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304U - 프리 사일런서 - Google Patents

프리 사일런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304U
KR19980066304U KR2019970010698U KR19970010698U KR19980066304U KR 19980066304 U KR19980066304 U KR 19980066304U KR 2019970010698 U KR2019970010698 U KR 2019970010698U KR 19970010698 U KR19970010698 U KR 19970010698U KR 19980066304 U KR19980066304 U KR 199800663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xhaust
silencer
exhaust pip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6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현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106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304U/ko
Publication of KR19980066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304U/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조립에 따른 공수가 적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용도 적게 들어가며, 배기 파이프보다 큰 단면적의 내부 공간을 갖고 마주보는 내벽면이 서로 평행한 평행부, 평행부의 일측 끝단 부근에서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구성되고 배기매니폴드쪽의 배기 파이프에 용접 결합되는 제 1축관부, 평행부의 타측 끝단 부근에서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구성되고 메인 사일런서쪽의 배기 파이프에 용접 결합되는 제 2축관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제 1관 및 메인 사일런서쪽의 배기 파이프에 연결되어 제 1관 내부로 삽입되고 배기가스의 출입을 허용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관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프리 시일런서에 관한 고안.

Description

프리 사일런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소음기 즉, 사일런서(silenc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기매니폴드와 메인 사일런서(main silencer) 사이의 배기 파이프에 설치되어 배기 가스에 의한 소음을 1차적으로 줄여주는 자동차의 프리 사일런서(pre silenc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계에는 프리 사일런서와 메인 사일런서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프리 사일런서는 배기가스가 메인 사일런서에 도착되기 전에 1차적으로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떨어뜨리므로써 배기가스에 의한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프리 사일런서의 일반적인 구성을 제 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도는 종래 자동차의 프리 사일런서의 단면도이다. 제 1도에는 배기매니 폴드쪽의 제 1배기 파이프(12)와 메인 사일런서쪽의 제 2배기 파이프(14)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 1배기 파이프(12)와 제 2배기 파이프(14) 사이에 프리 사일런서(20)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 사일런서(20)는 밀폐된 내부 공간(21)을 갖는 원통체(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원통체(22)는 소정 면적의 평판을 말아서 용접하고 그 양단에 평판(23)을 부착하여 구성하면 된다. 이 원통체(22)의 내부 공간(21)은 제 1배기 파이프(12)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가 팽창되면서 온도와 압력이 떨어지도록 하는 팽창실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원통체(22)의 내측면 일측에는 내부 공간(21)을 분할하는 격판(24)이 설치되어 있다.
제 1도에서 알 수 있듯이 원통체(22)의 내부에는 연결관(25)이 원통체(22)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관(25)은 제 1, 제 2배기 파이프(12, 14)를 연결하고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배기가스가 원통체(22)의 내부 공간(21)으로 유출입할 수 있도록 해주는 관통공(26)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즉, 배기가스는 배기매니폴드쪽의 제 1배기 파이프(12)를 통해 연결관(25)으로 유입된다. 이 배기가스는 관통공(26)을 통해 원통체(22)의 내부 공간(21)으로 빠져나가면서 팽창되고, 이에 따라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배기가스는 다시 관통공(26)을 통해 연결관(25) 내부로 유입되고 제 2배기 파이프(14)쪽으로 보내지게 된다.
제 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프리 사일런서(2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면적의 평판을 말아서 용접하고, 그 내부에 격판(24)을 설치하고 다시 그 양단에 평판(23)을 각각 용접한 다음 관통공(26)이 형성된 연결관(25)을 원통체(22) 내부로 삽입하여 만드는 데, 그 조립과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들어간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에 따른 공수가 적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용도 적게 들어가는 자동차의 프리 사일런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 1도는 종래 자동차의 프리 사일런서의 단면도,
제 2도는 본고안에 따른 프리 사일런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34 : 배기 파이프40 : 프리 사일런서
42 : 제 1관42a : 평행부
42b : 제 1축관부42c : 제 2축관부
44 : 내부 공간46 : 제 2관
47 : 관통공
본 고안의 목적은 배기매니폴드와 메인 사일런서 사이의 배기 파이프에 설치되어 배기소음을 1차적으로 줄여주기 위한 프리 사일런서에 있어서, 배기 파이프보다 큰 단면적의 내부 공간을 갖고 마주보는 내벽면이 서로 평행한 평행부, 평행부의 일측 끝단 부근에서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구성되고 배기매니폴드쪽의 배기 파이프에 용접 결합되는 제 1축관부, 평행부의 타측 끝단 부근에서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구성되고 메인 사일런서쪽의 배기 파이프에 용접 결합되는 제 2축관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제 1관 및 메인 사일런서쪽의 배기 파이프에 연결되어 제 1관 내부로 삽입되고 배기가스의 출입을 허용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리 사일런서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리 사일런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 1도에는 배기매니폴드쪽의 배기 파이프(32)와 메인 사일런서쪽의 배기 파이프(34)가 각각 도시되어 있고, 그 사이에 본 고안에 따른 프리 사일런서(40)가 결합되어 있다. 이 프리 사일런서(40)는 배기매니폴드와 메인 사일런서 사이에 설치되어 배기소음을 1차적으로 줄여주기 위한 것이다.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리 사일런서(40)는 제 1관(4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관(42)은 양쪽의 배기 파이프(32, 34)보다 큰 단면적의 내부 공간(44)을 갖고 있다. 이 제 1관(44)은 마주보는 내백면이 서로 평행한 평행부(4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평행부(42a)의 배기가스가 팽창할 수 있는 충분한 내부 공간(44)을 제공한다. 이 평행부(42a)의 일측 끝단 부근에는 내부 공간(44)의 단면적이 점점 줄어들게 구성된 제 1축관부(4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축관부(42b)는 배기매니폴드쪽의 배기 파이프(32)에 용접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평행부(42a)의 타측 끝단 부근에는 제 2축관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축관부(42c)는 내부 공간(44)의 단면적이 점점 줄어들게 구성되어 있으며, 메인 사일런서쪽의 배기 파이프(34)에 용접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 1관(42)은 대구경의 파이프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고 그 양단의 개구를 축소시키므로써 만들 수 있다. 즉, 제 1관(42)은 매우 간단한 공정으로 만들 수 있다.
제 1관(42) 내부로는 제 2관(4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관(46)은 메인 사일런서쪽의 배기 파이프(34)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제 2관(46)에는 다수의 관통공(47)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47)은 유입된 배기가스가 제 1관(42)의 내부 공간(44)으로 출입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배기매니폴드쪽의 배기 파이프(32)를 통해 제 2관(46)으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관통공(47)을 통해 제 1관(42)의 내부 공간(44)으로 빠져나가면서 팽창된다. 이에 따라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은 1차적으로 떨어지게 되고, 배기가스에 의한 소음은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배기가스는 다시 관통공(47)을 통해 제 2관(46) 내부로 유입되고 메인 사일런서쪽의 배기 파이프(34)로 보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프리 사일런서는 대구경의 파이프를 절단하여 그 양단의 개구를 축소시키고, 관통공이 형성된 제 2관을 그 내부로 삽입한 다음 각각 용접하면 되므로 그 제조과정이 매우 간단하다. 이에 따라 프리 사일런서의 제조에 따른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비용도 절감된다.

