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113U -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113U
KR19980066113U KR2019970010476U KR19970010476U KR19980066113U KR 19980066113 U KR19980066113 U KR 19980066113U KR 2019970010476 U KR2019970010476 U KR 2019970010476U KR 19970010476 U KR19970010476 U KR 19970010476U KR 19980066113 U KR19980066113 U KR 199800661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oller
post
tension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4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훈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104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113U/ko
Publication of KR19980066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113U/ko

Links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를 개시한다.
종래 폴베이스의 가이드 롤러에서는 헤드 드럼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측에서 테이프의 상.하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받게 됨으로써, 테이프의 손상이 발생되고, 테이프의 오디오/컨트롤 신호 특성 및 주행 특성이 크게 저하되어 화질 및 음질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포스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중공을 가지는 롤러가 장착되고, 롤러는 중공의 양쪽 끝에서 중앙을 향하여 형성되는 구면을 가지며, 롤러의 구면은 포스트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테이프의 상.하단에 부여되는 장력의 변화에 따라 포스트를 중심으로 기울어지면서 테이프의 장력을 조정하도록 구성되므로, 테이프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화질 및 음질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tape recod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테이프의 장력(tension)이 조정되어 주행 특성이 개선되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pole base assembly)의 가이드 롤러(guide roll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나 캠코더(camcorder) 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카세트(cassette)의 테이프에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이를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계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드럼(head drum: Hd)의 서플라이(supply: Su) 및 테이크업(take-up: Tu)측에 데크(deck: De)상의 도시하지 않은 로딩홀(loading hole)을 따라 카세트(Ca)의 테이프(Ta)를 로딩시키기 위한 폴베이스 조립체(Pb)가 각각 위치된다.
한편, 폴베이스 조립체(Pb)는 베이스(Ba)의 상면에 가이드 롤러(Gr)와 슬랜트 폴(slant pole: Sp)이 각각 설치된다. 가이드 롤러(Gr)는 헤드 드럼(Hd)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Su)(Tu)측에서 테이프(Ta)의 주행을 안내하며, 슬랜트폴(Sp)은 헤드 드럼(Hd)에 테이프(Ta)를 일정한 각도로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헤드 드럼(Hd)의 서플라이(Su)측에 전폭소거헤드(full erase head: Fe)가 장착되고, 테이크업(Tu)측에는 오디오/컨트롤 헤드 조립체(audio/control head assembly: ACE)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에 대한 하나의 예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스트(post: 10)의 상부 끝에 상부 플랜지(upper flange: 11)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되고, 이 상부 플랜지(11)로부터 소정 거리로 떨어지게 하부 플랜지(lower flange: 12)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된다.
또한, 하부 플랜지(12)의 하부에 위치되게 포스트(10)에 나사(13)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되며, 나사(13)는 베이스(Ba)의 보스(boss: Bo)에 체결된다. 상부 및 하부 플랜지(11)(12) 사이의 포스트(10)에 롤러(15)의 중공(中空: 16)이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보스(Bo)의 한쪽에 포스트(10)의 외주면 한쪽이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셋트 스크류(set screw: 14)가 체결된다.
