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3391A -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3391A
KR19980073391A KR1019970008631A KR19970008631A KR19980073391A KR 19980073391 A KR19980073391 A KR 19980073391A KR 1019970008631 A KR1019970008631 A KR 1019970008631A KR 19970008631 A KR19970008631 A KR 19970008631A KR 19980073391 A KR19980073391 A KR 19980073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ignal
call
wireless terminal
signal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325B1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8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3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3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3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04M3/42051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where the notification is included in the ringing 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무선단말기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단말기에서 다양한 호출 신호를 송출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호출음을 입력받는 호출신호입력부와, 상기 호출신호입력부로 입력된 호출음을 저장하는 호출신호저장부와, 상기 호출신호저장부에 저장된 호출음을 송출하는 호출신호송출부와, 호출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호출신호입력부와 상기 호출신호저장부와 상기 호출신호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또한, 송신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 호출 여부를 검출하고, 발신측에서 선택한 호출음을 검출하여 상기 착신 무선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호출음을 송출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단말기에서 다양한 호출신호를 송출한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회로 및 방법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단말기에서 다양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발신단말기100과 유선교환기110과 송신기지국120과 무선단말기130으로 구성된다.
도1을 참조하여, 종래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발신단말기100은 유선교환기110을 통해 송신기지국120과 접속하여, 무선단말기130을 호출한다. 종래 무선단말기130은 보통 진동모드 또는 호출음모드로 상기 호출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종래 무선단말기130은 상기 호출음모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호출음 또는 이에 대응되는 음색을 송출한다. 이와 같이 종래 무선단말기130은 자체적으로 다양한 호출음을 저장하고 있는 단말인 경우, 상기 호출시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호출음을 송출한다. 따라서, 종래 무선단말기130은 가입자가 상기 호출음을 선택하여 변경하기 전까지는 상기 호출 여부를 알리기 위한 동일한 호출음을 송출하므로, 동일한 종류의 무선단말기를 사용하는 가입자가 많이 모여있는 경우 각자 자신의 호출 여부를 잘 파악하지 못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단말기에서 다양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단말기에서 사용자로부터 직접 호출신호를 입력받아 송출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무선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부터 다운로드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신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 호출 여부를 검출하고, 발신측에서 선택한 호출음을 검출하여 상기 착신 무선단말기로 상기 선택된 호출음을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종래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양한 호출신호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0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0는 가입자가 원하는 호출신호 또는 음악 또는 신호음에 대한 정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발신단말기100은 유선교환기110을 통해 송신기지국120과 접속하여, 무선단말기130을 호출한다. 발신단말기10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호출신호에 해당하는 코드를 입력하여, 상기 착신 무선단말기130에서 송출되기를 원하는 송출음을 선택할 수 있다. 무선단말기130은 송신기지국120으로부터 호출정보를 전송받으면, 호출음모드시 사용자가 선택한 호출음 또는 상기 발신측에서 선택한 호출음을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단말기13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서 소정 호출신호를 다운로드하여, 상기 다운로드된 호출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무선수신부300과 신호처리부310과 제어부320과 메모리330과 호출신호입력부340과 호출신호저장부350과 호출신호송출부360으로 구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무선수신부300은 안테나를 통해 송신기지국120에서 전송하는 RF신호를 수신하여 신호처리부310으로 전달한다. 신호처리부310은 무선수신부300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20으로 전달한다. 제어부320은 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디지털신호로 호출 여부를 검출한다. 메모리330은 제어부320의 제어동작에 따른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호출신호입력부340은 가입자가 직접 원하는 호출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단이다. 호출신호저장부350은 호출신호입력부340으로부터 입력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호출신호를 저장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으로부터 다운로드된 호출신호를 저장한다. 호출신호송출부360은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호출 여부에 따라 호출신호저장부350에 저장된 호출신호를 송출한다. 사용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200에 유선단말기를 통해 자기가 원하는 형태의 호출신호 데이터를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호출 여부에 따라 호출신호를 송출한다.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400과정에서 제어부320은 무선수신부30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신호처리부310로부터 전달받는다. 410과정에서 제어부320은 신호처리부310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송신기지국120으로부터 호출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송신기지국120으로부터 상기 데이터에 따른 호출신호가 호출저장부35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420과정에서 제어부32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신호를 다운로드한다. 상기 전송된 데이터가 호출신호저장부350에 저장된 호출신호인 경우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신호를 다운로드하여 430과정에서 제어부320은 호출신호송출부360을 통해 상기 호출신호를 송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서 다양한 호출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므로, 가입자가 다양한 호출음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가 무선단말기에 직접 원하는 호출음을 저장하여, 송신기지국으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 상기 호출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된 호출음을 송출할 수 있다. 여러 가입자가 동시에 호출되더라도 고유의 호출음을 송출함에 따라 각기 호출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발신자가 발신시 임의의 코드를 지정하면, 상기 착신자의 무선단말기로 지정된 호출신호음을 송출할 수 있다.

