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347A -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 Google Patents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347A
KR19980072347A KR1019970007105A KR19970007105A KR19980072347A KR 19980072347 A KR19980072347 A KR 19980072347A KR 1019970007105 A KR1019970007105 A KR 1019970007105A KR 19970007105 A KR19970007105 A KR 19970007105A KR 19980072347 A KR19980072347 A KR 19980072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current transformer
output signal
auxiliary
protectio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이기원
기인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기인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19970007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2347A/ko
Publication of KR19980072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347A/ko

Links

Landscapes

  • Transformers For Measur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통 주 변류기의 2차전류 출력신호선 및 계통 주 전압변성기의 2차전압 출력신호선을 송전선로 보호계전기의 신호선 입력 단자대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보호계전기를 이탈분리시킬 수 있고,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내에 구비된 보조 변류기 모듈 및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의 이탈분리시, 별도의 안전스위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분리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단락 및 개방될 수 있도록 한 송전선로 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의 외부에 구비된 상기 CTT(20)를 지난 상기 주변류기(10)의 2차전류 출력신호선이 결선처리되는 변류기 단자대(30)와,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의 외부에 구비된 상기 PTT(70)를 거친 상기 주 전압변성기(60)의 2차전압 출력신호선이 결선처리되는 전압변성기 단자대(30a)가 일측에 구비된 외부케이스(100); 상기 변류기 단자대(30) 및 상기 전압변성기 단자대(30a)에 결선처리되는 2차전류/전압 출력신호선들의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커넥터(110a)가 일측에 구비된 신호중계모듈(110); 및 상기 커넥터(110a)를 통해 상기 2차전류/전압 출력 신호선들에 착탈자유롭도록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20a)가 일측에 구비된 내부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보다 짧은 시간내에 송전계통 보호반으로부터 분리 및 재장착이 가능하고,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 및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 분리시 개방 및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수동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매우 유용하고 경제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본 발명은 송전선로 보호반 내에 장착되어 있는 송전선로 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통 주 변류기의 2차 전류 출력신호선 및 계통 주 전압변성기의 2차전압 출력신호선을 송전선로 보호계전기의 신호선 입력 단자대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보호계전기를 이탈분리시킬 수 있고,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내에 구비된 보조 변류기 모듈 및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의 이탈분리시, 별도의 안전스위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분리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단락 및 개방될 수 있도록 한 송전선로 보호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는, 송전선로 보호반내에 장착되어 송전선로 계통에서 생기는 전기적인 사고를 판별하고 이러한 전기적 사고를 제거함으로써, 송전계통 및 계통설비에 사고가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종래의 송전선로 보호계전기가 장착된 송전계통 보호반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선로 계통의 전류를 입력받아 2차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외부 주 변류기(10)의 2차 전류 출력신호선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전류변환기 점검단자(CTT; Current Trandsucer Test, 이하 CTT라 함)(20); 송전선로 계통의 전압을 입력받아 2차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외부 주 전압변성기(60)의 2차전압 출력신호선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전압변환기 점검단자(PTT; Potential Transducer Test, 이하 PTT라 함)(70); 상기 CTT(20)를 거친 상기 주변류기(10)의 2차전류 출력신호선이 결선처리되는 변류기 단자대(30); 상기 PTT(70)를 거친 상기 주 전압변성기(60)의 2차전압 출력신호선이 결선처리되는 전압변성기 단자대(30a); 상기 변류기 단자대(30)를 통해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주 변류기(10)의 2차전류 출력을 입력받아 보다 낮은 전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조 변류기 모듈(50); 상기 전압변성기 단자대(30a)를 통해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 내부로 인입된, 상기 주 전압변성기(60)의 2차전압 출력을 입력받아 보다 낮은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 상기 변류기 단자대(30)를 지나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로 연결되는 상기 주 변류기(10) 2차전류 출력신호선 양단간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개방방지 수동스위치(40); 및 상기 전압변성기 단자대(30a)를 지나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로 연결되는 상기 주전압 변성기(60) 2차전압 출력신호선의 양단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단락방지 수동스위치(40a);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는, 변전소 내의 송전선로 계통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송전선로 보호반(A)내에 장착된 후, 상기 주 변류기(10)의 2차전류 출력값과 상기 주 전압변성기(60)의 2차전압 출력값을 일정한 전류 및 전압값으로 받아들여 이 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송전계통 상의 사고를 항상 감시하게 된다.
