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479U -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479U
KR19980065479U KR2019980016320U KR19980016320U KR19980065479U KR 19980065479 U KR19980065479 U KR 19980065479U KR 2019980016320 U KR2019980016320 U KR 2019980016320U KR 19980016320 U KR19980016320 U KR 19980016320U KR 19980065479 U KR19980065479 U KR 199800654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plate
terminal box
hinge
pl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63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97327Y1 (ko
Inventor
송영준
Original Assignee
송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준 filed Critical 송영준
Priority to KR20199800163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7327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4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4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7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7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벽면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전원. 전화 및 스위치의 단자함의 플레이트틀(100)에 플레이트 커버(110)의 일측부가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힌지수단(120)으로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타측부에는 걸어 잠그기 위한 걸림수단(130)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장치를 적용한 단자함은 결합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고,보관 취급이 간편하며, 쉽게 파손되지 않을 뿐아니라, 교체 비용이 절감되고 보수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본 고안은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전화 및 스위치 단자함과 같은 각종 단자함의 플레이트틀과 플레이트 커버를 힌지 결합하여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일측부만을 걸어 로킹시키도록 한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사무실의 벽면에 설치되는 전원 단자함, 전화 단자함 및 전원 스위치 단자함은 옥내 전원 및 전화배선과 전원 및 전화설비를 상호 접속시켜 주기 위하여 벽에 매입되어 설치하는 것으로서, 벽면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외면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커버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단자함 하우징의 일 형태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바와 같이, 종래의 콘센트 하우징은 설치장소의 벽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틀(100)의 내측에 콘센트 본체가 체결되고, 플레이트틀(100)의 외면에 외장용 플레이트 커버(110)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플레이트틀(100)에는 플러그의 접촉부 형상으로 요입부(101)가 형성되고, 요입부(101)의 내측에는 플러그의 단자봉이 끼워지는 단자 삽입공(102)이 형성되며, 요입부(101)의 상,하단부에는 벽면의 고정부에 체결하기 위한 결합부(107)가형성되고, 플레이트틀(100)의 내면에는 콘센트 본체가 조립되어 전면에서 삽입되는 볼트(106)로 고정된다.
플레이트 커버(110)에는 상기 요입부(101)와 같은 형상으로 안착부(111)가형성됨과 아울러 단자 삽입공(112)이 형성되며, 플레이트틀(100)의 양측부에는 복수개(도면에는 6개)의 고정공(103)이 형성되고, 플레이트 커버(110)의 내면에는 고정공(103)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걸림부(114)가 선단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걸림편(113)이 일체로 형성되어있다.
또한, 플레이트틀(100)의 하단부에는 플레이트 커버(110)를 분리시킬 때에이용하도록 탈착홈(104)이 형성되어있으며, 플레이트틀(100)의 주연부에는 걸림단턱(105)이 형성되고, 플레이트 커버(110)에는 걸림단턱(105)에 형합되는 걸림테(115)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 하우징은 벽면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틀(100)에 플레이트 커버(110)를 결합할 때에는 플레이트틀(100)이 각 고정공(103)에 플레이트 커버(110)의 걸림편(113)이 대응되도록 위치시키고, 플레이트 커버(110)를 밀어 넣으면 플레이트틀(100)의 요입부(101)에 플레이트 커버(110)의 안착부(111)가 끼워짐과 아울러 플레이트틀(100)의 걸림단턱(105)에 플레이트 커버(110)의 걸림테(115)가 끼워지며, 플레이트 커버(110)의 걸림편(113) 선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14)가 플레이트틀(100)의 고정공(103)에 내측으로 걸려 고정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콘센트 하우징은 설치시 플레이트틀(100)에 플레이트 커버(110)를 결합할 때 플레이트 커버(110)를 강제적으로 밀어 넣어 전체적으로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하도록 되어있으므로 결합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설치작업 후 고장이 발생하여 보수작업이 필요한 경우 쉽게 분해할 수 있어야 하나, 플레이트틀(100)에 형성된 걸림편(113)의 걸림부(114)가 플레이트틀(100)의 고정공(103)에 걸려 매우 견고하게 체결되어있기 때문에 플레이트 커버(110)를 분리시키기가 매우 힘들게 되고, 플레이트틀(100)의 하단부에 형성된 탈착홈(104)에 드라이버 등의 작업도구를 끼워 탈착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게 될 뿐아니라, 작업도구를 이용하여 분리하여도 쉽게 분리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플레이트 커버(110)를 공구를 이용하여 강제로 분리할 때에 무리한 힘이 가하여지게 되어 걸림편(113) 및 걸림부(114)가 파손됨으로써 다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 경우 플레이트 커버(110)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야 하나, 시중 재료점에서는 플레이트 커버(110) 만을 따로 판매하지 않고 콘센트 세트를 한 제품으로 판매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낭비가 될 뿐아니라,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레이트 커버(110)가 플레이트틀(100)과 별도로 분리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시에 쉽게 분실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전원 단자함은 결합 및 분리작업이 어려우며, 보관 취급이 불편하고, 쉽게 파손될 뿐아니라, 교체할 때에 비용이 낭비되고 능률이 저하되는 결함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전원, 전화 및 스위치 단자함과 같은 각종 단자함의 플레이트틀과 플레이트 커버를 힌지 결합하여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하고, 일측부만을 걸어 로킹시킴으로써 결합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고, 