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580A - 전화기에서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에서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580A
KR19980065580A KR1019970000654A KR19970000654A KR19980065580A KR 19980065580 A KR19980065580 A KR 19980065580A KR 1019970000654 A KR1019970000654 A KR 1019970000654A KR 19970000654 A KR19970000654 A KR 19970000654A KR 19980065580 A KR19980065580 A KR 19980065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impedance
resistor
call quality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광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580A/ko
Publication of KR1998006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580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화기에서 통화시 리턴로스와 싸이드톤에 관련된 정수값을 선로특성에 따라 조절하는 기술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특정조건에서 선로조건이나 교환기의 출력임피던스 편차에 따라 전화단말기와 선로간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기 위한 저항값을 가변시켜 통화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스피치 IC 주변의 리턴로스와 싸이드톤에 관련된 정수값을 선로특성에 맞도록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기 위한 저항값을 가변조정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킨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전화기에 적용한다.

Description

전화기에서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
본 발명은 전화기의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에서 통화시 리턴로스와 싸이드톤에 관련된 정수값을 선로특성에 따라 조절하는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화기 내부의 음성처리부는 스피치(Speech)IC로 구현되며, 송수신되는 각종신호를 인터페이스 혹은 증폭하고 주변회로의 부품정수값을 적당한 값으로 조합 구성시킴으로서 선로임피던스와 매칭을 시켜 송수화 통화감도 및 레벨을 결정하고 싸이드톤 레벨을 결정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블럭구성도이다.
CPU 130은 타이머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며,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입력되는 키명령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키매트릭스 100은 각종 기능 및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타를 CPU 130으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 150은 국선과 연결된 통화용 음성신호를 음성처리한다. 마이크 200은 음성신호를 입력한다. 스피커 190은 전기 음성신호를 가청신호로 출력한다. 제1 및 제2 증폭부 170, 180은 상기 마이크 200과 스피커 190의 입출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표시장치 120은 상기 키입력 상태에 따라 각 처리 및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DTMF발생기 140은 상기 CPU 130의 제어에 의해 DTMF신호를 발생하여 음성처리부 150으로 제공한다. 링검출회로 210은 상기 국선라인으로부터 착신되는 링을 검출하여 상기 CPU 130로 제공한다. 훅크스위치 160은 상기 국선(C.O)과 음성처리부 150사이에 연결되어 핸드셋의 놓여진 상태에 따라 훅크 온/오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화기는 통화시에 음성처리부 150에서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고 송화부 230을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음성신호가 수화부 220으로 되돌아오는 측음값을 조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종래의 전화기에서 음성처리부의 임피던스 매칭회로 및 측음회로의 등가회로도이다.
저항 R1은 전화기의 출력임피던스로써, 교환기와 연결된 선로와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저항이다. 저항 ZLINE은 교환기에 연결된 선로의 임피던스 저항이다. 저항 Zbal은 측음회로의 측음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저항이다. R9는 송화부 23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나 DTMF신호의 이득, 싸이드톤 반감, DC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저항이다. 저항 Zbal은 송화부 230을 통해 입력되는 송화자의 음성이 수화부 220으로 송출될 시 측음값을 결정하거나 교환기에 연결된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밸런스를 맞추어 주기위한 저항이다. 저항 RA는 출력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저항이다. 저항 Rt은 DC 특성과 수화기에 연결된 증폭기의 입력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저항이다. 이와 같은 블리지회로는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기 위해 R1×R8 = R9×Rbal이 되어야 하므로 저항값들을 고정시켜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로는 교환기의 출력 임피던스의 평균값에 맞추어 고정된 저항값을 사용하여 설계하므로 특정조건에서 선로조건이나 교환기의 출력임피던스 편차에 따라 전화단말기와 선로간의 임피던스 불균형이 발생되어 통화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화도중 사용자가 송화부를 통해 상대방에게 말하는 내용이 저항 R9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됨과 동시에 자신의 수화기로 되돌아오는 측음값이 선로의 전압과 임피던스에 매우 민감하게 변화되며, 측음값을 결정하는 저항 Zbal의 값도 주로 많이 사용되는 전압값과 선로 임피던스값에 맞추어 고정시키므로 모든 교환기의 전압이나 선로임피던스값에서 통화품질을 만족시켜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피치 IC 주변의 리턴로스와 싸이드톤에 관련된 정수값을 선로특성에 맞도록 조정하여 통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의 선로에서 라인노이즈가 발생될 시 통화자가 저항값을 조정하여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는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화기의 블럭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전화기에서 음성처리부의 임피던스 매칭회로 및 측음회로의 등가회로도.
도 3은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도이다.
교환기에 연결된 라인의 임피던스를 매칭시키기 위한 저항 ZLINE와, 상기 저항 ZLINE의 양단에 연결되어 교환기에 연결된 선로특성에 대응하여 임피던스를 매칭시킬수 있도록 저항값을 가변시키는 가변저항 VR1과, 송화부 230을 통해 입력되는 송화자의 음성이 수화부 220으로 송출될 시 측음값을 결정하거나 교환기에 연결된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밸런스를 맞추어 주기 위해 저항값을 가변시키는 제2 가변저항 VR2와, 수화기에 연결된 증폭기의 출력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저항 Rt와, 송화부 23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나 DTMF신호의 이득, 싸이드톤 반감, DC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저항 R9과, 브리지회로의 출력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저항 RA로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교환기의 최소 출력 임피던스와 선로의 최소임피던스값을 더한 값을 전화단말기의 입력임피던스의 최소값으로 하고, 교환기의 최대 출력임피던스와 선로의 최대 임피던스값을 더한값을 전화단말기의 입력 임피던스의 최대값으로 정하여 전화기의 외부에 가변저항값을 설치하여 전화기의 사용자가 저항 R1을 가변하여 통화품질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여러교환기의 출력임피던스와 여러종류의 선로 임피던스값에서 측음값을 측정하면서 측정시마다 측음값을 가장 좋게 조정한 제2 가변저항 VR2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범위이내의 저항값을 전화기의 외부에 설치하여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전화기를 설치한 후 통화시 통화음질이 가장좋은 저항값으로 제1 가변저항 VR1을 조정한 후 제2 가변저항 VR2를 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교환기의 종류나 선로의 조건이 바뀔 경우 제1 가변저항 VR1을 조정하여 교환기에 연결된 선로특성에 대응하여 임피던스를 최적상태로 매칭시키고, 제2 가변저항 VR2를 조정하여 송화부 230을 통해 입력되는 송화자의 음성이 수화부 220으로 송출될 시 측음값을 결정하거나 교환기에 연결된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밸런스를 맞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스피치 IC 주변의 리턴로스와 싸이드 톤과 관련된 정수값을 사용자가 설치한 장소의 선로특성에 맞게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도록 하므로, 전화통화시 통화품질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또한 특정루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선로노이즈를 사용자의 조정에 의해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전화기에서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에 있어서,
    교환기에 연결된 라인의 임피던스 저항 ZLINE과,
    상기 저항 ZLINE의 양단에 연결되어 교환기에 연결된 선로특성에 대응하여 상기 전화기의 입력임피던스를 매칭시킬수 있도록 저항값을 가변시키는 가변저항 VR1과,
    송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송화자의 음성이 수화기로 송출될 시 측음값을 결정하거나 교환기에 연결된 선로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의 밸런스를 맞추어 주기 위해 저항값을 가변시키는 제2 가변저항 VR2와,
    수화기에 연결된 증폭기의 입력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저항 Rt와,
    상기 송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나 DTMF신호의 이득, 싸이드톤 반감, DC의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저항 R9과,
    상기 가변저항 VR1, VR2와 저항 R8, R9로 이루어진 브리지회로의 출력임피던스를 결정하는 저항 RA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
KR1019970000654A 1997-01-13 1997-01-13 전화기에서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 KR19980065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654A KR19980065580A (ko) 1997-01-13 1997-01-13 전화기에서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654A KR19980065580A (ko) 1997-01-13 1997-01-13 전화기에서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580A true KR19980065580A (ko) 1998-10-15

