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7571A - Dummy cells in the reticle to prevent poor focus - Google Patents

Dummy cells in the reticle to prevent poor foc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7571A
KR19980067571A KR1019970003679A KR19970003679A KR19980067571A KR 19980067571 A KR19980067571 A KR 19980067571A KR 1019970003679 A KR1019970003679 A KR 1019970003679A KR 19970003679 A KR19970003679 A KR 19970003679A KR 19980067571 A KR19980067571 A KR 199800675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t
reticle
dummy cell
focus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255087B1 (en
Inventor
이도경
오우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3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087B1/en
Publication of KR19980067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5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08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483Information management; Active and passive control; Testing; Wafer monitoring, e.g. pattern monitoring
    • G03F7/70605Workpiece metrology
    • G03F7/70616Monitoring the printed patter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에 형성된 1 샷내의 여러 지점들에서 포커스 상태와 부정합 정도를 검출하여 이를 기초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최적의 포커스 상태로 조정하도록 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mmy cell of a reticle for preventing focus failure to adjust to an optimal focus state by detecting a focus state and a degree of misalignment at various points within one shot formed on a wafer and taking appropriate measures based on this.

본 발명의 목적은 1 샷내의 여러 지점들의 포커스 상태를 검출하여 포커스 조건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SEM을 이용하여 1 샷의 부정합 발생 여부도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mmy cell of a reticle for preventing focus failure to detect a focus state of various points within one shot and to optimally adjust a focus condition.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mmy cell of the reticle for preventing the focus failure to accurately check whether a mismatch occurs in one shot using the SEM.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은 1 샷내의 포커스 상태와 부정합 및 해당 샷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더미셀을 1 샷의 각 에지지점과 중앙지점에 해당하는 스크라이브라인의 영역에 최소 설계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의 구성에 의하면, 웨이퍼에 형성된 1 샷내의 더미셀들로부터 포커스 상태와 정합 정도를 SEM으로 확인하여 1 샷내의 포커스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부정합 발생 여부를 SEM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To achieve this purpose, 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for preventing the focus failure has a scribe brai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dges and the center point of one shot, and the dummy cell for detecting the focus state and mismatch in one shot and the position of the shot. Characterized by the minimum design rule in the region of th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cus failure in one shot by checking the focus state and the degree of matching from the dummy cells in one shot formed on the wafer,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mismatch occurs by the SEM.

Description

포커스(focus)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dummy cell)Dummy cells in the reticle to prevent poor focus

본 발명은 스테퍼(stepper)용 레티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로 웨이퍼에 형성된 1 샷내의 여러 지점들에서 포커스(focus) 상태와 부정합 정도를 검출하여 이를 기초로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최적의 포커스 상태로 조정하도록 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per ret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ct the focus state and the degree of mismatch at various points within one shot actually formed on the wafer a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based on the optimum focu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mmy cell of a reticle for preventing focus failure to be adjusted to a state.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축소 투영 노광방식은 미국의 GCA사가 발매하고 있는 스테퍼(stepper)를 대표로 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10배까지 확대된 집적회로 칩의 패턴이 1개 형성되거나 복수개 형성된 레티클(reticle)을 사용하고 있다. 이 패턴은 감광막이 코팅된 웨이퍼 위에 스텝 앤드 리피트(step and repeat)로 축소 투영되는데, 1 샷(shot)이 노광되고 나면, 상기 웨이퍼가 간섭계적으로 제어되는 XY테이블 위에서 다음 샷의 노광을 위해 이동된다. 이 방식은 스루풋(throughput)이 약간 낮지만, 웨이퍼 위로의 반복 전사 횟수에 의존하기 때문에 큰 칩의 경우에 유리하다. 현재, 포지티브 감광막을 사용해서 1μm 레벨의 해상도와 0.3μm 정도의 정합 정밀도가 얻어지므로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데 주로 이용되고 있다.As is generally known, the reduced projection exposure method is a method represented by a stepper marketed by GCA of USA. This method uses a reticle in which one pattern or a plurality of patterns of an integrated circuit chip enlarged by 10 times are formed. This pattern is scaled down and stepped onto the photo-coated wafer, and once one shot is exposed, the wafer is moved for exposure of the next shot on an interferometrically controlled XY table. do. This approach is slightly lower in throughput, but advantageous for large chips because it depends on the number of repetitive transfers over the wafer. Nowadays, since the resolution of 1 micrometer level and the matching precision of about 0.3 micrometer are acquired using a positive photosensitive film, it is mainly used for forming a fine pattern.

