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1485A - 단파수신기용 외부 안테나장치 - Google Patents

단파수신기용 외부 안테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1485A
KR19980071485A KR1019980005046A KR19980005046A KR19980071485A KR 19980071485 A KR19980071485 A KR 19980071485A KR 1019980005046 A KR1019980005046 A KR 1019980005046A KR 19980005046 A KR19980005046 A KR 19980005046A KR 19980071485 A KR19980071485 A KR 19980071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able
voltage
high frequency
contro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또시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브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71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148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3/00Antennas with active circuits or circuit elements integrated within them or attached to them

Landscapes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단파방송 수신용 외부안테나장치는 루프 안테나소자 및 가변용량 다이오드가 고주파적으로 상호 병렬접속되어 구성된 튜너와, 튜너에 의해 선택된 수신신호를 공급받는 고주파증폭기로 구성된 안테나 회로부와, 상기 안테나 회로부를 제어부에 접속하는 제 1케이블과, 상기 제어부에 구비된 가변용량 다이오드용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제어전압 형성회로와, 상기 안테나 회로부 및 상기 제어전압 형성회로용 전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및 상기 제어전압이 제 1케이블을 통해 상기 안테나 회로부로 공급되며, 상기 고주파증폭기의 출력신호 통로의 신호를 상기 제 1케이블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단파 수신기에 공급하는 제 2케이블이 상기 제어부와 상기 단파수신기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파수신기용 외부 안테나장치
본 발명은 단파방송 수신용 외부 안테나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파수신기에는 일반적으로 로드안테나가 설치되지만, 로드안테나만으로는 수신감도가 부족하여, 일부 단파수신기는 외부 안테나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외부 안테나의 공지예에는 와이어 안테나 및 또다른 로드 안테나와 고주파증폭기를 결합한 것이 포함된다. 수신된 신호를 그대로 수신기에 공급하는 간단한 와이어 또는 리드선으로 구성된 와이어 안테나는 길이가 충분할 경우에는 필요한 수준의 감도를 얻을 수 있다. 고주파증폭기와 결합된 액티브 안테나 역시 필요로 하는 수준의 감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 안테나는 비방향성이므로 수신기에 불필요한 방송파 신호를 공급하고 따라서 방해특성에 있어서 불리하게 된다.
길이를 감소시켜 소형으로 만든 경우의 액티브 로드안테나는 고주파증폭기와 결합된 경우에도 감도에 있어서 부적절하거나 또는 충분한 감도를 갖도록 안테나 길이를 길게 한 경우에는 전체 크기가 불가피하게 증가하게 된다. 또한 로드 안테나는 방향성이 낮기 때문에 방해특성 및 다른 면에서 불이익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의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내는 접속도이다.
도 2는 제 1도에서 연속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접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외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5도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내는 접속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안테나 회로부 11. 튜너
12. 고주파증폭기 14, 27. 상자
15. 흡반 20. 제어부
21, 22. 케이블 23. 전지
24. DC-DC 변환기 25. 제어전압 형성회로
28. 노브 30. 단파수신기
본 발명에 의하면, 단파 수신기용 외부 안테나장치는, 안테나 회로부와, 제어부와, 안테나 회로부와 상기 제어부를 접속하기 위한 제 1케이블과, 제어부와 단파수신기의 외부 안테나단자를 접속하는 제 2케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 회로부는 루프 안테나 및 가변용량 다이오드가 고주파적으로 상호병렬 접속되어 구성된 튜너와, 튜너에 의해 선택된 수신신호를 공급하는 고주파증폭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가변용량 다이오드용 제어전압을 발생시키는 제어전압 형성회로와, 안테나 회로부 및 제어전압 형성회로용 전원으로 구성되며,
전원으로부터의 전압과 상기 제어 전압은 제 1케이블을 통해 안테나 회로부로 공급되고, 동시에 상기 고주파증폭기의 출력신호는 제 1케이블 및 제어부를 통해 제 2케이블로부터 취해져 단파수신기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루프 안테나는 방송파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튜너는 수신주파수를 선택하며, 선택된 방송파 주파수의 신호는 고주파증폭기로 증폭되어 단파 수신기에 공급된다.
도 1 및 도 2는 수신대역이 13m 내지 75m인 외부 안테나장치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 1도 및 제 2도에서, 부호(10)는 안테나 회로부를, (20)은 제어부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회로부(10)는 루프 안테나(L11)를 구비한다. 상기 루프 안테나(L11)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이며 피아노 와이어와 같은 전도성과 가변성을 갖는 탄성와이어로 구성된다. 루프 안테나(L11)는 예를 들면, 직경 40cm, 권선회수 1회의 코일이다.
