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498A -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498A
KR19980066498A KR1019970002085A KR19970002085A KR19980066498A KR 19980066498 A KR19980066498 A KR 19980066498A KR 1019970002085 A KR1019970002085 A KR 1019970002085A KR 19970002085 A KR19970002085 A KR 19970002085A KR 19980066498 A KR19980066498 A KR 19980066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bbin
frame
reference block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0323B1 (ko
Inventor
신동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0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0323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44Apparatus for mounting on conductive members, e.g. leadframes or conductors on insulatin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Abstract

본 발명은 DVD(Digital Video Disk)장치 등에 사용되는 레이저 픽업(Laser Pickup)을 제작할 때 레이저 픽업의 부품인 보빈과 프레임에 와이어를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 픽업의 보빈(B)과 프레임(F)에 결합될 와이어(W)를 보빈(B)과 프레임(F)에 결합되는 상태로 미리 위치 결정하여 보빈(B)과 프레임(F)이 직선 이동됨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립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와이어(W)를 동시에 보빈과 베이스에 결합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와이어를 하나씩 집어 조립하는 수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정밀하게 위치 결정되어 작동되므로 보빈(B)과 프레임(F)의 조립구멍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부품의 제작을 쉽게하여 부품가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본 발명은 광신호를 판독하는데에 사용되는 레이저 픽업(Laser Pickup)의 와이어(wire)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픽업을 이루는 주요부품인 프레임과 보빈을 와이어로 조립하고 납땜하는 공정에서 프레임과 보빈의 사이에 와이어를 자동적으로 조립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프레임과 보빈을 와이어로 조립하는 공정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과 보빈(B)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와이어(W)를 핀셋(51)으로 직접 집어서 프레임(F)에 형성된 조립구멍(52)을 통해 와이어(W)가 보빈(B)에 형성된 조립구멍(52)에 끼워지도록 한 후, 상기 보빈(B)에 납(53)과 인두(54)를 사용하여 와이어(W)를 납땜하여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립공정은 작업자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프레임(F)과 보빈(B)의 조립구멍(52)을 와이어(W)의 직경보다 상당히 크게 형성하여야 하는 바, 상기와 같이 지나치게 큰 조립구멍(52)은 납땜도중 와이어의 유동을 초래하게 되어 조립의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며, 모든 와이어(W)를 하나씩 수작업에 의해 조립해야하므로 작업성이 매우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빈과 프레임을 와이어로 조립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정밀한 조립작업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빠른 작업성을 제공하도록 한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해 프레임과 보빈에 와이어를 조립하는 작업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정면도,
도 2c는 우측면도,
도 3은 도 2의 와이어 제공수단을 도시한 상세 구조도,
도 4는 도 3의 흡착팔이 와이어를 흡착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와이어 적재함2: 흡착팔
3: 기준블록5: 'V'형 홈
6: 진공통로7: 흡착확인 감지센서
8: 흡착팔 조작 실린더9: 승강실린더
10: 수직프레임11: 기준블록용 직선가이드
12: 기준블록용 수평실린더13: 프레임 베이스
14: 보빈 베이스15: 보빈 프레임 직선가이드
16: 보빈용 수평실린더17: 프레임용 수평실린더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는 보빈과 프레임에 조립되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 다수의 와이어를 동시에 공급하는 와이어 제공수단과, 상기 와이어 제공수단에 의해 공급된 와이어의 양측으로 프레임과 보빈을 직선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에 프레임과 보빈이 삽입되도록 하는 프레임 보빈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보빈(B)과 프레임(F)에 조립되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 다수의 와이어(W)를 동시에 공급하는 와이어 제공수단과, 상기 와이어 제공수단에 의해 공급된 와이어(W)의 양측으로 프레임(F)과 보빈(B)을 직선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W)에 프레임(F)과 보빈(B)이 삽입되도록 하는 프레임 보빈 이동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제공수단은 도 3을 참고하면, 다수의 와이어(W)가 적재된 와이어 적재함(1)과, 상기 와이어 적재함(1)의 와이어를 프레임(F)과 보빈(B)에 결합될 간격으로 진공 흡착하는 흡착팔(2)과, 상기 흡착팔(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준블록(3)과, 상기 흡착팔(2)이 회전되도록 하는 흡착팔 회전수단과, 상기 기준블록(3)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기준블록 승강수단과, 상기 기준블록 승강수단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준블록 수평이동수단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상기 와이어 적재함(1)은 적재된 와이어(W)가 진동되도록 하는 상태에서 상기 흡착팔(2)에 흡착될 수 있도록 공지의 진동수단(4)을 설치하였고, 상기 흡착팔(2)은 도시된 바와 같은 'V'형 홈(5)을 형성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공통로(6)를 제공하고 공지의 진공제공수단으로 진공을 제어하여 공급함으로써 와이어(W)가 흡착팔(2)의 정확한 위치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흡착팔(2)에는 와이어가 흡착된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흡착확인 감지센서(7)를 설치하였다.
