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500U -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 Google Patents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500U
KR19980064500U KR2019970009189U KR19970009189U KR19980064500U KR 19980064500 U KR19980064500 U KR 19980064500U KR 2019970009189 U KR2019970009189 U KR 2019970009189U KR 19970009189 U KR19970009189 U KR 19970009189U KR 19980064500 U KR19980064500 U KR 199800645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ortion
bracket device
vertical portion
bracket
o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훈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9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500U/ko
Publication of KR19980064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500U/ko

Link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상면의 소정 위치에 보조전원장치(7)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판(11, 12)이 형성된 수평부(1)와; 상기 수평부(1)의 좌우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일측단의 높이가 타측단보다 높고 일측단과 타측단의 선단이 절곡되어 형성한 한쌍의 가이드판(21, 22) 사이에 상기 보조전원장치(7)보다 폭이 넓은 옵션장치(8)를 장착할 수 있는 수직부(2)와; 상기 수평부(1)의 바닥면과 수직부(2)의 전면에 장착되어 수평부(1)에 장착된 배터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3)과; 상기 이탈 방지판(3)의 위에 위치하며, 전면으로 상기 옵션장치(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2)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는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를 교환해가며 장착할 수 있어 각 옵션장치마다 별도의 브라켓트 장치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해 브라켓트 장치를 제작하는 시간과 제작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이 고안은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가 다르고 착탈이 가능한 옵션장치들을 교환해가며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종래의 브라켓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의 (a), (b), (c)는 해당 옵션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브라켓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기술은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만을 장착 가능하게 설계된 브라켓트 장치에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디-롬 드라이브만을 장착 가능하게 설계된 브라켓트 장치에 시디-롬 드라이브를 장착하고,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만을 장착 가능하게 설계된 브라켓트 장치에 배터리를 장착하였다.
그리고, 각 옵션장치가 장착된 브라켓트 장치를 시스템 본체에 장착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각 옵션장치마다 별도의 브라켓트 장치를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기가 다르고 착탈이 가능한 옵션장치들을 교환해가며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직부와 도어의 조립도.
도 3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재의 평면도.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 장치가 장착된 시스템 본체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 장치와 록킹부재의 결합 상태도.
도 7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가 장착된 브라켓트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된 브라켓트 장치의 단면도.
도 9의 (a), (b), (c)는 해당 옵션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브라켓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부2 : 수직부
3 : 이탈 방지판4 : 도어
5 : 바텀 케이스11, 12, 21, 22 : 가이드판
13 : 고정홈42 : 회전축
43 : 이동축44 : 걸림턱
61 : 플레이트부62 : 가이드축
63 : 고정판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고안의 구성은, 상면의 소정 위치에 한쌍의 가이드판이 형성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좌우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일측단의 높이가 타측단보다 높고 일측단과 타측단의 선단이 절곡되어 한쌍의 가이드판을 형성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의 바닥면과 수직부의 전면에 장착되어 수평부에 장착된 옵션장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과; 상기 이탈 방지판의 위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부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 장치의 사시도로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 장치의 구성은, 상면의 소정 위치에 배터리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판(11, 12)이 형성된 수평부(1)와; 상기 수평부(1)의 좌우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일측단의 높이가 타측단보다 높고 일측단과 타측단의 선단이 절곡되어 형성한 한쌍의 가이드판(21, 22) 사이에 상기 보조전원장치(7)보다 폭이 넓은 옵션장치(8)를 장착할 수 있는 수직부(2)와; 상기 수평부(1)의 바닥면과 수직부(2)의 전면에 장착되어 수평부(1)에 장착된 배터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3)과; 상기 이탈 방지판(3)의 위에 위치하고 전면으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2)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1)에는 곡선의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수직부(2)와 도어(4)의 조립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4)에는 좌우측단이 꺽여 형성된 측면부(41)에 회전축(42), 이동축(43)과 걸림턱(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2)에는 상기 회전축(42)이 삽입되는 힌지공(23)과, 이동축(43)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42)이 탄성부재(45)를 관통하여 수직부(2)의 일측단에 형성된 힌지공(23)에 장착되게 하고, 이동축(43)을 수직부(2)의 일측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4)에 장착하면 상기 수직부(2)와 도어(4)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45)는 일측단이 상기 걸림턱(44)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4)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삽입될 때 슬라이드홈(24)을 따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 이동축(43)을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상기 과정을 통해 수직부와 도어가 조립된 브라켓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재의 평면도로서, 록킹부재의 형상은 시스템 본체의 바텀 케이스(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레이트부(61)와, 상기 플레이트부(61)에 축설된 가이드축(62)과; 상기 가이드축(62)의 상단에 형성된 고정판부(63)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 장치가 장착된 시스템 본체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트 장치와 시스템 본체의 결합 상태도로서, 도시된 도면을 참조로 브라켓트 장치를 시스템 본체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브라켓트 장치를 시스템 본체에 삽입한다.
그러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축(62)이 수평부(1) 고정홈(13)의 진입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의 플레이트부(61)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축(62)의 고정홈(13)을 따라 이동하고, 가이드축(62)이 고정홈(13)의 끝부분에 도달하면 플레이트부(61)의 회저이 멈춘다.
이때, 상기 고정판부(63)는 브라켓트 장치가 시스템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브라켓트 장치를 시스템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이유를 구체저으로 설명하면, 브라켓트 장치를 당겨도 가이드축(62)과 고정판부(63)가 상기 고정홈(13)에 삽입되어 있어 시스템 본체의 바텀 케이스(5)로부터 브라켓트 장치를 분리할 수 없다.
상기 과정에 의해 조립이 완성된 브라켓트 장치를 바텀 케이스(5)로부터 분리하려면 상기 플레이트부(6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이드축(62)과 고정판부(63)를 고정홈(13)으로부터 분리하면 된다.
도 7은 브라켓트 장치에 배터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배터리(7)의 장착은 브라켓트 장치를 시스템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배터리(7)를 수평부(1)의 상면에 위치한 제 1 가이드판(11)과 제 2 가이드판(12) 사이에 위치하도록 브라켓트 장치에 삽입하고 브라켓트 장치를 시스템 본체에 장착하면 된다.
이때, 상기 이탈 방지판(3)은 상기 배터리(7)가 브라켓트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브라켓트 장치에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8)를 도어(4)의 전면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상기 이동축(43)이 슬라이드홈(24)을 따라 상향 운동하여 상기 도어(4)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8)는 도어(4)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직부(2)에 형성된 제 3 가이드판(21)과 제 4 가이드판(22)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장착된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8)가 브라켓트 장치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탄성부재(45)의 탄성에 의해 가이드축(62)이 슬라이드홈(24)을 따라 하향 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도어(4)는 초기의 닫힌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도어(4)를 통해 장착되는 옵션장치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로 한정된 것이 아니므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와 시디-롬 드라이브 등을 장착할 수도 있다.
하나의 브라켓트 장치게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를 교환해가며 장착할 수 있어 옵션장치마다 별도의 브라켓트 장치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고, 이로 인해 브라켓트 장치를 제작하는 시간과 제작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Claims (3)

