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4264A - 모양정보 부호화시 초기 근사 정점 고속 탐색 방법 - Google Patents

모양정보 부호화시 초기 근사 정점 고속 탐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4264A
KR19980074264A KR1019970010001A KR19970010001A KR19980074264A KR 19980074264 A KR19980074264 A KR 19980074264A KR 1019970010001 A KR1019970010001 A KR 1019970010001A KR 19970010001 A KR19970010001 A KR 19970010001A KR 19980074264 A KR19980074264 A KR 19980074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our
max
vertex
pixel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6598B1 (ko
Inventor
이진학
김재균
박철수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10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598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598B1/ko

Links

Landscapes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초기 근사 정점을 얻기 위해 윤곽선 내부 영역의 무게 중심을 사용함으로써 초기 근사 정점을 고속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한 모양정보 부호화시 초기 근사 정점 고속 탐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모양을 갖는 물체의 윤곽선을 근사화하기 위한 초기 근사 정점을 얻기 위해 윤곽선 화소들로 구성되는 영역의 무게 중심을 구하고, 구해진 무게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구하며, 구해진 윤곽선 화소에서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구하여 2개의 초기 근사 정점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모양정보 부호화시 초기 근사 정점 고속 탐색 방법
본 발명은 모양정보 부호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초기 근사 정점을 얻기 위해 윤곽선 내부 영역의 무게 중심을 사용함으로써 초기 근사 정점을 고속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한 모양정보 부호화시 초기 근사 정점 고속 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모양을 갖는 물체의 윤곽선을 근사화하기 위해 초기 근사 정점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도 1 내지 도 3은 물체 윤곽선 부호화 방법 중의 하나인 인터액티브 앤드-포인트 피트(Interative End-point Fits)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폐 루프의 경우 윤곽선에서 거리가 가장 먼 2개의 윤곽선 화소 A, B를 나타낸다.
이렇게 거리가 가장 먼 2개의 윤곽선 화소가 얻어지면 2개의 윤곽선 화소를 기준으로 원래의 윤곽선을 2개의 윤곽선으로 구분한다.
도 2는 2개의 윤곽선으로 나누어진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이와 같이 2개의 윤곽선으로 나누어지면 각 윤곽선에 대해서 윤곽선을 근사화하기 위한 근사 정점을 찾는다.
2개의 윤곽선중 첫 번째 윤곽선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근사 정점을 찾으며, 두 번째 윤곽선은 첫 번째 윤곽선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도 3은 첫 번째 윤곽선을 근사화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1단계로 윤곽선의 각 화소의 정점 A와 정점 B 사이의 직선과의 거리를 구하여 가장 큰 거리(dmax)가 임계치보다 큰 경우, 가장 큰 거리(dmax)를 갖는 화소를 새로운 정점 C로 선택한다.
2단계로 정점 A와 정점 C를 잇는 직선을 그은 후, 1단계와 같이 윤곽선의 각 화소와 직선과의 거리를 구하여 가장 큰 거리(dmax)가 임계치보다 큰지를 확인한다.
만일 임계치보다 작으면 정점을 만들지 않으며, 임계치보다 크면 정점을 만들고, 1단계와 같은 작업을 한다.
마찬가지로 정점 C와 정점 B 사이에 직선을 긋고 윤곽선의 각 화소와 직선과의 거리를 구하여 가장 큰 거리(dmax)가 임계치보다 큰지를 확인한 후, 앞의 방법과 같이 수행한다.
이와 같이 계속 반복하여 각 정점 사이를 잇는 직선과 윤곽선의 화소 사이의 최대 거리가 임계치를 넘지 않을 경우 더 이상 정점을 만들지 않고 근사화 과정을 마친다.
이와 같이 근사 정점을 찾는 경우 먼저 윤곽선 화소와 윤곽선 화소 사이에 거리가 가장 먼 2개의 윤곽선 화소를 선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통상 거리가 가장 먼 2개의 윤곽선 화소를 찾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즉, 도 4에서 볼 때 초기 윤곽선 화소(1번째 윤곽선 화소)에서 가장 먼 거리의 윤곽선 화소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1번째 윤곽선 화소와 나머지 화소와의 거리를 구하고, 그 중 거리가 가장 먼 화소를 선택한다.
다음에 2번째 화소와 나머지 윤곽선 화소와의 거리를 구하고, 그 중 가장 거리가 먼 화소를 선택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N번째 윤곽선 화소까지 반복하여 각 윤곽선 화소에서 가장 거리가 먼 화소들을 구하여 짝을 만들면 N개의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짝이 만들어진다.
다시 N개의 짝 중에서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짝을 선택하면 최종적으로 가장 먼 거리를 갖는 2개의 윤곽선 화소가 얻어진다.
이를 4단계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1 : i = 1, nmax= 0, Dmax= 0
j = 1, dmax[i] = 0,
단계 2 :
if(d[j]dmax[i]) c[i] = j; dmax[i] = d[j];
if(j=N), 단계 2로 가고 아니면 단계 3으로 간다
j=j+1;
단계 3 : if(dmax[i]Dmax) Smax= i, Emax= c[i]
if(i=N), 단계 2로 가고, 아니면 단계 4로 간다.
i=i+1;