물론, 상기 흡착팔(2)에 형성된 'V'형 홈(5)의 간격은 흡착팔(2)이 수평상태에서 적재함(1)의 와이어(W)를 흡착하여 수직상태로 보빈(B) 또는 프레임(F)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삽입될 것이므로 보빈(B) 또는 프레임(F)의 수직방향에 따른 와이어(W)의 간격에 맞추어 형성하였다.
또한, 상기 흡착팔 회전수단은 상기 기준블록(3)과 흡착팔(2)의 사이에 설치된 흡착팔 조작 실린더(8)로 하였고, 상기 기준블록 승강수단은 상기 기준블록(3)에 연결된 승강실린더(9)로 하였으며, 상기 기준블록 수평이동수단은 상기 승강실린더(9)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10)과 상기 수직 프레임(10)을 수평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준블록용 직선가이드(11)와, 상기 수직 프레임(10)을 상기 기준블록용 직선가이드(11)에서 이동시키는 기준블록용 수평실린더(12)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프레임 보빈 이동수단은 프레임(F)이 놓여지는 프레임 베이스(13)와, 상기 프레임 베이스(13)를 상기 와이어 제공수단에 의해 공급된 와이어(W)쪽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직선이동수단과, 보빈(B)이 놓여지는 보빈 베이스(14)와, 상기 보빈 베이스(14)를 상기 와이어 제공수단에 의해 공급된 와이어(W)쪽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2직선이동수단으로 구성한 바, 상기 제1직선이동수단과 제2직선이동수단은 상기 프레임 베이스(13)와 보빈 베이스(14)가 동일한 직선상에서 직선운동을 하므로 하나의 직선 가이드를 사용하고 양쪽에 서로 다른 두 개의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보빈 베이스(14)와 프레임 베이스(1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즉, 하나의 보빈 베이스용 직선가이드(15)와, 상기 보빈 베이스용 직선가이드(15)에서 보빈 베이스(14)를 직선 이동시키는 보빈용 수평실린더(16)와, 상기 보빈 베이스용 직선가이드(15)에서 프레임 베이스(13)를 직선 이동시키는 프레임용 수평실린더(17)로 구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 보빈 베이스용 직선가이드(15)는 상기 기준블록용 직선가이드(11)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하여, 상기 기준블록(3)이 상기 보빈 베이스용 직선가이드(15)의 직선운동 범위의 중간부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양쪽에서 보빈 베이스(14)와 프레임 베이스(13)가 각각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와이어 적재함(1)에서 공지의 진동수단(4)에 의해 진동중에 상기 흡착팔(2)에 의해 흡착된 와이어(W)가 상기 흡착확인 감지센서(7)에 의해 확인되면, 상기 흡착팔 조작 실린더(8)의 구동으로 흡착팔(2)을 회전시켜 기준블록(3)에 밀착시킴으로써 보빈(B)과 프레임(F)에 형성된 조립구멍에 그대로 삽입될 수 있는 상태의 와이어(W) 배치상태를 확보한다.
상기와 같이 와이어(W)가 보빈(B)과 프레임(F)에 삽입될 수 있는 간격으로 배치되면 상기 기준블록용 수평실린더(12)를 구동하여 수직 프레임(10)이 상기 보빈 베이스용 직선가이드(15)의 중간부분(조립위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기준블록(3)이 조립위치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승강실린더(9)를 작동시켜 기준블록(3)이 하강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보빈 베이스(14)와 프레임 베이스(13)의 상측에는 각각 보빈(B)과 프레임(F)을 상기 기준블록(3)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기준블록(3)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와이어(W)가 결합될 수 있는 상태로 위치 결정하여 놓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기준블록(3)이 상기 조립위치로 완전히 하강되면 상기 보빈용 수평실린더(16)와 프레임용 수평실린더(17)를 각각 작동시켜 상기 보빈 베이스용 직선가이드(15)를 타고 상기 보빈 베이스(14)와 프레임 베이스(13)가 상기 기준블록(3)을 향해 직선 이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기준블록(3)에 의해 보빈(B)과 프레임(F)에 결합될 상태로 위치 결정되어 대기하고 있는 와이어(W)를 향해 상기 보빈(B)과 프레임(F)이 직선 이동되면서 자동적으로 삽입이 되어 조립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W)는 납땜이 이루어져 조립공정이 완료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 픽업의 보빈(B)과 프레임(F)에 결합될 와이어(W)를 보빈(B)과 프레임(F)에 결합되는 상태로 미리 위치 결정하여 보빈(B)과 프레임(F)이 직선 이동됨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립작업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므로, 다수의 와이어(W)를 동시에 보빈과 베이스에 결합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와이어를 하나씩 집어 조립하는 수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정밀하게 위치 결정되어 작동되므로 보빈(B)과 프레임(F)의 조립구멍을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여 부품의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다.