그리고, 나사(13)의 체결량에 따라 포스트(10)의 높이, 즉 상.하부 플랜지(11)(12)의 위치가 조정되며, 이로 인하여 테이프(Ta)의 상.하 위치가 상.하부 플랜지(11)(12)에 의해 규제되면서 롤러(15)의 안내에 따라 주행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는, 헤드 드럼(Hd)의 서플라이(Su)측에서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Ta)의 하단이 장력(tension)을 크게 부여받고, 테이크업(Tu)측에서는 테이프(Ta)의 상단이 장력을 크게 부여받는다. 즉, 테이프(Ta)는 헬리컬 스캔 방식(helical scan type)에 의해 헤드 드럼(Hd)의 리드 라인(lead line)을 따라 주행되므로, 헤드 드럼(Hd)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Su)(Tu)측에서 서로 다른 방향에 장력을 부여받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헤드 드럼(Hd)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Su)(Tu)측에서 테이프(Ta)의 상.하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장력을 부여받게 됨으로써, 롤러(15)의 회전에 의해 주행되는 테이프(Ta)가 상.하 플랜지(11)(12)에 접촉되면서 테이프(Ta)의 손상, 예를 들어 구겨짐 또는 주름이 발생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테이프(Ta)의 상.하단이 상.하부 플랜지(11)(12)로부터 이탈되면서 테이프(Ta)의 오디오/컨트롤 신호 특성 및 주행 특성이 크게 저하되어 화질 및 음질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롤러가 테이프의 장력 변화에 따라 포스트를 중심으로 기울어지면서 테이프의 장력이 자동으로 조정되어 테이프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화질 및 음질이 향상되도록 한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가이드 롤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포스트(post)21; 상부 플랜지(upper flange)
22; 하부 플랜지(lower flange)25; 롤러(roller)
26; (롤러의) 중공(中空)27; (중공의) 구면(球面)
Hd; 헤드 드럼(head drum)Ta; 테이프(tape)
Pb; 폴베이스 조립체(pole base assembl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헤드 드럼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측에서 테이프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하여 폴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에 조립되는 포스트에 롤러가 장착되는 가이드 롤러로서, 포스트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중공을 가지는 롤러가 장착되고, 롤러는 중공의 양쪽 끝에서 중앙을 향하여 형성되는 구면을 가지며, 롤러의 구면은 포스트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테이프의 상.하단에 부여되는 장력의 변화에 따라 포스트를 중심으로 기울어지면서 테이프의 장력을 조정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계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헤드 드럼(Hd)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Su)(Tu)측에는 데크(De)상의 로딩홀을 따라 카세트(Ca)의 테이프(Ta)를 이송시키기 위한 폴베이스 조립체(Pb)가 각각 위치된다.
그리고, 폴베이스 조립체(Pb)의 베이스(Ba)에는 가이드 롤러(Gr)가 설치되는 바, 이 가이드 롤러(Gr)는 헤드 드럼(Hd)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Su)(Tu)측에서 테이프(Ta)의 주행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스트(20)의 상부 끝에 상부 플랜지(21)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되고, 이 포스트(20)의 상부 플랜지(21)로부터 소정 거리로 떨어지게 하부 플랜지(22)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된다. 여기에서, 포스트(20)의 외경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 플랜지(22)의 하부에 위치되게 포스트(20)에 나사(23)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장착되며, 나사(23)는 베이스(Ba)의 보스(Bo)에 체결된다. 상부 및 하부 플랜지(21)(22) 사이의 포스트(20)에 롤러(25)의 중공(26)이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롤러(25)는 중공(26)의 양쪽 끝에서 중앙을 향하여 구면(球面: 27)이 형성된다. 롤러(25)의 구면(27)은 포스트(20)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테이프(Ta)의 상.하단에 부여되는 장력의 변화에 따라 포스트(20)를 중심으로 자동 장력 조정(自動 張力 調整)이 가능하게 된다.
즉, 롤러(25)의 구면(27)이 포스트(20)의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테이프(Ta)의 장력이 변화되면, 테이프(Ta)의 장력에 따라 포스트(20)를 중심으로 기울어져 테이프(Ta)의 장력을 분산시키면서 테이프(Ta)의 주행을 안정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보스(Bo)의 한쪽에 포스트(20)의 외주면 한쪽이 지지되어 고정되도록 셋트 스크류(24)가 체결되고, 나사(23)의 체결량에 따라 포스트(20)의 높이, 즉 상.하부 플랜지(21)(22)의 위치가 조정되며, 테이프(Ta)의 상.하 위치는 상.하부 플랜지(21)(22)에 의해 규제되면서 롤러(25)의 안내에 따라 주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드럼(Hd)의 서플라이(Su)측에서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Ta)의 하단에 장력이 크게 부여되면, 테이프(Ta)의 장력이 롤러(25)의 하부에 부여됨에 따라 롤러(25)의 구면(27)이 포스트(20)의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포스트(20)를 중심으로 기울어져 자동으로 장력이 조정된다.
즉, 포스트(20)의 외주면에 지지된 구면(27)의 작용에 의해 롤러(25)가 테이프(Ta)의 장력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부여되는 장력을 분산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롤러(25)의 외주면에 테이프(Ta)가 안정되게 밀착되어 주행된다.
