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975U - 음식폐기물 소멸장치 - Google Patents

음식폐기물 소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975U
KR19980067975U KR2019970012599U KR19970012599U KR19980067975U KR 19980067975 U KR19980067975 U KR 19980067975U KR 2019970012599 U KR2019970012599 U KR 2019970012599U KR 19970012599 U KR19970012599 U KR 19970012599U KR 19980067975 U KR19980067975 U KR 199800679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fermentation
stirring
wast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2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이상진
태주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진, 태주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상진
Priority to KR2019970012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7975U/ko
Publication of KR19980067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975U/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음식 폐기물은 주로 매립에 의해 처리되고 이는 수거와 운송의 기초적인 문제와 함께, 음식 폐기물이 함유하고 있는 다량의 수분과 이 음식 폐기물이 부패하면서 발생되는 악취 및 침출수에 의하여 환경을 오염시킨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음식 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 음식 폐기물의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파쇄하여 발효, 소멸시키는 발효조로 이송하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장치를 일체화하여 수작업에 의한 폐기물의 선별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 폐기물의 발생 장소에 적은 공간내에서 폐기물과 밀착되어 즉시 처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의의 후레임상에 일측 상부로부터 음식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입호퍼와, 이 호퍼의 직하부에 위치하며 투입되는 음식 폐기물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전 구동되며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파쇄수단의 직하부에 위치하며 파쇄된 음식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이 이송 수단과 연통 되어 있으며 이송된 음식 폐기물을 교반하는 것과 가온장치를 포함하여 미생물에 의한 발효 소멸을 이루는 발효교반수단과, 발효교반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효중 발생되는 가스 및 악취를 탈취하는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탈취 수단을 이루어 상기 후레임내에 결합하여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
본 고안은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성 폐기물 예컨대 음식 폐기물 등을 발효시켜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와 경제적인 풍요에 수반하여 인류가 살아 나가는 어느곳을 막론하고 사람이 쓰고, 먹고 버린 각종 폐기물이 도처에 산재해 있다.
이러한 폐기물들은 무단히 폐기될 때 각종 오염의 원인을 제공하여, 각종 부작용을 초래하며 이를 방치하게 되면 결국은 생태계의 파괴라는 치명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생존의 위해요소가 되어 되돌아온다.
따라서, 이러한 각종 폐기물들은 국가적인 노력에 의하여 적절한 형태로 분리 수거하여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러나 산업의 고도화로 각종 새로운 소재가 개발되어 이러한 폐기물의 경우에는 그 처리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를 동반한다.
한편, 각종 음식 폐기물이 경우에는 매립에 의한 처리가 주된 처리 방법으로써 이러한 처리 방법은 수거와 운송의 기초적인 문제와 함께, 음식 폐기물이 함유하고 있는 다량의 수분과 이 음식 폐기물이 부패하면서 발생되는 악취 및 침출수에 의하여 토양은 심하게 회손됨을 피할 수 없다.
이러한 음식 폐기물의 매립 처리는 상술한 부작용 이외에도 매립의 시간적 공간적인 한시성과 매립지의 확보에 따른 각종 민원의 원성도 높은 혐오 시설이어서 날이 갈수록 그 처리는 더욱더 어려워 질 수밖에 없다.
결국 자원을 헛됨이 없이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은 계속 늘어나는 폐기물 처리의 위기적인 현황으로써도 중요한 과제인 것이다.
음식 폐기물은 그 특성상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소각 등이 어려우며, 단시간 내에 부패하므로 그 처리가 속히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기술이 안출된 바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음식 폐기물을 발효 또는 건조시킬 수 있도록 된 장치를 안출하여 폐기물의 중량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다수의 고안이 있다.
