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0219A - 음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음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0219A
KR19980070219A KR1019970073317A KR19970073317A KR19980070219A KR 19980070219 A KR19980070219 A KR 19980070219A KR 1019970073317 A KR1019970073317 A KR 1019970073317A KR 19970073317 A KR19970073317 A KR 19970073317A KR 19980070219 A KR19980070219 A KR 1998007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water
solenoid valve
control means
t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645B1 (ko
Inventor
와따나베히로시
시라이시나오유끼
고오사까히로시
Original Assignee
다까노야스아끼
상요덴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야스아끼, 상요덴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1998007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54Mixing with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누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급수를 개시하고 나서 프로그램의 폭주 등에 의해 제어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해도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통전 시간이 한계 통전 시간을 경과하면 감시 타이머(4)는 물 입구 전자 밸브(12)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한다.

Description

음료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음료 디스펜서 등에 적용되는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누수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하도록 한 음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공급 장치가 적용되는 음료 디스펜서 배관 시스템의 일예를 도3에 도시한다. 도시 수도로부터의 수도수는 배관(P1)을 통하여 물 필터(11) 및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거쳐서 제1 분배기(13A)에 공급된다. 제1 분배기(13A)에 공급된 수도수는, 여기에서 수조(14)측과 수조(14) 내의 수조수 내에 배치된 코일 유니트(15) 측의 2가지로 분기한다. 수조(14)측에 공급된 수도수는 배관(P2)을 통해 수조 급수 전자 밸브(16)를 거쳐서 수조(14)로 유입한다. 코일 유니트(15)측에 공급된 수도수는 배관(P3)을 통해 가압 펌프(17)로 가압되고, 코일 유니트(15)을 거쳐서 제2 분배기(13B)에 공급된다. 제2 분배기(13B)에 공급된 수도수는 여기에서 멀티 밸브(18)측과, 수조(14)의 냉각수 내에 배치되어 탄산수를 제조하는 카보네이트(19)측과, 한 쪽 베리스터 펌프(20A)측과, 다른 쪽 베리스터 펌프(20B)측의 4가지로 분기한다. 멀티 밸브(18)측에 공급된 물은 배관(P4)을 통하여 유량 조정 밸브(21) 및 냉수 전자 밸브(22)를 거쳐서 멀티 밸브(18)로 유입하고, 냉수로서 컵(C)에 토출된다. 카보네이터(19)측에 공급된 물은 배관(P5)을 통하여 카보네이터 급수 전자 밸브(23)를 거쳐서 카보네이터(19)에 공급되고, 탄산 가스 봄베(24)로부터의 탄산 가스를 취입하여 탄산수가 되며, 그 탄산수는 유량 조정 밸브(25), 코일 유니트(15) 및 탄산수 전자 밸브(26)를 거쳐서 멀티 밸브(18)로 유입하고, 컵(C)으로 토출된다. 베리스터 펌프(20A, 20B)측에 공급된 물은 배관(P6, P7)을 통하여 유량 조정 밸브(27A, 27B)를 거쳐서 베리스터 펌프(20A, 20B)에 공급되고, 베리스터 펌프(20A, 20B) 내의 희석수 전자 밸브(20a, 20b)를 거쳐서 희석수로서 컵(C)으로 토출된다. 한편, 탄산 가스 봄베(24)로부터의 탄산 가스에 의해 시럽 탱크(28A, 28B, 28C, 28D)로부터 압송된 시럽(Ⅰ, Ⅱ, Ⅲ, Ⅳ)은 코일 유니트(15) 및 시럽 전자 밸브(29A, 29B, 29C, 29D)를 거쳐서 멀티 밸브(18)로 유입하고, 컵(C)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배관 시스템을 제어하는 종래의 음료 공급 장치를 도4에 도시한다. 이 음료 공급 장치(10)는 각 자기 밸브를 개방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30a)를 구비한 제어부(30)를 갖고, 이 제어부(30)에 상기 물 입구 전자 밸브(12), 수조 급수 전자 밸브(16), 가압 펌프(17), 희석수 전자 밸브(20a, 20b), 냉수 전자 밸브(22), 카보네이터 급수 전자 밸브(23), 탄산수 전자 밸브(26), 시럽 전자 밸브(29A, 29B, 29C, 29D), 베리스터 펌프(20A, 20B)를 각각 접속하고, 수조(14) 내의 수조수의 상한 수위 및 하한 수위를 검출하는 수조용 플로트 스위치(31) 및 카보네이터(19) 내의 탄산수 상한 수위 및 하한 수위를 검출하는 카보네이터용 플로트 스위치(32)를 각각 접속하고 있다. 