Family

ID=65952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654A KR19980065580A (ko) 1997-01-13 1997-01-13 전화기에서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5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544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임피던스 매칭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544A (ko) * 1998-03-12 1999-10-05 윤종용 임피던스 매칭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080B1 (en) Conference telephone utilizing base and handset transducers
JPH01221969A (ja) 音量調整装置
KR19980065580A (ko) 전화기에서 통화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음성처리회로
JP2894882B2 (ja) ハンズフリー電話装置
JPH10290282A (ja) ハンズフリー制御回路
JPH051168Y2 (ko)
KR100207819B1 (ko) 난청자용 전화기
KR940007129Y1 (ko) 키폰 전화기
JP3241687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70600A (ja) 電話機
KR100446530B1 (ko) 전화단말기에서 링음레벨 조절회로
JPH033021Y2 (ko)
KR200203369Y1 (ko) 수화음량 조절 기능을 갖는 전화기
JPH03132138A (ja) 通信端末機
JPH10191408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00002476Y1 (ko) 측음방지 회로
KR100191200B1 (ko) 전화단말장치의 착신벨음량 원격제어방법
JP4778454B2 (ja) 接続回線種別設定方法及び電話機回路
JP2002171308A (ja) 携帯通信端末の着信音調節装置
JPH02246656A (ja) 電話システム
KR20000026419A (ko) 휴대폰의 착신 모드 자동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JPH06291815A (ja) 電話装置
KR19990022791U (ko) 초소형전화기
JPS60174556A (ja) 電話装置
JPH05175883A (ja) ドアホンアダプ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