상기 루프 안테나소자(코일)(L11)는 보조 터닝코일(L12)과 가변용량 다이오드(D12)와 함께 입력튜너(11)를 구성한다. 따라서 루프 안테나(L11)의 일단부는 코일(L12)과 DC 커팅 커패시터(C11)를 통해 FET(field effect transistor)(Q11)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다른 단부는 바이패스 커패시터(C12)를 통해 커넥터 잭(J11)의 접지접점(Dj)에 접속된다. 또한 소자(L12),(C11)의 직렬회로에 스위칭 다이오드(D11)와 또다른 DC커팅 커패시터(C13)의 직렬회로가 병렬로 접속되고, FET(Q11)의 게이트와 잭(J11)의 접접(Dj)과의 사이에 가변용량 다이오드(D12)와 또 다른 DC커팅 컨덴서(C14)가 바이어스용의 레지스터(R11)와 함께 직렬접속된다.
또한 고주파증폭기(12)로 구성된 FET(Q11)는 소스접지되며, 그 드레인은 고주파 변압기(M11)의 1차 코일의 일단부에 접속되고, 다른 단부는 바이패스 커패시터(C15)를 통해 잭(J11)의 접지접점에 접속된다. 변압기(M11)의 2차코일의 일단부는 잭(J11)의 전원공급 접점(Aj)에 접속되고, 다른 단부는 1차코일의 제 2단부와 커패시터(C15)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변압기(M11)의 1차 및 2차 코일의 각 제 2단부 사이의 접속점은 콜렉터가 레지스터(R13)와 고주파 초크코일(L13)을 통해 다이오드(D11)와 접속된 스위칭 트랜지스터(Q12)의 에미터에 접속된다. 잭(J11)의 다른 접점(Bj)은 버퍼 레지스터(R12)를 통해 소자(D12, C14) 사이의 접점에 접속되고, 또 잭(J11)의 다른 접점(Cj)은 다른 레지스터(R16)을 통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접속될 뿐 아니라 다른 버퍼 레지스터(R15)를 통해 안테나소자(L11)와 커패시터(C12) 사이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반면, 제어부(2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 제어부(10) 접속용 커넥터 플러그(P21)와 케이블(21), 단파수신기(30) 접속용 케이블(22)과 커넥터 플러그(P22)가 접속된다. 상기 배열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21)는 잭(J11)접속용이며, 잭(J11)에 접속될 때 잭(J11)의 접점(Aj) 내지 접점(Dj)에 각기 접속되는 접점(Ap) 내지 접점(Dp)를 포함한다. 또한, 기호(A1) 내지 (D1)은 케이블(21) 내에 배열되고, 각기 접점(Ap) 내지 접점(Dp)에 접속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P21)의 접점(Ap)은 케이블(21)의 리드선(A1)과 고주파 초크코일(L21)과 전원스위치(S21)를 통해 예를 들면, 한 쌍의 크기 3의 전지(23)로 구성된 DC전원으로 접속되고, 리드선(A1)과 초크코일(L21) 사이의 접속점은 DC커팅 커패시터(C21)와 케이블(22)을 통해 플러그(P22)의 열측 접점(hot side contact)에 접속된다. 플러그(P21)의 접점(Dp)은 케이블(21)의 리드선(D1)을 통해 전지(23)에 접속되고, 케이블(22)을 통해 플러그(P22)의 접지측의 접점에 접속된다.
스위치(S21)의 출력 측에서 얻은 전지전압은 DC-DC 변환기(24)에 공급되어 소정의 DC전압으로 승압되고 안정화된다. 상기 DC전압은 제어전압 형성회로(25)에 공급되어 미터대역 전환용 제어전압(VMB)을 형성한다.
