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342A - 유리창 청소기 - Google Patents

유리창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342A
KR19980066342A KR1019970001800A KR19970001800A KR19980066342A KR 19980066342 A KR19980066342 A KR 19980066342A KR 1019970001800 A KR1019970001800 A KR 1019970001800A KR 19970001800 A KR19970001800 A KR 19970001800A KR 19980066342 A KR19980066342 A KR 19980066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roller
window
window clean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5105B1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김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철 filed Critical 김종철
Priority to KR1019970001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10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08Hand implements with provision for supplying liquids, e.g. cleaning agent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창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블레이드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움직이면서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암의 일단에 롤러를 갖는 제 1몸체를 구성하고, 이 제 1몸체와 마주보는 면에는 조절수단을 매개로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2몸체를 설치하여서, 이 제 1몸체와 제 2몸체가 그 사이에 끼워진 창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유리창의 표면을 닦을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암이나 각 브레이드의 측면에 물공급수단을 임의로 탈부착가능하게 함으로써, 유리창의 폭 길이에 맞도록 브레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에 유리창을 닦을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리창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유리창 청소기
본 발명은 유리창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브레이드가 전체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 1몸체와 제 2몸체를 구성하여 하나로 조합하여, 이 몸체가 창틀에 밀착되어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물공급수단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면서 브레이드가 유리창의 표면을 닦을 수 있게 함으로써, 조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리창 청소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는 유리창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건물에는 햇살이 실내로 들어오게 하거나 실내 환기를 목적으로 유리창이 개폐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유리창은 건물의 측면에 설치된 창문틀을 따라 나란하게 개폐가능하도록 장착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유리를 이용하여 차광 및 외부 풍경을 감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유리창은 오랫동안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그 표면에 실내외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많이 묻게 되어, 차광 및 밖을 바라보기가 어려워 주기적으로 유리창 청소를 해주게 된다.
이때, 유리창 표면에는 이물질이 묻은 상태에서 딱딱하게 굳어 있기 때문에 청소용 걸레에 물이나 클리어 등을 묻혀 이물질을 훔쳐낸 다음, 물을 뿌려 이물질을 깨끗하게 닦아 내게 된다.
또한, 유리창이 큰 경우에 의자와 같은 보조기구를 놓고 올라가서 닦거나 일측에 청소용 걸레가 구비된 청소용 막대 등을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과 같이 유리창을 청소하는 경우 청소하는 이가 직접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손이 미치는 위치까지 닦고 다시 자리를 옮겨 닦아야 하기 때문에, 유리창 청소에 따른 작업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보조기구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부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블레이드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움직이면서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암의 일단에 롤러를 갖는 제 1몸체를 구성하고, 이 제 1몸체와 마주보는 면에는 조절수단을 매개로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 2몸체를 설치하여서, 이 제 1몸체와 제 2몸체가 그 사이에 끼워진 창문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면서 유리창의 표면을 닦을 수 있게 하는 동시에, 암이나 각 브레이드의 측면에 물공급수단을 임의로 탈부착가능하게 함으로써, 유리창의 폭 길이에 맞도록 브레이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짧은 시간에 유리창을 닦을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리창 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제 1몸체10b : 제 2몸체
11a, 11b, 13, 14 : 롤러12 : 조절수단
15a, 15b : 장공구멍16a, 16b : 암나사부
20 : 암21 : 회전링크
22 : 브레이드23a, 23b : 제 1, 제 2안내봉
24a, 24b : 제 1, 제 2지지체25a, 25b : 작동구멍
26a, 26b : 고정부재30 : 물공급수단
31 : 지지브라켓32 : 조절바
33 : 공급수단34 : 분사노즐
35 : 탈부착수단36 : 구동수단
37 : 설치구멍38 : 작동구멍
39 : 물통39a : 연결관