즉, 상기 주 변류기(10) 및 주 전압변성기(60)는, 송전선로에 흐르는 계통의 전류 및 전압을 최초로 입력값으로 받아들인 후, 이 입력값을 보다 낮은 값의 전류 및 전압으로 변환하여 각각 주 변류기(10) 2차 출력단과 주 전압변성기(60) 2차 출력단을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상기 각각의 2차 전류/전압 출력신호선은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에 입력되어, 상기 CCT 및 PTT를 거쳐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변류기 단자대(30) 및 전압변성기 단자대(30a)에 각각 결선처리됨으로써,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의 내부로 인입되게 된다.
상기 2차전류/전압 출력신호선은,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 내부의 상기 개방방지 수동스위치(40) 및 단락방지 수동스위치(40a)를 거쳐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 및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의 1차 입력값으로 사용되고, 이 1차 입력값은 다시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 및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에 의해 보다 낮은 값의 소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 다음,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 내부의 아날로그 모듈(도면 미도시)에 입력되고,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는, 최종적으로 상기 아날로그 모듈로 입력된 신호값을 이용하여 송전계통의 전기적인 사고를 판별하고 각 사고에 적합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종래의 송전선로 보호계전기에 고장이 발생하여 수리를 할 필요가 있거나, 정기적인 점검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주 변류기(10)의 2차전류 출력 양단과 상기 주 전압변성기(60)의 2차전압 출력양단으로 부터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 전체를 분리하거나,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내의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 또는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을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 본체로부터 분리해야 수리가 가능하거나 정기적인 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송전선로 보호반(A)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주 변류기(10)와 상기 주 전압변성기(60)는 송전계통에 전력이 공급될 경우 항상 2차전류 및 2차전압을 출력하고, 이 2차전류 및 2차전압 출력은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에 인입되어 내부로 공급되고 있으므로, 상기의 2차전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양단자가 한 순간이라도 개방될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고전압이 유기되어 상기 주 변류기(10)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 및 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을 미치게 되고, 또한 상기 2차전압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양단자가 한 순간이라도 단락될 경우에는 순간적으로 고전류가 발생하여 상기 주 전압변성기(60)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장치 및 계통에 치명적인 손상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경우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주 변류기(10) 및 주 전압변성기(20) 2차 출력 양단의 개방 및 단락을 방지하면서 계전기에 대한 고장수리 또는 정기점검을 수행하였었다.
첫째,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 전체를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에서 분리하여 전체적인 수리 및 정기점검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단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가 장착된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 내에 별도로 장착되어 있는 상기 CTT(20)를 단락 작동시키고, 상기 PTT(70)는 개방작동시킨 다음,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의 상기 변류기 단자대(30) 및 상기 전압변성기 단자대(30a)에 결선처리되어 있는 2차전류/전압 출력신호선을 상기 단자대로부터 분리한 후에,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에서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를 분리해내어 수리 및 정기점검을 수행하였었다.
둘째,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를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 내의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이나 상기 보조 전압 변성기 모듈(80)만을 분리하여 수리 및 정기점검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송전계통 보조계전기(A) 내에 구비된 상기 개방방지 수동스위치(40)를 단락 작동시키고, 상기 단락방지 수동스위치(40a)를 개방작동시킨 후,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에 대한 고장수리 및 정기점검을 수행하였었다.
