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180U -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 Google Patents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180U
KR19980066180U KR2019970010553U KR19970010553U KR19980066180U KR 19980066180 U KR19980066180 U KR 19980066180U KR 2019970010553 U KR2019970010553 U KR 2019970010553U KR 19970010553 U KR19970010553 U KR 19970010553U KR 19980066180 U KR19980066180 U KR 199800661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evice
battery
portable computer
adap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0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180U/ko
Publication of KR19980066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180U/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사용 시간을 증가시키는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일 측면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배터리 장치와,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분리시키고 그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배터리 장치와, 상기 배터리 장치의 유무를 확인하고, 배터리 장치의 충방전 상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서, 휴대용 컴퓨터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 배터리 사용 시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이중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본 고안은 이중 배터리 장치(dual battery apparatus)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Portable Computer)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컴퓨터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 보조 기억장치의 연결부분에 보조 배터리를 연결하여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키는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용 컴퓨터는 일반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AC 어댑터 및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 장치를 갖고 있다.
휴대용 컴퓨터의 CPU의 속도가 높아지고, 지원하는 주변기기의 수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휴대용 컴퓨터의 전력 소모량도 계속해서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는 상태에서 휴대용 컴퓨터의 동작 시간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용량을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휴대용 컴퓨터는 이동의 용이성 및 휴대의 편의성을 위해 통상 하나의 배터리만 장착되고, 또한 휴대용 컴퓨터의 크기적 제한으로 인해 배터리 셀의 수를 계속해서 증가시킬 수 없다. 따라서, 배터리로 동작시킬 수 있는 시간이 크게 제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종래 휴대용 컴퓨터의 속도 및 성능은 향상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배터리의 동작 시간은 줄어들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용 컴퓨터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보조 기억장치의 연결위치에 보조 배터리 장치를 장착하여 배터리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제어수단의 상세 회로도;
도 3은 도 2의 마이컴의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용 컴퓨터 20 : 메인 보드
30 : 배터리 제어회로 32 : 마이컴
34 : 스위칭 제어회로 36 : 제 1 스위칭 회로
38 : 제 2 스위칭 회로 40, 42, 44 : 커넥터
50a : 메인 배터리 장치 50b : 보조 배터리 장치
(구성)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는 보조 기억장치 및 배터리 장치를 갖고, 상기 배터리 장치 내지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휴대용 컴퓨터의 일 측면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배터리 장치와;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분리시키고 그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배터리 장치와; 상기 배터리 장치의 유무를 확인하고, 배터리 장치의 충방전 상태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와 제 2 배터리 장치는 서로 교환하여 장착시킬 수 있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는 메인 배터리 장치이고,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는 보조 배터리 장치이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배터리 장치의 충방전 상태 및 각각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배터리 장치의 충방전 상태를 제어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전원공급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 및 제 2 배터리 장치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출력시키는 스위칭 제어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제어신호와 스위칭 제어수단으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출력하는 제 1 스위칭 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제어신호와 스위칭 제어수단으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출력하는 제 2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배터리 장치의 유무를 체크하여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 및 제 2 배터리 장치 중 어느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어댑터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어댑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 장치를 충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어댑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하나의 배터리 장치를 방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터리 장치 유무를 체크하여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 및 제 2 배터리 장치가 둘 다 존재하는 경우 어댑터 유무를 확인하며, 상기 배터리 장치가 둘 다 존재할 때 어댑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의 충전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가 완전 충전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를 충전시키고,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가 완전 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를 충전시키며, 상기 배터리 장치가 둘 다 존재할 때 어댑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의 전압이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를 방전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의 전압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를 방전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작용)
본 고안에 의한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는 메인 배터리 외에 보조 기억장치의 연결 위치에 보조 배터리 장치를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킨다.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10)는 메인 보드(main board)(20)와, 메인 배터리 장치(50a)와, 보조 배터리 장치(50b)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휴대용 컴퓨터는 상기 배터리 장치들(50a, 50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AC 어댑터(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는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고 또한 서로 교환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 보드(20)는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와 보조 배터리 장치(50b)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 장치들(50a, 50b)의 충방전 상태를 제어하는 배터리 제어회로(30)와,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50b)의 위치에 장착되는 FDD 또는 CD-ROM 등과 같은 보조 기억장치(도면에 미도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connector)(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를 연결하는 커넥터들(42, 44)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는 상기 커넥터들(42, 44)을 통해 상기 메인 보드(20)에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 사용시간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메인 배터리 장치(50a)만을 사용하고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50b)의 위치에 상기 보조 기억장치(도면에 미도시)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제어회로(30)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제어회로(30)는 마이컴(32)과, 스위칭 제어회로(34)와, 제 1 및 제 2 스위칭 회로(36, 38)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컴(32)은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의 충방전 상태 및 각각의 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의 충방전 상태를 제어한다.
상기 마이컴(32)은 BAT_TEMP_A 및 BAT_TEMP_B 신호를 통해 각각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의 유무를 체크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32)은 BAT_DATA_A 및 BAT_CLK_A 그리고 BAT_DATA_B 및 BAT_CLK_B를 통해 각각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의 충전 상태 또는 기타 배터리 정보들을 체크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32)은 상기 BAT_DATA_A, B 및 BAT_CLK_A, B 를 통해 상기 배터리들(50a, 50b)의 정보를 입력받지 못하는 경우, VOLT_A 및 VOLT_B를 통해 직접 상기 배터리들(50a, 50b)의 전압을 체크한다.
