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7575A -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 알림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 알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7575A
KR19980077575A KR1019970014744A KR19970014744A KR19980077575A KR 19980077575 A KR19980077575 A KR 19980077575A KR 1019970014744 A KR1019970014744 A KR 1019970014744A KR 19970014744 A KR19970014744 A KR 19970014744A KR 19980077575 A KR19980077575 A KR 19980077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ss
subscriber
telephone number
alarm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장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4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7575A/ko
Publication of KR19980077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575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 알림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 호출기가 분실되었을 때 습득자가 연락할 수 있도록 분실을 알리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가입자 전화번호와, 분실을 알리는 특정경보음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분실 알림신호인지를 판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정 결과 분실 알림신호이면 상기 특정경보음 데이터에 의해 특정경보음을 송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을 알리는 데 이용.

Description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 알림방법
본 발명은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을 알리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무선 호출기가 많이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무선 호출기를 분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종래에는 무선 호출기를 분실하면 가입자는 숫자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전화번호를 호출한 후 습득자로부터 연락이 오기까지 기다렸다. 그런데 습득자는 무선 호출기에 상기 전화번호가 수신되어도 가입자로부터 온 것인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연락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호출기가 분실되었을 때 습득자가 연락할 수 있도록 분실을 알리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호출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실 알림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호출기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라 무선 호출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는 타이머를 구비한다. 메모리(11)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호출기의 수행 프로그램과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메모리(11)는 특정경보음데이터을 포함하여 각종 경보음데이터들과, 가입자 전화번호와, 각종 표시데이터들을 저장한다. 키입력부(12)는 다수의 키들로 이루어지고 외부 조작에 의해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상기 키들로는 각종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설정키와, 모드 선택키와, 수신 저장중인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리드키 등을 예로 들 수 있을 것이다. 표시부(13)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로서, 제어부(10)에서 표시데이터를 받아 표시한다. 경보부(16)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메시지 수신시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경보부(16)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스피커와, 진동신호를 발생하는 진동모터로 이루어진다. 수신부(14)는 안테나(15)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받아 복조하여 제어부(1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0)는 경보부(16)를 제어하여 경보를 울리고, 표시부(13)에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화번호 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 1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입자는 전화번호설정모드를 이용하기 위해 먼저 모드설정키를 조작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화번호설정모드는 가입자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저장하는 모드이다. 그러면 제2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모드설정키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21단계에서 제1표시데이터를 메모리(11)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3)로 보내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표시데이터는 전화번호설정모드를 비롯한 알람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알람모드 등 무선 호출기에서 제공하는 각종 모드의 명칭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가입자는 상기 제1표시데이터를 보고 키조작을 통해 전화번호설정모드를 선택할 것이다. 그러면 제22단계에서 제어부(10)는 선택된 모드가 전화번호설정모드로 판정되면 제23단계에서 메모리에서 가입자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표시부(13)로 보내 표시한다. 그러면 가입자는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보고 키조작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전화번호로 가입자 전화번호를 다시 설정할 것이다. 그러면 제24단계에서 제어부(10)는 가입자 전화번호 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제25단계에서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실 알림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 1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입자는 무선 호출기를 분실하면 전화를 걸어 무선 호출기를 호출할 것이다. 그러면 안테나(15)를 통해 호출신호가 수신되어 수신부(14)에서 복조되어 제어부(10)로 입력된다. 제30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제31단계에서 상기 호출신호가 분실 알림신호인지를 판정한다. 여기서 상기 분실 알림신호는 분실을 알리기 위해 설정된 키데이터로서, 0나 ##와 같이 여러 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31단계의 판정 결과 분실 알림신호이면 제32단계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11)에서 특정경보음 데이터를 독출하여 경보부(16)로 보내 특정경보음을 송출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경보음은 분실을 알리는 경보음이다. 그런 후에 제33단계에서 제어부(10)는 제1표시데이터를 메모리(11)에서 독출하여 표시부(13)로 보내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표시데이터는 가입자 전화번호이다. 그러면 습득자는 경보음을 차단하기 인해 키를 조작할 것이다. 그러면 제34단계에서 제어부(10)는 상기 키의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35단계에서 제2표시데이터를 메모리(11)에서 독출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표시데이터는 여러 가지로 응용이 가능하며, 일 예로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와 빨리 연락을 해달라는 의미를 가지는 특수기호나 그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표시데이터는 Call Please와 같이 문자로 만들 수도 있다. 그런 후에 제36단계에서 제어부(10)는 타이밍하여 일정시간이 되면 제37단계에서 경보부(16)를 제어하여 특정경보음을 차단한다.
상기한 도 2와 상기한 도 3과 같이 분실을 알리는 방법외에도 여러 가지로 응용이 가능하다. 다른 실시 예를 들면 상기한 도 2의 과정과 같이 무선 호출기를 이용하여 가입자 전화번호를 저장하지 않고 가입자가 호출할 때 가입자 전화번호와 분실 알림신호를 같이 수신한다. 그러면 무선 호출기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분실 알림신호이면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런 후 특정경보음을 송출하는 단계부터는 상기한 도 3의 단계를 그대로 수행한다.
또 다른 실시 예는 상기한 도 3의 단계중에서 특정경보음 대신에 진동모드나 경보음모드와 같이 종래의 설정된 모드를 수행하고 나머지 단계는 그대로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호출기를 분실한 경우 적극적으로 습득자에게 분실을 알릴 수 있다.