그러나, 상기 첫번째 방법은,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를 분리하기 전에 상기 변류기 단자대(30) 상기 주 변류기(10)의 2차전류 출력신호선 및 상기 전압 변성기 단자대(30a)에 결선처리되어 있는 상기 주 전압변성기(60)의 2차전압 출력 신호선을, 상기 단자대(30, 30a)로부터 사람이 손으로 일일이 분리해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 내에서 결선처리되어 있는 다른 신호선들도 모두 상기 단자대(30, 30a)에서 분리해야 하므로, 고장수리 및 정기점검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 고장수리 및 정기점검 후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를 다시 장착하는데에 소요되는 시간도 많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두번째 방법은,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 및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을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로부터 인출하여 분리시킬 경우, 사용자의 실수로 인하여 상기 모듈(50, 80)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개방방지 수동스위치(40)와 상기 단락방지 수동 스위치(40a)를 작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상기 모듈(50, 80)을 분리하게 되면, 상기 주 변류기(10)의 2차 전류 출력신호선 양단이 개방되어 순간적으로 고전압이 유기되거나, 상기 주 전압변성기(60)의 2차전압 출력신호선 양단이 단락되어 순간적으로 고전류가 유기되어,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 및 기타 장치에 치명적인 손상을 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장착된 것으로서, 단자대에 결선처리된 2차전류/전압 출력신호선을 분리하지 않고도 송전계통 보호반으로부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를 분리시킬 수 있는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로부터 보조 변류기를 분리할 경우, 분리동작과 동시에 자동으로 개방이 방지되는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로부터 보조 전압 변성기를 분리할 경우, 분리동작과 동시에 자동으로 단락이 방지되는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송전선로 보호계전기가 장착된 송전계통 보호반이 일반적인 외관 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가 장착된 송전계통 보호반의 구성 및 각 구성간의 신호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내부케이스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 (나)는 내부케이스를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변류기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보조 변류기 모듈이 개방 방지부에 결합된 상태, (나는 보조 변류기 모듈이 개방방지부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는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이 단락방지부에 결합된 상태, (나)는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이 단락 방지부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종래의 송전선로 보호계전기가 장착되 송전계통 보호반의 구성 및 각 구성간의 신호연결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송전계통 보호반B :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10 : 주 변류기20 : 전류변환기 점검단자(CTT)
30 : 변류기 단자대30a : 전압변성기 단자대
40 : 개방방지 수동스위치40a : 단락방지 수동스위치
50 : 보조 변류기 모듈51 : 접속부
52 : 접속단자53 : 절연돌기부
55 : 개방방지부56 : 삽입공
57 : 탄성편60 : 주 전압변성기
70 : 전압변환기 점검단자(PTT)80 : 보조 전압변송기 모듈
81 : 접속부82 : 접속단자
85 : 단락방지부86 : 삽입공
100 : 외부케이스110 : 신호중계모듈
110a : 커넥터120 : 내부케이스
120a : 커넥터130 : 보호계전기 지지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는, 계통 주 변류기 및 계통 주 전압변성기의 2차 출력 신호선을 결선하기 위한 단자대가 구비된 외부케이스; 상기 단자대에 결선되는 상기 2차 출력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중계수단; 및 내부에 보조 변류기 및 보조 전압변성기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신호중계수단에 착탈자유롭도록 결합되어, 상기 2차 출력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는, 상기 보조 변류기가, 접속단자 한쌍 및 절연돌기부가 형성된 접속부가 일측에 구비된 보조 변류기 모듈; 및 상기 접속부가 착탈자유롭도록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부는, 한쌍의 접속단자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계통 주 변류기 2차 출력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단자가 설치된 한쌍의 삽입공; 및 상기 각 전극단자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되, 삽입되는 상기 절연돌기부에 의해 연결이 해제되는 개방방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과,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이 상기 내부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는,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가, 한쌍의 접속단자봉이 형성된 접속부가 일측에 구비된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 및 상기 접속단자에 대응되는 한쌍의 삽입공이 형성된 단락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삽입공은 상기 접속단자봉에 대응되는 구멍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속단자와 구멍 내측면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과,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이 상기 내부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에 또 다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에서는, 상기 계통 주 변류기의 2차 전류 출력신호선과 상기 계통 주 