한편, 포토공정에서 부정합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를 위해 다음의 3가지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i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the occurrence of mismatch in the photo process, the following three methods have been mainly used.

첫째의 방법은 작업자가 현미경을 통해 마스크의 버어니어 키(vernier key) 패턴을 확인하면서 마스크와 웨이퍼의 정합 상태를 맞추는 방법이다. 이는 정밀한 부정합 발생 여부를 검출하기 어렵고 또한 버어니어 키의 면적이 넓어 1 샷내의 각 에지지점에 모두 형성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The first method is to match the mask to the wafer while the operator checks the vernier key pattern of the mask through a microscope. Thi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detect precise mismatches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ll the edge points within one shot because the area of the vernier key is large.

둘째의 방법은 1 샷의 각 에지지점에 KLA 키가 형성된 마스크와 KLA장비를 이용하여 마스크와 웨이퍼의 부정합에 의한 패턴의 시프트(shift) 정도를 수치로 표시하는 방법인데, 이는 노칭(notching)이 심한 스텝에서 정확성이 낮은 단점을 갖고 있다.The second method is to numerically indicate the degree of shift of the pattern due to mismatch between the mask and wafer using a mask and a KLA device having a KLA key formed at each edge of one shot. It has the disadvantage of low accuracy at severe steps.

셋째의 방법은 전자현미경(SEM)의 모니터를 통하여 부정합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인데, 이는 KLA장비에 의해 부정합의 정확성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이전 스텝의 패턴과 현 스텝의 패턴의 중첩(overlay)을 확인하고 CD(critical dimension)를 측정하여 부정합 발생 여부를 검출한다.The third method is to detect the occurrence of mismatch through the SEM. If it is difficult to check the accuracy of mismatch by KLA, the overlay of the previous step pattern and the current step pattern is overlaid. ) And detect CD (critical dimension) to detect mismatch.

현재 첫째 방법과 둘째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들 방법을 이용하여 정합하는 경우, 1 샷의 중앙지점과 에지지점들의 포커스(focus)가 동일하게 맞추어지지 않으면, 샷 에지 포커스가 불량한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Currently, the first and second methods are mainly used. In the case of matching using these methods, if the focus of the center point and the edge points of one shot is not equal to each other, the shot edge focus often occurs poorly. do.

종래에는 이러한 포커스 불량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반복 패턴의 셀(cell) 구조를 갖는 DRAM이나 SRAM 소자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티클(10)의 중앙부에 집적회로 칩을 위한 영역(11)의 상측 좌, 우 에지지점(a),(b)과, 집적회로 칩을 위한 영역(13)의 하측 좌, 우 에지지점(c),(d)에 위치하는 동일한 셀 패턴의 포커스를 확인하여 포커스를 맞추어 왔다.Conventionally, in the case of a DRAM or an SRAM device having a cell structure of a repeating pattern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focus failure, as shown in FIG. 1, an area for an integrated circuit chip in the center of the reticle 10 ( The focus of the same cell pattern located at the upper left and right support points (a) and (b) of 11) and the lower left and right support points (c) and (d) of the region 13 for the integrated circuit chip. I have checked and focused.

하지만, 로직, 마이크로컴퓨터, ASIC 등의 소자는 1 샷내에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소자들이 존재하는 멀티 칩이나 비록 멀티칩이 아니더라도 도 1의 에지지점(a),(b),(c),(d)에 동일한 크기 및 형태의 패턴을 찾기 어려운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에지지점들의 최적 포커스 조건을 맞추기가 어려워 에지지점들의 포커스가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가령, 영역(11)의 집적회로 칩이 양품으로 판정되나 영역(13)의 집적회로 칩이 불량품으로 판정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However, devices such as logic, microcomputers, and ASICs are multi-chips in which a number of different devices exist in one shot, but the edges (a), (b), (c), and (d) of FIG. ), It is difficult to find patterns of the same size and shape. When the optimum focus conditions of the edge points are difficult to meet, the focus of the edge points is not constant. For example, when the integrated circuit chip of the region 11 is determined to be good, the integrated circuit chip of the region 13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Occurs frequently.

또한, SEM을 이용하여 부정합 발생 여부를 확인할 때, 부정합 상태의 패턴이 영역(11),(13)의 특정 스텝을 제외하고는 보이지 않아 부정합 발생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었다.In addition, when confirming whether mismatch occurred using SEM, the pattern of mismatched state was not seen except the specific step of the area | regions 11 and 13, and it was not able to confirm whether a mismatch occurred correctly.

