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050U - 클리닝부재가 구비된 볼마우스 - Google Patents

클리닝부재가 구비된 볼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050U
KR19980068050U KR2019970012674U KR19970012674U KR19980068050U KR 19980068050 U KR19980068050 U KR 19980068050U KR 2019970012674 U KR2019970012674 U KR 2019970012674U KR 19970012674 U KR19970012674 U KR 19970012674U KR 19980068050 U KR19980068050 U KR 199800680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ouse
cleaning member
main body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2019970012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050U/ko
Publication of KR199800680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050U/ko

Links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를 조작할 때 외부로 노출된 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클리닝 부재가 구비된 볼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 내부에 컴퓨터 본체(10)와 접속된 인쇄회로기판(15)등이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5)과 접속되는 포터센서(17a,17b)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포터센서(17a,17b)와 접촉되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볼(20)과, 상기 본체(10)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볼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볼노출구멍이 형성된 볼지지판(13a)으로 구성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볼노출구멍(14)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볼(20)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부재(34)가 설치된 볼지지판(13b)로 구성되어 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클리닝부재에 의해 제게됨에 따라 마우스의 회전을 센싱하는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모니터 상에서 커서의 위치를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클리닝부재가 구비된 볼마우스
본 고안은 컴퓨터의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우스를 조작할 때 외부로 노출된 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클리닝 부재가 구비된 볼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컴퓨터를 조작함에 있어서 키이보드상의 기능키보다 사용이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됨으로써 다양한 구조와 패턴으로 생산되고 있다. 특히, 모니터상에서 윈도우상태의 운영체계의 아이콘 등을 선택하거나 설계나 디자인 등의 커서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동을 요하는 프로그램상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마우스는 주로 볼의 구름상태를 센싱하여 클릭하는 볼마우스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볼마우스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볼마우스가 결합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로서, 참조번호 10은 인쇄회로기판과 볼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본체이고, 13a는 본체로부터 볼을 분리결합시킬 수 있는 볼지지판이며, 20은 마우스가 이동될 때센서와 접촉되면서 회전되는 구형의 볼이다.
본체(10)는 하부케이스(10a)와 상부케이스(10b)로 구성되고, 하부케이스(10b)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컴퓨터의 본체(10)와 회로적인 접속을 갖는 인쇄회로기판(15)이 설치된다.
인쇄회로기판(15)에는 하부케이스(10b)와 더불어 중심부에 볼이 삽입되는 볼구멍(12)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구멍(12)의 상부둘레에는 직각방향으로 설치되어 볼(20)의 회전방향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포터센서(17a)(17b)와, 볼(20)이 포터센서(17a)(17b)로 원활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볼지지수단(22)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포터센서(17a)(17b)에는 볼(20)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롤러(18a)(18b)가 설치되어 있는데, 일측은 볼(20)의 횡회전을 감지하고, 다른 하나는 볼(20)의 종회전을 감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하부케이스(10b)의 볼구멍(12)의 외측선단면에는 중심부에 볼구멍(12)보다 작은 구멍이 뚫린 볼노출구멍(14)이 형성된 볼지지판(13a)이 결합되어 볼(20)을 지지함으로써 마우스로부터 볼(2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볼노출구멍(14)을 통해 삽입된 볼(20)의 일부분만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기판(15)의 볼구멍(12) 상부에는 볼(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면서 볼(19)의 상부를 지지하는 캡형 볼받이(21)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조립된 마우스를 움직이게 되면 하부케이스(10a)의 볼노출구멍(12)을 통해 노출된 볼(20)이 바닥면과 접촉되어 마우스의 이동 방향으로 구르게 되고, 이때 볼(20)과 접촉되어 있는 인쇄회로판(15)의 횡롤러(18a)와 종롤러(18b)가 회전하게 된다. 이 작동에 의해 포터센서(17a)(17b)가 볼(20)의 회전속도 및 이동방향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화면상에 커서의 위치를 나타내 주게 된다. 그리고 모니터 화면에 나타난 커서가 사용자의 원하는 아이콘의 위치에 접근했을 때 상부케이스(10a)의 버튼(11)을 누르게 되면 그 선택된 아이콘의 파일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된 구조의 마우스의 조작시에 볼은 볼노출구멍(14)통해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 바닥이나 마우스 패드에서 마찰력에 의해 볼이 회전됨에 따라 볼의 표면에는 외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의 부착된다. 이와 같이 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은 마우스의 내부로 삽입되어 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포터센서에서 감지되는 동안 센서에 결합된 회전롤러 등에 엉기거나 접촉되어 센서의 오동작이 발생될 뿐 만아니라 정밀한 작업을 요하는 경우에 커서 위치를 세밀하게 이동시키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볼지지판에 형성된 볼출구멍에 클리닝부재를 설치하여 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클리닝부재로 제거시킴에 따라 센서의 오동작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클리닝부재가 구비된 볼마우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우스가 조립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가 조립된 상태의 요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에 볼이 결합된 상태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본체 10a : 상부케이스
10b : 하부케이스 11 : 버튼
12 : 볼구멍 13a,13b : 볼지지판
14 : 볼노출구멍 15 : 인쇄회로기판
17a,17b : 포터센서 18a,18b : 롤러
20 : 볼 30 : 안착부
32 : 정렬홈 34 : 클리닝부재
36 : 고정편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케이스 내부에 컴퓨터 본체와 접속된 인쇄회로기판등이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센서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센서와 접촉되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볼과, 상기 본체에 결합수단의해 결합되고 상기 볼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볼노출구멍이 형성된 볼지지판으로 구성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볼노출구멍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볼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부재가 설치된 커버로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에 커버가 조립된 상태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로서, 참조번호 10은 마우스의 본체이며, 13b는 본체내부에 삽입된 볼을 분리결합시킬 수 있는 볼노출구멍이 형성된 볼지지판이다.
본체(1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에는 볼구멍(12)과 포터센서(17a,17b) 등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15)이 설치되고,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볼구멍(12)이 외부와 관통되어 형성되어 있다. 볼구멍(12)의 외측선단면에는 일정거리 이격되어 내측으로 단차진 원형의 안착부(30)가 형성되고, 안착부(30)에는 일정길이가 절결된 정렬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볼지지판(13b)은 본체(10)의 안착부(30)에 삽입되는 일정두께를 가진 원형의 판으로 중앙에는 볼(20)의 지름의 직경보다 적은 볼노출구멍(14)이 형성되고, 볼노출구멍(14)의 내주면을 따라 스폰지 등의 재질로 형성된 클리닝부재(34)가 접착제등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볼지지판(14b)의 외주면 선단면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원형판에 대칭되는 면에 고정편(36)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마우스의 결합 및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마우스의 본체(10)의 하부케이스(10b)에 형성된 볼구멍(12)을 통해 볼(20)을 도 1에 도시된 포터센서(17a,17b)와 접촉되어 연동되도록 삽입시키고 안착부(30)에 형성된 정렬홈(32)에 볼지지판(13b)의 고정편(36)을 정렬시킨다. 이때 볼(20)은 볼노출구멍(14)을 통해 외부로 일정하게 노출된다. 이와 같이 정렬된 상태에서 볼지지판(13b)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편(36)은 하부케이스(10b)의 내측단면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볼지지판(13b)이 하부케이스(10b)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볼지지판(13b)의 볼노출구멍(14)에 결합된 클리닝부재(34)는 볼(14)의 표면에 접촉되는 상태를 갖는다.
이와같이 결합된 마우스를 사용할 때 본체(10)를 이동시키면 볼노출구멍(14)을 통해 노출된 볼(14)이 바닥이나 마우스패드에서 마찰력에 의해 접촉회전될 때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이 볼의 표면에 접촉되어 마우스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볼과 클리닝부재(34)가 접촉됨에 따라 클리닝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볼의 표면을 따라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볼지지판(13b)의 볼노출구멍(14)에 클리닝부재(34)가 결합됨에 따라 볼(20)의 표면에 부착된 외부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마우스의 회전을 센싱하는 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모니터 상에서 정밀하게 커서의 위치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케이스 내부에 컴퓨터 본체(10)와 접속된 인쇄회로기판(15)등이 설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5)과 접속되는 포터센서(17a,17b)가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포터센서(17a,17b)와 접촉되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볼(20)과, 상기 본체(10)에 결합수단의해 결합되고 상기 볼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 볼노출구멍(14)이 형성된 볼지지판(13a)으로 구성된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볼노출구멍(14)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볼(20)의 표면에 접촉되는 클리닝 부재(34)가 설치된 볼지지판(13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리닝부재가 구비된 볼 마우스.
KR2019970012674U 1997-05-30 1997-05-30 클리닝부재가 구비된 볼마우스 KR199800680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674U KR19980068050U (ko) 1997-05-30 1997-05-30 클리닝부재가 구비된 볼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674U KR19980068050U (ko) 1997-05-30 1997-05-30 클리닝부재가 구비된 볼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050U true KR19980068050U (ko) 1998-12-05