상기의 예에서, 제어전압 형성회로(25)는 제 1 내지 제 9의 분압전압(V1∼ V9)을 형성하는 저항형 분압기(251)와 상기 분압전압(V1∼ V9)으로부터 하나를 선택하여 취하는 스위치(S22)로 구성된다. 전압(V1∼ V9)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는 제어전압(VMB)으로서 취해져 케이블(21)의 리드선(B1)을 통해 플러그(P21)의 접점(Bp, Dp) 사이로 공급된다. 전압(V1∼ V9)은 참조부호의 순으로 낮아진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스위치(S22)와 연동하는 스위치(S23)를 구비한다. 상기 스위치(S23)는 스위치(S23)가 VMB= V1∼ V5가 되는 전환위치일 때 0 레벨의 전압(VHL)을 취하고, VMB= V6∼ V9의 전환위치일 때에는 1레벨이 되는 전압(VHL)을 취한다. 상기 전압(VHL)이 케이블(21)의 리드선(C1)을 통해 플러그(P21)의 접점(Cp)와 접점(Dp) 사이로 공급된다.
도 3은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의 사용형태의 일예를 나타낸다. 루프 안테나소자(L11)의 일단에는 상자(14)가 설치되고, 이 상자(14)에는 루프 안테나(L11)를 제외한 안테나 회로부(10)의 모든 회로, 즉 회로(11, 12) 및 잭(J11) 등이 설치된다. 또한 루프 안테나(L11)에는 이것을 창틀 등에 설치하기 위한 흡반(15)이 설치된다.
또한 제어부(20)도 상자(27)에 수납되며, 이 상자(27)로부터 케이블(21, 22)이 인출된다. 노브(28)의 회전에 의해 상자(27) 내의 릴(도시 생략)이 회전하여 케이블(21)이 상자(27) 내로 권취된다. 단파수신기(30)의 수신대역은 75m 내지 13m 범위이다. 물론 상기 상자(27)는 전원 스위치(S21)를 작동하기 위한 노브와 75m -13m 내의 수신대역을 변환하기 위한 또다른 노브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서 단파방송을 수신할 때, 플러그(P21)는 잭(J11)으로 삽입되고, 플러그(P22)는 외부 안테나용 수신기(30)의 입력 잭(도시 생략)으로 삽입된다. 루프 안테나 소자(L11)를 흡반(15)에 의해 부착시켜 방송파를 수신하기 좋은 위치, 예를 들면, 창문 옆 등에 설치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S21)가 켜지면, 전지(23)의 DC전압은 스위치(S21), 고주파 코일(L21), 케이블(21)의 리드선(A1), 플러그(P21)의 접점(Ap 및 Dp), 잭(J11)의 접점(Aj 및 Dj)의 순서로 구성된 전원선을 통해 고주파증폭기(12)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고주파증폭기(12)는 증폭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스위치(S21)가 켜짐에 따라 DC전압이 DC-DC 변환기(24)로부터 공급되고, 스위치(S23)의 전환위치에 해당하는 레벨의 제어전압이 제어회로(25)로부터 공급된다.
상기 제어 전압(VMB)은 제어회로(25), 케이블(21)의 리드선(B1), 플러그(P21)의 접점(Bp), 잭(J11)의 접점(Bj), 레지스터(R12), 가변용량 다이오드(D12), 레지스터(R11), 잭(J11)의 접점(Dj), 플러그(P21)의 접점(Dp), 케이블(21)의 리드선(D1) 및 제어회로(25)로 구성된 선을 통해 가변용량 다이오드(D12)로 공급된다. 따라서 가변용량 다이오드(D12)의 용량은 제어전압(VMB)에 해당하는 값을 취한다.
VMB= V1∼ V5, VHL= 0인 경우, 상기 전압(VHL)은 케이블(21)의 리드선(C1), 플러그(P21)의 접점(Cp), 잭(J11)의 접점(Cj) 및 레지스터(R16)로 구성된 선을 통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로 공급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2)가 온된다.
그러므로 고주파증폭기(12)에 공급된 DC전압이 트랜지스터(Q12)의 에미터-컬렉터 접속, 레지스터(R13), 고주파 초크코일(L13), 다이오드(D11), 루프 안테나소자(L11), 레지스터(R15) 및 잭(J11)의 접점(Cj)(VHL= 0)으로 구성된 선에 공급되기 때문에, 다이오드(D11)는 온된다.
그 결과, 코일(L12)은 다이오드(D11)에 의해 단락되고, 루프 안테나 소자(L11), 가변용량 다이오드(D12)는 병렬로 상호 고주파접속되며, 상기 병렬회로는 FET(Q11)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접속된다. 따라서 튜너(11)에서 루프 안테나 소자(L11)와 가변용량 다이오드(D12)의 값에 의해 정해진 주파수는 동조주파수(f11) 레벨이 되고, 주파수(f11)의 수신신호는 FET(Q11)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된 수신신호는 FET(Q11)의 드레인에서 취해지고, 변압기(M11)의 2차 코일, 잭(J11)의 접점(Aj)(및 커패시터(C15), 접점(Dj)), 플러그(P21)의 접점(Ap)(및 Dp), 케이블(21)의 리드선(A1), 커패시터(C21), 케이블(22)과 플러그(P22)로 구성된 선을 통해 수신기(30)에 공급된다.
