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175A -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175A
KR19980069175A KR1019970006103A KR19970006103A KR19980069175A KR 19980069175 A KR19980069175 A KR 19980069175A KR 1019970006103 A KR1019970006103 A KR 1019970006103A KR 19970006103 A KR19970006103 A KR 19970006103A KR 19980069175 A KR19980069175 A KR 19980069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ister
fuel tank
fuel
solenoid valv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0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9175A/ko
Publication of KR1998006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175A/ko

Links

Landscapes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용적을 갖고 관체(12,13,14)를 통해 엔진(2)과 에어 밴트(3) 및 연료탱크(4)와 연결된 캐니스터(1)와; 소정용적을 갖고 엔진(2)에 공급할 연료를 저장하고 있는 연료탱크(4)와; 상기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 설치되어 연료탱크(4)내의 연료량을 검출하는 유량계(5)와; 소정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차의 전장품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6)와; 상기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서 유량계(5)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제어부(6)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있을시 관체(14)를 막아주는 제 2 전자밸브(8)와; 상기 제어부(6)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송풍기(10)와 제 1 전자밸브(9)를 구비하고 상기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서 제 2 전자밸브(8)의 전방부와 캐니스터(1)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연료탱크(4)의 증발가스를 일시저장하였다가 캐니스터(1)로 피드백시켜 주는 소정용적의 챔버(7)로 구성하여여 주므로써 날씨가 매우 무덥거나 자동차의 오버히팅등에 의해 연료의 증발가스가 증가함으로 인한 에어 밴트로 증발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니스터2 : 엔진
3 : 에어밴트4 : 연료탱크
5 : 유량계6 : 제어부
7 : 챔버9,8 : 제 1 및 제 2 전자밸브
11-14,17 : 관체
[발명의목적]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되었을 때 기화기의 뜨개실과 연료탱크에서 증발되는 연료가스를 포집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캐니스터(Canister)의 포집용량을 넘어서서 에어 밴트로 증발가스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캐니스터와 연료탱크 사이에 챔버를 설치하여 유량센서에서 캐니스터로 유입된 증발가스를 측정한 결과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보다 큰 경우에는 챔버로 이를 일시 저장하였다가 차후 캐니스터로 피드백시켜 주므로써 날씨가 매우 무덥거나 자동차의 오버히팅등에 의해 연료의 증발가스가 증가함으로 인한 에어 밴트로 증발가스 역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캐니스터는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되었을 때 기화기의 뜨개실과 연료탱크에서 증발되는 연료가스를 포집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활성탄을 넣은 관체(차콜 캐니스터)를 말하며 엔진의 시동을 걸면 PCSV의 제어에 의해 흡기 다기관을 통해 연소실로 유입되어 연소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소정용적을 갖는 캐니스터와 연료탱크를 직접 연결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발명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분야]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캐니스터의 포집용량에 무관하게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날씨가 매우 무덥거나 자동차가 오버히팅이 되는 등에 의해 연료탱크로 부터 많은 증발가스가 발생되어 캐니스터의 포집용량을 넘을 경우 일부의 증발가스가 에어 밴트로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구성및작용]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용적을 갖고 관체를 통해 엔진과 에어 밴트 및 연료탱크와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되었을 때 기화기의 뜨개실과 연료탱크에서 증발되는 연료가스를 포집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캐니스터와; 소정용적을 갖고 엔진에 공급할 연료를 저장하고 있는 연료탱크와; 상기 캐니스터와 연료탱크 사이에 연결된 관체에 설치되어 연료탱크내의 연료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제어부로 출력시켜 주는 유량계와; 소정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차의 전장품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와; 상기 캐니스터와 연료탱크 사이에 연결된 관체에서 유량계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있을시 관체를 막아주는 제 2 전자밸브와;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송풍기와 제 1 