그리고, 로직, 마이크로컴퓨터, ASIC 등의 소자는 불량 지점을 찾기 어렵고 현재 공정이 어느 정도 안정되었는 지 확인하기 어려웠다.In addition, devices such as logic, microcomputers, and ASICs have been difficult to find defect points and difficult to determine how stable the current process i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1 샷내의 여러 지점들의 포커스 상태를 검출하여 포커스 조건을 최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mmy cell of a reticle for preventing focus failure to detect a focus state of various points within one shot and to optimally adjust a focus condition.

또한, 본 발명은 SEM을 이용하여 1 샷의 부정합 발생 여부도 정확하게 확인하도록 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mmy cell of the reticle for preventing the focus failure to accurately check whether the mismatch occurs in one shot using the SEM.

도 1은 종래의 스테퍼용 레티클을 나타낸 내부 배치도.1 is an internal layout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epper reticl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을 나타낸 배치도.2 is a layout view showing a dummy cell of the reticle for preventing focus fai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더미셀을 나타낸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dummy cell of FIG. 2.

도 4는 도 3의 정합을 위한 패턴을 이용한 이전 스텝과 현재 스텝 패턴의 정합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atching state between a previous step and a current step pattern using the pattern for matching of FIG. 3.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레티클11, 13: 집적회로 칩을 위한 영역15: 스크라이브 라인 20: 레티클 21: 더미셀 23: 포커스를 확인하기 위한 영역 25: 정합을 확인하기 위한 영역 26a: 이전 스텝의 패턴 26b: 현재 스텝의 패턴 27: 더미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영역Reference Signs List 10 reticle 11, 13: area for integrated circuit chip 15: scribe line 20: reticle 21: dummy cell 23: area for checking focus 25: area for checking matching 26a: pattern of previous step 26b: current step Pattern 27: area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the dummy cell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은 1 샷내의 포커스 상태와 부정합 및 해당 샷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더미셀을 1 샷의 각 에지지점과 중앙지점에 해당하는 스크라이브라인의 영역에 최소 설계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의 구성에 의하면, 웨이퍼에 형성된 하나의 샷내의 더미셀들에서 포커스 상태를 SEM으로 확인하여 다음의 포토공정에 적용될 최적의 포커스 조건을 조정함으로써 1 샷내의 포커스 불량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동일한 샷의 이전 스텝과 현재 스텝패턴들의 부정합 발생 여부를 SEM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To achieve this purpose, 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for preventing the focus failure has a scribe brai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dges and the center point of one shot, and the dummy cell for detecting the focus state and mismatch in one shot and the position of the shot. Characterized by the minimum design rule in the region of th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cus failure in one shot by checking the focus state in the dummy cells in one shot formed on the wafer by adjusting the optimal focus condition to be applied to the next photo process, and also in the same shot. SEM can accurately check whether the previous step and the current step pattern have mismatch.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ummy cell of a reticle for preventing focus fai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parts as the conventional part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을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3은 도 2의 더미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2 is a layout view showing a dummy cell of a reticle for preventing focus fai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ummy cell of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티클(20)은 더미셀들(21)이 1 샷의 각 에지부분과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스크라이브 라인(15)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셀(21)은 포커스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소정 패턴(도시안됨)이 형성된 영역(23)과, 부정합을 확인하기 위한 패턴(26)이 형성된 영역(25)과, 해당 더미셀(21)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패턴(도시안됨)이 형성된 영역(27)으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 2, the reticle 20 is formed in the scribe line 15 so that the dummy cells 21 are positioned at each edge portion and the center portion of one sho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dummy cell 21 may include a region 23 in which a predetermined pattern (not shown) is formed to check a focus state, and a region 25 in which a pattern 26 to confirm mismatch is formed. ) And a region 27 in which a pattern (not shown)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dummy cell 21 is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포커스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for preventing the focus fail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이전 스텝이 완료된 웨이퍼(도시안됨)의 표면에 감광막(도시안됨)을 코팅하고 나서 도 2의 레티클(20)을 이용하여 상기 웨이퍼(도시안됨)에 1샷씩 스텝 앤드 리피트로 노광한다. 이어서, 상기 노광된 감광막을 현상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한다.First, a photoresist film (not shown) is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fer (not shown) where the previous step is completed, and then exposed to the wafer (not shown) by step and repeat one by one using the reticle 20 of FIG. 2. Subsequently, the exposed photosensitive film is developed to form a desired pattern.