국내 특허 공고 93-1204호, 93-1480호, 96-9050호 및 실용신안 공고 97-2764호, 97-2767호, 97-3026호, 97-3027호등이 그것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주로 교반익을 형성한 적정 교반조내에 소요의 발효효소를 첨가하여 교반을 행하면서 폐기물을 양적으로 줄이거나, 폐기물을 사료화하는 것으로써 그 형태는 상이하나 대부분 교반조내의 발효 온도를 유지하는 기술 수단과, 교반조내에서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뒤섞는 교반익과, 발효를 위한 외기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폐기물을 파쇄하기위한 기술 구성이 별도의 장치로 독립되어 있거나, 또는 배제되어 있어 폐기물을 교반조에 투입하기 전에 전 처리(이물질 분리, 폐기물 파쇄등)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므로 장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그 장치 구성이 상당한 규모의 플랜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기물의 발생 장소와는 거리가 멀어 폐기물의 수집 및 운반 이송에 따른 문제는 그대로 존재 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대형화된 설비를 갖추어야 하는 제한 요소는 역시 소형화하기에는 장치의 처리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음에 기인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하여는 폐기물의 발생 장소에 폐기물 처리장치가 밀접하게 위치하여 즉각적인 처리를 유도함이 특별히 요구되며, 음식 폐기물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특성에 의하여 부패하기 전에 처리하여야 함으로써 더욱더 그러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폐기물의 처리 과정이 폐기물 투입으로부터 처리된 폐기물이 배출 과정까지 단일의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지지 아니함으로 폐기물 처리에 공정 자동화가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이물질의 분리 및 파쇄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발효 처리 및 교반시에 상당한 문제가 유발되어 장치의 효율 및 실용화가 저하되거나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발효 음식 폐기물의 부패와 이에 따른 악취를 유발하고, 파쇄되지 아니한 폐기물은 교반시에 장치의 과부하와 그에 따른 파손을 초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가장 큰 목적은 음식 폐기물을 처리함에 있어 음식 폐기물의 종류에 구애됨이 없이 파쇄하여 발효, 소멸시키는 발효조로 이송하도록 하는 일련의 처리장치를 일체화하여 수작업에 의한 폐기물의 선별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고 음식 폐기물의 발생 장소에 적은 공간내에서 폐기물과 밀착되어 즉시 처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투입된 음식 폐기물을 즉각적으로 파쇄함에 의하여 폐기물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악취를 근본적으로 배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음식 폐기물 소멸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발효 소멸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완전하게 탈취 할 수 있도록 된 탈취 장치를 포함하여 처리 환경이 청결하도록 이루어지는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발효 소멸되는 잔류 찌꺼기를 배출하기 위한 슬라이드 도어를 형성하여 조작성이 우수한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파쇄이송 시키는 이송 수단의 구조적인 특성에 의하여 발효중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발효 소멸의 조건을 위하여 전기히터에 의하여 가열되는 워터자켓을 갖는 발효교반조를 구비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극대화하는 온수저류 방식의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를 제공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음식 폐기물 소멸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구체화된 실시 예로써의 외형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정면 상태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평면 상태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우측면 상태도.
제 6 도는 발효 가스를 배출하는 배기 구조를 도시한 요부 구성도.
제 7 도는 발효를 위하여 공기의 흡배기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구성도.
제 8 도는 발효교반조를 도시한 좌측면 상태도.
제 9 도는 발효교반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 구성도.
제 10 도는 파쇄장치를 발췌 도시한 측면 구성도.
제 11 도는 파쇄장치를 일부절결한 정면 상태도.
제 12 도는 파쇄장치의 일부절결 평단면도.
제 13 도는 파쇄장치를 일부절결한 측면 상태도.
제 14 도는 파쇄날반을 발췌 도시한 정면 상태도.
제 15 도는 틈부형성반을 발췌 도시한 정면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호퍼13 : 후레임
14 : 외장재20 : 파쇄수단
21,41,64 : 모터22,22a : 기어
23,33 : 접속부재24 : 체인커플링
25 : 틈부26 : 틈부형성반
27,27a : 회전축30,30a : 파쇄날부재
31 : 날반32,32a : 축공
34 : 제거장치35,36,63,87 : 축수
37 : 파쇄박스38 : 치부
40 : 이송수단42 : 이송스크류
43 : 하우징50 : 발효교반수단
51 : 측벽52 : 워터자켓
56 : 발효공기공급관56a : 유출공
57 : 단열재60 : 발효교반조
60a : 개구61,61a : 교반익
70 : 배출수단71 : 탈취흡기구
72 : 금속망체73,77 : 연결관
74 : 탈취제75 : 탈취배기구
76 : 팬구동부78 : 배기구
80 : 배출수단81 : 샤프트
82 : 피니언83 : 핸들