40 : 창문틀41 : 유리창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브레이드(22)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암(20)에 일단이 고정된 제 1몸체(10a)와, 이 제 1몸체(10a)의 안쪽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합된 제 2몸체(1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는 안쪽면 상부에 각각 롤러(11a), (11b)가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아랫쪽에는 이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수단(12)과 조합된 다른 롤러(13)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암(20)에는 외부로부터 임의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물공급수단(30)이 탈장착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제 1몸체(10a)는 안쪽면에 탄성지지를 받아 롤러(11a), (11b)와 수직으로 회전가능한 다른 롤러(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는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각각 장공구멍(15a), (15b)이 절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11a)는 그 회전중심축의 연장선상에 구동수단의 중심축을 연결설치하여 이 구동수단의 구동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12)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롤러(13)가 구비되어 있으면서 상기 각 장공구멍(15a), (15b)에 끼워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볼트 및 너트와,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의 저부에 양단이 조합된 스터드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레이드(2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이 암(20)과 나란하게 고정된 제 1안내봉(23a)을 따라 움직이는 제 1지지체(24a)와, 이 제 1지지체(24a)에 상기 제 1안내봉(23a)과 나란하게 고정된 제 2지지체(24b)에 각각 하나씩 전부 2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수단(30)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분사노즐(34)을 가지면서 그 측면에는 탈부착수단(35)을 갖는 지지브라켓(31)과, 구동수단(36)과 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분사노즐(34)을 회전시켜 주는 조절바(32)와, 상기 지지브라켓(31)에 설치되어 분사노즐(34)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수단(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20은 암을, 21은 회전링크를, 22는 브레이드를, 40은 창문틀을, 41은 유리창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브레이드(22)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암(20)을 형성하고, 이 암(20)의 일단에는 제 1몸체(10a)를 일체로 융착고정하는 동시에 제 1몸체(10a)의 안쪽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12)을 갖는 제 2몸체(10b)를 조합하여,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가 조합된 내부에 창문틀(40)이 끼워져서 손으로 밀거나 미도시된 구동수단의 구동으로 롤러(11a), (11b)가 회전함에 따라 제 1몸체(10a)에 구성된 브레이드(22)가 움직이면서 유리창(41)을 닦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a 및 10b는 각각 제 1몸체와 제 2몸체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는 폭보다 길이가 다소 긴 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앙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같은 크기를 갖는 장공구멍(15a), (15b)이 절개성형되어 있다.
이때, 상기 장공구멍(15a)은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마주보는 곳에 일정한 간격으로 톱니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림부는 상기 조절수단(12)의 볼트 머리부가 끼워지게 하여 이 볼트가 회전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는 일면의 상부 양측에 각각 하나씩 전부 4개의 롤러(11a), (11b)가 안쪽면에 밀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각 롤러(11a), (11b)의 회전축에 구동모터와 같은 미도시된 구동수단을 설치하여, 이 롤러(11a), (11b)가 구동수단의 조작으로 회전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가 창문틀(40)에 조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의 하부에는 각각 일정한 크기를 갖는 암나사부(16a), (16b)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암나사부(16a), (16b)에는 조절수단(12)의 스터드 볼트가 체결되어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를 하나로 조합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몸체(10a)는 롤러(11a)의 아랫쪽에 또 다른 롤러(14)가 탄성지지를 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롤러(14)는 그 회전방향이 상기 롤러(11a)와 직각으로 회전하도록 장착하게 된다.
즉, 상기 롤러(14)는 회전지지봉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전부 2개의 롤러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회전지지봉의 끝단부에는 그 양단이 각각 이 회전지지봉 및 제 1몸체(10a)에 고정된 코일스프링이 끼워져서 이 제 1몸체(10a)의 안쪽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 1몸체(10a)는 상기 암(20)이 탄성지지를 받아 뒤로 젖혀지도록 조합된 회전링크(21)의 안쪽면에 일체로 융착고정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장공구멍(15a)은 이 회전링크(21)의 미도시된 장공구멍(15c)과 서로 겹쳐지도록 고정설치된다.
특히, 상기 장공구멍(15c)은 제 1몸체(10a)의 장공구멍(15a)보다 다소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이 2개의 장공구멍(15a), (15c)이 하나로 겹쳐지게 되면 안쪽 테두리가 단차지게 함으로써, 후술하는 조절수단(12)이 회전하는 것을 막아 주게 된다.