이때, 집적회로 칩을 위한 영역(11),(13)의 주위를 따라 스크라이브 라인(15)이 형성되고, 영역(11)의 상측 좌,우 에지지점(a),(b)에 이웃하는 스크라이브 라인(15)의 지점에 더미셀들(21)이 각각 형성되고, 영역(13)의 하측 좌,우 에지지점(c),(d)에 이웃하는 스크라이브 라인(15)의 지점에 더미셀들(21)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지점(e)에 이웃하는 스크라이브 라인의 지점에 더미셀(21)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 scribe line 15 is formed around the regions 11 and 13 for the integrated circuit chip, and the scribe lines adjacent to the upper left and right support points a and b of the region 11 are formed. Dummy cells 21 are formed at the points of the line 15, and dummy cells 21 are formed at the points of the scribe line 15 adjacent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upport points c and d of the region 13. 21 are formed respectively, and the dummy cell 21 is formed at the point of the scribe line adjacent to the center point e.

여기서, 더미셀(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영역(23)과 부정합을 확인하기 위한 영역(25)과 해당 더미셀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영역(27)으로 형성된다.Here, as shown in FIG. 3, the dummy cell 21 is an area 23 for confirming a focus state, an area 25 for confirming mismatch, and an area 27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dummy cell. Is formed.

영역(25)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십자형 빈 영역을 갖는, 이전 스텝의 패턴(26a)과 상기 십자형 빈 영역에 십자형으로 위치하는, 현재 스텝의 패턴(26b)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영역(27)에는 해당 더미셀의 위치를 나타내는 소정 표식이 형성된다.Region 25 is formed with a pattern 26a of the previous step, with a cross-shaped blank area at the center, and a pattern 26b of the current step, located crosswise in the cross-shaped blank area, as shown in FIG. In the region 27, a predetermined mark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ummy cell is formed.

이후, 작업자가 포토공정의 검사단계에서 SEM의 모니터를 통하여 상기 웨이퍼에 형성된 패턴들을 확인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Then, the operator checks the patterns formed on the wafer through the SEM monitor in the inspection step of the photo process. If this i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각 더미셀(21)의 영역(23)을 확인하여 1 샷내의 포커스가 모두 균일한 지 여부를 측정한다. 이때, 영역(11) 또는 영역(13)의 포커스 불량 상태가 확인되면, 이에 적절한 조치를 다음의 공정에 적용함으로써 영역(11)의 집적회로 칩들만이 불량으로 되는 줄성 불량(line fail)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area 23 of each dummy cell 21 is checked to determine whether the focus in one shot is uniform. At this time, when the defective focus state of the region 11 or region 13 is confirmed, a line fail phenomenon in which only the integrated circuit chips of the region 11 become defective by applying appropriate measures to the following process is performed. You can prevent it.

또한, 영역(23)의 패턴 크기가 영역(11),(13)의 패턴 크기와 동일하고 바람직하게는 최소 설계룰로 형성되면, 브리지(bridge) 또는 노치(notching) 등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영역(11),(13)보다 영역(23)에서 미리 발생한다. 따라서, 집적회로 칩의 불량 발생 여부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공정을 진행할 때 영역(11),(13)의 많은 패턴들의 불량이 있는 지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고 단지 더미셀의 패턴 불량 발생시 영역(11),(13)의 패턴들을 정밀하게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pattern size of the region 23 is the same as the pattern size of the regions 11 and 13 and is preferably formed with a minimum design rule, when a defect such as a bridge or notching occurs, It occurs earlier in the region 23 than in the regions 11 and 13. Therefore, since the failure of the integrated circuit chip can be detected at an early stage, it is not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 defects of many patterns in the regions 11 and 13 are actually performed when the process is actually performed. It is desirable to inspect the patterns of the regions 11 and 13 precisely.

그리고, 상기 포토공정에서 주(main) 정합장비인 KLA 장비에 의해 이루어진 정합 정도를 SEM으로 또 다시 측정하여 1 샷내의 중앙지점과 에지지점의 실제 패턴에 대한 부정합 정도를 확인한다. 즉, 동일한 웨이퍼에서 각 더미셀의 영역(25)으로부터 부정합 정도를 측정하여 KLA에 의한 정합을 모니터할 수 있다.The degree of registration made by the KLA device, which is the main matching device in the photo process, is measured again by SEM to confirm the degree of mismatch of the actual pattern of the center point and the edge support point in one shot. That is, the degree of mismatch can be measured from the area 25 of each dummy cell on the same wafer to monitor the match by KLA.

