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615A - 헤드드럼조립체의 회전드럼 - Google Patents

헤드드럼조립체의 회전드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615A
KR19980069615A KR1019970006761A KR19970006761A KR19980069615A KR 19980069615 A KR19980069615 A KR 19980069615A KR 1019970006761 A KR1019970006761 A KR 1019970006761A KR 19970006761 A KR19970006761 A KR 19970006761A KR 19980069615 A KR19980069615 A KR 19980069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head
rotating drum
fix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금모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0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9615A/ko
Publication of KR19980069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615A/ko

Links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드럼조립체의 회전드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며 그 표면에 접촉이동하는 자기기록테이프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읽어내거나 또는 입력하는 비디오헤드를 갖춘 헤드드럼 조립체의 회전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드럼과, 고정드럼에 베어링지지되어 고속회전하는 주축(40)에 고정되는 회전드럼을 구비한 헤드드럼 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판형의 베이스(110)와, 베이스(110)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주축과 억지끼워맞춤되는 보스부(120)와, 베이스(110) 외주연에서 상향 절곡되는 하우징부(130)로 구성된 지지부재(100)와; 지지부재(100)의 주연에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아웃서트 성형되는 몰드부재(200);로 이루어진 헤드드럼 조립체를 특징으로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되고, 특히, 매우 양호한 표면상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요구되는 표면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드럼조립체의 회전드럼
본 발명은 헤드드럼조립체의 회전드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프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회전하며 그 표면에 접촉이동하는 자기기록테이프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읽어내거나 또는 입력하는 비디오헤드를 갖춘 헤드드럼 조립체의 회전드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이씨알은 메인베이스와, 테이프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메인베이스에 설치되는 주행계와, 이 주행계의 적당개소에 배설되어 이동중인 테이프에 비디오신호를 기록하거나 테이프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재생하는 헤드드럼 조립체를 갖추고 있다. 상기 헤드드럼 조립체는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을 직접 수행하는 비디오헤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매우 높은 수준의 가공정밀도와 안정성을 유지해야 하고, 특히, 진동이나 소음에 대한 내구성이 양호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헤드드럼 조립체는 메인베이스상에 소정의 경사를 갖고 설치되어 비디오헤드가 자기기록테이프에 대해 사선(斜線)주행을 이루며 이른바 헬리컬스캔을 실시하게된다. 즉, 통상의 자기기록테이프는 비디오신호의 기록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신호트랙이 테이프상에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기록되므로 이를 스캔하기 위하여 헤드드럼 조립체의 설치각도가 경사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행계에는 테이프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읽어내거나 또는 오디오신호를 기록하는 오디오/콘트롤헤드가 설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헤드드럼 조립체의 구성요소로서 비디오헤드를 갖추고 테이프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고속회전하는 회전드럼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을 참고하여 종래의 헤드드럼 조립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에 따르면 헤드드럼 조립체는 드럼베이스(12)에 의해 메인베이스(10)에 고정되며 내부에 축공(20a)을 갖는 고정드럼(20)과, 상기 고정드럼(20)의 축공(20a)에 회전가능하게 베어링(22)(24)지지되는 주축(40)과, 이 주축(40)의 상단에 고정되어 주축(40)과 함께 고정드럼(20)에 대하여 회전운동하는 회전드럼(30)과, 상기 주축(40)및 회전드럼(30)에 회전운동을 유발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전드럼(30)의 내측에는 상부 베어링(22)내륜을 가압하여 베어링에서 요구하는 예압을 제공하는 예압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럼(30)의 저면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헤드베이스(32)가 고정나사(32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헤드베이스(32)는 회전드럼의 반경방향으로 외측단부에 비디오신호를 자기적으로 기록하거나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헤드(34)가 본딩(bonding)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헤드베이스(32)는 회전드럼(30)의 상부로부터 나사결합되는 조정나사(34a)에 의해 높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회전드럼(30)과 고정드럼(20)사이에는 무접촉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로타리 트랜스포머(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타리 트랜스포머(60)는 비디오헤드로 공급되거나 비디오헤드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노이즈의 발생없이 주고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고정드럼(20)에 본딩에 의해 고정되는 트랜스스테이터(62)와 이에 대응하도록 회전드럼(30)에 고정되어 회전드럼과 함께 회전을 이루는 트랜스로터(64)로 구성된다. 