제어부(30)에는 미리 판매시의 전자 밸브 개방 시간(예를 들면 5 내지 10초)이 각 물 입구 전자 밸브(12), 희석수 전자 밸브(20a, 20b), 냉수 전자 밸브(22), 탄산수 전자 밸브(26), 시럽 전자 밸브(29A, 29B, 29C, 29D)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또 누수의 피해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한계 통전 시간(예를 들면 10분)이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음료 공급 장치(10)에 있어서, 판매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0)는 음료 공급에 필요한 전자 밸브를 개방하는 동시에, 전자 밸브를 개방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타이머(30a)에 의해 계수하고, 타이머(30a)의 계수치가 설정된 전자 밸브 개방 시간을 경과한 시점에서 각 전자 밸브를 폐쇄하고, 타이머(30a)의 계수치를 클리어한다. 스위치(31, 32)가 하한 수위를 검출하면, 제어부(30)는 스위치(31, 32)가 상한 수위를 검출하기 까지 물 입구 전자 밸브(12) 및 수조 급수 전자 밸브(16) 혹은 카보네이터 급수 전자 밸브(23)를 개방하고, 수조(14) 혹은 카보네이터(19)로 물을 보급한다. 통상, 1 내지 2분 정도에서 보급은 종료한다. 그리고, 수조(14) 혹은 카보네이터(19)에 물을 보급할 때 스위치(31, 32)의 고장에 의해 스위치(31, 32)가 상한 수위를 검출할 수 없고, 타이머(30a)에 의한 계수치가 설정된 한계 통전 시간을 경과하면 제어부(30)는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폐쇄한다. 이와 같이,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통전 시간을 제어부(30) 내의 타이머(30a), 이른바 소프트 타이머에 의해 감시함으로써 스위치(31, 32) 등의 고장에 의해 급수가 연속해서 행해진 경우라도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폐쇄하여 누수 피해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료 공급 장치(10)에 따르면 급수를 개시하고나서 프로그램의 폭주 등에 의해 제어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배관 시스템의 전자 밸브가 통전된 채 누수 사고가 발생하고, 누수 피해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누수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음료 공급 장치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음료 공급 장치의 타임 차트.
도3은 음료 공급 장치가 적용되는 음료 디스펜서의 배관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4는 종래의 음료 공급 장치의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료 공급 장치
2 : 제1 전자 릴레이
2a : 상개 접점
2b : 릴레이 코일(R1)
3 : 제2 전자 릴레이
3a : 상폐 접점
3b : 상개 접점
3c : 릴레이 코일(R2)
4 : 감시 타이머
4a : 타이머 코일(T)
4b : 상개 접점
5 : LED 램프
6 : 제어부
6a : 타이머
11 : 물 필터
12 : 물 입구 전자 밸브(SV)
13A : 제1 분배기
13B : 제2 분배기
14 : 수조
15 : 코일 유니트
16 : 수조 급수 전자 밸브
17 : 가압 펌프
18 : 멀티 밸브
19 : 카보네이터
20A, 20B : 베리스터 펌프
20a, 20b : 희석수 전자 밸브
21, 25, 27A, 27B : 유량 조정 밸브
22 : 냉수 전자 밸브
23 : 카보네이터 급수 전자 밸브
24 : 탄산 가스 봄베
26 : 탄산수 전자 밸브
28A, 28B, 28C, 28D : 시럽 탱크
29A, 29B, 29C, 29D : 시럽 전자 밸브
31 : 수조용 플로트 스위치
32 : 카보네이터용 플로트 스위치
C : 컵
L1, L2: 교류 라인
L3: 직류 라인
P1, P2, P3, P4, P5, P6, P7: 배관
SL: 하한 수위 검출 신호
SS: 판매 신호
SU: 상한 수위 검출 신호
t1: 전자 밸브 개방 시간
t2: 제1 한계 통전 시간
t3: 제2 한계 통전 시간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통의 물 입구 전자 밸브로부터 복수의 급수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급수부 내의 하나의 급수부에 급수된 수량이 소정치에 달한 때 급수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하나의 급수부에 급수가 개시된 때 제1 시한 계시를 개시하는 제1 타이머 수단과, 상기 하나의 급수부에 급수가 개시된 때 제1 시한보다 큰 제2 시한 계시를 개시하는 제2 타이머 수단과, 상기 급수 정지 신호 혹은 상기 제1 시한 계시 종료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하나의 급수부로의 급수를 정지하는 제1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이상이 발생한 때 상기 제2 시한 계시 종료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하나의 급수부로의 급수를 정지하는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센서 불량 등에 의해 신호 발생 수단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제1 제어 수단이 제1 시한 계시 종료 신호를 기초로 하여 하나의 급수부로의 급수를 정지한다. 