84 : 랙85 : 슬라이드 도어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는 적의의 후레임상에 일측 상부로부터 음식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입호퍼와, 이 호퍼의 직하부에 위치하며 투입되는 음식 폐기물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전 구동되며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파쇄수단의 직하부에 위치하며 파쇄된 음식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이 이송 수단과 연통 되어 있으며 이송된 음식 폐기물을 교반하는 것과 가온장치를 포함하여 미생물에 의한 발효 소멸을 이루는 발효교반수단과, 발효교반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효중 발생되는 가스 및 악취를 탈취하는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탈취 수단을 이루어 상기 후레임내에 결합하여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교반수단의 직하부 일측으로는 슬라이드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배출 수단을 형성하여 최소의 공간 내에서 음식 폐기물의 소멸 처리를 가능하도록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음식 폐기물이 발생하는 장소에 이동시켜 설치하고 일련의 처리 공정을 단일의 장치에 의하여 완전하게 구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로써의 구체적인 기술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첨부 도면 제 1 도 내지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100)는 대별하여 음식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12)와, 이 호퍼의 직하부에 위치하며 투입된 음식 폐기물을 잘게 파쇄하기 위한 파쇄수단(20)과, 파쇄수단의 직하 부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으로 파쇄된 음식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40)과, 이송 수단의 일측에 위치하며 파쇄이송된 음식 폐기물을 교반하고 미생물에 한 발효 소멸 환경을 조성하는 발효교반수단(50)과 발효교반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 발효소멸중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여 외기로 배출하는 강제 배기 장치로써의 탈취 수단(70)과, 상기 음식 폐기물이 발효소멸된 후 잔존하는 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수단(80)을 단일 후레임(13)상에 형성하여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레임(13)은 철재앵글로 장방형으로 조립 구성하고 그 외부를 외장재(14)로 마감하여 이루어진다. 이 외장재의 상부 일측으로 음식 폐기물을 투입하는 도어(11)와 그 내측으로 연하여 호퍼(12)를 형성한다.
상기, 호퍼의 직하부에 마련되는 파쇄수단(20)에 대하여 제10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파쇄수단은 후레임의 가로대상에 탑재되어 있으며 파쇄를 위한 모터(21)를 구동원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파쇄수단은 병설된 파쇄날부재(30,30a)를 갖추고 있다. 파쇄날부재(301,301a)는 각각 회전축(301,301a)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301,301a)은 파쇄박스(37)의 축수(35,36) 사이에 수평으로 축지되어 있다. 축수(35,36)는 대향의 측벽부재(371)에 설치되며, 측벽부재(371)는 다른 면의 측벽부재(372)와 함께 상하가 관통된 파쇄박스(37)를 형성한다. 회전축(301,301a)에는 후술될 다수의 날반(31)과 틈부형성반(26)이 붙어 있다.
또한, 파쇄날부재(30,30a)의 구조는 거의 같으므로,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는 주동측인 파쇄날부재(30)에 대하여만 설명하고, 종동측인 파쇄날부재(30a)에 대하여서는 틀린 부분을 제외하고는 설명을 생략한다.
파쇄날부재(30)의 회전축(301)중 구동장치측의 축수(35) 외부에 기어(22)가 고정되어 붙어 있다.
파쇄날부재(30a)의 회전축(301a)에는 기어(22)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기어(22)와 맞물리는 기어(22a)가 고정된다.
회전축(301)의 단부에는 접속부재(33)가 고정으로 붙어 있다.
예컨대, 지름이 작은 기어(22)의 치수는 직경30㎜로, 지름이 큰 기어(22a)의 치수는 직경을 56㎜로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동장치는 모터(21)를 갖추고 있으며, 감속기(21a)로 모터(21) 회전축의 회전을 감속한다. 감속기(21a) 회전축의 축단부는 상기 접속 부재(33)와 접속되는 접속 부재(23)가 체인커플링(24)으로써 고정된다.
회전축(301)에는 날반(31)과 틈부형성반(26)이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날반(31)과 틈부형성반(26)은 키와 키홈에 의한 고정 수단을 삽입하여 상호 교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날반(31)과 틈부형성반(26)의 구조는 제14도 및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다.
날반(31)은 일정의 두께와 소정의 경도를 가진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날반(31)의 중심부에는 축공(32)이 설치되어, 축공(32)의 내주연 일부에는 키 삽입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날반(31)의 외주부에는 치부(38)가 등간격으로 16곳에 설치되어 있다.
치부(38)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선단부가 V형으로 형성되어 회전 방향이 되는 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틈부형성반(26)은 일정의 두께와 소정의 경도를 갖은 금속판으로 동전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축공(32a)과 키 삽입부(39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날반(31)과 동일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날반(31)과 틈부형성반(26)이 각부 크기는 다음과 같다.