Claims (6)

  1.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회로에 있어서,
    호출음을 입력받는 호출신호입력부와,
    상기 호출신호입력부로 입력된 호출음을 저장하는 호출신호저장부와,
    상기 호출신호저장부에 저장된 호출음을 송출하는 호출신호송출부와,
    호출 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호출신호입력부와 상기 호출신호저장부와 상기 호출신호송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신호 송출 회로.
  2. 다양한 호출신호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방법에 있어서,
    송신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로 호출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호출신호를 다운로드하는 과정과,
    상기 다운로드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방법.
  3. 다양한 호출음을 저장하는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측에서 선택한 코드에 대응되는 무선신호를 전송받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무선신호로 상기 저장된 호출음 중 선택된 호출음을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호출음을 송출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방법.
  4. 사용자가 단말로 입력한 호출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에 대한 호출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방법.
  5. 사용자가 유선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호출신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에 대한 호출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신호는 음성 또는 음향 또는 음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방법.
KR1019970008631A 1997-03-14 1997-03-14 무선단말기에서호출음송출장치및방법 KR10032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631A KR100326325B1 (ko) 1997-03-14 1997-03-14 무선단말기에서호출음송출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631A KR100326325B1 (ko) 1997-03-14 1997-03-14 무선단말기에서호출음송출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391A true KR19980073391A (ko) 1998-11-05
KR100326325B1 KR100326325B1 (ko) 2002-06-20

Family

ID=3747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631A KR100326325B1 (ko) 1997-03-14 1997-03-14 무선단말기에서호출음송출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63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802A (ko) * 2002-08-02 2002-09-13 (주)시스윌 대기음 발송 방법
KR100765739B1 (ko) * 2001-06-20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출자 멜로디 발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7085B1 (ko) * 2001-09-08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호진행음 송신 방법
KR101400404B1 (ko) * 2013-11-28 2014-05-27 (주)현성컨버전스 무선단말을 이용한 승강기 관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739B1 (ko) * 2001-06-20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호출자 멜로디 발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27085B1 (ko) * 2001-09-08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호진행음 송신 방법
KR20020071802A (ko) * 2002-08-02 2002-09-13 (주)시스윌 대기음 발송 방법
KR101400404B1 (ko) * 2013-11-28 2014-05-27 (주)현성컨버전스 무선단말을 이용한 승강기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26325B1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6597A (en) User programmable configuration of a telephone
KR19990046679A (ko) 호출음과화중음선택형통신기기
KR19980073391A (ko) 무선단말기에서 호출신호 송출 회로 및 방법
US6138038A (en) System for establishing an outgoing connection from terminal equipment to a data transmission system
KR20000055316A (ko) 무선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음 제공 방법 및 장치
US6208868B1 (en) Expanded communication method in cordless telephone system
US200200258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nouncing a message through a private branch exchange
US5136629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control method for shortening call response time
KR100279819B1 (ko) 교환시스템에서 통화 개시후의 다이얼을 포함하는 단축 다이얼 방법
GB2241134A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KR100268672B1 (ko) 부재중발신자정보알림장치및방법
KR100362524B1 (ko) 호출음 및 화중음 대체용 멜로디 다운로드 시스템
KR100569789B1 (ko)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357717B1 (ko) 전화기의 벨소리 변환방법
AU687673B2 (en) Multi-speed dialing method for use in key phone system
KR19980065025A (ko) 착신음 녹음이 가능한 유/무선 통신단말기
KR100424632B1 (ko) 키폰시스템에서 주야간 모드 설정 방법
KR920005048Y1 (ko) 온 후크 자동 다이얼링 장치
JP299414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590858B1 (ko) 키폰시스템의 프로그램 데이터 출력방법
KR100206306B1 (ko) 키폰시스템에서 내선전환시 음성메시지를 송출하는 방법
KR20010085640A (ko) 휴대폰 및 그 동작 방법
KR19980069407A (ko) 광역 페이저의 자동 지역 변경 방법
KR19980037077A (ko) 착신단말기의 벨음량 조절제어방법
JPH08317436A (ja) 着信音鳴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