단계 4 : 가장 먼 거리를 갖는 2 윤곽선 화소 = Smax, Emax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거리가 가장 먼 2개의 윤곽선 화소를 선택하여 초기 근사 정점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많은 계산량이 필요하여 초기 속도가 늦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임의의 모양을 갖는 물체의 윤곽선을 근사화하기 위해 초기 근사 정점을 찾을 때 고속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모양정보 부호화시 초기 근사 정점 고속 탐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의의 모양을 갖는 물체의 윤곽선을 근사화하기 위해 초기 근사 정점을 찾을 때 고속으로 찾기 위하여 윤곽선 화소들로 구성되는 영역의 무게 중심을 구하고, 구해진 무게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구한 후 구해진 윤곽선 화소에서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구하여 2개의 초기 근사 정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폐 루프의 윤곽선 화소들 중 가장 거리가 먼 2개의 윤곽선 화소를 연결한 도면.
도 2는 종래 가장 자리가 먼 2개의 윤곽선 화소를 기준으로 2개의 윤곽선으로 나눈 도면.
도 3은 종래 물체 윤곽선 근사화 방법중의 하나인 인터액티브 앤드-포인트 피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 1번째 윤곽선 화소부터 N번째 윤곽선 화소까지 표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폐 루프를 갖는 윤곽선의 무게 중심과 무게 중심으로부터 최대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 및 그 윤곽선 화소로부터 최대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표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 모양정보 부호화시 초기 근사 정점 고속 탐색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윤곽선 화소들로 구성된 영역의 무게 중심(centroid)을 구하고 다음에 무게 중심에서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구하며 다시 구해진 윤곽선 화소에서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구한다.
이렇게 얻어진 2개의 윤곽선 화소를 사용하여 윤곽선를 근사화하기 위한 초기 근사 정점으로 사용한다.
도 4에서 1번째 윤곽선 화소부터 N번째 윤곽선 화소까지의 모든 윤곽선 화소로부터 무게 중심을 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무게 중심의 좌표(xcentroid, ycentroid)가 얻어지면 1번째 윤곽선 화소부터 N번째 윤곽선 화소까지의 모든 윤곽선 화소로부터 무게 중심에서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구한다.
구해진 화소는 첫 번째 윤곽선 화소(Smax)로 선택된다.
이렇게 얻어진 윤곽선 화소로부터 다시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선택한다.
구해진 화소는 초기 근사 정점으로 사용되는 2개의 윤곽선 화소중 두 번째 윤곽선 화소(Emax)로 선택된다.
도 5의 (1)는 무게 중심의 위치를 나타내며, (2)는 무게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 B를 나타낸다.
(3)은 윤곽선 화소 B로부터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 A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4단계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1 :
i = 1, max = 0,
단계 2 :
if(dmax) Smax= i;
i = 1, max = 0,
단계 3 :
if(dmax) Emax= i;
단계 4 : 2개의 초기 근사 정점 = Smax, Emax
이상,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의 모양을 갖는 물체의 윤곽선을 근사화하기 위해 2개의 초기 근사 정점을 찾을 때 윤곽선 내부 영역의 무게 중심을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방법에 비해 계산량을 대폭 감소시켜 윤곽선 근사화 정점을 찾는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임의의 모양을 갖는 물체의 윤곽선을 근사화하기 위한 초기 근사 정점을 얻기 위해 윤곽선 화소들로 구성되는 영역의 무게 중심을 구하는 단계와, 구해진 무게 중심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구하는 단계와, 구해진 윤곽선 화소에서 가장 먼 거리를 갖는 윤곽선 화소를 구하여 2개의 초기 근사 정점으로 사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정보 부호화시 초기 근사 정점 고속 탐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중심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수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정보 부호화시 초기 근사 정점 고속 탐색 방법.
  3. 임의의 모양을 갖는 물체의 윤곽선을 근사화하기 위한 2개의 초기 근사 정점 Smax, Emax를 구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양정보 부호화시 초기 근사 정점 고속 탐색 방법.
    단계 1 :
    i = 1, max = 0,
    단계 2 :
    if(dmax) Smax= i;
    i = 1, max = 0,
    단계 3 :
    if(dmax) Emax= i;
    단계 4 : 2개의 초기 근사 정점 = Smax, Emax
KR1019970010001A 1997-03-22 1997-03-22 모양정보부호화시초기근사정점고속탐색방법 KR100466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001A KR100466598B1 (ko) 1997-03-22 1997-03-22 모양정보부호화시초기근사정점고속탐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001A KR100466598B1 (ko) 1997-03-22 1997-03-22 모양정보부호화시초기근사정점고속탐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264A true KR19980074264A (ko) 1998-11-05
KR100466598B1 KR100466598B1 (ko) 2005-04-08

