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663U -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 - Google Patents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663U
KR19980065663U KR2019970009902U KR19970009902U KR19980065663U KR 19980065663 U KR19980065663 U KR 19980065663U KR 2019970009902 U KR2019970009902 U KR 2019970009902U KR 19970009902 U KR19970009902 U KR 19970009902U KR 19980065663 U KR19980065663 U KR 199800656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ile
candlestick
main body
c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조
Original Assignee
김정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조 filed Critical 김정조
Priority to KR2019970009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663U/ko
Publication of KR19980065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663U/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자기 촛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 또는 조명을 위한 양초를 꽂을 수 있는 촛대의 초꽂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양초를 꽂을 수 있는 촛대에 있어서, 받침대 역할을 하는 본체(10)와; 상기한 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공(11)에 삽입되는 그 일단에 나사부(22)가 형성된 파일(21)과;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0)의 결합공(11) 위에 놓이는 상단 패킹(24)과;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 패킹(24)의 상부에 놓이는 상단 와셔(23)와;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0)의 결합공(11) 아래에 삽입되는 하단 패킹(25)과;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 패킹(25)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단 와셔(26)와; 상기한 하단 와셔(26)의 아래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22)에 결합되는 너트(27)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
본 고안은 도자기 촛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 또는 조명을 위한 양초를 꽂을 수 있는 촛대의 초꽂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초는 자연산 밀랍을 주원료로 제조한 황초와, 석유계 원료인 파라핀을 주원료로 한 양초가 있으며, 이러한 양초의 구조는 종축 방향으로 길게 모세관 현상을 일으키는 심지를 삽입한 원기둥 모양으로써, 가운데 부분은 촛대에 꽂아서 사용하기 위하여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오늘날에는 양초를 거의 장식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따라서 미려한 구조의 촛대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촛대는 목재 또는 금속을 이용하여 제작하며, 나아가 도자기를 이용하여 촛대를 제작하고 있다.
도자기를 이용하여 제작한 종래의 촛대는 그 대부분이 그 상단 부분에 초를 꽂을 수 있는 초꽂이를 설치할 때, 단순하게 초꽂이의 일단에 나사부를 형성하여 촛대의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고 반대편에서 너트로 결합하여 제작하였다.
그러나, 초꽂이를 도자기 촛대의 본체에 결합할 때 너무 강하게 결합하면 도자기로 이루어진 본체가 파손되므로 완전하게 결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렇게 이루어진 종래의 촛대는 초꽂이와 도자기로 이루어진 본체가 완전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아 결합 부분이 흔들리거나 빠지는 것은 물론, 결합 부분에 틈이 발생하여 용융된 초가 밑으로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자기를 이용하여 촛대를 제작할 때 양초를 꽂을 수 있는 파일을 촛대의 본체에 완전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받침대 역할을 하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는 그 일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파일과; 상기한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의 결합공 위에 놓이는 상단 패킹과; 상기한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 패킹의 상부에 놓이는 상단 와셔와; 상기한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의 결합공 아래에 삽입되는 하단 패킹과; 상기한 파일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 패킹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단 와셔와; 상기한 하단 와셔의 아래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한 파일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촛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촛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촛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본체11:결합공
21:파일22:나사부
23:상단 와셔24:상단 패킹
25:하단 패킹26:하단 와셔
27:너트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의 구성 및 작용을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촛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촛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촛대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의 구성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 역할을 하는 본체(10)와; 상기한 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공(11)에 삽입되는 그 일단에 나사부(22)가 형성된 파일(21)과;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0)의 결합공(11) 위에 놓이는 상단 패킹(24)과;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 패킹(24)의 상부에 놓이는 상단 와셔(23)와;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0)의 결합공(11) 아래에 삽입되는 하단 패킹(25)과;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 패킹(25)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단 와셔(26)와; 상기한 하단 와셔(26)의 아래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22)에 결합되는 너트(2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상단 및 하단 패킹(24, 25)은 탄력성이 우수한 고무 재질을 이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파일(21)에 양초(30)를 꽂은 다음, 양초의 심지에 점화하면, 양초(30)가 녹으면서 타게 된다. 이 때 발생하는 양초(30)의 용융물 즉, 촛농은 양초(30)의 측면을 타고 밑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하지만, 본체(10)의 결합공(11)이 패킹(24, 25)으로 완전하게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그리고, 파일(21)을 본체(10)에 결합할 때에도, 패킹(24, 25)과 와셔(23, 26)를 이용하여 본체(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파일(21)이 흔들리지 않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용하는 본 고안에 따른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구조는 도자기를 이용하여 촛대를 제작할 때 양초를 꽂을 수 있는 파일을 촛대의 본체에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파일이 흔들리거나 촛농이 흘러내리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은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양초를 꽂을 수 있는 촛대에 있어서,
    받침대 역할을 하는 본체(10)와; 상기한 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공(11)에 삽입되는 그 일단에 나사부(22)가 형성된 파일(21)과;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0)의 결합공(11) 위에 놓이는 상단 패킹(24)과;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단 패킹(24)의 상부에 놓이는 상단 와셔(23)와;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본체(10)의 결합공(11) 아래에 삽입되는 하단 패킹(25)과;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하단 패킹(25)의 아래에 결합되는 하단 와셔(26)와; 상기한 하단 와셔(26)의 아래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한 파일(21)의 일단에 형성된 나사부(22)에 결합되는 너트(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
KR2019970009902U 1997-05-03 1997-05-03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 KR1998006566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02U KR19980065663U (ko) 1997-05-03 1997-05-03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902U KR19980065663U (ko) 1997-05-03 1997-05-03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63U true KR19980065663U (ko) 1998-12-05

Family

ID=6967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902U KR19980065663U (ko) 1997-05-03 1997-05-03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66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7964A (en) Candle with embedded metal particulates
CA2305162A1 (en) Candle wick clip, candle and method
US6688880B1 (en) Candle wick extender
KR19980065663U (ko) 도자기 촛대의 초꽂이 구조
KR102173270B1 (ko) 친환경 양초의 구조체
KR200210010Y1 (ko) 양초
US6739866B2 (en) Color flame candles or lamps and method of making
KR200259905Y1 (ko) 양초
KR200382413Y1 (ko) 도자기종 겸용 촛대
US20070238060A1 (en) Oil candle apparatus
SE9903818D0 (sv) Marschall
KR200355918Y1 (ko) 방풍 촛대
ATE271911T1 (de) Filterkerze mit einem gesinterten filterrohr
KR200154778Y1 (ko) 오일 충진용 양초
KR900003823Y1 (ko) 양초
KR200293571Y1 (ko) 촛농 흐름 방지용 캡
KR20230011730A (ko) 액상의 식물성 초의 구조체
KR200282178Y1 (ko) 장식용 호롱
KR200182528Y1 (ko) 심지 지지대가 형성된 초
KR200196546Y1 (ko) 용기형 양초 불꽂 조절 심지
KR910000029Y1 (ko) 장식 촛대용 양초 절약 장치
KR20230120285A (ko) 촛농받침대가 있는 케이크초
US808698A (en) Candle.
JP2004327140A (ja) 灯火照明用の芯体保持具
KR200213774Y1 (ko) 케익용 촛농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