 공기공급관(14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노졸(142)로부터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공기공급관(143)에 외감되어 있는 냉각수 공급관(146a,146b)에는 폐기물의 연소에 따른 열에 의해 노즐(142)의 용접부분이 녹지않도록 냉각수가 순환된다. 상기 냉각수 공급관(146a,146b)은 건류기(100)의 평면적을 대체로 2분할하여 중심 냉각수 공급관(146a,146b)에 냉각수가 공급된 다음, 건류기(100)의 내화벽돌층(106)측으로 흐르므로, 냉각효율이 양호하여 공기공급관(143)에 용접되어 있는 노즐(142)이 폐기물의 연소에 따른 열에 의해 탈리할 염려가 없다.
다음에, 제1 및 제2 점화버너(109a,109b)에 의해 화염투입구(101a,101b)를 통해서 상기 냉각수 공급관(146a,146b) 및 노즐(142)의 소각용 폐기물에 화염을 착화시킨다. 상기 소각용 폐기물이 소각됨에 따라 건류기(100)에 발생한 건류가스가 건류가스 배출구(130) 및 밸브(355)를 거쳐 킬른(300)의 도입구(302)에 도입되기 시작하면, 제2 공기공급팬(304)을 구동시켜서 2차연소용 공기를 상기 도입구(302)에 공급함과 동시에, 경유탱크(306)의 경유를 제3 점화버너(308)에 의해 연소시킴으로써, 화염이 발생하며, 이 화염을 상기 도입구(302)에 분출시킴으로써, 상기 건류기(100)의 건류가스 배출구(130)에서 배출되는 건류가스를 다시 연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폐기물투입구(310)로 투입되는 산업폐기물 및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생활폐기물을 킬른(3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온열분해실(400)측으로 흘러내리게 하면서 연소시킨다.
상기 킬른(300)은 3°내지 5°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전하므로 산업폐기물 및 수분을 다량 함유하는 생활폐기물을 용이하게 고효율로 소각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킬른(300)은 동체부구동모터(315)의 구동에 따라 그 구동력이 감속기(313) 및 한쌍의 지지롤러(317b)를 개재해서 종동기어(312)를 회전시킴으로써, 킬른(300)의 동체부(301)가 회전된다.
이때, 상기 동체부(301)의 외주면, 즉 상기 종동기어(312)의 좌우측에는 상기 동체부(301)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한쌍의 타이어(314a,314b)가 지지롤러(317a,317b)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으므로 원활하게 회전된다.
다음에, 상기 킬른(3C10)에서 합성수지, 폐품등의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불완전연소된 애쉬는 2차연소용 공기공급팬(403)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화격자(402)에서 재연소되며, 상기 킬른(300)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와 상기 화격자(402)에서 재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배출가스는 경유를 연소시키는 보조점화버너(406)와 폐유를 연소시키는 폐유연소버너(410)에 의해 10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열되어서 미연소가스를 열분해하여 냄새를 제거함은 물론, 다이윽신 등의 발암물질을 분해시킨다.
이와 같이 고온열분해된 무색·무취의 열풍가스는 칸막이벽(418)의 안내를 받아 열풍가스배출구(416)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설명에서, 상기 보조점화버너(406)와 폐유연소버너(410)의 가열에 의해 고온열분해실(400)의 내부압력이 일정압력이상 되었을 경우에는 안전밸브(412)가 상기 압력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격자(402)는 킬른(300)에서 합성수지, 폐품등의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불완전연소된 애쉬를 받아 재연소시키고, 상기 킬른(300) 및 화격자(402)에서 합성수지, 폐품등의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애쉬는 상기 화격자(402)에서 떨어져서 스크류콘베이어(404)에 의해 한쪽으로 밀려서 애쉬배출구(407)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고온열분해실(400)내에 트러블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벽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맨홀(414)중 어느하나의 맨홀(414)을 통해서 내부로 들어가서 보수·유지를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복합형 소각장치는 폐기물투입구(310)로 부터 도입되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생활폐기물을 착화시킨 후에는 건류기(100)에 발생된 자체 열에 의해 보조연료없이 폐기물을 연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산업폐기물 또는 생활폐기물과 분리해서 연소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형 소각장치에 의하면,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저온에서 연소시키는 건류기와, 상기 건류기에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수단과, 상기 건류기의 1차 연소공기 공급수단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탱크와, 상기 냉각수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건류기의 1차 연소공기 공급수단에 공급하는 냉각수펌프와, 상기 건류기에서 배출되는 건류가스를 받아 제3 점화버너에 의해 화염을 생성하여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과 혼합해서 연소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킬른과, 상기 킬른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를 10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온하여 미연소가스를 고온열분해하여 무색·무취의 열풍가스로 고온열분해하는 고온열분해실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폐기물투입구로부터 도입되는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생활폐기물을 착화시킨 후에는 건류기에 발생된 자체 열에 의해 보조연료없이 폐기물을 연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산업폐기물 또는 생활폐기물과 분리해서 연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킬른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와 상기 화격자에서 재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배출가스는 경유를 연소시키는 보조점화버너와 폐유를 연소시키는 폐유연소버너에 의해 10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열되어서 미연소가스를 열분해하여 냄새를 제거함은 물론, 다이옥신 등의 발암물질을 분해시킨 무색·무취의 열풍가스를 칸막이벽의 안내를 받아 열풍가스배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폐기물 