우선, 날반(31)의 전단면이 형성하는 각도 α는 22.5°로 형성되어 있다. 날반(31)의 선단부 직경은 157㎜, 치장(전단면의 길이)은 14㎜, 두께는 10㎜, 축공내경은 50㎜이다.
또, 틈부형성반(26)의 직경은 101㎜, 두께는 10㎜, 축공내경은 50㎜이다.
또한, 날반(31)과 틈부형성반(26)의 두께는 수치상 같은 10㎜이지만, 실제상은 틈부형성반(26)이 날반(31) 사이에 형성된 틈부(25)에 다른 방향의 날반(31)이 통과하면서 스치도록 하여 회전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파쇄날부재(30,30a)는,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것처럼 상호 날반(31)의 외주부분이 다른 방향의 틈부(25)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병설되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파쇄날부재(30,30a)의 회전축(301,301a)은 기어(22,22a)에 의해 안쪽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그 회전수는 기어(22,22a)의 치수 비에 의해 틀려지고, 회전축(301)은 회전축(301a)에 비하여 약 2배의 회전수로 회전한다.
따라서, 파쇄날부재(30)는 파쇄날부재(30a)의 약 2 배의 주속으로 회전된다.
파쇄날부재(30,.30a)의 외측 상부에는 각각 날반(31) 사이의 틈부(25)에 채워진 피파쇄물의 작은 조각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 장치(34)를 갖추고 있다.
제거 장치(34)는 상기 파쇄박스(37)의 측벽부재(372)에 고정되어 있다.
제거 장치(34)의 하부에는 제거돌부(340)가 소요 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제거돌부(340)의 하부 모서리(341)는 상기 틈부형성반(26)의 수평정점 표면에 닿도록 하여 파쇄날부재(30,30a)의 날반(31) 사이의 틈부(25)에 들어가도록 배치한다.
또한, 상기 제거돌부(340)의 두께는 상기 틈부(25)의 간격보다 다소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두께는 9.5㎜이다.
이러한 파쇄수단(20)이 음식 폐기물에 섞일 개연성이 높은 재질 중 가장 파쇄가 곤란하다 할 수 있는 플라스틱 병을 파쇄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면, 호퍼(12)를 통해 플라스틱 병이 인입되면, 플라스틱 병은 파쇄날부재(30,30a)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凹부에 떨어져, 안쪽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날반(31)의 치부(38)에 의해 씹어 넣어진다.
치부(38)는 선단부가 V형으로 형성되어, 회전방향측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플라스틱 병과 같은 형상의 것도 비교적 쉽고, 보다 확실하게 씹어 넣는 것이 가능하다.
씹어 넣어진 플라스틱 병은, 각 날반(31) 사이의 스치는 부분에 의하여 소위 가위로 짜르는 듯이 절단된다. 파쇄날부재(30,30a)이 주속은 파쇄날부재(30) 측이 파쇄날부재(30a)측 보다 빠르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플라스틱 병에는 뜯는 듯한 작용도 동시에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플라스틱 병은 작은 조각화되어 파쇄된다.
한편, 사용중 날반(31) 사이의 틈부(25)에 플라스틱 병의 작은 조각이 막히는 경우는 제거 장치(34)의 제거돌부(340)에 의해 긁어내어지므로 제거된다.
이에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막힌 것을 파쇄날부재(30,30a)로 부터 떼어 내는 작업이 불필요해지고, 막힘에 의해 파쇄효율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날반(31) 및 틈부형성반(26)은 회전축(301,301a)으로부터 떼어 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쇄날부재(30,30a)의 분해가 가능하다.
따라서, 부품의 취급이 간단하고 쉽게 가능하다. 또한, 날반(31)의 일부가 손상된 경우에는 전체를 교환할 필요 없이 손상된 부분만을 교환하면 된다.
한편, 피파쇄물은 상기와 같이 곧바로 파쇄하기에 곤란한 비교적 큰 플라스틱 병(PET병 1.5L 음료수병)뿐만 아니라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음식폐기물중 패류의 껍질이나 기타 단단하거나 질긴것 등 모두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이하게 파쇄 될 수 있다.
또한, 파쇄수단(20)은 예를 들어 과즙을 만들기 위해 파쇄하거나, 쓰레기 처리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것 등 그 파쇄용도는 다양하다.
한편, 상기 파쇄수단(20)의 직하부에는 이송수단(40)이 구성된다.
