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252U - 착탈식 공구홀더 - Google Patents
착탈식 공구홀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65252U KR19980065252U KR2019980015204U KR19980015204U KR19980065252U KR 19980065252 U KR19980065252 U KR 19980065252U KR 2019980015204 U KR2019980015204 U KR 2019980015204U KR 19980015204 U KR19980015204 U KR 19980015204U KR 19980065252 U KR19980065252 U KR 1998006525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l
- holder
- insertion hole
- center
- tool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형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공구를 공작기계에 장착함에 있어서 사용되는것으로, 정중앙에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공구삽입공에 삽입되는 공구를 고정하도록 머리부분에 측면으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을 형성하여 볼트를 체결하여서 공구삽입공에 삽입된 공구를 고정하도록 구성한 착탈식 공구홀더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공구홀더의 공구삽입공에 원래의 길이 그대로 삽입고정된 공구를 절단할 필요없이도 공구의 돌출길이를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로스부분이 최대한 적게되어 재료의 낭비가 없도록 함은 물론 공구의 절삭날의 마모시에는 볼트를 풀러서 절삭날의 길이를 재차 조정하면 되며 공구교체시에도 홀더는 그대로 사용하고 공구만 교체하면 되므로 공구홀더의 사용수명을 장구히 한 것이다.
그리고 공구홀더의 머리부분에 별도로 구성한 홀더결합공구의 선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홀더결합용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홀더결합공구에 결합된 공구홀더의 생크부분을 금형가공용기계의 공압척에 구비된 홀더결합공에 삽입한다음 공압을 작동시켜 홀더를 견고히 클램핑한다음 상기 홀더결합공구를 잡아당겨 공구홀더에서 홀더결합공구를 분리하는 것과 같이 홀더결합공구를 이용하면 공구홀더의 머리부분의 손상이 전혀 없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공구홀더의 공구삽입공으로 공구를 삽입하면 공구홀더의 중심센타와 공구의 중심센타가 정확하게 일치됨은 물론 볼트체결공을 공구삽입공의 모서리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볼트체결공으로 볼트를 체결하면 공구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한 연마면에 볼트의 선단이 견고히 밀착되어 공구가 전혀 흔들림이 없기 때문에 오차없이 정밀하게 금형을 가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금형을 가공하는 공작기계에 금형가공용 공구를 장착하는 공구홀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공구홀더의 정중앙에 공구삽입공을 형성하여 공구를 삽입하고 상기 공구삽입공의 모서리부분을 측면에서 관통하도록 형성한 볼트체결공으로 볼트를 체결하여 공구의 고정을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공구홀더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공구의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함은 물론 공구삽입공에 삽입고정된 공구가 공구홀더의 센터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하여 정밀한 금형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착탈식 공구홀더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으로 동일한 부품을 량산하는 방법으로 가장발전된 기술이 금형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것인바, 이와같은 금형은 보다 정밀한 가공을 요구하므로 이들 금형을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공구를 공작기계에 창착하였을 때 공구가 정밀하게 작동하도록 공구를 잡아주는 공구홀더의 구성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되던 종래의 공구홀더의 구성을 살펴보면 첨부도면 도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금형가공기계(도시하지 않음)의 고속회전하는 척(CHUCK)(100)에 결합되는 결합부인 생크(1b)가 상측에 형성된 공구홀더헤드(1a)의 저면중앙에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 공구(2)를 일체로 용접하여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찌금까지의 방법은 상기 공구홀더(1)의 중심센타와 공구(2)의 중심센타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용접하기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정밀도에 문제가 많아 금형의 가공시에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가 허다 하였음은 물론 일정한 길이로 유통되는 공구(2)를 적당한 길이로 세분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못하는 재료의 로스(LOSE)부분이 많게 되며, 공구(2)가 마모되어 더 이상 쓸수 없을 만큼 길이가 작아지게 되면 공구홀더(1)자체를 통체로 폐기처분하여야 했으므로 재료의 낭비가 심하여 구입비용이 증가하였다.
또한 금형의 가공부위가 세밀하고 정밀함을 요구할 경우에는 작은공구를 사용하여야만 하는데 상기 공구홀더(1)의 저면중앙에 사이즈가 작은 공구(2)를 일체가 되도록 용접고정하면 이때발생하는 고열에 의하여 공구(2)의 강성에 변형이 생겨서 공구가 쉽게 마모가 되거나 금형의 가공자체가 어렵게 되는 등의 중대한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공구홀더헤드(1a)의 저면중앙에 큰공구를 일체로 용접하여 갈아서 사이즈를 맞춘다음 절삭날을 만들어 사용하여야만 했으므로 이 또한 소재의 낭비는 물론 작업의 번거로움은 이루 말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지금까지 사용되던 종래의 공구홀더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 상기 공구홀더의 정중앙에 공구의 치수에 알맞은 폭사이즈로 공구삽입공을 형성하여 공구를 절단할 필요없이 그대로 삽입하면 공구홀더의 중심센타와 공구의 중심센타가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함은 몰론 상기 공구삽입공의 모서리부분을 측면에서 관통하도록 볼트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체결공으로 볼트를 체결하면 공구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한 연마면에 볼트의 선단이 견고히 밀착되어 상기 공구홀더에 공구가 착탈식으로 고정결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공구만 교체하면 되므로 공구홀더의 사용수명을 장구히 하고, 상기 공구홀더의 공구삽입공에 원래의 길이 그대로 삽입고정된 공구를 절단할 필요없이도 공구의 돌출길이를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로스부분을 최대한 적게함은 물론 공구삽입공에 삽입고정된 공구의 중심센터가 공구홀더의 중심센터와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하여 정밀한 금형의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고품질의 금형가공용 공구홀더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공구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의 공구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조립상태단면예시도.