보관 취급이 간편하며, 쉽게 파손되지 않을 뿐아니라, 교체 비용이 절감되고 보수능률이 향상되도록 한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는 벽면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전원, 전화 및 스위치의 단자함의 플레이트틀에 플레이트 커버의 일측부가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힌지수단으로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틀과 플레이트 커버의 타측부에는 걸어 잠그기 위한 걸림수단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단자함 하우징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 장치를 전원 단자함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2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플레이트 커버를 열어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장치를 전원 단자함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플레이트 커버를 열어 보인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 장치를 전화 단자함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보인 도면으로서,
도 6은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부위 결합상태 단면도.
도 8은 플레이트 커버를 열어 보인 정면도.
도 9는 본 고안 장치를 전화 단자함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플레이트 커버를 열어 보인 정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 장치를 스위치 단자함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플레이트틀 110 : 플레이트 커버
113 : 절곡면 120 : 힌지수단
121 : 홈 122 : 힌지공
123 : 돌조 124 : 힌지핀
125 : 힌지부 126 : 돌출부
130 : 걸림수단 131 : 홈
132 : 걸림턱 133 : 걸림편
134 : 걸림부 140 : 스프링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 장치를 전원 단자함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2에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도 1의 A-A선 부의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플레이트 커버를 열어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는 벽면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틀(100)에 플레이트 커버(110)의 일측부가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힌지수단(120)으로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타측부에는 걸어 잠그기 위한 걸림수단(130)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힌지수단(120)은 상기 플레이트틀(100)의 일측변부에 홈(1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힌지공(12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커버(110)의 내면에는 상기 홈(121)에 삽입되는 돌조(123)가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힌지핀(124)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틀(100)의 힌지공(122)에 삽입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걸림수단(130)은 플레이트틀(100)의 타측면에 홈(131)이 상,하로 형성되고, 홈(131)의 내면에 걸림턱(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커버(110)의 내면 타측변부에는 상기 홈(131)이 삽입되어 걸림턱(132)에 걸리는 걸림편(133)과 걸림부(134)가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W는 벽면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틀(100)에 플레이트 커버(110)를 결합할 때에는 플레이트 커버(110)의 돌조(123)를 플레이트틀(100)의 홈(121)에 일치시키고 밀어 넣으면 돌조(123)의 양단부에 형성된 힌지핀(124)이 플레이트틀(100)의 양측 힌지공(122)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이와 같이 플레이트틀(100)에 힌지 결합된 플레이트 커버(11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힌지핀(124)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개폐시킬 수 있게 되며, 플레이트 커버(110)를 닫고 누르게 되면 플레이트 커버(110)에 형성된 걸림편(133)이 플레이트틀(100)의 홈(131)에 삽입되고, 도 3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편(133)의 걸림부(134)가 홈(131)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132)에 걸려 안정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중 전원부에 고장이 발생하여 분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플레이트 커버(110)의 측면(110a)을 손으로 살짝 잡아 당기면 걸림편(133)의 걸림부(134)를 홈(121)의 걸림턱(132)에서 이탈시킨후, 플레이트 커버(110)를 힌지수단(120)의 힌지핀(124)을 기준으로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간단히 열리게 되므로, 플레이트 커버(110)를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 도 3 및 도 4와 같이 개방된 플레이트 커버(110)는 플레이트틀(100)에서 분리되지 않고, 힌지부에 붙어 있게 되므로 분실되고, 손상될 염려가 없어 보수작업을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힌지수단(120)의 힌지핀(124)에는 플레이트 커버(110)를 개방되는 측으로 탄지하는 스프링(140)을 양단부에 결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면 플레이트 커버(110)가 개방될 때에 보다 쉽게 개방되고, 열린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되어 보수작업시 간섭되지 않으므로 보다 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
도면에는 플레이트 커버(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되도록 하여, 오른 손잡이가 편하게 사용하도록 구성되어있으나, 상기 힌지수단(120)과 걸림수단(130)은 왼 손잡이가 사용하기 편하도록 위치를 반대로 바꾸어 제작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 장치를 전원 단자함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플레이트 커버를 열어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 5의 실시예는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상측부에 힌지수단(120)이 구성되고, 하측부에 걸림수단(130)이 구성되어 있어, 플레이트 커버(110)를 위, 아래로 열고 닫도록 되어 있으며, 그외 구성 및 작용은 상기한 일 실시예와 같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 장치를 전화 단자함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도 6에는 분해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도 6의 B-B선 부위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있으며, 도 8은 플레이트 커버를 열어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있다.