이송 수단은 파쇄된 음식 폐기물을 인입하고 이송스크류(42)를 내장하는 하우징(43)과 이 이송스크류에 회전 동력을 형성하는 모터(41)를 형성하여 체인과 스프라켓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룬다.
상기 하우징(43)은 횡방향으로 후술될 발효교반수단(50)과 연통 되도록 결합 구성된다.
이송 수단(40)은 파쇄된 음식 폐기물이 낙하되어 인입되면 이송스크류(42)의 회전에 의하여 파쇄된 음식 폐기물을 발효교반수단(50)내로 이송시킨다.
한편, 이송 수단(40)은 그 이송 방향이 횡방향으로 적정 거리를 갖도록 이루어져 있어 발효 중이나 또는 음식 폐기물을 투입한 후에 일어날 수 있는 악취의 역류 현상이 이송스크류(42)의 이송 날에 의하여 폐쇄됨으로 이를 차단하는 작용을 겸 한다.
상기 이송 수단(40)의 일측으로는 상호연통되도록 이루어지는 발효교반수단(50)을 결합 구성한다.
발효교반수단(50)은 전후면과 저면 일부를 삼중의 강판으로 이루어 일측의 공간을 워터자켓(52)으로 형성하고, 타측의 공간으로는 단열재(57)를 충진하여 이룬다.
또한, 양측벽(51)으로는 교반익(61)을 고정하는 축공을 천공하여 고정용 브라켓(54)을 고정하고, 일측으로 상기 이송 수단의 하우징(43)의 단부와 고정되는 브라켓(55)을 형성하여 발효교반조(60)를 이룬다.
양측면의 저부에는 상기 워터자켓(52)내에 위치하도록 된 히터삽입관(53)이 고정되어 전기히터를 삽입 설치하고, 워터자켓(52)은 상부 측으로 외부로 연통된 주수공(58)을 형성하며, 하부 일측으로는 개구(60a)를 형성하되, 일측상부로 다수의 공기 유출공(56a)과 송풍기(56b)를 갖는 발효공기유입관(56)을 고정한다.
상부면은 발효소멸중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하기 위하여 배기공(59)이 마련된다.
상기 발효교반조(60)내에는 브라켓(54)에 축수(63)로써 고정되도록 한 교반축이 축설된다.
교반축에는 착탈 가능한 다수의 교반익(61)을 마련하며, 양측단부의 교반익(61a)은 회전 방향으로 둔각을 갖도록 사면으로 형성하여 발효교반조(60)의 측벽(51)과 접하여 회전하도록 이루고, 축단부 일단으로는 구동스프라켓(62)을 고정하여 교반 모터(64)와 체인으로써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진다.
상술된 발효교반수단(50)은 이송 수단(40)으로부터 파쇄된 음식 폐기물이 이송되어 발효교반조(60)내로 유입되면 모터(64) 동력에 의하여 교반익(61)이 회전을 하게 된다.
교반익이 회전할 때 양측에 위치하며 회전 방향으로 둔각을 갖도록 된 교반익(61a)은 측벽(51)과 접하는 상태로 회전하므로 벽면에 폐기물이 늘어붙는 것을 배제할 수있게 된다.
물론, 교반익(61)은 등간격을 유지하도록 다수로 형성되어 있음에 의하여 바닥면과 접하면서 고른 교반을 행하게 된다.
상기 교반시에는 폐기물의 발효 소멸에 탁월한 미생물을 첨가하여 교반을 행함으로써 파쇄에 의한 부피의 축소와 함께 미생물에 의한 발효 소멸이 진행된다.
한편, 이러한 미생물에 의한 발효 소멸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적절한 환경을 제공한다. 즉, 호기성 미생물은 발효중 산소의 공급을 필요로 하므로 송풍기(56b)로써 발효 공기 유입관(56)의 유출공(56a)을 통하 외기의 강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발효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단열재로 충진되어 보온되는 워터자켓(52)과 이 내부의 가온을 위한 전기히터가 작용하여 온수 저류 방식의 가온구조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가온하지 아니하더라도 적정 실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발효소멸중 발생하는 가스 및 수분 등의 배기 요소들은 배기공(59)을 통하여 후술될 탈취 수단에 의하여 외기로 탈취 배출된다.