그리고, 프로그램 폭주 등에 의해 제1 제어 수단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제2 제어 수단이 제2 시한 계시 종료 신호를 기초로 하여 급수를 정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음료 공급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음료 공급 장치(1)는 도3에 도시한 음료 디스펜서 배관 시스템에 적용되는 것이며, AC 100 V의 교류 라인(L1, L2) 사이에 도3에 도시한 물 입구 전자 밸브(SV)(12), 제1 전자 릴레이(2)의 상개 접점(2a) 및 자기 유지형인 제2 전자 릴레이(3)의 상폐 접점(3a)를 접속하고, 물 입구 전자 밸브(12)에 한시 계전기로서의 감시 타이머(4)의 타이머 코일(T)(4a)을 병렬로 접속하고 DC 24V의 직류 라인(L3)과 GND 사이에 제2 전자 릴레이(3)의 상개 접점(3b) 및 릴레이 코일(R2)(3c)을 접속하고, 제2 전자 릴레이(3)의 상개 접점(3b)에 감시 타이머(4)의 상개 접점(4b)을 병렬로 접속하고, 제2 전자 릴레이(3)의 릴레이 코일(R2)(3c)에 LED 램프(5)를 병렬로 접속하고, DC 24V의 직류 라인(L3)과 제어부(6) 사이에 제1 전자 릴레이(2)의 릴레이 코일(R1)(2b)을 접속한 것이다.
그리고, 이 음료 공급 장치(1)는 제어부(6)에 제1 전자 릴레이(2)의 릴레이 코일(R1)(2b), 수조 급수 전자 밸브(16), 가압 펌프(17), 희석수 전자 밸브(20a, 20b), 냉수 전자 밸브(22), 카보네이터 급수 전자 밸브(23), 탄산수 전자 밸브(26), 시럽 전자 밸브(29A, 29B, 29C, 29D), 수조용 플로트 스위치(31), 카보네이터용 플로트 스위치(32), 베리스터 펌프(20A, 20B)를 각각 접속하고 있다.
감시 타이머(4)는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제2 한계 통전 시간(예를 들면 11분)(t3)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통전 시간이 제2 한계 통전 시간(t3)을 경과하면 타이머 코일(T)(4a)에 의해 상개 접점(4b)을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감시 타이머(4)로서는 예를 들면 CR 발진 계수식 타이머, CR 시정수형 타이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부(6)에는 미리 판매시의 전자 밸브 개방 시간(예를 들면 5 내지 10초)(t1)이 각 물 입구 전자 밸브(12), 희석수 전자 밸브(20a, 20b), 냉수 전자 밸브(22), 탄산수 전자 밸브(26), 시럽 전자 밸브(29A, 29B, 29C, 29D)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그리고 누수의 피해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제1 한계 통전 시간(예를 들면 10분)(t2)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6)는 제1 시한으로서 전자 밸브 개방 시간(t1), 제1 한계 통전 시간(t2)의 계시를 행하기 위한 타이머(소프트 타이머)(6a)를 구비하고,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통전 시간을 타이머(6a)에 의해 감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 제1 전자 릴레이(2)와 제어부(6)에 의해 제1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제2 전자 릴레이(3)와 감시 타이머(4)에 의해 제2 제어 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본 장치(1)의 동작을 도2의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 탄산 음료의 공급(도2의 (a) 참조)
제어부(6)에 탄산 음료의 판매 신호(SS)가 입력되면 제어부(6)는 가압 펌프(17)를 구동하는 동시에 물 입구 전자 밸브(12), 냉수 전자 밸브(22), 탄산수 전자 밸브(26) 및 시럽용 전자 밸브(29A, 29B, 29C, 29D)를 미리 설정된 전자 밸브 개방 시간(t1)을 기초로 하여 개폐하고, 탄산수, 냉수, 시럽(Ⅰ, Ⅱ, Ⅲ, Ⅳ)을 멀티 밸브(18)로부터 컵(C)으로 토출한다. 그리고, 탄산수, 냉수 및 시럽의 흐름에 대해서는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물 입구 전자 밸브(12)에 대해서는 제어부(6)는 제1 전자 릴레이(2)의 릴레이 코일(R1)(2b)에 전류를 흘려서 상개 접점(2a)을 폐쇄하고, 물 입구 전자 밸브(12)에 전류를 흘려서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개방하는 동시에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개방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을 타이머(6a)에 의해 계수하고, 타이머(6a)의 계수치가 전자 밸브 개방 시간(t1)을 경과하면 제1 전자 릴레이(2)의 릴레이 코일(R1)(2b)로의 전류 공급을 정지하여 상개 접점(2a)을 개방하고, 물 입구 전자 밸브(12)로의 전류를 차단하여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폐쇄한다.