전압변성기의 2차전압 출력신호선이 상기 외부케이스의 단자대에 결선처리되어 있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착탈자유롭도록 결합된 상기 신호중계수단을 통해 단자대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으로부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 상기 단자대에 상기 2차전류/전압 출력신호선을 결선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신호중계수단으로부터 상기 내부케이스를 슬라이드시키면서 인출분리시키기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 내에 장착된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만을 인출분리시킬 경우에는, 상기 절연돌기부에 의해 상기 삽입공의 전극단자 상호간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있던 상기 개방방지편이, 상기 접속부의 인출과 동시에 상기 삽입공의 전극단자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어, 별도의 개방방지 수동스위치를 구비작동시킬 필요없이 자동으로 단락됨으로써 개방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만을 인출분리시킬 경우에도, 봉 형상의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삽입공의 내측면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의 인출시 흔들림으로 인하여 상기 접속부가 상기 삽입공간을 접촉시켜 전기적 단락되는 일은 결코 발생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단락방지 수동스위치를 구비작동시킬 필요없이 자동으로 개방됨으로서 단락이 방지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가 장착된 송전계통 보호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가 장착된 송전계통 보호반(A)의 구성 및 각 구성간의 신호연결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는,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의 외부에 구비된 상기 CTT(20)를 지난 상기 주 변류기(10)의 2차전류 출력신호선이 결선처리되는 변류기 단자대(30)와,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의 외부에 구비된 상기 PTT(70)를 거친 상기 주 전압변성기(60)의 2차전압 출력신호선이 결선처리되는 전압변성기 단자대(30a)가 일측에 구비된 외부케이스(100); 상기 변류기 단자대(30) 및 상기 전압변성기 단자대(30a)에 결선처리되는 2차전류/전압 출력신호선들의 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커넥터(110a)가 일측에 구비된 신호중계모듈(110); 및 상기 커넥터(110a)를 통해 상기 2차전류/전압 출력신호선들에 착탈자유롭도록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20a)가 일측에 구비된 내부 케이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120)에는, 상기 주 변류기(10)의 2차 전류 출력을 1차전류 입력으로 받아들인 후 보다 낮은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조 변류기 모듈(50)과, 상기 주 전압변성기(60)의 2차전압 출력을 1차전압 입력으로 받아들인 후 보다 낮은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120)의 내측에는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의 인출시 자동으로 단락시키기 위한 개방방지부(55) 및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의 인출시 자동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단락방지부(85)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개방방지부(55)는, 상기 신호중계모듈(110)을 통해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2차전류 출력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상의 삽입공(56); 및 상기 삽입공(56)의전극단자에 각각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자체탄성에 의해 타측 끝단이 상호 밀착접촉되어 있는 탄성편(5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락방지부(85)는, 상기 신호중계모듈(110)을 통해 내부로 인입되는 상기 2차전압 출력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한쌍의 삽입공(86)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공(56)에 삽입되어 상기 2차 전류 출력 신호선에 연결되는 한쌍의 접속단자(52); 및 상호 밀착 접촉되어 있는 상기 탄성편(57)의 사이에 삽입되어 양자간의 접촉을 해제하는 절연돌기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속부(5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공(86)에 삽입되어 상기 2차전압 출력신호선에 연결되는 접속단자(82)가 형성된 접속부(8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51, 81)는 각각 상기 개방방지부(55) 및 상기 단락방지부(85)에 착탈자유롭도록 결합된다.
상기 개방방지부(55)에서 사용된 한쌍의 탄성편 대신, 하나의 탄성편을 사용하되, 탄성편의 일측은 상기 한쌍의 삽입공(56) 중 하나의 전극단자에 고정접촉시키고, 타측은 상기 삽입공(56)의 반대편 삽입공(56)의 전극단자에 자중에 의해 걸쳐져 있는 상태로 있게 함으로써, 상기 절연돌기부의 삽입시에는 상기 탄성편의 타측이 상기 삽입공(56)의 전극단자에서 떨어져 있다가 상기 절연돌기부의 인출시에는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단락되도록 할 수도 있는 등, 상기 개방방지부(55)의 탄성편 구조는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52, 82)는 길이가 긴 봉 형상의 돌기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되는 상기 삽입공(56, 86)의 내측면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주 변류기 2차전류 출력신호선 및 주 전압변성기 2차전압 출력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를 송전계통 보호반(A)으로부터 손쉽게 인출·분리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주 변류기(10) 2차전류 출력신호선 양단간의 개방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CTT(20)를 단락작동시키고, 상기 주전압변성기(60) 2차전압 출력신호선 양단간의 단락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PTT(70)는 개방작동시킴으로서, 만약의 경우에 발생할지 모르는 개방 및 단락을 예방한다.