도3은 본 고안의 공구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공구홀더의 구성을 나타낸 조립상태단면예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공구홀더 11:공구삽입공
12:볼트체결공 20:볼트
30:공구 100:척(CHUCK)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첨부도면 도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대응되는 부분을 면취한 상태의 공구홀드헤드(10a)상측에 테이퍼진 생크(10b)를 형성하여서된 사출물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가공용 공구홀더(10)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10)의 정중앙에 공구(20)가 삽입되는 공구삽입공(11)을 형성하고,
상기 공구삽입공(11)에 삽입되는 공구(20)를 고정하도록 공구홀드헤드(10a)에 측면으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12)을 형성하여 볼트(15)를 체결하여서 공구삽입공(11)에 삽입된 공구(20)를 착탈식으로 구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공구홀더헤드(10a)의 측면에 형성한 볼트체결공(12)은, 공구삽입공(11)의 모서리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볼트체결공(12)으로 볼트(15)를 체결시 공구삽입공(11)에 삽입된 공구(20)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한 연마면(21)을 볼트(15)의 선단이 견고히 밀착하여 고정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공구홀더헤드(10a)의 양측에 착탈이 가능한 별도로 형성한 홀더결합공구(30)선단이 결합되는 홀더결합용 요홈(13)을 형성하여 별도의 홀더결합공구(30)선단에 공구홀더(10)를 결합하여 금형가공용기계(도시하지 않음)의 척(100)에 공구홀더(10)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공구홀더(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공구홀더(10)의 공구삽입공(11)에 공구(20)를 짧게 절단할 필요없이 그대로 삽입하되, 상기 공구(20)의 일측모서리에 형성한 연마면(21)이 볼트체결공(12)을 향하도록 한다.
그런다음 상기 공구홀더헤드(10a)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공구(20)의 길이를 적당하게 조절한다음 상기 볼트체결공(12)에 결합된 볼트(15)를 힘껏 죄어서 볼트(15)의 선단이 공구(20)의 연마면(21)에 밀착하여 공구홀더(10)에 공구(20)를 움직임이 전혀 없도록 견고히 고정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하면 상기 공구홀더(10)의 중심센타와 공구(20)의 중심센타가 자동적으로 정확하게 일치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공구홀더(10)에 고정결합된 공구(20)는 선단에 절삭날을 형성한다음 상기 별도로 구성한 홀더결합공구(30)의 선단내측으로 본 고안 공구홀더(10)의 헤드(10a)에 형성한 홀더결합용 요홈(13)을 삽입하여 공구홀더(10)를 고정한후 상기 홀더결합공구(30)를 이용하여 공구홀더(10)의 생크(10b)부분을 금형가공용공작기계의 척(100)의 홀더결합공에 삽입한다음 공압을 작동시켜 공구홀더(10)를 견고히 클램핑한다음 상기 홀더결합공구(30)를 잡아당겨 공구홀더(10)의 요홈(13)에서 홀더결합공구(30)의 선단을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공구홀더(10)의 결합시 홀더결합공구(30)를 이용하면 공구홀더헤드(10a)의 손상이 전혀 없게 된다.
상기 공구홀더(10)를 금형가공용기계의 척(100)에 결합한다음에는 상기 척(100)을 고속회전시켜서 금형을 정밀가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공구홀더(10)는 상기 금형의 가공중에 공구(20)선단의 절삭날이 마모되면, 상기 공구홀더(10)를 금형가공용기계의 척(100)에서 분리한후 공구(20)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15)를 풀러서 마모된 길이만큼 공구(20)의 길이를 재차 조정한후 볼트(10)를 다시 죄이면 되므로 길이의 조정이 매우 자유롭고 편리함은 물론 공구(20)의 교체또한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기 금형의 가공시 가공부위가 세밀하고 정밀함을 요구할 경우에도 비교적 폭사이즈가 큰 공구(10)를 갈아서 쓸 필요가 없이 폭사이즈가 작은 공구삽입공(11)이 형성된 공구홀더(10)에 폭사이즈가 일치하는 공구(20)를 삽입하여 볼트(15)로 고정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재료의 낭비도 없고 가공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어서 편리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사출금형을 가공하는데 사용되는 공구를 결합하는 공구홀더의 정중앙에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공구삽입공에 삽입되는 공구를 고정하도록 머리부분에 측면으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을 형성하여 볼트를 체결하여서 공구삽입공에 삽입된 공구를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공구홀더의 공구삽입공에 원래의 길이 그대로 삽입고정된 공구를 절단할 필요없이도 공구의 돌출길이를 길이를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로스부분이 최대한 적게되어 재료의 낭비가 없음은 물론 공구의 절삭날의 마모시에는 볼트를 풀러서 절삭날의 길이를 재차 조정하면 되며 공구교체시에도 홀더는 그대로 사용하고 공구만 교체하면 되므로 공구홀더의 사용수명이 장구하다.
