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527A - 연사용 텐서 - Google Patents

연사용 텐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527A
KR19980063527A KR1019970053824A KR19970053824A KR19980063527A KR 19980063527 A KR19980063527 A KR 19980063527A KR 1019970053824 A KR1019970053824 A KR 1019970053824A KR 19970053824 A KR19970053824 A KR 19970053824A KR 19980063527 A KR19980063527 A KR 1998006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tensor
rough surface
guide pipe
composit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5640B1 (ko
Inventor
우에하라마사오
키무라타쯔오
Original Assignee
무라타쥰이치
무라타키카이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쥰이치, 무라타키카이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쥰이치
Publication of KR1998006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10Tension devices
    • D01H13/104Regulating tension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yarn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D01H13/106Regulating tension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yarn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for double-twist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굵은 탄성사를 함유하는 복합사에 대해서도 연사로 만들 수 있도록 한다.
탄성사(y2)를 함유한 복합사(Y)의 연사용 텐서(10)로서, 복합사(Y)에 걸어맞추는 가이드파이프(19)의 상단부분(23)을 거칠은 면(24)으로 형성한다. 그 거칠은 면(24)은, 표면거칠기 4∼15㎛Rmax로 한다. 또 거칠은 면(24)은, 블라스팅가공에 의하여 마무리하든지, 설구이에 의하여 형성한다.