이어서,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의 외부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상기 변류기 단자대(30) 및 전압변성기 단자대(30a)에 상기 2차전류 출력신호선 및 상기 2차 전압 출력신호선을 종래대로 결선시켜 놓은 상태에서, 상기 단자대(30, 30a)에 연결되어 신호를 중계하는 상기 신호중계모듈(110)에 구비된 커넥터(110a)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상기 내부케이스(120)를 인출하여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으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케이스(100) 및 상기 신호중계모듈(110)은 상기 송전계통 보호반(A)내에 그대로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 및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이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내부케이스(120)만을 외부로 인출하여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100)와 상기 내부케이스(12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하면, 인출 및 재장착이 보다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송전선로 보호계전기(B)로붙처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 및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을 인출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개방방지 수동스위치(40) 및 단락방지 수동스위치(40a)를 동작시킬 필요없이 다음과 같은 간단한 과정을 통해 인출분리하게 된다.
먼저,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을 인출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내부 케이스(120)의 내측에 고정구비된 상기 개방방지부(55)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의 상기 접속부(51)를 인출한다.
이때, 인출전에는 도 4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탄성에 의해 상호 밀착접촉하고자 하는 성질을 갖는 상기 탄성편(57)이 상기 접속부(51)에 구비된 상기 절연돌기부(53)에 의해 그 접촉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삽입공(56)에 연결된 상기 주 변류기(10) 2차전류 출력은 곧바로 상기 접속단자(51)를 통해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 내부로 입력되고,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은 이 신호를 이용하여, 송전선로 계통 상의 문제점을 점검할 수 있게 되는 반면, 인출후에는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51)를 상기 개방방지부(55)로 부터 인출해내는 동시에, 상기 탄성편(57) 사이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절연돌기부(53)가 인출되면서 상기 탄성편(57)이 밀착접촉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삽입공(56)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2차전류 출력신호선이, 상기 각각의 삽입공(56)의 전극단자에 일측이 고정연결된 상기 탄성편(57)을 통해 도통하게 되므로, 별도의 수동스위치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상기 접속부(51)를 인출함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단락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을 인출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도, 상기 내부케이스(120)의 내측에 고정구비된 상기 단락방지부(85)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의 상기 접속부(1)를 인출시키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단락이 방지되게 된다.
즉, 인출전에는 도 5 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공(86)에 연결된 상기 주 전압변성기(10) 2차 전압 출력이 상기 접속단자(81)를 통해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50) 내부로 입력되므로,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은 이 신호를 이용하여 송전선로 계통 상의 문제점을 점검할 수 있게 되는 반면, 인출시에는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전압 출력신호가 입력되는 상기 삽입공(86)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접속부(81)의 인출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개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속부(81)는 길이가 긴 봉의 형태로서, 상기 접속단자(81)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상기 삽입공(86)의 내측면을 통해 상호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접속부(81)의 인출시 상기 삽입공(86)간의 접촉에 의해 도통하게 될 염려가 없으므로 별도의 단락방지 수동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50) 및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80)을 모두 상기 내부케이스(120)내에 슬라이드 결합시키면 보다 용이하게 인출 및 재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로 보호계전기는, 보다 짧은 시간내에 송전계통 보호반으로부터 분리 및 재장착이 가능하고,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 및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 분리시 개방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수동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매우 유용하고 경제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계통 주 변류기 및 계통 주 전압변성기의 2차 출력신호선을 결선하기 위한 단자대가 구비된 외부케이스;