이 때에 가변용량 다이오드(D12)의 용량은 제어전압(VMB)에 따라 변화하고, 튜너(11)의 동조주파수(f11) 또한 다음의 방식과 같이 제어전압(VMB)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VMB= V1일 때 f11= 13m 내지 15m 대역
VMB= V2일 때 f11= 16m 내지 19m 대역
VMB= V3일 때 f11= 22m 대역
VMB= V4일 때 f11= 25m 대역
VMB= V5일 때 f11= 31m 대역
그러므로 본 예에서 13m 내지 31m 대역의 수신신호가 수신될 수 있으며, 하나의 대역에서 다른 대역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VMB= V6내지 V9이고, VHL= 1일 때, 상기 전압(VHL)은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로 공급되고, 트랜지스터(Q12)는 오프되고, 따라서 다이오드(D11) 또한 오프된다.
그 결과, 코일(L12)은 직렬로 루프 안테나 소자(L11)에 고주파 접속되고, 상기 직렬회로는 가변용량 다이오드(D12)에 병렬로 고주파 접속되고, 상기 병렬회로는 FET(Q11)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튜너(11)에서 코일(L11, L12)와 가변용량 다이오드(D12)의 값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는 동조된 주파수(f11) 레벨을 취하고, 상기 주파수(f11)의 수신신호는 FET(Q11)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된 수신신호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를 통해 수신기(30)로 공급된다.
이 때에 가변용량 다이오드(D12)의 용량은 제어전압(VMB)에 따라 변화하고, 튜너(11)의 동조주파수(f11) 또한 다음의 방식과 같이 제어전압(VMB)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면,
VMB= V6일 때 f11= 41m 대역
VMB= V7일 때 f11= 49m 대역
VMB= V8일 때 f11= 60m 대역
VMB= V9일 때 f11= 75m 대역
그러므로 본 예에서 41m 내지 75m 대역의 수신신호가 수신될 수 있으며, 하나의 미터대역에서 다른 대역으로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전압(VMB)이 변화하기 때문에, 즉 스위치(S22, S23)가 변환되기 때문에, 13m 내지 75m 대역 중 하나가 변환방식에 따라 미터대역 단위로 선택되며, 선택된 대역의 수신신호는 증폭되어 단파 수신기(30)에 공급된다.
따라서, 원하는 단파 방송이 고감도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경우, 특히 상기에서 설명한 장치에서 튜너(11)가 수신주파수에 대해 선택성을 갖도록 장치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방송파 신호는 후단에 공급되지 않아 방해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루프 안테나 소자(L11)가 수신안테나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분리 로드안테나 또는 와이어 안테나를 사용한 경우보다 소형화된 구성으로서 수신감도를 높일 수 있다. 루프 안테나 소자(L11)는 후크 등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흡반(15)을 사용할 경우, 수신에 바람직한 조건인 창문 등에 부착될 수 있다는 또 다른 장점을 갖는다.
더욱이, 루프 안테나 소자(L11)가 수신에 바람직한 위치, 즉 창문 등에 배치된 경우, 미터대역은 수신기(30)에 밀접하게 위치한 제어부(20)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루프 안테나 소자(L11)의 방향성은 방해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루프 안테나 소자(L11)는 피아노 와이어와 같은 가변성을 갖거나 탄력성 있는 와이어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원형부분으로 비틀거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원형부분으로 접어 운반하기 간편하도록 만들 수 있다. 또한, 플러그(P21)는 잭(J11)으로부터 뽑을 수 있고, 케이블(21)은 노브(28)의 회전에 의해 상자(27) 내로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인 경우 수신기(30)과 함꼐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제어부(20)를 나타낸다. 제 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각기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실시예의 DC-DC변환기의 외측에는 레지스터(R21∼R29)와 트랜지스터(Q21∼Q29)의 에미터, 컬렉터가 직렬로 접속되며, 에미터로부터 전압(VMB)이 취해져 케이블(21)을 통해 플러그(P21)의 접점(B)으로 공급된다. 레지스터(R21∼R29)는 각기 전압(V1∼V9)에 대응하는 저항을 갖는다.