상기 스위칭 제어회로(34)는 상기 마이컴(32)으로부터 전원공급 제어신호(DCHG_EN_A, DCHG_EN_B) 즉, 방전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전원을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1 스위칭 회로(36)는 상기 전원공급 제어신호(DCHG_EN_A)와 스위칭 제어회로(34)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OUT1)를 입력받아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로부터 공급된 전원(DC_BATT)을 출력하고, 상기 제 2 스위칭 회로(38)는 상기 전원공급 제어신호(DCHG_EN_B)와 스위칭 제어회로(34)로부터 스위칭 제어신호(OUT2)를 입력받아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50b)로부터 공급된 전원(DC_BATT)을 출력한다.
도 3은 도 2의 마이컴(32)의 제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워가 온 상태가 되면(S10), 상기 마이컴(32)은 배터리 유무를 체크한다(S12). 이 때,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50b) 중 어느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어댑터가 있는가를 확인한다(S14).
이 때, 상기 어댑터 확인 단계(S14)에서 어댑터가 있는 경우, 상기 존재하는 메인 배터리 장치(50a) 또는 보조 배터리 장치(50b)를 충전시킨다(S16).
그러나, 상기 어댑터 확인 단계(S14)에서 어댑터가 없는 경우, 상기 존재하는 메인 배터리 장치(50a) 또는 보조 배터리 장치(50b)를 방전시켜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에 전원을 공급한다(S18).
상기 배터리 유무 체크 단계(S12)에서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어댑터가 있는가를 확인한다(S20).
이 때,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의 상기 어댑터 확인 단계(S20)에서 어댑터가 있는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가 완전 충전 상태인가를 체크한다(S22).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가 완전 충전 상태인 경우, 보조 배터리 장치(50b)를 충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24).
그러나,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가 완전 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를 충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26).
한편,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 및 보조 배터리 장치(50b)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의 상기 어댑터 확인 단계(S20)에서 어댑터가 없는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50b)의 전압이 기준치 미만인가를 체크한다(S28).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50b)의 전압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 장치(50a)를 방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S30),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50b)의 전압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보조 배터리 장치(50b)를 방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S32).
본 고안은 보조 기억장치의 위치에 보조 배터리 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컴퓨터의 부피를 증가시키지 않고 배터리 사용 시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마이컴을 통해 이중 배터리의 충방전 상태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보조 기억장치 및 배터리 장치(50)를 갖고, 상기 배터리 장치(50) 내지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휴대용 컴퓨터(10)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의 일 측면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1 배터리 장치(50a)와;
    상기 보조 기억장치를 분리시키고 그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휴대용 컴퓨터(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 2 배터리 장치(50b)와;
    상기 배터리 장치(50)의 유무를 확인하고, 배터리 장치(50)의 충방전 상태를 제어하는 수단(30)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제어 수단(30)은, 상기 배터리 장치(50)의 유무를 체크하여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50a) 및 제 2 배터리 장치(50b) 중 어느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어댑터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어댑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어느 하나의 배터리 장치를 충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어댑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하나의 배터리 장치를 방전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배터리 장치(50) 유무를 체크하여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50a) 및 제 2 배터리 장치(50b)가 둘 다 존재하는 경우 어댑터 유무를 확인하며,
    상기 배터리 장치(50)가 둘 다 존재할 때 어댑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50a)의 충전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50a)가 완전 충전 상태인 경우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50b)를 충전시키고,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50a)가 완전 충전 상태가 아닌 경우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50a)를 충전시키며,
    상기 배터리 장치(50)가 둘 다 존재할 때 어댑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50b)의 전압이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제 1 배터리 장치(50a)를 방전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50b)의 전압이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제 2 배터리 장치(50b)를 방전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2019970010553U 1997-05-13 1997-05-13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1998006618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553U KR19980066180U (ko) 1997-05-13 1997-05-13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553U KR19980066180U (ko) 1997-05-13 1997-05-13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180U true KR19980066180U (ko) 1998-12-05

Family

ID=6967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553U KR19980066180U (ko) 1997-05-13 1997-05-13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18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5718B1 (ko) 휴대용 컴퓨터 시스템의 2차 배터리 연결장치 및 방법
EP1333356B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286372B1 (ko) 휴대용 컴퓨터
US6274949B1 (en) Back-up power accessory for a computer
EP0731549A2 (en) Battery charger
RU2204204C2 (ru) Блок источника питания для портативного телефона
EP0434905A2 (en) A small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witching batteries by releasing a battery locking mechanism
US20080074080A1 (en) Battery systems for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US20080172566A1 (en) Battery module, computer system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JP2001119868A (ja) 常時運用システムのための電池寿命伸長電源スイッチング装置
US20070007824A1 (en) DC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computer device using the same
KR20070025994A (ko) 칩 검증 및 테스트 모듈 및 이를 위한 연결 장치
US7679326B2 (en) Computer with multiple removable battery packs
KR100621104B1 (ko) 전자장치
JP3631469B2 (ja) 電子機器
JPH03184110A (ja) メモリカード
KR20040059714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장치
KR19980066180U (ko) 이중 배터리 장치를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200164605Y1 (ko) 휴대용전자기기
JPH0566858A (ja) 機能拡張装置
KR20010074405A (ko) 내장된 충전 회로를 갖는 스마트 배터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9330152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拡張カード装置
KR100238877B1 (ko) 배터리 장착에 따른 충전전류 제어방법
KR100700583B1 (ko) 보조 배터리를 일체화한 이동 단말용 메모리 카드 모듈 및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 전원 전환 장치
JPH01116713A (ja) 外部補助記憶装置への電源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