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411A - 유인구(誘引口)를 양쪽으로 형성한 어항(魚缸) - Google Patents

유인구(誘引口)를 양쪽으로 형성한 어항(魚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411A
KR19980065411A KR1019970000376A KR19970000376A KR19980065411A KR 19980065411 A KR19980065411 A KR 19980065411A KR 1019970000376 A KR1019970000376 A KR 1019970000376A KR 19970000376 A KR19970000376 A KR 19970000376A KR 19980065411 A KR19980065411 A KR 19980065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ides
cylindrical tube
inl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홍
Original Assignee
정시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시홍 filed Critical 정시홍
Priority to KR1019970000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411A/ko
Publication of KR19980065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411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성의 재료를 이용하여 원통형관을 형성하고 이의 저면은 안착판을 두되 상기의 안착판과 접하는 유인구의 하부에 개폐변을 텐션스프링으로 장착탄설시켜 항시 유인구 방향으로의 당접력을 갖게 함과 동시에 유인구의 상부는 끈이 연결된 지지대에 의해 유인구의 개방상태를 유도하는 어항을 제공하므로서 종래의 어항과는 달리 물고기의 유인 포집력을 양쪽으로 실시하여 짧은 시간내에 보다 많은량의 물고기를 손쉽게 어획할 수 있는 어항(魚缸)을 제공코저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인구(誘引口)를 양쪽으로 형성한 어항(魚缸)
투명성(透明性)의 재료를 사용하는 본 발명은 일정한 길이의 원통형관을 형성하되 그 중간은 물고기의 미끼를 끼어 메달수 있는 고리가 저부로 현설되어진 개폐뚜껑이 힌지에 의해 환체(環體)에 구성시킨 부분을 제외한 상기의 원통형관 주연 전체둘레에는 관 내부로 유인 포집된 물고기가 빠지지 아니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통공(通孔)이 불규칙한 상태로 무수히 천공되고 상기한 원통형관의 일측 저면은 개폐 뚜껑과 대칭을 이루는 방향에 원통형관이 물속에 안전하게 가라앉을 수 있도록 다소의 무게를 갖는 안착판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원통형관의 양 유인구에는 원통형관의 둘레와 같은 크기의 개폐변이 안착판의 양측단부에 텐션 스프링(Tension Spring)으로 장착되어 있어서 항시 유인구 방향으로의 당접력(唐接力)을 유지하면서 상기의 텐션스프링과의 대칭을 이루는 양쪽 유인구의 상단에 설치한 지지대에 의해 개방시에 개폐변을 지지하여 주는 것이다.
상기의 지지대에는 그 일단에 각각 원통형관을 끌어 올릴 수 있는 끈이 연결된 구성의 어항(魚缸)에 관한 것이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어항은 원통형관의 양쪽 유인구로 구성되어 있는 개폐변을 지지대로 지지시켜 개방한 상태로 물속에 넣어 물고기를 어획하게 되는 데 이때 물고기의 미끼가 원통형관의 내 중간에 매달려 있어서 물고기들은 개방된 양쪽의 유인구를 통해 원통형관의 내부로 유입 포집되는 것이어서 짧은 시간내에 보다 많은량의 물고기를 잡아 올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물속에 넣어 물고기를 잡을 수 있는 어항은 종래에도 다수 출현 된 바 있고 또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어항들은 대부분이 