이 도 6 내지 도 8의 다른 실시예는 전화 콘센트 단자함의 플레이트틀(100) 중간부에 전화단자 삽입공(151)을 갖는 전화 콘센트(150)가 조립되고, 플레이트 커버(110)에는 상기 전화 콘센트(150)가 노출되는 개구부(114)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일측부가 힌지수단(120)으로 결합되고, 타측부가 걸림수단(130)으로 로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수단(120)은 플레이트틀(100)의 일측부에 경사면(126a)을 갖는 돌출형성한 돌출부(126)의 양단면에 힌지공(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플레이트 커버(110)의 상,하단부에 절곡면(113)이 형성되고, 이 절곡면(113)의 일단부에 힌지부(125)가 각각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힌지부(125)의 내면에 힌지핀(124)이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틀(100)의 힌지공(122)에 삽입되면 상기 힌지부(125)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125a)이 돌출부(126)의 경사면(126a)과 밀착 되도록 구성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예는 플레이트 커버(110)에 돌출되게 연장시켜 형성한 힌지부(125)에 힌지핀(124)이 형성되어 있고, 플레이트틀(100)의 양단면에 힌지공(12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커버(110)를 플레이트틀(100)에 결합할 때에 힌지부(125)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힌지핀(124)이 힌지공(122)에 보다 쉽게 결합되며, 플레이트 커버(110)의 상측 절곡면(113)에 의해 먼지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외에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일 실시예와 같다.
도 9는 본 고안 장치를 전화 단자함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플레이트 커버를 열어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전화 단자함의 플레이트틀(100)와 플레이트 커버(110)의 상측부에 힌지수단(120)이 구성되고, 하측부에 걸림수단(130)이 구성되어 플레이트 커버(110)를 위, 아래로 열고 닫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 장치를 스위치 단자함에 적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 각각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틀(100)에는 좌우로 회동시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조작판(161)이 구비된 스위치(160)가 결합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일측부가 힌지수단(120)으로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부가 걸림수단(130)으로 로킹되도록 구성되고, 도 11에는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상측부가 힌지수단(120)으로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하측부가 걸림수단(130)으로 로킹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는 스위치 단자함에도 적용하여 상기한 실시예들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플레이트틀과 플레이트 커버의 일측부가 힌지수단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틀과 플레이트 커버를 조립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플레이트틀과 플레이트 커버의 일측부에 걸림수단이 형성되어 있어 부분적으로 로킹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플레이트 커버를 닫고 매우 쉽게 로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설치작업 후 고장이 발생하여 보수작업이 필요한 경우 플레이트틀과 플레이트 커버의 일측부 로킹만을 해제시킴으로써 쉽게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보수작업을 간편하게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플레이트틀의 홈 및 걸림턱, 그리고 플레이트 커버의 걸림편 및 걸림부가 플레이트틀과 플레이트 커버의 일측부에 한정적으로 형성되어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분리될 수 있으므로 플레이트 커버를 분리할 때에 걸림편과 걸림부가 파손되는 일이 없으며, 이에 따라 새로운 제품으로 교체함으로써 낭비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작업능률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커버가 플레이트틀에 힌지 결합되어 플레이트 커버를 분리시킨 경우에도 항상 붙어있으므로 작업시에 쉽게 분실 및 파손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장치를 적용한 단자함은 결합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고, 보관 취급이 간편하며, 쉽게 파손되지 않을 뿐아니라, 교체 비용이 절감되고 보수 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되고 청구된 원리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 안에서 수정 및 변경할 수 있는 여러가지 실시형태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벽면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전원, 전화 및 스위치의 단자함의 플레이트틀(100)에 플레이트 커버(110)의 일측부가 회전식으로 개폐되도록 힌지수단(120)으로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타측부에는 걸어 잠그기 위한 걸림수단(130)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120)은 상기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일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수단(130)이 