도면부호 12는 조절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조절수단(12)은 제 1몸체(10a) 및 제 2몸체(10b)에 형성된 2개의 장공구멍(15a), (15b)에 길이방향으로 가로 걸쳐진 볼트 및 이 장공구멍(15b)의 뒤쪽으로 돌출된 끝단에 체결된 너트와, 상기 각 암사나부(16a), (16b)에 양단이 체결고정된 스터드 볼트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볼트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탄성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롤러(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롤러(13)는 조절너트에 의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13)는 양측이 마주보도록 접혀져서 요자 형태로 성형된 지지브라켓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2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지지브라켓의 양측면에는 상기 볼트를 끼울 수 있도록 같은 위치에 작동구멍이 관통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롤러(13)는 탄성스프링이 끼워진 볼트에 작동구멍을 통하여 끼워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조절너트가 체결되어, 이 롤러(13)는 항상 탄성지지를 받는 상태에서 조절너트를 돌리게 되면 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13)는 조절수단(12)의 볼트가 각 장공구멍(15a), (15b)을 따라 동시에 위아래로 움직이게 되면 다른 롤러(11a), (11b)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볼트의 너트 및 스터드 볼트를 이완시키거나 잠그게 되면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면부호 24a와 24b는 각각 제 1지지체와 제 2지지체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제 1지지체(24a)는 폭보다 길이가 조금 긴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윗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제 2안내봉(23a)의 일단이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지지체(24a)는 제 2안내봉(23b)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작동구멍(25a)이 관통성형되어 있으며, 이 작동구멍(25a)은 상기 암(20)에 고정된 제 1안내봉(23a)에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지지체(24a)는 그 측면에 폭보다 길이가 긴 고정부재(26a)가 일체로 융착고정되어 있으며, 이 고정부재(26a)는 선단이 소정의 곡률로 구배져서 상기 브레이드(22)가 설치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드(22)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와이퍼에 이용하는 브레이드를 그대로 이용하게 되며, 상기 고정부재(26a)의 선단은 이러한 브레이드(22)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배진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 제 2지지체(24b)는 얇은 실린더 형상의 관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제 1지지체(24a)와 마찬가지로 브레이드(22)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26b)가 융착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 2지지체(24b)는 작동구멍(25b)이 제 1지지체(24a)에 고정된 제 2안내봉(23b)에 끼워져서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고정부재(26b)에는 다른 브레이드(22)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지지체(24a)와 제 2지지체(24b)에 설치되는 브레이드(22)는 각 고정부재(26a), (26b)에 설치된 상태에서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부호 30은 물공급수단을 나타낸다.
상기 물공급수단(30)은, 첨부도면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20)이나 각 안내봉((23a), (23b)에 임의로 설치할 수 있도록 탈부착수단(35)을 갖는 지지브라켓(31)과, 이 지지브라켓(31)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좌우 회전가능한 여러개의 분사노즐(34)이 구동수단(36)의 구동으로 동시에 작동가능하도록 장착된 조절바(32)와, 상기 지지브라켓(31)에 설치되어 작동스위치의 조작으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수단(3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브라켓(31)은 폭보다 길이가 긴 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일단 측면에는 일부 구간이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브라켓(31)은 윗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구멍(37)이 관통성형되어 있으며, 이 설치구멍(37)에는 공지된 기술로 이루어진 분사노즐(34)이 지지브라켓(31)의 길이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브라켓(31)은 그 측면 길이의 중앙에 자석과 같은 탈부착수단(3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탈부착수단(35)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브라켓(31)을 암(20)이나 각 안내봉(23a), (23b)에 임의로 부착가능하게 된다.
상기 조절바(32)는 폭보다 길이가 긴 판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윗면에는 상기 분사노즐(34)과 대응되는 위치에 타원 형태의 작동구멍(38)이 관통성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절바(32)는 그 윗면에 끝단으로부터 일부 구간에 걸쳐 기어부가 성형되어 있으며, 이 기어부는 상기 지지브라켓(31)의 돌출된 부위에 장착되는 구동수단(36)의 기어와 치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36)은 일반적으로 모터를 이용하게 되며, 이 모터는 작동스위치의 조작으로 일반 건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공급수단(33)은 지지브라켓(31)의 측면에 장착된 물통(39)과, 이 물통(39)으로부터 상기 각 분사노즐(34)에 물을 공급하여 주는 연결관(39a)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물통(39)에는 내부에 채워진 물을 분사노즐(34)에 공급할 수 있도록 펌프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펌프는 상술한 작동스위치의 조작으로 구동수단(36)과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물공급수단(30)은 탈부착수단(35)을 이용 암(20)에 설치한 다음 구동수단(36)과 펌프를 동시에 작동시키면 물통(39)으로부터 물이 각 분사노즐(34)에 공급가능하게 되고, 이 분사노즐(34)은 좌우로 요동운동을 하면서 분사면적을 넓혀 주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창 청소기는 먼저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를 창문틀(40)에 장착한 다음 물공급수단(30)을 임의로 설치하여 유리창(41)을 닦게 된다.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조절수단(12)을 이완시켜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 사이의 간격이 창문틀(40)보다 넓힌다.