트랜스로터(64)는 상기 비디오헤드(34)에 권선되는 코일이 솔더링(soldering)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50)는 고정드럼(20)에 부착되는 고정자(52)와 주축(40)에 고정되어 고정자(52)에 대하여 회전운동하는 회전자(54)로 이루어지며, 이 회전자(54)는 고정자(52)로 전류가 공급됨에 따라 회전하며 주축(40)및 회전드럼(30)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므로써 비디오헤드(34)가 헤드드럼 조립체의 주연을 따라 이송중인 테이프로의 신호트랙을 차례로 스캔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자(54)는 주축(40)하단에 고정되어 하부 베어링(24)의 내륜을 가압하여 예압을 부여하는 예압보스(70)에 나사(72)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헤드드럼 조립체는 가공부위의 증가로 인해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헤드드럼 조립체는 회전드럼을 성형함에 있어서 프레스단조에 의해 일차로 가공 완료한 상태에서 각면 예를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와 접촉하는 외주면(F1), 헤드베이스(32)의 설치면(F2), 베어링을 가압하기 위한 예압돌기(42)의 저면(F3), 트랜스로터(64)의 고정면(F4), 외주면 가공시 척킹(chucking)을 위한 보스(36)의 외주면(F5), 가공치수의 기준이 되는 보스(36)의 상면(F6)등 회전드럼(30)의 표면 전체를 각각 요구되는 정도를 유지하도록 가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표면에 대한 가공으로 인해 작업시간의 소요는 물론 특히, 외주면(F1)의 경우 테이프와 접촉하는 면이므로 매우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회전드럼(30)에는 헤드베이스(32)의 고정을 위한 구멍(32b) 및 조정나사(34a)의 결합을 위한 구멍(34b)등을 별도로 추가 가공하여야 하므로 이 또한 작업성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헤드드럼 조립체의 회전드럼은 주로 고가의 알루미늄합금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으므로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 또한 수반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특히, 후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헤드드럼 조립체의 회전드럼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헤드드럼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회전드럼의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드럼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드럼의 지지부재를 발췌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2: 헤드베이스32a: 고정나사
34: 비디오헤드34a: 조정나사
40: 주축100: 지지부재
110: 베이스120: 보스부
130: 하우징부200: 몰드부재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드럼과, 고정드럼에 베어링지지되어 고속회전하는 주축에 고정되는 회전드럼을 구비한 헤드드럼 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판형의 베이스와, 베이스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주축과 억지끼워맞춤되는 보스부와, 베이스 외주연에서 상향 절곡되는 하우징부로 구성된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주연에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아웃서트 성형되는 몰드부재;로 이루어진 헤드드럼 조립체의 회전드럼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기헤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부호는 종래와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드럼을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원반형의 베이스(110) 중앙에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소정의 내경을 갖는 것으로 주축(40)과 억지끼워맞춤되는 보스부(120)가 형성되는 지지부재(1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100)는 프레스등에 의해 절곡성형이 용이한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베이스(110)의 외주연에는 상기 보스부(120)와 반대인 축방향으로 절곡연장되는 하우징부(130)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는 상기 지지부재(100)만을 발췌하여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베이스(110)상에는 프레스 가공시 동시가공되는 복수의 구멍(112)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다시 도 3을 보면 지지부재(100)의 주연에는 몰드부재(200)가 아웃서트 성형되어 있다. 몰드부재(200)는 대략 베이스(110) 및 하우징부(130)의 주연에 대해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성형되며, 보스부(120)의 내경 및 하단부에는 성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도 5에는 도 3의 A부에 대한 상세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보스부(120)의 하단이 몰드부재(200)로부터 일정길이 하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상부 베어링(22)의 내륜을 가압토록하여 베어링에서 요구하는 예압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몰드부재(200)는 주축(40)과 지지부재(100)를 결합한 후에 사출성형을 실시하는 것으로, 성형시에는 몰드부재(200)에 지지부재(100)의 구멍(112)들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멍들이 동시에 성형된다.