Claims (5)

  1. 보빈과 프레임에 조립되는 상태로 위치 결정된 다수의 와이어를 동시에 공급하는 와이어 제공수단과, 상기 와이어 제공수단에 의해 공급된 와이어의 양측으로 프레임과 보빈을 직선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에 프레임과 보빈이 삽입되도록 하는 프레임 보빈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제공수단은 다수의 와이어가 적재된 와이어 적재함과, 상기 와이어 적재함의 와이어를 프레임과 보빈에 결합될 간격으로 진공 흡착하는 흡착팔과, 상기 흡착팔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준블록과, 상기 흡착팔이 회전되도록 하는 흡착팔 회전수단과, 상기 기준블록을 상하로 승강시키는 기준블록 승강수단과, 상기 기준블록 승강수단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준블록 수평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적재함은 적재된 와이어가 진동되도록 하는 상태에서 상기 흡착팔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수단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팔에는 와이어가 흡착된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흡착확인 감지센서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보빈 이동수단은 프레임이 놓여지는 프레임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베이스를 상기 와이어 제공수단에 의해 공급된 와이어쪽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직선이동수단과, 보빈이 놓여지는 보빈 베이스와, 상기 보빈 베이스를 상기 와이어 제공수단에 의해 공급된 와이어쪽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2직선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KR1019970002085A 1997-01-24 1997-01-24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KR10022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085A KR100220323B1 (ko) 1997-01-24 1997-01-24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085A KR100220323B1 (ko) 1997-01-24 1997-01-24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498A true KR19980066498A (ko) 1998-10-15
KR100220323B1 KR100220323B1 (ko) 1999-09-15

Family

ID=1949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085A KR100220323B1 (ko) 1997-01-24 1997-01-24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03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0323B1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0832B1 (ko) 전자부품의 실장장치, 및 전자부품의 실장방법
KR100502595B1 (ko) 전자부품자동장착장치
KR100961690B1 (ko) 카메라모듈 제작용 라운드 디스펜싱 장치와 이를 이용한 라운드 디스펜싱 방법
KR20010075664A (ko) 부품장착 방법 및 그 장치
US6282779B1 (en)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parts
KR100220323B1 (ko) 레이저 픽업 와이어 조립장치
US20020003997A1 (en) Manipulator/end effector head for robotic assembly
KR100465212B1 (ko) 핸드링 장치 및 이 핸드링 장치를 사용한 부품 조립 장치
KR100347429B1 (ko) 반도체 펠릿의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JP5013816B2 (ja) 表面実装装置
KR100310282B1 (ko) 본딩 장치
KR100399894B1 (ko) 플럭스 돗팅장치
JP3497545B2 (ja) 部品保持装置
JP4338286B2 (ja) トランスファー型切削加工機
KR20000022881A (ko) 표면설치기
KR100376764B1 (ko) 반도체패키지제조장비
KR100835823B1 (ko) 웨이퍼 스테이지 반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H0982748A (ja) 導電性ボール供給装置、導電性ボール搭載装置、導電性ボール搭載方法及び電子部品製造方法
KR100237326B1 (ko) 솔더볼 범핑 장비의 bga 반도체 패키지 이송장치
KR200267651Y1 (ko) 피씨비 테스터
KR200209091Y1 (ko)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용 헤드구동부재 장착장치
JPS63107099A (ja) 電子部品自動装着機
JP2550905B2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装置
JPH06290851A (ja) プリント基板へのプレスフィットコネクタ挿入方法
JPH04343297A (ja) 部品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