즉, 상기 너트를 이완시키는 동시에 스터드 볼트를 이완시켜 제 2몸체(10b)가 제 1몸체(10a)로부터 점차 그 간격을 충분하게 넓혀 주게 된다.
이어,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가 조합되어서 이루어진 공간부의 상부에 창문틀(40)을 끼워 넣게 되며, 이때 상기 창문틀은 2개의 롤러(13a), (13b)와 다른 롤러(13)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상부에 끼워지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2개의 롤러(11a), (11b)는 유리창(41)이 설치되는 창문틀(40)의 안쪽을 향하게 하고, 다른 롤러(13)는 상기 창문틀(40)의 바깥쪽면과 밀착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볼트는 너트가 이완된 상태에서 창문틀(40)의 폭 길이에 맞도록 각 장공구멍(15a), (15b)을 따라 움직이면서 그 높이를 조절하게 되며, 이와 함께 조절너트를 이용하여 또 다른 롤러(13)가 상기 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창문틀(40)의 두께 절반이 되는 위치에 오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 사이에 창문틀(40)을 끼운다음 각 몸체(10a), (10b) 사이의 간격이 창문틀(40)과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볼트 및 너트와 스터드 볼트를 이용하여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너트를 돌려 제 2몸체(10b)가 제 1몸체(10a)의 안쪽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상기 스터드 볼트를 이용하여 이와 같이 제 2몸체(10b)가 제 1몸체(10a)의 안쪽으로 움직여진 위치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창문틀(40)은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의 상부에 끼워져서 각 롤러(11a), (11b), (13)에 밀착된 상태가 되며, 상기 조절수단(12)에 의하여 그 조합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몸체(10a)에 구비된 롤러(14)는 조절수단(12)에 의하여 제 2몸체(10b)가 제 1몸체(10a)에 가까워짐에 따라 탄성력을 저장하면서 창문틀(40)의 윗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본 발명의 청소기는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가 3개의 롤러(11a), (11b), (13)에 의하여 밀착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어, 상기 창문틀(4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
이어, 상기 각 지지체(24a), (24b)를 잡아 각 안내봉(23a), (23b)의 길이방향으로 잡아 당겨 청소하고자 하는 유리창(41)의 크기에 맞도록 브레이드(22)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2개의 롤러(11a), (11b)는 미도시된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창문틀에 의해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이 마찰력으로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는 하나로 조합된 상태에서 창문틀(4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드(22)는 암(20)이 회전링크(21)에 구비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받아 유리창과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되며, 상술한 것과 같이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가 창문틀(4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유리창(41)을 청소하게 된다.