물고기를 유인포집 할 수 있는 유인구가 일방향으로만 형성되어 있어서 많은량의 어획량을 올릴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를 물속에 넣고 건지는 작업을 직접 사람이 물에 들어가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불편이 따랐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어항들은 비교적 수심(水深)이 얕은 곳에서나 실시가능하며 더욱이 물의 흐름속도가 강한 곳에는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어항이 갖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비교적 무게를 갖는 투명성이 재료를 선택하여 어항을 원통형관으로 구성시켜 그 양쪽 방향으로 물고기가 원통형관으로 유인 포집되도록 한 다음 지지대에 연결된 끈을 잡아당기면 상기 지지대에 의해 개방되어 있던 개폐변이 텐션스프링의 당접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원통형관의 양쪽 유인구를 막아준 상태 그대로 어항을 끌어 올려 물고기를 어획할 수 있고 이때 원통형관의 내부는 이의 주연 둘레로 뚫린 무수한 통공으로 물은 모두 빠진 상태여서 어항을 끌어올리는데 별다른 어려움이 없이 사용이 매우 간편하고 어획량을 짧은 시간내에 보다 많이 할 수 있도록 유인구(誘引口)를 양쪽으로 형성한 어항(魚缸)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를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제 1 도의 A - A선 횡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상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통형판2 : 미끼3 : 고리
4 : 개폐투껑4' : 힌지5 : 환체
6 : 통공7 : 안착판8,8' : 유인구
9,9' : 개폐변10,10' : 텐션 스프링
11,11' : 힌지12,12' : 지지대13,13' : 괘지편
14 : 어항15 : 끈
투명성의 재료는 주재로하여 일정한 길이의 원통형관(1)을 형성하되 그 중간에는 미끼(2)을 메달 수 있는 고리(3)가 현설된 개폐 뚜껑(4)이 환체(5)의 상부에 힌지(4')로 구성되고 상기의 환체(5)를 제외한 원통형관(1)의 전체둘레에는 물고기가 빠지지 아니할 정도의 크기를 갖는 통공(6)이 불규칙한 상태로 무수히 천공되어 있다.
상기한 원통형관(1)의 일측저면은 약간의 무게를 갖는 안착판(7)을 설치하고 이와 접하는 유인구(8)(8')의 하부는 유인구(8)(8')의 직경보다 약간 큰 개폐변(9)(9')이 텐션스프링(10)(10')으로 장착되어 항시 유인구(8)(8')방향을 향해 당접력을 갖는다.
한편 상기의 텐션스프링(10)(10')과 대칭을 이루는 유인구(8)(8')의 상부는 힌지(11)(11')로 구성된 지지대(12)(12')의 일단이 개폐변(9)(9')의 괘지편(13)(13')에 지지되어 유인구(8)(8')의 개방상태를 유도하되 이 지지대(12)(12')의 단부 방향에 지상으로 어항(14)을 끌어올릴수 있는 근(15)이 연결 되어진 것이다.
미설명 부호 16은 물고기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제 3 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지상에서 끈(15)에 연결된 어항(14)을 물속에 넣어 물고기(16)의 어획작업을 실시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때 나타나는 작용은 원통형관(1)으로 형성된 어항(14)의 양쪽은 상기의 끈(15)을 갖고 힌지(11)(11')로 구성된 지지대(12)(12')의 일단을 괘지편(13)(13')에 지지시켜 개폐변(9)(9')을 개방시켜 준 상태로 어항(14)을 물속에 넣어 준 상태이므로 상기의 어항(14)은 원통형관(1)과 그 저부에 설치된 안착판(7)에 의해 물속바닥면에 정확히 안착되며 이때 개방된 양족의 유인구(8)(8')을 통해 물고기(16)들은 이내 내부중간에 고리(3)로 메달려진 미끼(3)을 먹으려고 동시에 유입되는 것이다.