전자밸브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캐니스터와 연료탱크 사이에 연결된 관체에서 제 2 전자밸브의 전방부와 캐니스터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연료탱크의 증발가스를 일시저장하였다가 캐니스터로 피드백시켜 주는 소정용적의 챔버로 구성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유량계를 통해 검출한 결과 증발가스의 량이 캐니스터의 용적보다 많을 경우에는 제 2 전자밸브는 닫고 제 1 전자밸브는 열은 상태에서 송풍기를 소정시간 동안 구동시켜 증발가스를 챔버내로 포집시킨 후 다시 제 2 전자밸브는 열고 제 1 전자밸브는 닫음과 동시에 송풍기의 구동은 차단시키도록 하므로써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날씨가 매우 무덥거나 자동차의 오버히팅등에 의해 연료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의 포집용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캐니스터측은 차단되고 예비로 설치된 챔버로 자동 포집되므로 증발가스가 에어 밴트로 역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 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의하면, 소정의 용적을 갖고 관체(12,13,14)를 통해 엔진(2)과 에어 밴트(3) 및 연료탱크(4)와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되었을 때 기화기의 뜨개실과 연료탱크(4)에서 증발되는 연료가스를 포집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캐니스터(1)와; 소정용적을 갖고 엔진(2)에 공급할 연료를 저장하고 있는 연료탱크(4)와; 상기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 설치되어 연료탱크(4)내의 연료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제어부(6)로 출력시켜 주는 유량계(5)와; 소정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차의 전장품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6)와; 상기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서 유량계(5)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제어부(6)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있을시 관체(14)를 막아주는 제 2 전자밸브(8)와; 상기 제어부(6)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송풍기(10)와 제 1 전자밸브(9)를 구비하고 상기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서 제 2 전자밸브(8)의 전방부와 캐니스터(1)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연료탱크(4)의 증발가스를 일시저장하였다가 캐니스터(1)로 피드백시켜 주는 소정용적의 챔버(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제어부(6)에서 유량계(5)를 통해 검출되는 연료탱크(4)내의 증발가스량이 캐니스터(1)의 용적(x)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제 1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증발가스량이 캐니스터(1)의 용적(x)보다 많으면 제 2 전자밸브(8)는 닫고 제 1 전자밸브(9)는 열은 상태에서 챔버(7)내의 송풍기(10)를 소정시간(t') 동안 구동시켜 증발가스를 챔버(7)내로 포집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송풍기(10)의 구동시간(t)이 설정시간(t')을 경과하면 제 2 전자밸브(8)는 열고 제 1 전자밸브(9)는 닫음과 동시에 송풍기(10)의 구동은 차단시키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적 구성 중 그 첫번째는 기존의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서 유량계(5)의 전방부에 제 2 전자밸브(8)를 설치하여 제어부(6)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관체(14)를 막아 캐니스터(1)로 직접 유입되는 증발가스 차체를 선택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두번째로는 상기 제어부(6)의 출력신호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송풍기(10)와 제 1 전자밸브(9)를 구비하고 소정용적을 갖는 챔버(7)를 상기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서 제 2 전자밸브(8)의 전방부와 캐니스터(1) 사이에 설치하여 날씨가 매우 무덥거나 자동차가 오버히팅되는 것 등에 의해 연료의 증발가스가 캐니스터(1)의 포집용량을 초과할 경우 증발가스를 일시저장하였다가 차후 캐니스터(1)로 피드백시켜 주어 에어 밴트(3)로 증발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6)에서 유량계(5)를 통해 연료탱크(4)내의 증발가스량을 검출하여 캐니스터(1)의 용적(x)을 초과하면 그 즉시 제 2 전자밸브(8)는 닫아 증발가스가 캐니스터(1)로 포집되는 것을 방지하고 챔버(7)의 입구측을 막고 있는 제 1 전자밸브(9)는 열은 다음 송풍기(10)를 소정시간(t') 동안 구동시키므로써 연료탱크(4)에서 증발된 가스가 송풍기(10)의 구동에 의해 챔버(7)내로 강제적으로 포집되므로 증발가스량이 캐니스터(1)의 용적보다 큼으로 인한 에어 밴트(3)측으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6)에서는 송풍기(10)의 구동시간(t)이 설정시간(t')을 경과하면 다시 제 2 전자밸브(8)는 열어 연료탱크(4)와 캐니스터(1) 사이의 관체(14)가 개구되도록 하고 제 1 전자밸브(9)는 닫아 챔버(7)의 입구측이 막히도록 함과 동시에 송풍기(10)의 구동은 차단시키게 되므로 상기 연료탱크(4)에서 증발된 가스가 다시 관체(14)를 통해 캐니스터(1)측으로 포집된다.
물론, 상기 챔버(7)에 포집된 증발가스는 차우 상기 챔버(7)와 캐니스터(1)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관체(17)를 통해 캐니스터(1)로 서서히 유입(즉, 피드백)된다.