그리고 공구홀더의 머리부분에 별도로 구성한 홀더결합공구의 선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홀더결합용 요홈을 형성하여 상기 홀더결합공구에 결합된 공구홀더의 생크부분을 금형가공용기계의 공압척에 구비된 홀더결합공에 삽입한다음 공압을 작동시켜 홀더를 견고히 클램핑한다음 상기 홀더결합공구를 잡아당겨 공구홀더에서 홀더결합공구를 분리하는 것과 같이 홀더결합공구를 이용하면 공구홀더의 머리부분의 손상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공구홀더의 공구삽입공으로 공구를 삽입하면 공구홀더의 중심센타와 공구의 중심센타가 정확하게 일치됨은 물론 볼트체결공을 공구삽입공의 모서리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상기 볼트체결공으로 볼트를 체결하면 공구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한 연마면에 볼트의 선단이 견고히 밀착되어 공구가 전혀 흔들림이 없기 때문에 오차없이 정밀하게 금형을 가공할 수 있는등 실사용에 있어서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이고 신규하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 금형가공용 공구를 공작기계에 장착하기위한 공구홀더를 구성함에 있어서,정중앙에 공구가 삽입되는 공구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공구삽입공에 삽입되는 공구를 고정하도록 머리부분에 측면으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을 형성하여 볼트를 체결하여서 공구삽입공에 삽입된 공구를 고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공구홀더.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공구홀더의 공구삽입공을 각형으로 형성하고 머리부분측면에 형성한 볼트체결공을 공구삽입공의 모서리부분을 관통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볼트체결공으로 볼트를 체결시 공구삽입공에 삽입된 공구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한 연마면을 볼트의 선단이 견고히 밀착하여 항상 센터가 일치되게 고정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공구홀더.
-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공구홀더의 머리부분양측에 공구홀더를 금형가공용공작기계의 공압척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홀더결합용 요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공구홀더.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5204U KR200227834Y1 (ko) | 1998-08-13 | 1998-08-13 | 착탈식공구홀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5204U KR200227834Y1 (ko) | 1998-08-13 | 1998-08-13 | 착탈식공구홀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65252U true KR19980065252U (ko) | 1998-11-25 |
KR200227834Y1 KR200227834Y1 (ko) | 2001-09-17 |
Family
ID=69510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5204U KR200227834Y1 (ko) | 1998-08-13 | 1998-08-13 | 착탈식공구홀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7834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2629B1 (ko) | 2011-09-20 | 2013-11-25 | 한국기계연구원 | 마이크로 가공툴용 결합구조 |
-
1998
- 1998-08-13 KR KR2019980015204U patent/KR200227834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7834Y1 (ko) | 2001-09-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010074B1 (en) | Cutting tool | |
US3726352A (en) | Means for clamping cutting inserts in a drill | |
JP2004255533A (ja) | スローアウェイドリル | |
JP3579016B2 (ja) | 切削機械加工用工具 | |
KR200227834Y1 (ko) | 착탈식공구홀더 | |
JPH07164213A (ja) | スローアウェイ式工具 | |
JPH03142107A (ja) | クランピング手段 | |
EP0137680A1 (en) | Cutting tool | |
US4087194A (en) | Cutting tool | |
JP2714334B2 (ja) | ヘッド交換式切削ホルダー | |
US3459433A (en) | Replaceable jaw inserts | |
JPH01216709A (ja) | ドリル孔周縁部位の切削工具 | |
US6183170B1 (en) | Cylindrical cutting device | |
US4096613A (en) | Cutting tool | |
JPS62124806A (ja) | 切刃チツプの固定方法と工具 | |
JPH0197512A (ja) | 穿孔工具 | |
EP0055998B2 (en) | Tool element | |
JPH1177411A (ja) | 工具保持装置 | |
KR200240149Y1 (ko) | 공작기계용 절삭공구 | |
KR100303419B1 (ko) | 인덱서블 타입의 밀링 볼 엔드밀 | |
JPS5824206B2 (ja) | 穴あけ工具 | |
US8316743B2 (en) | Quick change tool holder | |
EP0571344A1 (en) | Device for clamping an exchangeable cutting bit for machining stone-like materials | |
JPS6334817Y2 (ko) | ||
JPH09192917A (ja) | 面取り用回転工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