물론, 이러한 실온의 제어 및 송풍기를 통한 공기 유입량은 소요의 제어 목표대로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교반수단(50)의 상부에는 탈취 수단(70)이 고정된다. (제3도 내지 제7도 참조)
탈취 수단(70)은 복수의 금속망체(72)를 삽입하여 격실(79)을 이루는 장방형의 함체(78)와 이 함체내의 격실에 탈취제(74)를 충진하고, 저면 일측으로 탈취흡기구(71)를 천공하여 상기 배기공(59)과 연통되도록 결합하며, 하측으로는 연결관(73)를 통하여 팬구동부(76)에 연결하되, 팬구동부(76)는 후레임에 고정 설치된다.
팬구동부(76)는 또 다른 연결관(77)으로써 외장재(14)를 관통하는 배기구(78)에 고정시켜 구성한다. 부호 (78a)는 뚜껑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탈취 수단(70)은 발효교반수단(50)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 및 수분 등을 배기하는 바, 이 배기 과정에 있어서 폐기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탈취하여 배기하는 것으로써 격실(79)은 금속망체(72)의 삽입에 의하여 형성되며 탈취제(74)를 상당한 공간에 수용케 이루어져 악취의 탈취가 완전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탈취 작용은 팬구동부(76)에 의거하여 함체(78)와 연통된 연결관(73)으로 발효교반조(60)내의 공기를 강제 흡입하는 과정을 통해서 탈취가 이루어지고 이 탈취된 공기는 연결관(77)을 경유하여 배기구(78)로 외기에 배기된다.
다음으로 음식 폐기물이 발효소멸된 후 최종 잔류하는 폐기물의 배출을 위한 배출 수단(80)에 대하여 제3도, 제5도 및 제9도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배출 수단(80)은 상기 발효교반조(6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개구(60a)를 폐쇄하는 동일한 반경을 갖는 슬라이드 도어(85)를 형성하고, 이 도어의 하부로 브라켓(86)을 용착하며, 이 브라켓에 수평으로 랙(84)기어를 고정한다.
랙(84)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82)을 축착한 샤프트(81)는 후레임에 고정된 축수(87)에 결합되어 그 일단에 핸들(83)을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배출 수단(80)은 음식 폐기물의 발효 소멸이 진행됨에 따라서 소멸되고 남은 폐기물을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써 외장재(14)의 일측 하부에 마련된 도어(88)를 열고 핸들(83)을 회전시키게 되면 샤프트(81)에 축착된 피니언(82)이 랙(84)기어를 수평 이동시키고 이에 결합 고정된 슬라이드 도어(85)가 폐쇄하고 있던 개구(60a)를 개방되게 하여 이 개방된 개구(60a)를 이용하여 최종 폐기물을 인출하는 것이다.
이는 발효교반조를 폐쇄함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 개방을 행하는 것으로써 소멸되지 아니한 폐기물 예컨대 무기질의 폐기물을 인출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모든 구동계는 외장재 일측에 결합 구성된 제어장치(90)의 제어에 의하여 제어 목표에 따라서 제어되며 그 제어의 기본은 안전성에 있고 동시에 발효소멸의 극대화에 맞추어져 있다. 물론 이러한 제어는 본 고안에서 특정하지 아니하며 모든 공지 기술에 의거 사용이 가능하다. 일례로써, 본 고안에 있어서의 제어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파쇄수단의 파쇄구동은 회전속도를 17.5rpm 날반이 선 속도는 8.6m/분으로 하고, 이송 수단의 회전속도는 14.6rpm 축방향 이송은 2.2m/분으로 하며, 발효교반수단은 회전속도를 2.9rpm 교반패들 부위의 속도는 6.3m/분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워터자켓내의 가열원인 전기히터는 미도시된 온도센서에 의하여 적정 온도로 발열이 제어된다.
또한, 음식 폐기물을 투입하기 위하여 도어(11)를 개방하면 통상의 리미트 스위치(미도시)에 의하여 파쇄수단의 구동은 안전을 위하여 정지되는바, 음식폐기물 투입후 파쇄수단은 약 30분, 이송 수단은 약 35분간 운전을 하고 정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제어 역시도 발효 소멸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는 다소 변경 될 수도 있다.