한편, 물을 뿌려 놓고 청소를 할려면 먼저 탈부착수단(35)을 암(20)이나 각 안내봉(23a), (23b)에 자성을 이용하여 부착하고, 작동스위치를 조작함에 따라 물탱크(39)로부터 물이 분사노즐(34)에 공급되며, 이렇게 공급된 물은 좌우 요동운동을 하는 분사노즐(34)에 의하여 넓은 면적에 거쳐 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 유리창(41)의 상부까지 물을 공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청소기를 위로 올리면서 물공급수단(30)이 작동가능하게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창 청소기는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가 조합된 공간부의 상부에 창문틀(40)을 끼운 상태에서 유리창(41)의 폭에 맞도록 브레이드(22)의 전체 길이를 조절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암(20)과 각 안내봉(23a), (23b)에 물공급수단(30)을 장착하여 유리창(41)에 물을 임의로 뿌려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브레이드가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합된 암의 일단에 제 1몸체를 설치하고, 이 제 1몸체의 앞쪽에 조절수단을 매개로 제 2몸체가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암에는 물공급수단을 임의로 탈부착가능하게 함으로써, 넓은 유리창을 짧은 시간에 닦을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유리창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브레이드(22)가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전체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암(20)에 일단이 고정된 제 1몸체(10a)와, 이 제 1몸체(10a)의 안쪽면과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조합된 제 2몸체(10b)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는 안쪽면 상부에 각각 롤러(11a), (11b)가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아랫쪽에는 이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수단(12)과 조합된 다른 롤러(13)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암(20)에는 외부로부터 임의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물공급수단(30)이 탈장착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몸체(10a)는 안쪽면에 탄성지지를 받아 롤러(11a), (11b)와 수직으로 회전가능한 다른 롤러(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는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로 각각 장공구멍(15a), (15b)이 절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11a)는 그 회전중심축의 연장선상에 구동수단의 중심축을 연결설치하여 이 구동수단의 구동력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12)은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롤러(13)가 구비되어 있으면서 상기 장공구멍(15a), (15b)에 끼워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볼트 및 너트와, 상기 제 1몸체(10a)와 제 2몸체(10b)의 저부에 양단이 조합된 스터드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드(2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일단이 암(20)과 나란하게 고정된 제 1안내봉(23a)을 따라 움직이는 제 1지지체(24a)와, 이 제 1지지체(24a)에 상기 제 1안내봉(23a)과 나란하게 고정된 제 2지지체(24b)에 각각 하나씩 전부 2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30)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분사노즐(34)을 가지면서 측면에는 탈부착수단(35)을 갖는 지지브라켓(31)과, 구동수단(36)과 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분사노즐(34)을 회전시켜 주는 조절바(32)와, 상기 지지브라켓(31)에 설치되어 분사노즐(34)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수단(3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기.
KR1019970001800A 1997-01-22 1997-01-22 유리창 청소기 KR10020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800A KR100205105B1 (ko) 1997-01-22 1997-01-22 유리창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800A KR100205105B1 (ko) 1997-01-22 1997-01-22 유리창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342A true KR19980066342A (ko) 1998-10-15
KR100205105B1 KR100205105B1 (ko) 1999-06-15

Family

ID=1949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800A KR100205105B1 (ko) 1997-01-22 1997-01-22 유리창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76B1 (ko) * 2006-03-20 2006-12-22 김동화 유리창 청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161B1 (ko) 2009-07-13 2011-06-30 박영수 미닫이 창문의 실외 유리창 청소기
CN108742281B (zh) * 2018-07-26 2020-07-28 安徽凤阳美居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自动清洁玻璃的清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976B1 (ko) * 2006-03-20 2006-12-22 김동화 유리창 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5105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719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an assembly
US109383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an assembly
EP0538521A1 (en) Cleaning apparatus for roof glazing
KR100205105B1 (ko) 유리창 청소기
US20070124886A1 (en) Combination wiper for vehicle outside mirror and front door window
KR20090003585U (ko) 세척식 창문용 와이퍼지지부
KR200349818Y1 (ko) 건축물 외벽 청소기
KR101795991B1 (ko) 유리창 청소기
CN214835854U (zh) 一种具有自动清洗功能的观景窗
KR100939840B1 (ko) 도로 탄력봉 세척장치
JPH01313029A (ja) 窓拭き装置
KR20200128249A (ko) 클램프를 활용하여 탈부착이 용이한 지능형 외부유리창 청소로봇
KR20110096942A (ko) 유리창 청소기구
CN216911185U (zh) 一种汽车仪表盘的除尘结构
CN218943201U (zh) 一种自动感应玻璃门清洁机构
CN215507917U (zh) 易清洁大棚用清洁刷
CN220318977U (zh) 一种阳台遮阳装置
CN219960514U (zh) 一种便于清理的光伏发电装置
KR940019275A (ko) 자동청소기
KR200322359Y1 (ko) 평면 청소기
KR200205482Y1 (ko) 유리창 자동 세척장치
KR20220056449A (ko) 창호용 유리 청소장치
JP3101702U (ja) ウィンドーワイパー
KR200202548Y1 (ko) 자동세차기의 수직브러시 구동장치
KR19980046717U (ko) 차량의 직선 운동형 와이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