(2) 무탄산 음료의 공급(도2의 (a) 참조)
제어부(6)에 무탄산 음료의 판매 신호(SS)가 입력되면, 제어부(6)는 가압 펌프(17)를 구동하는 동시에, 미리 설정된 전자 밸브 개방 시간(t1)을 기초로 하여 물 입구 전자 밸브(12) 및 희석수 전자 밸브(20a, 20b)를 개폐하고, 도시하지 않은 노즐로부터 희석수를 컵(C)으로 토출하고, 베리스터 펌프(20A, 20B)를 구동하여 도시하지 않은 시럽 탱크로부터 시럽을 컵(C)으로 토출한다. 또, 희석수 및 시럽의 흐름에 대해서는 도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물 입구 전자 밸브(12)에 대한 개폐 제어는 상기 (1)의 탄산 음료 공급의 경우와 같다.
(3) 수조(14)로의 물 보급(도2의 (b) 참조)
수조(14) 내의 수조수가 증발 등에 의해 감소하고, 수조용 플로트 스위치(31)가 하한 수위를 검출하면 하한 수위 검출 신호(SL)를 제어부(6)로 보낸다. 제어부(6)는 수조용 플로트 수위치(31)로부터의 하한 수위 검출 신호(SL)를 기초로 하여 물 입구 전자 밸브(12) 및 수조 급수 전자 밸브(16)를 개방한다. 물 입구 전자 밸브(12)에 대해서는 제1 전자 릴레이(2)의 릴레이 코일(R1)(2b)에 전류를 흘려서 상개 접점(2a)을 폐쇄하고, 물 입구 전자 밸브(12)에 전류를 흘려서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개방한다. 도시 수도로부터의 수도수가 배관(P1)을 통하여 물 필터(11) 및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거쳐서 제1 분배기(13A)에 공급되고, 그리고 배관(P2)을 통하여 수조 급수 전자 밸브(16)를 거쳐서 수조(14)에 급수된다. 수조(14) 내의 수조수가 증가하고, 수조용 플로트 스위치(31)가 상한 수위를 검출하면 상한 수위 검출 신호(SU)를 제어부(6)로 보낸다. 제어부(6)는 수조용 플로트 스위치(31)로부터의 상한 수위 검출 신호(SU)를 기초로 하여 물 입구 전자 밸브(12) 및 수조 급수 전자 밸브(16)를 폐쇄한다. 물 입구 전자 밸브(12)에 대해서는 제1의 전자 릴레이(2)의 릴레이 코일(R1)(2b)로의 전류 공급을 정지하여 상개 접점(2a)을 개방하고, 물 입구 전자 밸브로의 전류를 차단하여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폐쇄한다.