    상기 단자대에 결선되는 상기 2차 출력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중계수단; 및
    내부에 보조 변류기 및 보조 전압변성기가 장착되어 있되, 상기 신호중계 수단에 착탈자유롭도록 결합되어, 상기 2차 출력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변류기는,
    접속단자 한쌍 및 절연돌기부가 형성된 접속부가 일측에 구비된 보조 변류기 모듈; 및
    상기 접속부가 착탈자유롭도록 삽입되는 수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한쌍의 접속단자가 각각 삽입되고, 상기 계통 주 변류기 2차 출력 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단자가 설치된 한쌍의 삽입공; 및
    상기 각 전극단자 상호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되, 삽입되는 상기 절연돌기부에 의해 연결이 해제되는 개방방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방지편은, 상기 삽입공의 전극단자에 끝단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자체탄성에 의해 상호 밀착접촉하고 있는 복수의 탄성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변류기 모듈은 상기 내부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는,
    한쌍의 접속 단자봉이 형성된 접속부가 일측에 구비된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 및
    상기 접속 단자에 대응되는 한쌍의 삽입공이 형성된 단락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삽입공은 상기 접속단자봉에 대응되는 구멍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속단자와 구멍 내측면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압변성기 모듈은 상기 내부케이스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KR1019970007105A 1997-03-04 1997-03-04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KR19980072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105A KR19980072347A (ko) 1997-03-04 1997-03-04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105A KR19980072347A (ko) 1997-03-04 1997-03-04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347A true KR19980072347A (ko) 1998-11-05

Family

ID=6598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105A KR19980072347A (ko) 1997-03-04 1997-03-04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234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756B1 (ko) * 2006-08-24 2007-10-04 삼화이오씨알 주식회사 계전기의 전류센서 변환장치
KR100897499B1 (ko) * 2008-05-28 2009-05-15 주식회사 경인기술 열차진입 제어용 일체형 안전스위치
KR101866931B1 (ko) 2018-03-29 2018-07-23 주식회사 한빛파워 송전선로의 단락을 자동감지하고 알리는 보호계전기시스템
KR102579950B1 (ko) * 2023-06-08 2023-09-19 주식회사 경문기술단 선로의 단락 방지를 위한 계전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756B1 (ko) * 2006-08-24 2007-10-04 삼화이오씨알 주식회사 계전기의 전류센서 변환장치
KR100897499B1 (ko) * 2008-05-28 2009-05-15 주식회사 경인기술 열차진입 제어용 일체형 안전스위치
KR101866931B1 (ko) 2018-03-29 2018-07-23 주식회사 한빛파워 송전선로의 단락을 자동감지하고 알리는 보호계전기시스템
KR102579950B1 (ko) * 2023-06-08 2023-09-19 주식회사 경문기술단 선로의 단락 방지를 위한 계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6250B2 (en) Connection for a distribution network
DE10006781A1 (de) Vorrichtung mit einer Brennstoffzelle für die Erzeugung elektrischer Energie und mit Verteilung der elektrischen Energie an Verbraucher
CA1095975A (en) Grounding device
US9085240B2 (en) High voltage module with circuit breaker for motor vehicles
KR100961776B1 (ko) 모터 컨트롤 센터
KR19980072347A (ko) 송전선로 보호계전기
US10027103B2 (en) 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al network
US4742428A (en) Protective relay and drawout case therefor
CN210468288U (zh) 一种开关式二次直流电压端子短接线装置
US6205018B1 (en) Air insulated switchgear with operating device for effect circuit breaker
EP0320829A1 (en) Device for achieving a contact function in a protective relay test system
JP2504683B2 (ja) 引出形回路遮断器
JPS6345769Y2 (ko)
KR20040103871A (ko) 엘보우 접속재를 이용한 수배전반
KR101841110B1 (ko) 배전반 컨트롤 박스
CN220709214U (zh) 线路转换装置及测试系统
JP2022090707A (ja) 試験装置
KR20130099737A (ko) 다기능 진공회로차단기 시험기
KR970003740Y1 (ko) 보호 계전기의 인출형 단자대
US3329786A (en) High-voltage safety switches
US1732713A (en) Electrical switch gear
JPS6364504A (ja) 閉鎖配電盤の制御回路
JP2022108963A (ja) 保護継電器の接続状態切替回路
KR100441806B1 (ko) 드로우아웃형전기스위치기어장치
CN114498381A (zh) 一种带有快速断电功能的电气控制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