트랜지스터(Q21∼Q29)의 베이스와 플러그(P21)의 접점(Dp)에 접속된 케이블(21)의 리드선 사이에 레지스터(R31∼R39)와 트랜지스터(Q31∼Q39)의 컬렉터-에미터 접속이 직렬로 접속된다.
또한 미터대역 변환용의 스위치(S24)가 제공되고, 전지(23)으로부터의 전압이 제 1 내지 제 9자접점(child contact) 중 하나에서 선택적으로 취해진다. 취해진 전압은 트랜지스터(Q31∼Q39) 중 해당하는 것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또한, 스위치(S24)의 제 1 내지 제 5자접점 중 하나에서 얻어진 전압은 다이오드로 구성된 OR회로(29)를 통해 에미터 접지된 트랜지스터(Q41)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트랜지스터(Q41)의 컬렉터 출력은 전압(VHL)으로서 취해져 케이블(21)을 통해 플러그(P21)의 접점(Cp)에 공급된다.
상기 구성에서, 스위치(S24)의 모접점(parent contact)이 예를 들면 제 1자접점에 접속될 때, 트랜지스터(Q31)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21)이 온된다. 따라서 레지스터(R21)의 레벨에 해당하는 전압(V1)은 트랜지스터(Q21)의 컬렉터로서 취해지고, 상기 전압(V1)은 전압(VMB)으로서 플러그(P21)의 접점(Bp)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스위치(S24)의 모접점이 제 2 내지 제 9자접점 중 하나에 접속될 때, 트랜지스터(Q32∼Q39) 중 해당하는 하나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22∼Q29) 중 해당하는 하나가 온된다. 따라서 레지스터(R22∼R29)의 레벨에 해당하는 전압(V2∼V9)은 트랜지스터(Q22∼Q29)의 컬렉터로서 취해지고, 상기 전압(V2∼V9)은 전압(VMB)으로서 플러그(P21)의 접점(Bp)에 공급된다.
스위치(S24)의 모접점이 제 1 내지 제 5자접점 중 하나에 접속될 때, 트랜지스터(Q41)가 온되기 때문에 컬렉터의 출력인 전압(VHL)은 0이고, 상기 전압(VHL)은 플러그(P21)의 접점(Cp)에 공급된다.
그리고 스위치(S24)의 모접점이 제 5 내지 제 9자접점 중 하나에 접속될 때, 트랜지스터(Q41)이 온되기 때문에 컬렉터 출력인 전압(VHL)은 1이고, 상기 전압(VHL)은 플러그(P21)의 접점(Cp)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전압(VMB, VHL)은 도 2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스위치(S24)의 전환위치에 따라 변화하고, 안테나 회로부(10)는 전압(VMB, VHL)에 따라 미터대역을 선택하고, 상기 미터대역의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수신기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신주파수에 대한 선택성이 제공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신호에 의한 방해특성이 개선된다. 본 발명은 또한 크기의 감소에 도움이 되며, 안테나의 수신감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안테나를 창가 등의 수신에 바람직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안테나의 방향성이 있기 때문에 방해특성의 개선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인 경우 단파수신기와 함께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Claims (3)

  1. 단파방송 수신용 외부 안테나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장치는 안테나 회로부, 제어부, 케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 회로부는 루프 안테나 및 가변용량 다이오드가 고주파적으로 상호 병렬접속되어 구성된 튜너와 튜너에 의해 선택된 수신신호를 공급받는 고주파증폭기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용량 다이오드용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제어전압 형성회로와, 상기 안테나 회로부 및 상기 제어전압 형성회로용 전원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압 및 상기 제어전압이 상기 안테나 회로부에 공급되고, 상기 케이블은 고주파증폭기의 출력신호 통로의 출력결과를 제어부를 통해 단파수신기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파방송 수신용 외부 안테나장치.