미 설명된 부호로써 91은 본 고안을 이동하기 위한 캐스터를, 92는 워터자켓(52)의 물이 넘치는 것을 고려한 오버플로우를, 93은 물을 모두 빼내기 위한 배수공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처리가 곤란하며 매립에 따른 운송비 부담 등의 비 경제적인 요소 및 환경적인 부작용을 해소 할 수 있으면서도그 장치 구성이 콤팩트하여 모든 처리 과정이 소형의 집약된 단일 장치에 의하여 충분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소형화 된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는 음식 폐기물의 발생 장소에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는 것이어서 그 처리가 즉각적인 장점이 있어, 폐기물 보관에 따른 악취 및 해충의 발생 등을 근원적으로 예방 할 수 있게 되고 폐기물의 처리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환경 오염을 방지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적어도 음식 폐기물의 종류에 무관하게 조개껍질, 나무젓가락, 갈비뼈 및 생선뼈 또는 플러스틱 병 등을 모두 파쇄하여 짧은 시간내에 발효 소멸시킴으로써 그 소멸후 잔존 폐기물은 불과 5%~10% 미만으로써 효율이 매우 높으며, 완전한 탈취로 냄새가 거의 없어 별도의 배기연통등이 필요치 이니한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7)

  1. 적의의 후레임상에 일측 상부로부터 음식 폐기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투입호퍼와,
    이 호퍼의 직하부에 위치하며 투입되는 음식 폐기물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전 구동되며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파쇄수단의 직하부에 위치하며 파쇄된 음식 폐기물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이송 수단과 연통 되어 있으며 이송된 음식 폐기물을 교반하는 것과 가온장치를 포함하는 발효교반수단과,
    발효교반수단의 상부에 위치하며 발효중 발생되는 가스 및 악취를 탈취하며 호기성 미생물에 적정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탈취 수단과,
    상기 발효교반수단의 직하부 일측으로는 슬라이드 개폐되는 도어를 포함하는 배출 수단을 형성하되 상기 후레임내에 결합하여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수단은 후레임의 가로대상에 탑재되고 파쇄를 위한 모터(21)와 병설된 파쇄날부재(30,30a)는 각각 회전축(301,301a)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301,301a)은 파쇄박스(37)의 축수(35,36) 사이에 수평으로 축지되며 축수(35,36)는 대향의 측벽부재(371)에 설치되며, 측벽부재(371)는 다른 면의 측벽부재(372)와 함께 상하가 관통된 파쇄박스(37)를 이루어 회전축(301,301a)에는 다수의 날반(31)과 틈부형성반(26)을 교호로 결합하며, 파쇄날부재(30)의 회전축(301)에는 기어(22)를, 파쇄날부재(30a)의 회전축(301a)에는 기어(22)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기어(22)와 맞물리는 기어(22a)를 결합하되 회전축(301)의 단부에는 접속부재(33)를 고정하고, 인접의 모터(21)측 접속 부재(23)와 체인커플링(24)으로써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날반(31)은 일정의 두께와 소정의 경도를 가진 금속판으로 형성하여 중심부에는 축공(32)을 형성하고 축공(32)의 내주연 일부에는 키 삽입부(39)를 형성하며, 외주부에는 회전방향으로 경사진 치부(38)를 등간격으로 다수형성하는 동시에, 틈부형성반(26)은 일정의 두께와 소정의 경도를 갖는 금속판으로 축공(32a)과 키 삽입부(39a)를 형성하여 틈부형성반(26)이 날반(31) 사이에 형성된 틈부(25)에 다른 방향의 날반(31)이 통과하면서 스치도록 하여 회전 가능한 크기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박스(37)의 측벽부재(372)에 고정하며 하부에는 제거돌부(340)를 소요 수만큼 형성하고 하부 모서리(341)는 상기 틈부형성반(26)의 수평정점 표면에 닿도록 하여 파쇄날부재(30,30a)의 날반(31) 사이의 틈부(25)에 끼워지는 제거장치(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교반수단(50)은 삼중의 강판으로 이루어 일측의 공간을 워터자켓(52)으로 형성하고, 타측의 공간으로는 단열재(57)를 충진하며 측벽(51)으로는 교반익(61)을 고정하는 축공을 천공하여 고정용 브라켓(54)을 고정하고, 일측으로 상기 이송 수단의 하우징(43)의 단부와 고정되는 브라켓(55)을 형성하여 발효교반조(60)를 이루고,
    양측면의 저부에는 상기 워터자켓(52)내에 위치하도록 된 히터삽입관(53)이 고정되어 전기히터를 삽입 설치하고, 워터자켓(52)은 상부 측으로 외부로 연통된 주수공(58)을 형성하며, 하부 일측으로는 개구(60a)를 형성하되, 일측상부로 다수의 공기 유출공(56a)을 갖는 발효공기유입관(56)을 고정하며, 상부면으로는 배기공(59)을 천공하고,
    상기 발효교반조(60)내에는 브라켓(54)에 축수(63)로써 고정한 교반축과 착탈 가능한 다수의 교반익(61)을 마련하며, 양측단부의 교반익(61a)은 회전 방향으로 둔각을 갖도록 사면으로 형성하여 발효교반조(60)의 측벽(51)과 접하여 회전하도록 이루고, 축단부 일단으로는 구동스프라켓(62)을 고정하여 교반 모터(64)와 체인으로써 결합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 수단은 복수의 금속망체(72)를 삽입하여 격실(79)을 이루는 장방형의 함체(78)와 이 함체내의 격실에 탈취제(74)를 충진하고, 저면 일측으로 탈취흡기구(71)를 천공하여 상기 배기공(59)과 연통되도록 결합하며, 하측으로는 연결관(73)를 통하여 팬구동부(76)에 연결하되, 팬구동부(76)는 후레임 고정 설치하며, 팬구동부(76)로 부터 또 다른 연결관(77)으로써 외장재(14)를 관통하는 배기구(78)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수단은 상기 발효교반조(6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개구(60a)를 폐쇄하는 동일한 반경을 갖는 슬라이드 도어(85)를 형성하고, 이 도어의 하부로 브라켓(86)을 용착하며, 이 브라켓에 수평으로 랙(84)기어를 고정하고 이 랙(84)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82)을 축착한 샤프트(81)는 후레임에 고정된 축수(87)에 결합하되 그 일단에 핸들(83)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 폐기물 소멸 장치.