가령, 이전 스텝의 패턴(26a)의 좌측 단부와 현재 스텝의 패턴(26b) 사이의 좌측 단부의 간격이 A이고, 패턴(26a)의 우측 단부와 패턴(26b)의 우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 B라고 하면, X축 부정합 정도는 (A-B)/2로 주어진다. 그리고, 패턴(26a)의 하측 단부와 패턴(26b)의 하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 C이고, 패턴(26a)의 상측 단부와 패턴(26b)의 상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 D라고 하면, Y축 부정합 정도는 (C-D)/2로 주어진다. 상기 A, B, C, D는 막질 및 공정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X, Y축 부정합 정도가 양의 값으로 나타나면, 양의 부정합 상태가 되고, X, Y축 부정합 정도가 음의 값으로 나타나면, 음의 부정합 상태가 된다.For example, the spacing between the left end of the pattern 26a of the previous step and the pattern 26b of the current step is A, and the spacing between the right end of the pattern 26a and the right end of the pattern 26b is B. In this case, the degree of X-axis mismatch is given by (AB) / 2. And if the spacing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pattern 26a and the lower end of the pattern 26b is C, and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pattern 26a and the upper end of the pattern 26b is D, the Y-axis mismatch The degree is given by (CD) / 2. The A, B, C, 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film quality and process conditions. When the degree of mismatch of the X and Y axes is a positive value, it is a positive mismatch state, and when the degree of mismatch of the X and Y axes is a negative value, it is a negative mismatch state.

그리고, 영역(27)의 패턴(도시안됨), 예를 들어 문자, 화살표 또는 다른 여러가지의 패턴을 SEM으로 확인하여 해당 더미셀이 1샷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 가를 신속하게 명확히 찾을 수 있다.Then, the pattern of the area 27 (not shown), for example, letters, arrows, or other patterns can be confirmed by SEM to quickly find where the corresponding dummy cell is located in one shot.

즉, 상기 패턴이 UL(upper left)로 확인되면, 에지지점(a)에 이웃한 1 샷의 상부 좌측 에지지점에 해당 더미셀이 있는 것이고, 상기 패턴이 UR(upper right)로 확인되면, 에지지점(b)에 이웃한 1 샷의 상부 우측 에지지점에 해당 더미셀이 있는 것이고, 상기 패턴이 LL(lower left)로 확인되면, 에지지점(c)에 이웃한 1 샷의 하부 좌측 에지지점에 해당 더미셀이 있는 것이고, 상기 패턴이 LR(lower right)로 확인되면, 에지지점(d)에 이웃한 1 샷의 하부 좌측 에지지점에 해당 더미셀이 있는 것이고, 상기 패턴이 CC로 확인되면, 중앙지점(e)에 이웃한 1 샷의 중앙지점에 해당 더미셀이 있는 것임을 의미한다.That is, when the pattern is identified as UL (upper left), the dummy cell is located at the upper left edge of one shot adjacent to the edge support point a, and when the pattern is identified as UR (upper right), the edge If there is a corresponding dummy cell at the support point of the upper right side of one shot adjacent to the point (b), and if the pattern is found to be LL (lower left), it is located at the support point of the lower left of the one shot adjacent to the support point c. If there is a corresponding dummy cell and the pattern is identified as LR (lower right), the dummy cell is present at the lower left edge of one shot adjacent to the edge d, and if the pattern is identified as CC, This means that the dummy cell is located at the center point of one shot adjacent to the center point e.

한편, 더미셀(21)은 5개의 에지지점들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또한 영역(11),(13)의 에지지점(a),(b),(c),(d)과 중앙지점(e)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dummy cell 21 is not limited to five edge points but may be formed at more points, and also the edge points a, b, and c of the regions 11 and 13. It may be formed at (d) and the central point (e).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은 1 샷의 중앙지점과 각 에지지점에 형성되어 있어 웨이퍼에 실제로 형성된 1 샷내의 포커스 상태를 SEM으로 검출하고 이에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여 1 샷내의 포커스를 균일하게 하는 최적의 포커스 상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주 정합장비인 KLA장비에 의한 기 정합된 정합 정도를 SEM으로 또 다시 검출하여 1 샷내의 중앙지점과 에지지점의 실제 패턴에 대한 부정합 정도를 확인가능하게 한다. 한다. 그리고, 해당 더미셀이 1샷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 가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for preventing the focus fai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at the center point of each shot and each of the supporting points, so as to detect the focus state in the one shot actually formed on the wafer by SEM and appropriately. An action can be taken to enable an optimal focus state that makes the focus within one shot uniform.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degree of mismatch of the actual pattern of the center point and the edge point within one shot by detecting the matched degree of the matched by the KLA device, which is the main matching device, again and again. do. Then, the dummy cell can be checked at which point of one shot.