Family

ID=6969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674U KR19980068050U (ko) 1997-05-30 1997-05-30 클리닝부재가 구비된 볼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05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617Y1 (ko) X-y방향 입력장치
JPH0623945B2 (ja) トラックボール構体
US4652871A (en) X-Y position input device for display system
JP2018060664A (ja) スイッチ装置及び電子機器
US4881065A (en) X-Y position input apparatus including preventing dust interference
KR19980068050U (ko) 클리닝부재가 구비된 볼마우스
JPS6230103Y2 (ko)
GB2338775A (en) A position detector/indicator
JPH0330908Y2 (ko)
US6147679A (en) Mouse-type input device
JPH0353319Y2 (ko)
JPS6217872Y2 (ko)
JP2518225Y2 (ja) トラツクボール
JP5500899B2 (ja) 遊技機操作装置
JPH0435954Y2 (ko)
JPS6217873Y2 (ko)
KR200300251Y1 (ko) 볼 마우스 장치
JPH056211B2 (ko)
KR20080105432A (ko) 회전식 입력장치
KR200210292Y1 (ko) 레일형 마우스
KR20010113071A (ko) 마우스의 이물질 클리닝장치
JP2606985Y2 (ja) 座標入力装置
JPH0564928U (ja) トラックボール座標情報入力装置
JPS6213145Y2 (ko)
JPH06301481A (ja) 3次元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