Family

ID=37302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001A KR100466598B1 (ko) 1997-03-22 1997-03-22 모양정보부호화시초기근사정점고속탐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33B1 (ko) * 2009-10-14 2011-05-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징값 정제를 통한 모양 기술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533B1 (ko) * 2009-10-14 2011-05-04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특징값 정제를 통한 모양 기술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6598B1 (ko) 200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1757B2 (en) Rendering views of a scene in a graphics processing unit
US71266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block mode triangle rendering
JPH06223201A (ja) 並列画像生成装置
JP2001519065A (ja) 画像の色を変え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3486894B (zh) 一种卫星图像特征部件语义分割方法
US8929587B2 (en) Multi-tracking of video objects
CN109448093B (zh) 一种风格图像生成方法及装置
WO1991019273A1 (e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for thinning alphanumeric characters
KR100466598B1 (ko) 모양정보부호화시초기근사정점고속탐색방법
JP2000331156A (ja) 輪郭に沿うトラッカを自動的に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910006882A (ko) 디지탈 활자체에 윤곽을 채우는 방법과 장치
US6614940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ic outline font compression
JPH07334648A (ja) 画像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102841A (ja) クリッピング処理装置、グラフィックスシステム、クリッピング処理方法及びグラフィックス方法
CN111652978A (zh) 一种网格的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1652807A (zh) 眼部的调整、直播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7578389A (zh) 平面监督的图像色彩深度信息协同修复的方法
Ntalianis et al. A feature point based scheme for unsupervised video object segmentation in stereoscopic video sequences
JP2003346177A (ja) 3角形パッチを用いたラジオシティ幾何処理方法
US7414635B1 (en) Optimized primitive filler
JP3255549B2 (ja) 図形処理方法
CN108109150B (zh) 图像分割方法、终端
CN107622517B (zh) 一种单连通的任意多边形区域填充方法及系统
JPS60128569A (ja) 図形塗りつぶし方式
Birdal et al. A novel method for vector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