따라서, 본 발명은 1 샷내의 중앙지점과 각 에지지점의 양호한 포커스 상태와 이전스텝과 현재 스텝의 양호한 정합을 유지하여 포토공정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hoto process by maintaining a good focus state of the center point and each of the edge points within one shot and good matching of the previous step and the current step.

Claims (9)

스테퍼용 레티클에 있어서,In the reticle for stepper, 상기 레티클의 소정 영역에 1 샷내의 포커스(focus)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더미셀들(dummy cell)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for preventing focus failur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ummy cells each having a pattern for detecting a focus state within one shot are formed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ret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셀들이 정합을 검출하기 위한 패턴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of claim 1, wherein the dummy cells each have a pattern for detecting match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셀들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패턴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ummy cells each have a pattern for checking its posi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셀들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패턴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ummy cells each have a pattern for checking its posi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더미셀들이 상기 1 샷내의 집적회로 칩을 위한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The dummy cell of a re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dummy cells are formed in an area for an integrated circuit chip in the one shot.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더미셀들이 상기 1 샷내의 스크라인브 라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dummy cells are formed in a scrabble line in the one sho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셀들이 상기 1 샷내의 에지지점과 중앙지점에 해당하는 스크라인브 라인의 지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7. 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of claim 6, wherein the dummy cells are formed at points of a scrabble line corresponding to edge and center points in the one sho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셀의 패턴이 상기 레티클의 설계 룰의 최소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of the dummy cell is formed to a minimum size of the design rule of the ret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셀의 패턴이 상기 레티클의 설계 룰의 최소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커스 불량 방지를 위한 레티클의 더미셀.The dummy cell of the reticl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ttern of the dummy cell is smaller than a minimum size of the design rule of the reticle.
KR1019970003679A 1997-02-06 1997-02-06 Reticle for stepper formed dummycell KR1002550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679A KR100255087B1 (en) 1997-02-06 1997-02-06 Reticle for stepper formed dummy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679A KR100255087B1 (en) 1997-02-06 1997-02-06 Reticle for stepper formed dummyce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571A true KR19980067571A (en) 1998-10-15
KR100255087B1 KR100255087B1 (en) 2000-05-01

Family

ID=1949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679A KR100255087B1 (en) 1997-02-06 1997-02-06 Reticle for stepper formed dummyce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0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772B1 (en) * 1998-12-24 2002-06-20 박종섭 Reticle having dummy pattern for monitoring focus lev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9772B1 (en) * 1998-12-24 2002-06-20 박종섭 Reticle having dummy pattern for monitoring focus le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5087B1 (en)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891B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US6483937B1 (en) Process for inspecting an object
US6960481B2 (en) Evaluation method
GB2314941A (en) Photomask with correction patterns
KR10025716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06332177A (en) Semiconductor waf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sk
US8198105B2 (en) Monitor for variation of critical dimensions (CDs) of reticles
US20230035488A1 (en) Metrology method
JP2970473B2 (en) Alignment method and alignment error inspection method
KR19980067571A (en) Dummy cells in the reticle to prevent poor focus
US6529623B1 (en) Stepper lens specific reticle compensation for critical dimension control
KR100271125B1 (en) Mask having aligning mark
JPH0258777B2 (en)
CN105759563B (en) Photomask and method for detecting photomask or wafer contamination
US6068955A (en) Methods of inspecting for mask-defined, feature dimensional conformity between multiple masks
KR100192171B1 (en) Overlay verniers of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testing the same
KR100284101B1 (en) Overlay mark of semiconductor wafer
KR100197981B1 (en) Method of detecting mask alignment in semiconductor devices
KR100280536B1 (en) Overlay inspection method of semiconductor photo process
KR100328361B1 (en) A test pattern optimization reticle for monitoring critical dimension condition
KR100349106B1 (en) Method for measuring a pattern displacement in a photomasking process
KR20020073093A (en) Shot configuration measuring mark and transfer error de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9990085682A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boundary indicator in a cell region
KR20020052485A (en)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00124A (en) Method for detecting defocus of exposure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