KR2019970012599U 1997-05-30 1997-05-30 음식폐기물 소멸장치 KR199800679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599U KR19980067975U (ko) 1997-05-30 1997-05-30 음식폐기물 소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2599U KR19980067975U (ko) 1997-05-30 1997-05-30 음식폐기물 소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975U true KR19980067975U (ko) 1998-12-05

Family

ID=6967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2599U KR19980067975U (ko) 1997-05-30 1997-05-30 음식폐기물 소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7975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360A (ko) * 2001-06-14 2002-12-26 윤성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WO2003066247A1 (en) * 2002-02-05 2003-08-14 Nambang Environment & Biotech Co. Ltd. Waste food treatment apparatus
KR101366237B1 (ko) * 2013-05-06 2014-03-12 진산피앤씨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6967248A (zh) * 2023-07-07 2023-10-31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实验室雏鸟孵化废弃物环保处理用的资源化处理装置
CN116967248B (zh) * 2023-07-07 2024-06-07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实验室雏鸟孵化废弃物环保处理用的资源化处理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360A (ko) * 2001-06-14 2002-12-26 윤성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WO2003066247A1 (en) * 2002-02-05 2003-08-14 Nambang Environment & Biotech Co. Ltd. Waste food treatment apparatus
KR101366237B1 (ko) * 2013-05-06 2014-03-12 진산피앤씨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16967248A (zh) * 2023-07-07 2023-10-31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实验室雏鸟孵化废弃物环保处理用的资源化处理装置
CN116967248B (zh) * 2023-07-07 2024-06-07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一种实验室雏鸟孵化废弃物环保处理用的资源化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458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자동처리 및 사료제조장치
KR100835168B1 (ko)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무기화시키는방법 및 그 장치
CN102500595B (zh) 一种厨房垃圾处理机及其绞碎器
KR1009787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유닛
KR10072761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2096047A (ja) 生ゴミ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該処理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有機肥料及び該生ゴミ処理方法に使用される醗酵助材
KR2012010691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22959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55502A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 시스템
KR102151917B1 (ko) 복합효소를 이용한 가압식 음식물 쓰레기 소멸 처리장치
KR19980067975U (ko) 음식폐기물 소멸장치
CN218202578U (zh) 一种生物质垃圾资源转化设备
KR10026327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034684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4319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23839B1 (ko) 음식물쓰레기감량처리장치
KR1008133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30519B1 (ko) 음식 폐기물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7701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30394A (ko) 업소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6005961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102509001B1 (ko) 가축분뇨와 가축폐사체의 퇴비화 및 에너지화 처리시스템
KR20190115659A (ko) 탄소발열 이동식 무균 사체처리장치
JP2588451B2 (ja) 生ごみの無臭分解処理装置
KR960008076B1 (ko) 부엌쓰레기 분해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