상기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타측부에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120)은 상기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상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수단(130)이 상기 플레이트틀(100)과 플레이트 커버(110)의 하측부에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120)의 힌지핀(124)에 상기 플레이트 커버(110)를 개방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140)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120)은 상기 플레이트틀(100)의 일측변부에 홈(12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힌지공(122)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커버(110)의 내면에는 상기 홈(121)에 삽입되는 돌조(123)가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 형성된 힌지핀(124)이 상기 플레이트틀(100)의 힌지공(122)에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120)은 상기 플레이트틀(100)의 일측부에 경사면(126a)을 갖는 돌출형성한 돌출부(126)의 양단면에 힌지공(122)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커버(110)의 상,하단부에 절곡면(113)이 형성되고, 이 절곡면(113)의 일단부에 경사면(125a)과 힌지부(125)가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기 양측 힌지부(125)의 내면에 형성된 힌지핀(124)이 상기 플레이트틀(100)의 힌지공(122)에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130)은 상기 플레이트틀(100)의 타측면에 홈(131)이 형성되고, 상기 홈(131)의 내면에 걸림턱(132)이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커버(110)의 내면 타측변부에는 상기 홈(131)에 삽입되어 걸림턱(132)에 걸리는 걸림편(133)과 걸림부(134)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KR2019980016320U 1998-08-31 1998-08-31 벽면단자함의플레이트커버개폐구조 KR200397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320U KR200397327Y1 (ko) 1998-08-31 1998-08-31 벽면단자함의플레이트커버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320U KR200397327Y1 (ko) 1998-08-31 1998-08-31 벽면단자함의플레이트커버개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479U true KR19980065479U (ko) 1998-11-25
KR200397327Y1 KR200397327Y1 (ko) 2005-11-29

Family

ID=43698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320U KR200397327Y1 (ko) 1998-08-31 1998-08-31 벽면단자함의플레이트커버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73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206B1 (ko) * 2007-02-16 2009-05-14 (주)청화테크 단자함용 신호분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7429B1 (ko) * 2015-12-23 2017-07-1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커버가 구비된 콘센트
KR102023603B1 (ko) 2018-02-20 2019-09-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206B1 (ko) * 2007-02-16 2009-05-14 (주)청화테크 단자함용 신호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7327Y1 (ko) 200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065659A (ja) 懸吊式工具用展示プレート
CN215225368U (zh) 用于安装和拆卸牙刷头的装置以及牙刷套件
KR19980065479U (ko) 벽면 단자함의 플레이트 커버 결합장치
JP2002051858A (ja) 収納庫
KR200409250Y1 (ko) 회전식 광어댑터 판넬이 구비된 광케이블 분배반
KR200228516Y1 (ko) 콘센트
KR200434894Y1 (ko) 가스호스 홀더
JP3775566B2 (ja) 蓋体の固定装置
KR200433321Y1 (ko) 비상콘센트박스용 수납함
KR0122171Y1 (ko) 콘센트 안전덮개
ES2205995A1 (es) Conjunto para mecanismos electricos.
KR19980021983U (ko) 전자 통신 장비의 전원 입출력용 접지 단자의 보호 덮개장치
JP4157174B2 (ja) 住宅用分電盤のパネル取り外し構造
CN212514734U (zh) 一种便于带电更换的分体开合新型计量箱
KR200309242Y1 (ko) 콘센트 및 안전 커버가 부가된 전원 플러그
KR19990016612U (ko) 냉장고의 도어 힌지장치
KR0129834Y1 (ko) 분전함체의 커버고정장치
KR200181193Y1 (ko) 낚시용 릴의 커버착탈장치
KR200181487Y1 (ko) 배전반용 핸들의 걸림구조
KR930008173Y1 (ko) 록킹장치가 구비된 밧데리 충전용 충전기
JP3501920B2 (ja) 電子機器ケース用電池保持装置
KR20010017796A (ko) 김치냉장고
JP2004199892A (ja) コネクタ用カバーの着脱構造
JP3022783U (ja) 防護されたコンセント
KR200197423Y1 (ko) 익스텐션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1002662;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100266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809

Effective date: 200308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809

Effective date: 200308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