그후 지상에서 끈(15)을 잡아당기면 괘지편(13)(13')에 지지되어 있던 지지대(12)(12')가 이탈됨과 동시에 개폐변(9)(9')이 텐션스프링(10)(10')의 텐션작용으로 인해 순간적으로 유인구(8)(8')로 당접되면서 유인구(8)(8')를 막아준 상태 그대로 어항(14)이 끈(15)의 당김력으로 끌려올라오게 되는 데 이때 어항(14) 속의 물은 모두 이의 주연둘레로 천공된 통공(6)을 통해 빠지기 때문에 어항(14)을 비교적 가볍게 끌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다시 실시할때는 환체(5)상에 구성된 개폐 뚜껑(4)을 열고 이에 메달려진 고리(3)에 새로운 미끼(2)를 끼워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하는 본 발명은 양쪽으로 개방되는 유인구(8)(8')에 의해 보다 많은량을 유인 포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어항(14)은 원통형관(1)의 내부 중간에 미끼(2)를 메달아 줌으로서 물고기(16)들이 양쪽으로 개방된 유인구(8)(8')를 통해 동시에 유인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 사람이 직접 물속에 들어가지 아니하고서도 이에 연결된 끈(15)에 어항(14)을 물속에 넣거나 꺼낼 수 있는 실시효과를 간편이 함은 물론 양쪽의 유인구(8)(8')로 구성된 개폐변(9)(9')은 어항(14)을 끌어올릴 때 순간적인 동작으로 유인구(8)(8')를 막아주는 효과를 제공함에 따라 원통형관(1)내에 유인 포집된 물고기들의 유실을 방지하는 안전한 효과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양쪽으로 물고기를 유인 포집(誘引 浦集)하여 짧은 시간내에 보다 많은 량의 물고기를 손쉽게 어획(漁獲)할 수 있도록 한 어항(魚缸)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1)

  1. 일정한 길이의 원통형관(1)의 중간을 환체(5)로 형성하고 이의 상부는 힌지(5')로 구성된 개폐뚜껑(4)의 저부로 미끼(2)를 메달 수 있는 고리(3)를 갖는 상기의 환체(5)를 제외한 전체둘레에 통공(6)를 천공함과 동시에 원통형관(1)의, 저면으로 안착판(7)을 설치하고 이와 접하는 유인구(8)(8')의 하부는 개폐변(9)(9')이 텐션스프링(10)(10')으로 장착되고 이와 대칭을 이루는 유인구(8)(8')의 상부는 힌지(11)(11')로 구성된 지지대(12)(12')의 일단이 개폐변(9)(9')의 괘지편(13)(13')에 지지되어 유인구(8)(8')의 개방상태를 유도하고 이 지지대(12)(12')의 단부방향에 지상에서 어항(14)을 끌어올릴 수 있는 끈(15)이 연결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유인구가 양쪽으로 형성된 어항.
KR1019970000376A 1997-01-09 1997-01-09 유인구(誘引口)를 양쪽으로 형성한 어항(魚缸) KR199800654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376A KR19980065411A (ko) 1997-01-09 1997-01-09 유인구(誘引口)를 양쪽으로 형성한 어항(魚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376A KR19980065411A (ko) 1997-01-09 1997-01-09 유인구(誘引口)를 양쪽으로 형성한 어항(魚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411A true KR19980065411A (ko) 1998-10-15

Family

ID=6595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376A KR19980065411A (ko) 1997-01-09 1997-01-09 유인구(誘引口)를 양쪽으로 형성한 어항(魚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4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234B1 (ko) * 2002-12-11 2005-09-23 전순호 어류포획기
KR20190004188A (ko) * 2017-07-03 2019-01-11 오정택 기능성 조립 투명어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6234B1 (ko) * 2002-12-11 2005-09-23 전순호 어류포획기
KR20190004188A (ko) * 2017-07-03 2019-01-11 오정택 기능성 조립 투명어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8109A (en) Aquarium wall cleaning apparatus
US3955306A (en) Handy live bait bucket
US20030217501A1 (en) Case structure for housing fishing hook and its fixing method
US20110277691A1 (en) Hummingbird Feeding System
US3177604A (en) Fishing lure
US9155291B1 (en) Time release bait cannister
US6000168A (en) Combination trap, holding pen and chum pot
US3002312A (en) Minnow trap and bucket
KR19980065411A (ko) 유인구(誘引口)를 양쪽으로 형성한 어항(魚缸)
EP3769613A1 (en) Fishing lure
US1876692A (en) Fishing apparatus
KR200267614Y1 (ko) 어류 포획용 어항
US2639540A (en) Crab trap
JP3098737B2 (ja) 釣り浮き
US3023533A (en) Fish attractor
CN210226626U (zh) 一种昆虫诱捕器
JPH08317747A (ja) 水棲生物の産卵、孵化および仔保護容器
JPH078142A (ja) 魚獲り器
US2791061A (en) Floating type minnow bucket
KR960016347B1 (ko) 물고기 포획구
US2250942A (en) Minnow bucket
US2629201A (en) Combination minnow bucket and trap
JPS584426Y2 (ja) ビク
US2787081A (en) Combination minnow trap and bucket
CN210005081U (zh) 一种安全性能高的白蚁自动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