상기 몰드부재(200)는 사출성형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그 표면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표면가공을 필요로하지 않게 된다. 특히 이와 같이 후가공을 필요로하지 않게되는 것은 종래의 가공으로 인한 막대한 제조공정을 단축할 수 있게되는 것으로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된다.
한편, 제조완료된 회전드럼에 비디오헤드(34)를 조립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나사(32a)를 이용하여 비디오헤드(34)가 고정된 헤드베이스(32)를 몰드부재의 저면에 나사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고정나사(32a)는 지지부재(100)의 구멍(112)내경에 태핑(tapping)결합된다. 또한, 비디오헤드(34)의 높이조절을 이루는 조정나사(34a)의 경우에도 고정나사(32a)와 마찬가지로 태핑에 의해 결합된다.
몰드부재(200)의 내부에 지지부재(100)가 골격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몰드부재(200)는 정해진 형태에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게 되며, 지지부재(100)와 주축(40)의 결합후 몰드부재(200)를 사출하게 되므로 주축의 이탈에 대한 충분한 결합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드럼 조립체의 회전드럼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의 주연에 몰드부재를 소정두께 이상으로 일체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므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되고, 특히, 매우 양호한 표면상태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요구되는 표면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후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고정드럼과, 고정드럼에 베어링지지되어 고속회전하는 주축(40)에 고정되는 회전드럼을 구비한 헤드드럼 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판형의 베이스(110)와, 베이스(110) 중앙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주축(40)과 억지끼워맞춤되는 보스부(120)와, 베이스(110) 외주연에서 상향 절곡되는 하우징부(130)로 구성된 지지부재(100)와;
    지지부재(100)의 주연에 소정의 두께 이상으로 아웃서트 성형되는 몰드부재(200);로 이루어진 헤드드럼 조립체의 회전드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0)의 보스부(120) 하단이 몰드부재(200)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함을 부여토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드럼 조립체의 회전드럼.
KR1019970006761A 1997-02-28 1997-02-28 헤드드럼조립체의 회전드럼 KR199800696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761A KR19980069615A (ko) 1997-02-28 1997-02-28 헤드드럼조립체의 회전드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761A KR19980069615A (ko) 1997-02-28 1997-02-28 헤드드럼조립체의 회전드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615A true KR19980069615A (ko) 1998-10-26

Family

ID=6598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761A KR19980069615A (ko) 1997-02-28 1997-02-28 헤드드럼조립체의 회전드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96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8029A (en) In-spindle motor assembly for disk drive and method for fabricating
JP3312942B2 (ja) 磁気ディスク装置
KR19980069615A (ko) 헤드드럼조립체의 회전드럼
KR0135669Y1 (ko) 브이씨알장치의 헤드드럼 조립체
US4831474A (en) Disk supporting mechanism in disk driving device
JPS6022796Y2 (ja) 回転磁気ヘツド駆動装置
KR100229391B1 (ko) 헤드드럼 조립체
JP2559464B2 (ja) 回転ヘッド装置
KR100203429B1 (ko) 헤드드럼 조립체
JPH0696514A (ja) スピンドルモータ
KR200146660Y1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트러스트베어링
KR100203427B1 (ko) 헤드드럼 조립체
KR100211881B1 (ko) 헤드드럼 조립체
KR100315522B1 (ko) 헤드드럼 조립체
KR100292353B1 (ko) 자기보상형 밸런서를 채용한 턴테이블 일체형 스핀들모터
KR19980017840A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헤드베이스 고정구조
KR19980059062A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자기헤드
KR0135853B1 (ko) 회전 자기헤드 드럼 구조체
KR0124592B1 (ko) 브이시알(vcr)의 회전헤드드럼
KR0183867B1 (ko) 디스크플레이어용 턴테이블 조립체
JP2513016B2 (ja) 回転ドラム装置
KR200149198Y1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로터리트랜스포머 고정구조
KR19980059032A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 조립체
KR19990028286U (ko) 헤드 드럼 조립체
KR19990006688U (ko) 헤드 드럼 조립체의 드럼 모터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