  2. 단파방송 수신용 외부 안테나장치는, 안테나 회로부와, 제어부와, 상기 안테나 회로부와 상기 제어부를 접속하는 제 1케이블과, 상기 제어부와 상기 단파 수신기의 외부 안테나단자를 접속하는 제 2케이블로 구성되며, 상기 안테나 회로부는, 루프 안테나소자 및 가변용량 다이오드가 고주파적으로 상호 병렬접속되어 구성된 튜너와, 튜너에 의해 선택된 수신신호를 공급받는 고주파증폭기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변용량 다이오드용 제어전압을 발생하는 제어전압 형성회로와, 상기 안테나 회로부 및 상기 제어전압 형성회로용 전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압과 상기 제어전압이 제 1케이블을 통해 상기 안테나 회로부로 공급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고주파증폭기의 출력신호는 상기 제 1케이블 및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 2케이블로부터 취해져 상기 단파 수신기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파방송 수신용 외부 안테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회로부와 상기 제 1케이블은 커넥터에 의해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파방송 수신용 외부 안테나장치.
KR1019980005046A 1997-02-20 1998-02-18 단파수신기용 외부 안테나장치 KR199800714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5843A JPH10233707A (ja) 1997-02-20 1997-02-20 短波受信用の外部アンテナ装置
JP97-35843 1997-0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1485A true KR19980071485A (ko) 1998-10-26

Family

ID=1245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046A KR19980071485A (ko) 1997-02-20 1998-02-18 단파수신기용 외부 안테나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54965A (ko)
JP (1) JPH10233707A (ko)
KR (1) KR199800714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4651A (ja) * 1998-12-09 2000-06-23 Sony Corp 短波受信機およびそのアンテナアダプタ
JP4363936B2 (ja) * 2002-09-26 2009-11-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用アンテナおよび無線端末装置
DE10352290A1 (de) * 2003-11-08 2005-06-02 Robert Bosch Gmbh Antennenverstärker
JP2009049868A (ja) * 2007-08-22 2009-03-05 Hitachi Cable Ltd 周波数補正回路付き同調型アンテナ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730673B2 (ja) * 2008-06-27 2011-07-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アンテナ装置
DE102008053296A1 (de) * 2008-10-27 2010-04-29 Atmel Automotive Gmbh Schaltung für eine Schleifenantenne und Verfahren zur Abstimmung
EP2192651A1 (fr) * 2008-11-27 2010-06-02 Gemalto SA Dispositif de communication radiofréquence à antenne déporté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18480A (en) * 1971-07-12 1974-06-18 Magnavox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directivity pattern of an antenna
US4381566A (en) * 1979-06-14 1983-04-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tuning antenna system
JPS58172566A (ja) * 1982-04-05 1983-10-11 Taiyo Musen Kk 自動方向探知機
CA1249052A (en) * 1984-11-08 1989-01-17 Junzo Ohe Automobile antenna system
JPH0626283B2 (ja) * 1985-08-09 1994-04-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アンテナ装置
US5243356A (en) * 1988-08-05 1993-09-07 Seiko Epson Corporation Antenna circuit and wrist radio instrument
EP0367555A3 (en) * 1988-11-02 1991-10-30 Nippon Sheet Glass Co., Ltd. Reception system on window glass
EP0506333B1 (en) * 1991-03-26 1997-08-0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Window glass antenna system for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54965A (en) 2000-04-25
JPH10233707A (ja) 1998-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6043B1 (ko) 차량용 안테나 장치
JP3836883B2 (ja) 「広帯域アンテナ」
US4397041A (en) Complex antenna system and FM/AM receiver
KR19980071485A (ko) 단파수신기용 외부 안테나장치
JP3098430B2 (ja) 携帯無線機用ヘリカルアンテナ
US6081236A (en) Antenna apparatus with a coaxial cable used as a radiation element
US6628931B1 (en) Shortwave receiver and antenna adaptor
US8665171B2 (en) Diversity antenna apparatus including rectifier device
KR19980080882A (ko) 안테나장치
WO2006011323A1 (ja) 携帯電話装置
JP3431379B2 (ja) アンテナ
JPH09130132A (ja) 小型アンテナ
US7088984B2 (en) Electronic tuner
US6496073B2 (en) Digitally controlled bias circuit for amplifiers
JPH0756495Y2 (ja) 自動車窓用アンテナ装置
JP2856133B2 (ja) アンテナ及び無線通信装置
JPH0373184B2 (ko)
KR100228878B1 (ko) 앨앤비 전압 제어회로
JP3286858B2 (ja) Rfスイッチ付アンテナ
JPH0611673Y2 (ja) 自動車用受信装置
KR880000079B1 (ko) 위성수신기의 발진전압 및 튜닝전압 공급회로
JPH118512A (ja) 低姿勢アンテナ
JPS6114171Y2 (ko)
JPS6127228Y2 (ko)
JPS5991707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