Claims (1)

  1. 배기매니폴드와 메인 사일런서 사이의 배기 파이프에 설치되어 배기소음을 1차적으로 줄여주기 위한 프리 사일런서에 있어서,
    상기 배기 파이프보다 큰 단면적의 내부 공간을 갖고 마주보는 내벽면이 서로 평행한 평행부, 상기 평행부의 일측 끝단 부근에서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구성되고 상기 배기매니폴드쪽의 배기 파이프에 용접 결합되는 제 1축관부, 상기 평행부의 타측 끝단 부근에서 내부 공간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구성되고 상기 메인 사일런서쪽의 배기 파이프에 용접 결합되는 제 2축관부를 구비하여 구성된 제 1관; 및
    상기 메인 사일런서쪽의 배기 파이프에 연결되어 제 1관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배기가스의 출입을 허용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2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프리 사일런서.
KR2019970010698U 1997-05-15 1997-05-15 프리 사일런서 KR199800663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698U KR19980066304U (ko) 1997-05-15 1997-05-15 프리 사일런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698U KR19980066304U (ko) 1997-05-15 1997-05-15 프리 사일런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304U true KR19980066304U (ko) 1998-12-05

Family

ID=69684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698U KR19980066304U (ko) 1997-05-15 1997-05-15 프리 사일런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3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578B1 (ko) * 2000-11-16 2002-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기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578B1 (ko) * 2000-11-16 2002-10-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5900B1 (ko) 자동차 머플러
US4360076A (en) Muffler
US9745885B2 (en) Modular manifold for motor vehicles
US6343417B1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n air-gap-insulating exhaust elbow of a vehicle exhaust system
US6427440B1 (en) Built-up airgap-insulated exhaust manifold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it
WO2014084586A1 (ko) 에어컨디셔너용 머플러
KR20010023630A (ko) 엔진실에 장착되는 촉매 지지 장치
EP2048332A1 (en) Structure for exhaust pipe connection section of muffler
US5183977A (en) Muffler assembly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404556B1 (ko) 내연기관의배기파이프
JP2006233862A (ja) 車両用消音器
KR19980066304U (ko) 프리 사일런서
JP2002161740A (ja) 触媒コンバータのo2センサー取付方法
JP4546871B2 (ja) 車載エンジンの排気系構造
US20060266580A1 (en) Muffler for an exhaust syste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US20020029928A1 (en) Exhaust silencer
US6687996B2 (en) Method of making an exhaust gas collector
JP3495487B2 (ja) 車両の排気装置
JPH0122898Y2 (ko)
US20010026780A1 (en) Housing for an exhaust gas catalyst
EP0647771A1 (en) Exhaust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vehicle, and a method for production of this apparatus.
JPH04339531A (ja) 多重排気管の製造方法
KR01243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357397B1 (ko) 차량용 소음기의 제조방법
US6050362A (en) Exhaust system with seamed roll joints and method for manufa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