Claims (6)

  1. 가입자 전화번호와, 분실을 알리는 특정경보음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분실 알림신호인지를 판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정 결과 분실 알림신호이면 상기 특정경보음 데이터에 의해 특정경보음을 송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을 수행한 후 일정시간이 되면 상기 특정경보음을 차단하는 제4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을 수행한 후 키데이터가 입력되면 분실을 알리고 연락을 요구하는 제3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3-1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분실을 알리는 특정경보음 데이터를 저장한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호출기에서 가입자 전화번호와 분실 알림신호로 이루어진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분실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분실 알림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정 결과 분실 알림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호출신호에 포함된 가입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특정경보음을 송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분실을 알리고 연락을 요구하는 제3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호출기에서 가입자 전화번호와 분실 알림신호로 이루어진 호출신호를 수신하여 분실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분실 알림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정 결과 분실 알림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면 상기 호출신호에 포함된 가입자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한 후 설정된 모드가 진동모드이면 진동모드를 수행하고, 경보음모드이면 경보음을 송출한 후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3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가입자 전화번호와, 분실을 알리고 연락을 요구하는 제3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을 알리는 방법에 있어서,
    호출신호가 수신되면 분실 알림신호인지를 판정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의 판정 결과 분실 알림신호이면 상기 설정된 모드에 의해 경보음을 송출하거나 진동모드를 수행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가입자 전화번호를 표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3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14744A 1997-04-21 1997-04-21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 알림방법 KR19980077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744A KR19980077575A (ko) 1997-04-21 1997-04-21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 알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744A KR19980077575A (ko) 1997-04-21 1997-04-21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 알림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575A true KR19980077575A (ko) 1998-11-16

Family

ID=65954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744A KR19980077575A (ko) 1997-04-21 1997-04-21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 알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75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707A (ko) * 1997-07-25 1999-02-18 윤종용 무선단말기에서 진동모드 자동 해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1707A (ko) * 1997-07-25 1999-02-18 윤종용 무선단말기에서 진동모드 자동 해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8002B1 (ko) 수신 메시지의 표시 방법 및 장치
JP3039619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及びそのメッセージ表示方法
JP2010252373A (ja) 履歴ベースの報知を備えた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
KR19980013929A (ko) 페이저 수신기 분실시 위치알림 및 연락처 알림방법
KR20010046956A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발신측 사용자 알림 방법
KR19980077575A (ko) 무선 호출기에서 분실 알림방법
US5734331A (en) Input control for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KR2002009325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설정방법
KR100827084B1 (ko) 매너모드에서 알람모드로 자동으로 전환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
KR100277060B1 (ko) 전화 단말 장치의 다이얼 안내 메시지 제공 방법
KR20000044488A (ko) 휴대전화기의 착신링 발생 방법
RU2127947C1 (ru) Способ срочной передачи ответного сообщения в пейджере с двусторонней связью
US6191702B1 (en) Data display radio pager
KR100237441B1 (ko) 무선호출기에서 수신메시지 표시방법
KR0140497B1 (ko) 무선호출기에서 특정 발신자 전화번호에 대한 특정 알람기능 구현 방법
KR100341989B1 (ko) 표시장치에서 알람아이콘의 알람시간 표시방법
KR100263075B1 (ko) 무선호출기의 메시지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566267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형태에 따른 착신음 발생방법
JPH0417419A (ja) 無線通信端末装置
JP2833997B2 (ja) 無線呼出端末装置
KR20000011552U (ko) 진동 모드에서 전화벨 모드로 자동 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통신기기
JPH11187460A (ja) 携帯端末からの呼出方式
KR100294046B1 (ko) 무선호출기의미수신메시지알림방법
KR2003001199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알람 표시 방법
KR20000020739A (ko) 개인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선택시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