(4) 카보네이터 탱크로의 물 보급(도2의 (b) 참조)
탄산수의 공급에 의해 카보네이터(19) 내의 탄산수가 감소하고, 카보네이터용 플로트 스위치(32)가 하한 수위를 검출하면 하한 수위 검출 신호(SL)를 제어부로 보낸다. 제어부(6)는 카보네이터용 플로트 스위치(32)로부터의 하한 수위 검출 신호(SL)를 기초로 하여 가압 펌프(17)를 구동하는 동시에 물 입구 전자 밸브(12) 및 카보네이터 급수 전자 밸브(23)를 개방한다. 도시 수도로부터의 수도수가 배관(P1)을 통하여 물 필터(11) 및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거쳐서 제1 분배기(13A)에 공급되고, 그리고 배관(P3)을 통하여 가압 펌프(17), 코일 유니트(15) 및 제2 분배기(13B)에 공급되고, 그리고 배관(P5)을 통하여 카보네이터 급수 전자 밸브(23)를 거쳐서 카보네이터(19)에 급수된다. 급수된 물과 탄산 가스로부터 탄산수가 제조되고, 카보네이터(19) 내의 탄산수가 증가하고, 카보네이터용 플로트 스위치(23)가 상한 수위를 검출하면 상한 수위 검출 신호(SU)를 제어부(6)로 보낸다. 제어부(6)는 카보네이터용 플로트 스위치(32)로부터의 상한 수위 검출 신호(SU)를 기초로 하여 가압 펌프(17)의 구동을 정지하는 동시에 물 입구 전자 밸브(12) 및 카보네이터 급수 전자 밸브(23)를 폐쇄한다. 그리고, 물 입구 전자 밸브(12)에 대한 개폐 제어는 상기 (3)의 수조(14)로의 물 보급의 경우와 같다.
(5) 제1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급수(도2의 (c) 참조)
제1 이상으로서 스위치(31, 32)가 고장난 경우는 수조(14) 혹은 카보네이터(19)에 물을 보급해도 스위치(31, 32)가 상한 수위를 검출할 수 없지만 타이머(6a)의 계수치가 제1 한계 통전 시간(t2)을 경과하면 제어부(6)는 제1 전자 릴레이(2)의 릴레이 코일(R1)(2b)로의 전류 공급을 정지하여 상개 접점(2a)을 개방하고, 물 입구 전자 밸브(12)로의 전류를 차단하여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폐쇄한다.
(6) 제2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급수(도2의 (d) 참조)
급수를 개시하고 나서 제2 이상으로서 프로그램 폭주 등의 제어 시스템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는 제어부(6)는 모든 전자 밸브의 개폐 제어를 행할 수 없게 되며, 제1 전자 릴레이(2)의 릴레이 코일(R1)(2b)에 전류가 계속 흐르지만 감시 타이머(4)는 타이머 코일(T)(4a)에 전류가 흐르고 나서의 경과 시간의 계수치가 제2 한계 통전 시간(t3)을 경과하면 상개 접점(4b)을 폐쇄한다. 이 결과, 도2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자 릴레이(3)의 릴레이 코일(R2)(3c)에 전류가 흐르고, 제2 전자 릴레이(3)의 상폐 접점(3a)을 개방하고, 물 입구 전자 밸브(12)로의 전류를 차단하여 물 입구 전자 밸브(12)를 폐쇄한다. 릴레이 코일(R2)(3c)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상개 접점(3b)이 폐쇄하고, 상폐 접점(3a)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동시에 LED 램프(5)가 점등하고, 이상이 발생한 것을 오퍼레이터에게 알려준다.
상술한 본 장치(1)에 따르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 이른바 소프트 타이머 외에 감시 타이머(4)에 의해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통전 시간을 감시하여 2중 안전을 도모하고 있으므로, 급수를 개시하고 나서 프로그램의 폭주 등에 의해 제어 시스템에 이상이 발생해도 누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소프트와 하드의 양면에서 감시하고 있으므로, 보다 확실히 누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B) LED 램프(5)에 의해 이상을 경보하고 있으므로, 고장 부위의 수리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C) 배관 시스템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공통의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통전 시간을 소프트 타이머 및 감시 타이머(4)에 의해 감시하고 있으므로, 배관 시스템의 모든 전자 밸브를 감시하는 회로를 각각 설치하는 것과 비교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고, 비용 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D) 제1 전자 릴레이(2)의 상개 접점(2a)이 접점 불량 등에 의해 물 입구 전자 밸브(12)가 계속 통전한 경우라도 감시 타이머(14)에 의해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통전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 형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LED 램프(5)에 의한 경보는 부저음 등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된다.