[발명의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캐니스터와 연료탱크 사이에 챔버를 설치하여 유량센서에서 캐니스터로 유입된 증발가스를 측정한 결과 캐니스터의 포집용량 보다 큰 경우에는 챔버를 통해 일시 저장하였다가 차후 캐니스터로 피드백시켜 주므로써 날씨가 매우 무덥거나 자동차의 오버히팅등에 의해 연료의 증발가스가 증가함으로 인한 에어 밴트로 증발가스가 역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소정의 용적을 갖고 관체(12-14)를 통해 엔진(2)과 에어 밴트(3) 및 연료탱크(4)와 연결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엔진이 정지되었을 때 기화기의 뜨개실과 연료탱크(4)에서 증발되는 연료가스를 포집하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캐니스터(1)와; 소정용적을 갖고 엔진(2)에 공급할 연료를 저장하고 있는 연료탱크(4)와; 상기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 설치되어 연료탱크(4)내의 연료량을 전기적인 신호로 검출하여 제어부(6)로 출력시켜 주는 유량계(5)와; 소정프로그램을 통해 자동차의 전장품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제어부(6)와; 상기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서 유량계(5)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제어부(6)에서 소정의 출력신호가 있을시 관체(14)를 막아주는 제 2 전자밸브(8)와; 상기 제어부(6)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송풍기(10)와 제 1 전자밸브(9)를 구비하고 상기 캐니스터(1)와 연료탱크(4) 사이에 연결된 관체(14)에서 제 2 전자밸브(8)의 전방부와 캐니스터(1)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연료탱크(4)의 증발가스를 일시저장하였다가 캐니스터(1)로 피드백시켜 주는 소정용적의 챔버(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2. 제어부(6)에서 유량계(5)를 통해 검출되는 연료탱크(4)내의 증발가스량이 캐니스터(1)의 용적(x) 이상인지를 검출하는 제 1 과정과; 상기에서 검출한 결과 증발가스량이 캐니스터(1)의 용적(x)보다 많으면 제 2 전자밸브(8)는 닫고 제 1 전자밸브(9)는 열은 상태에서 챔버(7)내의 송풍기(10)를 소정시간(t') 동안 구동시켜 증발가스를 챔버(7)내로 포집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송풍기(10)의 구동시간(t)이 설정시간(t')을 경과하면 제 2 전자밸브(8)는 열고 제 1 전자밸브(9)는 닫음과 동시에 송풍기(10)의 구동은 차단시키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방법.
KR1019970006103A 1997-02-27 1997-02-27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69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103A KR19980069175A (ko) 1997-02-27 1997-02-27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103A KR19980069175A (ko) 1997-02-27 1997-02-27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175A true KR19980069175A (ko) 1998-10-26

Family

ID=6598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103A KR19980069175A (ko) 1997-02-27 1997-02-27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91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38B1 (ko) * 2002-09-13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누유 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204A (en) * 1974-04-15 1975-05-20 Gen Motors Corp Tank fill vapor control
JPH0299755A (ja) * 1988-10-03 1990-04-11 Japan Electron Control Syst Co Ltd 燃料タンクの内圧制御装置
JPH02139353A (ja) * 1988-09-30 1990-05-29 Procter & Gamble Co:The 一体に形成された運搬用取手を有する柔軟な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204A (en) * 1974-04-15 1975-05-20 Gen Motors Corp Tank fill vapor control
JPH02139353A (ja) * 1988-09-30 1990-05-29 Procter & Gamble Co:The 一体に形成された運搬用取手を有する柔軟な袋
JPH0299755A (ja) * 1988-10-03 1990-04-11 Japan Electron Control Syst Co Ltd 燃料タンクの内圧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438B1 (ko) * 2002-09-13 2005-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누유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223B2 (en) Device for detecting malfunction in evaporated gas purging system
US7400955B2 (en) Procedure to diagnose a fuel tank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to implement the procedure
EP0545122B1 (en) Positive pressure canister purge system integrity confirmation
US6182642B1 (en) Leak detection of emission control system
KR970059485A (ko) 증발 시스템 및 그 진단 방법
US7131322B2 (en) Vehicle evaporative system diagnostic
JPH07217504A (ja) 車両用燃料タンクの内圧調整装置
JP2004360461A (ja) 過給機付エンジンの蒸発燃料処理装置
US6973924B1 (en) Evaporative fuel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932658A (ja) 内燃機関のエバポパージ装置における機能診断装置
JPH09242620A (ja) 燃料蒸散防止装置の故障診断装置
EP1054151A3 (en) A diagnostic device for an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CN109752028A (zh) 汽油车油箱盖开启正压检测方法
US6886399B2 (en) Method for determining mass flows into the inlet manifold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748662B1 (ko) 자동차의 증발가스 리크 진단장치 및 방법
CN108700001B (zh) 车辆用气体处理装置
US6308559B1 (en) Two stage monitoring of evaporative purge system
KR19980069175A (ko) 자동차의 연료증발가스 포집장치 및 그 방법
KR100774350B1 (ko) 차량에서 캐니스터 퍼지 제어장치 및 방법
US5269279A (en) Evaporating fuel control device for vehicles
JP4310836B2 (ja) 蒸発燃料処理系圧力検出手段の故障診断装置
JP2020112121A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5771859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idl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4308595A (ja) 蒸発燃料処理装置及びその装置の診断装置
KR100290337B1 (ko) 차량용증발가스퍼지제어시스템및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