소각에 따른 공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저온에서 연소시키는 건류기와, 상기 건류기에 폐합성 고분자 화합물계 폐기물을 투입하는 투입수단과, 상기 건류기의 1차연소공기 공급수단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저장하는 냉각수 탱크와, 상기 냉각수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냉각수를 펌핑하여 건류기의 1차 연소공기 공급수단에 공급하는 냉각수펌프와, 상기 건류기에서 배출되는 건류가스를 받아 제3 점화버너에 의해 화염을 생성하여 생활폐기물, 산업폐기물과 혼합해서 연소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킬른과, 상기 킬른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를 1000℃ 내지 1200℃의 온도로 가온하여 미연소가스를 고온열분해하여 무색·무취의 열풍가스로 고온열분해하는 고온열분해실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소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열분해실은 상기 킬른에서 폐기물의 연소에 따라 생성되는 불완전연소된 애쉬를 받아 재연소시키는 화격자와, 상기 화격자상의 불완전연소된 애쉬를 재연소시키도록 2차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2차연소용 공기공급팬과, 상기 화격자에서 떨어지는 애쉬를 일측으로 밀어내는 스크류콘베이어와, 상기 스크류콘베이어로부터 밀려오는 애쉬를 외부로 배출하는 애쉬배출구와, 상기 경유저장탱크에서 배출되는 경유를 연소시켜서 상기 킬른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와 상기 화격자에서 재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배출가스를 열분해시키도록 승온하는 보조점화버너와, 폐유저장탱크로부터 분출되는 폐유를 연소시켜서 상기 킬른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와 화격자에서 재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배출가스를 열분해시키도록 다시 승온시키는 폐유연소버너와, 상기 보조점화버너와 폐유연소버너에 의해서 내부의 압력이 일정압력이상 되었을 경우에 개방되는 안전밸브와, 내부를 유지·보수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맨홀과, 상기 보조점화버너와 폐유연소버너의 승온에 의해서 무색·무취의 열풍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열풍가스배출구와, 상기 열풍가스배출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킬른에서 배출되는 800℃의 배출가스와 상기 화격자에서 재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배출가스가 상기 열풍가스배출구로 직접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칸막이벽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소각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킬른은 수평면에 대해 3-5℃의 경사를 유지해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그 벽체는 금속재질의 외벽층과, 상기 외벽층의 내측에 설치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화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소각장치.
KR1019970015386A 1997-04-24 1997-04-24 복합형 소각장치 KR100230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386A KR100230188B1 (ko) 1997-04-24 1997-04-24 복합형 소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5386A KR100230188B1 (ko) 1997-04-24 1997-04-24 복합형 소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020A true KR19980078020A (ko) 1998-11-16
KR100230188B1 KR100230188B1 (ko) 1999-11-15

Family

ID=1950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5386A KR100230188B1 (ko) 1997-04-24 1997-04-24 복합형 소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1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339A (ko) * 2002-04-26 2003-11-01 김진택 폐기물 고온소각 및 고분자 폐기물 정류시스템
KR100844106B1 (ko) * 2007-11-15 2008-07-04 주식회사 에너텍 로터리 킬른식 금속산화물 환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078B1 (ko) * 2009-08-10 2012-08-03 더블유비엠과학기술 주식회사 내구성 연료 받침부를 갖는 가스 발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4339A (ko) * 2002-04-26 2003-11-01 김진택 폐기물 고온소각 및 고분자 폐기물 정류시스템
KR100844106B1 (ko) * 2007-11-15 2008-07-04 주식회사 에너텍 로터리 킬른식 금속산화물 환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0188B1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814B1 (ko) 모든 가연성 물질을 초 고온, 고속으로 연소시키는 연소방법
KR20110137915A (ko) 비산재 분리 기능을 갖는 원심형 연속 연소장치
KR100917928B1 (ko) 쌍방향 투입 연소 복합형 소각로
KR100510378B1 (ko) 폐고무 가공 고형연료를 사용하는 하향식 다단 연소장치
KR100230188B1 (ko) 복합형 소각장치
KR100217005B1 (ko) 복합형 소각장치
KR100339484B1 (ko) 로터리 킬른 소각 시스템
KR102270907B1 (ko) 쓰레기의 열분해 소각로 및 이와 연계된 발전시스템
KR200408326Y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102046329B1 (ko) 온수 및 열풍용 소각 장치
KR100217004B1 (ko) 건류소각장치
KR101282581B1 (ko) 폐기물 고형연료를 이용한 보일러의 연소장치
KR20080000207A (ko) 동물 사체 및 폐목 소각 시설
KR100924288B1 (ko) 로터리 킬른을 구비한 선회화염 연소로
KR20020019359A (ko) 가연성쓰레기의 소각열을 이용하는 소각장치
KR101125257B1 (ko) 폐기물 열분해 가스화 소각장치
KR100666043B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19990085244A (ko) 열분해식 폐기물 소각장치 및 그 방법
JP3287655B2 (ja) 可燃性廃棄物の処理装置
KR0176990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960007914Y1 (ko) 2중 소각장치를 갖는 폐기물 소각로
KR0153406B1 (ko) 폐기물 소각 방법 및 장치
KR102069837B1 (ko) 고온 열분해 소각로
KR200197674Y1 (ko) 브라운가스를 이용한 폐기물 용융, 탄화 처리설비
KR20040009944A (ko) 폐기물 소각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