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747U - 전지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는 회전체 유희구 - Google Patents

전지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는 회전체 유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747U
KR19980068747U KR2019980017139U KR19980017139U KR19980068747U KR 19980068747 U KR19980068747 U KR 19980068747U KR 2019980017139 U KR2019980017139 U KR 2019980017139U KR 19980017139 U KR19980017139 U KR 19980017139U KR 19980068747 U KR19980068747 U KR 1998006874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lay
battery
circuit board
rotating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1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연
Original Assignee
김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연 filed Critical 김보연
Priority to KR20199800171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747U/ko
Publication of KR19980068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747U/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회전하면서 소리와 빛을 발생시키면서 놀이를 하는 회전체 유희구(요요)에 관한 것으로, 전지 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어 전지의 교환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회전체 유희구에 관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요요는 회전원판을 회전원판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에 감겨진 끈의 당김과 풀림에 의한 끈과 회전축 사이의 마찰계수를 이용하여 회전원판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유도하거나 회전원판에 장착된 스프링의 작용으로 회전축을 회전원판과 밀착되거나 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요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단순히 회전원판의 회전이나 움직임에 의한 놀이로 한정된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회전원판의 회전으로만 놀이를 할 수 있었던 공지의 회전체 유희구에 있어서, 회전원판 내부에 회로를 연결한 회로판을 장착하여 전지를 연결함으로써 소리와 빛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추가하여 한층 더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때 회로판과 이에 연결되어지는 전지가 반드시 회전원판 내부에 장착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전지를 교환할 경우에는 요요 전체를 일일이 분해하여 회전원판 내부에 연결된 전지를 교환한 후 다시 조립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공지의 회전체 유희구에 있어서 회로판이 내장되어 있는 일측의 회전원판과 전지 교환부가 외부에 형성되는 덮개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전지의 교환시 유희구 전체를 일일이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전지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회전체 유희구.

Description

전지 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는 회전체 유희구.
본 고안은 회전하면서 소리와 빛을 발생시키면서 놀이를 하는 회전체 유희구(요요)에 관한 것으로, 전지 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어 전지의 교환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회전체 유희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요요는 회전원판을 회전원판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에 감겨진 끈의 당김과 풀림에 의한 끈과 회전축 사이의 마찰계수를 이용하여 회전원판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유도하거나 회전원판에 장착된 스프링의 작용으로 회전축을 회전원판과 밀착되거나 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요요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단순히 회전원판의 회전이나 움직임에 의한 놀이로 한정된 것이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회전원판의 회전으로만 놀이를 할 수 있었던 공지의 회전체 유희구에 있어서, 회전원판 내부에 스피커와 다이오드가 회로로 연결된 회로판을 장착하여 전지를 연결함으로써 소리와 빛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추가하여 한층 더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체 유희구의 조립 구성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축(100)이 일체로 형성된 일측의 덮개(200)에 회전원판(300)을 결합되도록 끼우고 노출되는 고정축(100)에 회전축(400)을 삽입한 후, 타측의 덮개(201)에 회전원판(301)을 끼우고 체결보울트(500)를 고정축(100)에 삽입하여 나사결합시켜 고정토록 조립 구성되고 회로판과 이에 연결되어지는 전지가 반드시 회전원판 내부에 장착되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원판(301)의 내부에 장착된 회로판에 연결되어지는 전지를 교환할 경우에는 고정축(100)에 삽입된 체결보울트(500)를 빼고 회전체 유희구 전체를 일일이 분해하여 회전원판 내부에 연결된 전지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전지를 교환한 후에도 다시 상기와 같은 조립 순서대로 조립해야 하는 조립의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지의 회전체 유희구에 회전원판과 고정축으로 결합 구성되는 회전체 유희구의 결속력을 증대시키고 조립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15109 호」의 결합구조로 구성된 회전체 유희구에 있어서 회로판이 내장되어 있는 회전원판을 전지 교환부가 외부에 형성되는 덮개와 체결보울트로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전지를 교환할 때 요요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전지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회전원판 2: 회로판
3: 전지 4, 4a: 요입부
5: 나사돌기 6: 전지교환부
7: 코일스프링 8: 결합돌기
9: 전지교환부덮개 10: 회전원판덮개
11, 11a: 체결보울트 12: 체결구멍
13: 고정축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각각 대칭되는 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공지의 회전체 유희구에 있어서, 일측의 회전원판(1)에 소리와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피커와 다이오드가 회로로 연결된 회로판(2)을 내부에 고정하여 덮개(10)의 일면 내측단으로 회로판(2)에 삽입되는 전지(3)의 외주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의 요입부(4) 2개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지 교환부(6)와 코일 스프링(7)이 돌출된 2개의 요입부(4a)에 연결되어 전지 교환부(6)에 내삽토록 형성된 전지 교환부 덮개(9)에 결합돌기(8)를 형성하여 회전원판덮개(10)의 나사돌기(5)를 삽입하여 나사 결합시키도록 형성된 덮개(10)로 나사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회전원판(1)에 회로판(2)과 덮개(10)가 결합되는 방식은 고정축(3)이 형성된 일측의 덮개(10)에 2개의 나사돌기(5)를 형성하여 회로판(2)에 천공된 2개의 체결구멍(12)에 회전원판(1)에 형성된 2개의 결합돌기(8)를 통과시키고 덮개(10)의 나사돌기(5)를 삽입시킨 후 회전원판(1)의 내측으로 체결보울트(11)를 삽입토록 하여 나사 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지(3)의 교체시 전지 교환부 덮개(9)의 체결구멍(8)에 내입하여 고정된 체결보울트(11a)를 빼고 전지 교환부 덮개(9)를 분리하여 회로판(2) 단자의 접접이 일치되도록 전지교환부(6)의 요입부(4) 내측으로 전지(3)를 삽입하거나 빼내는 방법으로 전지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고, 교체 후에는 단순히 전지 교환부 덮개(9)를 전지 교환부(6)에 내삽하여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회전체 유희구를 일일이 분해하지 않고도 전지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전지 교환부(6)는 전지 교환부 덮개(9)의 요입부(3a)에 연결된 코일 스프링(7)이 삽입된 전지(3)를 압축 고정된 상태에서 전지 교환부 덮개(9)와 단단히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회전하는 회전원판의 유동에 의해서도 전지가 이탈되지 않고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공지의 회전체 유희구에 전지 교환부가 회전원판 덮개(10)의 외부에 형성됨으로써 전지의 교환시 요요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도 외부에서 전지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공지의 회전체 유희구에 있어서, 일측의 회전원판(1)에 회로판(2)을 내부에 고정하여 회전원판덮개(10)의 일면 내측단으로 회로판(2)에 삽입되는 전지(3)의 외주와 동일한 형태와 크기의 요입부(4)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전지 교환부(6)와 코일 스프링(7)이 돌출된 요입부(4a)에 연결되어 전지 교환부(6)에 내삽토록 형성된 전지교환부덮개(9)에 결합돌기(8)를 형성하여 회전원판덮개(10)의 나사돌기(5)를 삽입 후 나사 결합되는 회전원판덮개(10)로 나사 결합되어 구성되는 전지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는 회전체 유희구.
KR2019980017139U 1998-09-09 1998-09-09 전지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는 회전체 유희구 KR1998006874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139U KR19980068747U (ko) 1998-09-09 1998-09-09 전지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는 회전체 유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139U KR19980068747U (ko) 1998-09-09 1998-09-09 전지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는 회전체 유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747U true KR19980068747U (ko) 1998-12-05