그리고, 감시 타이머(4) 대신에 제2 제어부에 의한 소프트 타이머에 의해 물 입구 전자 밸브(12)의 통전 시간을 감시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 공급 장치에 따르면 급수를 개시하고 나서 프로그램의 폭주 등에 의해 제1 제어 수단에 이상이 발생해도 제2 제어 수단에 의해 급수를 정지할 수 있으므로, 누수 피해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급수 시스템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공통의 물 입구 전자 밸브의 통전 시간을 감시함으로써 급수 시스템의 모든 전자 밸브를 감시하는 것과 비교하여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Claims (7)

  1. 공통의 물 입구 전자 밸브로부터 복수의 급수부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 시스템을 구비한 음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급수부 중 하나의 급수부에 급수된 수량이 소정치에 달한 때 급수 정지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 수단과,
    상기 하나의 급수부에 급수가 개시된 때 제1 시한 계시를 개시하는 제1 타이머 수단과,
    상기 하나의 급수부에 급수가 개시된 때 제1 시한보다 큰 제2 시한 계시를 개시하는 제2 타이머 수단과,
    상기 급수 정지 신호 혹은 상기 제1 시한 계시 종료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하나의 급수부로의 급수를 정지하는 제1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제어 수단에 이상이 발생한 때 상기 제2 시한 계시 종료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하나의 급수부로의 급수를 정지하는 제2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이머 수단은 상기 물 입구 전자 밸브에 전류가 공급된 때 상기 하나의 급수부에 급수가 개시된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제2 시한 계시를 개시하고,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상기 물 입구 전자 밸브에 공급되고 있는 전류를 차단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급수부로의 급수를 정지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수단은 CPU 제어에 의해 상기 하나의 급수부로의 급수를 정지하고,
    상기 제2 타이머 수단 및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한시 계전기에 의해 상기 제2 시한 계시를 개시하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급수부로의 급수를 정지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제어 수단은 CPU 제어에 의해 상기 하나의 급수부로의 급수를 정지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급수부는 공급된 상기 물에 의해 음료를 냉각하는 수조이며,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수조 내의 수조수의 적어도 상한 수위를 검출하여 상기 급수 정지 신호로서 상한 수위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의 플로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급수부는 공급된 상기 물과 탄산 가스로 탄산수를 제조하는 카보네이터이며,
    상기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카보네이터 내의 탄산수의 적어도 상한 수위를 검출하여 상기 급수 정지 신호로서 상한 수위 검출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의 플로트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수단은 상기 하나의 급수부로의 급수를 정지할 때 상기 신호 발생 수단 혹은 상기 제1 제어 수단의 이상을 경보하는 경보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공급 장치.
KR1019970073317A 1997-01-20 1997-12-24 음료 공급 장치 KR1002616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0726097A JP3505335B2 (ja) 1997-01-20 1997-01-20 飲料供給装置
JP97-7260 1997-0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219A true KR19980070219A (ko) 1998-10-26
KR100261645B1 KR100261645B1 (ko) 2000-07-15

Family

ID=1166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317A KR100261645B1 (ko) 1997-01-20 1997-12-24 음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05335B2 (ko)
KR (1) KR100261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120B1 (ko) * 2003-06-16 2008-01-28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4159B1 (en) * 2000-05-01 2002-04-02 The Coca Cola Company Self-monitoring, intelligent fountain dispens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120B1 (ko) * 2003-06-16 2008-01-28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음료 공급 장치 및 음료 공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1645B1 (ko) 2000-07-15
JPH10203595A (ja) 1998-08-04
JP3505335B2 (ja) 200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3293B1 (en) Gas fuel supply piping system
US201002304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bulk tank cryogenic systems
KR100261645B1 (ko) 음료 공급 장치
US6726091B1 (en) Deionized water washing system and controls
US5360140A (en) Low cost control circuit for sens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ically operable device
EP11006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ump
JPS61115890A (ja) 貯蔵タンクへの液体の充填・補給装置
JPS6233155B2 (ko)
JP4668403B2 (ja) 給水装置
GB2102081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electric pump control unit
JP3070752B2 (ja) ポンプ装置の運転方法
KR100405108B1 (ko) 가스연료 차량용 연료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0743384A2 (en) Method for controlling use of compressed air in jet loom and compressed-air supply/control apparatus for the same
US3431940A (en) Shut-off for pressure controlled liquid flow system at zero flow
JPH05172A (ja) 消火設備の自動点検装置
WO2001079733A1 (en) Improvements in boiling and/or chilling water units
JP3180544B2 (ja) 双方向弁点検装置
JP3285271B2 (ja) 給水制御装置
JPH0326958Y2 (ko)
JP2000181534A (ja) 開閉バルブの故障検出方法
JPH0748865A (ja) 給水設備の安全装置
JPH02267394A (ja) ポンプ制御装置
JPS61234490A (ja) 自動販売機の給水制御装置
KR200416714Y1 (ko) 접점압력계를 이용한 압력약탕기 압력자동 조절 장치
JPH09111607A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圧縮空気使用制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