한편,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 드럼(Hd)의 테이크업(Tu)측에서 테이프 레코더의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Ta)의 상단에 장력이 크게 부여되는 경우에는, 테이프(Ta)의 장력이 롤러(25)의 상부에 부여됨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작용으로 롤러(25)의 구면(27)이 포스트(20)의 외주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포스트(20)를 중심으로 기울어져 자동으로 장력이 조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헤드 드럼(Hd)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Su)(Tu)측에서 테이프(Ta)의 상.하단에 각각 장력이 부여되는 경우에, 테이프(Ta)의 장력 변화에 따라 롤러(25)가 구면(27)의 작용에 의해 포스트(20)를 중심으로 기울어지면서 자동으로 테이프(Ta)의 장력이 조정되므로, 테이프(Ta)의 손상이 방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롤러(25)의 외주면에 테이프(Ta)가 안정되게 밀착되어 주행되므로, 테이프(Ta)의 상.하단이 상.하부 플랜지(21)(22)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뿐만 아니라, 테이프(Ta)의 오디오/컨트롤 신호 특성 및 주행 특성이 크게 개선되어 화질 및 음질이 향상되고, 결과적으로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롤러 등과 같은 회전체를 갖는 핀치 롤러 조립체(pinch roller assembly)나 임피던스 롤러 조립체(impedance roller asembly)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에 의하면, 롤러의 구면이 포스트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테이프의 장력 변화에 따라 포스트를 중심으로 기울어지면서 테이프의 장력이 자동으로 조정되므로, 테이프의 손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화질 및 음질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1)

  1. 헤드 드럼의 서플라이 및 테이크업측에서 테이프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하여 폴베이스 조립체의 베이스에 조립되는 포스트에 롤러가 장착되는 가이드 롤러로서,
    상기 포스트(2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21)(22) 사이에 위치되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중공(26)을 가지는 롤러(25)가 장착되고,
    상기 롤러(25)는 중공(26)의 양쪽 끝에서 중앙을 향하여 형성되는 구면(27)을 가지며,
    상기 롤러(25)의 구면(27)은 상기 포스트(20)의 외주면에 지지되어 상기 테이프(Ta)의 상.하단에 부여되는 장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포스트(20)를 중심으로 기울어지면서 상기 테이프(Ta)의 장력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
KR2019970010476U 1997-05-12 1997-05-12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 KR1998006611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476U KR19980066113U (ko) 1997-05-12 1997-05-12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0476U KR19980066113U (ko) 1997-05-12 1997-05-12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113U true KR19980066113U (ko) 1998-12-05

Family

ID=69684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476U KR19980066113U (ko) 1997-05-12 1997-05-12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11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86B1 (ko) * 2001-12-08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테이프 텐션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86B1 (ko) * 2001-12-08 200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기록/재생 장치의 테이프 텐션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0831A (en) Pneumatic static guide for a tape
KR19980066113U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의 가이드 롤러
US3957219A (en) Endless tape traveling device
US7050265B2 (en) Negative pressure type rotary head drum unit and magnetic tape drive using the same
US5870240A (en) Video cassette recorder having posts movable vertically
EP0822548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tilting head drum for dynamic tracking
KR017724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전폭소거 헤드
US5237478A (en) Rotary head drum unit
KR20014377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가이드구조
KR200159089Y1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
KR0128993Y1 (ko) 테이프 레코더의 가이드 롤러 조립구조
US5798893A (en) Head drum assembly for use in a video cassette recorder
JPS6138116Y2 (ko)
KR012899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 롤러 조립구조
JPH05258419A (ja) ロータリーヘッドテープ送りにおけるシングルリールカートリッジから磁気テープを装着する装置
KR100229387B1 (ko) 브이씨알의 임피던스 로울러 조립체
KR950000241Y1 (ko) Vcr의 테이프 가이드 장치
KR10019739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롤러 조립체
KR19980041450A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장력 조절장치
KR950008512Y1 (ko) 비디오 테이프 안정주행장치
KR200214361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가이드장치
KR940004326Y1 (ko) 자기기록 재생기기의 테이프 장력조절 장치
KR19980066114U (ko) 테이프 레코더용 폴베이스 조립체
KR0136730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로울러 조립체
KR20015908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 롤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