Family

ID=6951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139U KR19980068747U (ko) 1998-09-09 1998-09-09 전지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는 회전체 유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74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538A (ko) * 2000-06-07 2001-12-13 황의식 자가발전수단이 내장된 요요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0538A (ko) * 2000-06-07 2001-12-13 황의식 자가발전수단이 내장된 요요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42474U (ja) コマ玩具
US7736275B2 (en) Wrist exerciser with sound generator
JPH0324284U (ko)
JP2007009910A (ja) ファンモジュール及びそのファンケーシング
KR101140326B1 (ko) 조립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조립용 완구
US7550687B2 (en) Architecture effectively connecting a rotary switch and a casing
JP3061144U (ja) クロスフロ―ファンの組合せ構造
KR100858698B1 (ko) 자석 장착용 부품 및 이를 이용한 자석완구
KR19980068747U (ko) 전지교환부가 외부로 형성되는 회전체 유희구
JP2013540529A (ja) 玩具組立セット
US20070252460A1 (en) Blower structure
KR19980065238U (ko) 회전체 유희구의 결합구조
CN218923754U (zh) 一种中心体组件及具有该中心体组件的魔方
CN210377686U (zh) 转扭开关装置及扭蛋机
CN216295181U (zh) 旋转魔方
CN217548978U (zh) 一种磁性陀螺玩具及陀螺拼装组件
KR200344028Y1 (ko) 모터용 정면 커버 및 배면 커버의 결합구조
CN220037605U (zh) 一种微型紧凑不锈铁壳电磁阀
JPH0991814A (ja) 磁気ディスクドライバのチャッキング機構
CA2655476A1 (en) Blade assembly for a ceiling fan
CN110270101B (zh) 可自由组装的陀螺玩具
KR200344029Y1 (ko) 모터용 하우징의 커버 결합구조
KR200378593Y1 (ko) 손전등의 스위치 조립체
JP2007104851A (ja) 電動モータ
KR200239240Y1 (ko) 선택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