  1. 상면의 소정 위치에 보조전원장치(7)를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판(11, 12)이 형성된 수평부(1)와;
    상기 수평부(1)의 좌우측면에 대칭되게 형성되며, 일측단의 높이가 타측단보다 높고 일측단과 타측단의 선단이 절곡되어 형성한 한쌍의 가이드판(21, 22) 사이에 상기 보조전원장치(7)보다 폭이 넓은 옵션장치(8)를 장착할 수 있는 수직부(2)와;
    상기 수평부(1)의 바닥면과 수직부(2)의 전면에 장착되어 수평부(1)에 장착된 보조전원장치(7)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판(3)과;
    상기 이탈 방지판(3)의 위에 위치하며, 전면으로 상기 옵션장치(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부(2)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도어(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1)는,
    바텀 케이스(5)에 장착된 플레이트부(61)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축(63)과 고정판부(63)와의 결합 상태가 변화하여 브라켓트 장치를 시스템 본체에 고정할 수 있게 하는 고정홈(13)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4)는,
    측면부(41)에 형성되며, 탄성부재(45)를 관통하여 수직부(2)의 일측단에 형성된 힌지공(23)과 결합하는 회전축(42)과;
    측면부(41)에 형성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직부(2)의 일측단에 형성된 슬라이드홈(24)과 결합하는 이동축(43)과;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45)의 일측단이 걸리는 걸림턱(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KR2019970009189U 1997-04-29 1997-04-29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KR199800645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189U KR19980064500U (ko) 1997-04-29 1997-04-29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189U KR19980064500U (ko) 1997-04-29 1997-04-29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500U true KR19980064500U (ko) 1998-11-25

Family

ID=6968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189U KR19980064500U (ko) 1997-04-29 1997-04-29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5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304B1 (ko) * 2000-07-20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의 전원공급기 장착용 범용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304B1 (ko) * 2000-07-20 2003-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컴퓨터의 전원공급기 장착용 범용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4128A (ko) 콘센트
KR19990018928A (ko) 컴퓨터 시스템
US6547347B2 (en) Device unit housing apparatus
JPS6251606B2 (ko)
US6388876B1 (en) Computer enclosure incorporating pivotable drive bracket
KR19980064500U (ko) 크기가 다른 옵션장치의 교환장착이 가능한 브라켓트 장치
KR100675742B1 (ko) 드럼세탁기 도어의 회전락장치
CN112462872B (zh) 一种电源防反插装置及服务器
JPH11104324A (ja) パチンコ遊技機
CN211184553U (zh) 中央空调系统水泵智能控制柜
KR20090009563U (ko) 인서트
CN103292410A (zh) 换气装置
CN110176691B (zh) 连接器及其插座
CN217715422U (zh) 一种移动空调
CN216232587U (zh) 轮眉安装结构
CN219923679U (zh) 分选筛
CN114391771B (zh) 一种安装置具及使用安装置具安装马桶的方法
CN113982373A (zh) 一种传动盒
CN216055495U (zh) 一种欧规电动汽车充电插座用的机械锁
KR200400024Y1 (ko) 드럼세탁기 도어의 회전락장치
RU2242099C2 (ru) Лицевая поверхность платы электроники, плата электроники и способ вставления такой платы в корпус или извлечения ее оттуда
CN212477172U (zh) 电器设备及其门锁
CN219936982U (zh) 一种熔断器底座
CN113867485A (zh) 一种服务器机箱及服务器
CN109713602B (zh) 断路器的抽屉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