Description

연사용 텐서
본 발명은, 탄성사를 함유한 복합사의 연사용 텐서에 관한 것이다.
실에 실제 꼬임을 거는 연사장치, 예를 들면 2중 연사기는, 텐서에 의하여 실에 적당한 장력을 부여하면서, 스핀들의 회전에서 강제적으로 선회시켜서 반복하므로서 꼬임을 걸어서, 패키지로 감기도록 되어 있다. 연사대상의 실종류로서는 면사 외에, 털실, 아크릴, 인견, 폴리에스테르 등이 있고, 이를 단사로 사용하는 외에, 적당히 조합시킨 복합사가 합사로서 사용된다.
그런데, 합사로서 폴리우레탄 등의 탄성사와 면사와의 복합사를 사용하는 경우에, 연사과정에서 실이 끓어지는 일이 발생하기 쉽고, 특히 굵은 실의 탄성사(예를 들면 70 또는 140데니르)에서는 전혀 연사가 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도 4에 표시하듯이, 복합사(Y)를 중심축 아래쪽(스핀들축)으로 안내하는 텐서(1)의 상단부(2)는, 복합사(Y)를 파손하지 않도록 저항이 적은 평활한 면(거울면 마무리)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탄성사(y1)는 점성이 강하므로 그 면에 달라붙도록 얽히며, 실을 풀어내면서(선회) 상단부(2)의 축구멍으로 들어갈 때에 면사(y2)보다도 지체되어서, 도면에 표시한 것 같은 실의 갈라짐의 상태로 되어버리는 것으로 꼬인다. 이 때문에, 굵은 탄성사(y1)를 함유하는 복합사(Y)에 대해서도 지장없이 연사할 수 있도록 한 연사용 텐서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본 발명은, 탄성사를 함유한 복합사의 연사용 텐서로서, 복합사와 걸어맞추는 텐서 상단부를 거칠은 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그 거칠은 면은, 표면거칠기 4∼15㎛Rmax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서, 탄성사가 다른 쪽의 실보다도 지체되어서 텐서 상단부의 축구멍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어지고, 실의 갈라짐이나 실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거칠은 면은, 블라스팅가공(가공면에 고체금속, 광물성 또는 식물성의 연마제를 고속도로 내뿜어서, 그 표면을 청정화, 마모 또는 표면경화시키는 가공)에 의하여 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설구이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여, 소망하는 거칠은 면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연사용 텐서의 실시형태를 표시한 주요부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가이드파이프의 상단부분을 모식적으로 표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전체를 표시한 2중 연사기의 측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연사용 텐서를 표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연사용 텐서 11 : 2중 연사기
19 : 가이드파이프 23 : 상단부분(텐서 상단부)
24 : 거칠은 면 Y : 복합사
y1: 폴리우레탄 실(탄성사)y2: 면사(다른쪽의 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연사용 텐서(10)를, 2중 연사기(11)에 설치한 예로 표시된 것이다. 2중 연사기(11)는, 합사(P)를 유지수용하는 유저통체형상인 정지통(12)과, 정지통(12)의 저부에 설치된 스핀들(13)과, 스핀들(13)에 설치된 회전원판(14)을 구비하고 있다. 합사(P)는, 탄성사인 폴리우레탄 실(y1) 및 다른쪽의 실인 면사(y2)가 합치된 복합사(Y)의 패키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정지통(12)의 저부에는 적당한 높이의 축부(15)가 설치되며, 베어링(16)을 개재하여 스핀들(13)의 상부샤프트(13a)에 동축으로 감합되어 있음과 아울러, 축부 상단에는 연사용 텐서(10)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유지하기 위한 홀더(17)가 설치되어 있다.
연사용 텐서(10)의 상부에는, 복합사(Y)를 부세부재(18)로 안내하기 위한 가늘고 긴 가이드파이프(19)가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파이프(19)에는, 반경방향으로 신장된 플라이어(20)가 홀더부(21)를 개재하여 축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패키지의 복합사(Y)는, 실을 풀어냄에 따라서 선회하는 플라이어(20)에 안내되어서 가이드파이프(19)의 축구멍(19a)으로 들어가며, 그 아래쪽의 부세부재(18)에 의하여 적당한 장력이 부여되면서, 스핀들(13)의 상부샤프트(13a)에 안내된다. 그리고 스핀들(13)의 축구멍으로 들어간 복합사(Y)는, 회전원판(14)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나와서 선회하여, 정지통(12)의 바깥쪽에 있어서 벌룬(balloon)을 형성하고, 연사용 텐서(10)의 위쪽으로 설치된 가이드부재(22)를 거쳐서, 감기는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소정형상으로 권취된다.
그리고 텐서의 상단부로 되는 가이드파이프(19)의 상단부분(23)의 면은, 적당한 표면거칠기의 거칠은 면(24)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텐레스제에서 도금으로 마무리되는 가이드파이프(19)중에서, 복합사와 계합하는 소정길이의 구간(예를 들면 상단으로부터 3∼5㎜ 정도)의 상단부분(23)은, 그 외주면으로부터 둥그스름해진 상단면을 거쳐서 내주면에 이르기까지, 블라스팅가공에 의하여 마무리되어 있다. 블라스팅의 입자로서는 모래 대신에, 예를 들면 칠드주물의 구슬을 분쇄한 쇼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하여 성형된 거칠은 면(24)은, 도 2에 모식적으로 표시하듯이, 줄 등으로 성형된 거칠은 면과는 달라서, 둥그스름해진 비교적 매끈매끈한 단면파상(연속 원호형상)을 나타내는 상태로 되고, 복합사(Y)와의 마찰저항이 적고, 게다가 실표면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또 표면거칠기로서는, 종래에 실시되었던 거울면 마무리보다도 거칠은 것으로 한다. JIS B 0601「표면거칠기」의 규격 및 그 구분으로 말하면, 보통의 거울면 마무리가 3S 이하이므로, 거칠은 면(24)은 이것을 초과하는 값으로 한다. 즉 규격에 따라서, 기준길이(L)(예를 들면 1㎜)만큼 뽑아낸 부분의 높이의 평균값(X)에 평행한 2직선(25,26)으로 대상부분을 사이에 두었을 때의 선간격(최대높이 Rmax)이, 예를 들면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15.0㎛로 되도록 한다. 또 가이드파이프(19)를 성형할 때에, 상단부분(23)의 마무리면의 설계규격표시가 필요한 경우는, 보통 사용되는 구분값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12.5S-25S(하한 12.5㎛Rmax, 상한 25㎛Rmax)로 지정한다.
또한 이와 같은 거칠은 면(24)을 형성하는 데는, 쇼트블라스팅에 의한 것 외에, 금속제의 가이드파이프의 상단에, 축구멍을 보유한 설구이의 세라믹가이드(도시하지 않음)를 씌우도록 하여도 좋다. 즉 보통의 세라믹스의 제조에서는, 바탕을 2회의 소성을 거쳐서 견고한 제품으로 하는 것이 실시되지만, 상단으로 감착시키는 세라믹가이드로서는, 최종적으로 구워서 체결하기 전의 단계인 다공질한 상태로 소성된 것을 사용한다. 이 설구이의 표면도, 도 2에 표시한 것 같은 비교적 매끈매끈한 거칠은 면(24)으로 된다.
이와 같이, 가이드파이프(19)의 상단부분(23)을 거칠은 면(24)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예를 들면 70∼140데니르의 굵고 점성이 큰 폴리우레탄 실(y1)이라도, 축구멍(19a)으로 들어갈 때의 마찰저항이 감소되고, 상단부분(23)에 부착하여 면사(y2)보다도 극단으로 지체되는 일이 없어지고, 실의 갈라짐이나 실의 조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1 참조). 즉 탄성사(y1)를 함유하는 복합사(Y)의 실제 꼬임이 만들어지고, 대응할 수 있는 실종류 및 굵기의 범위가 넓어져서, 연사용 텐서(10)및 2중 연사기(11)의 범용성 향상이 달성된다. 또 본 발명은 극히 간단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기설한 연사기 혹은 연사용 텐서에 대해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고, 과도한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일도 없다. 그리고 쇼트블라스팅에 의한 가공, 또는 설구이의 세라믹가이드를 사용하므로서, 쉽고 또한 확실하게, 매끈매끈하고 적당한 표면거칠기의 바람직한 거칠은 면(24)을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사(Y)로서 폴리우레탄 실(y1)과 면사(y2)의 조합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탄성사를 함유하는 복합사(Y)에 대해서도 유용하다. 또 본 발명의 연사용 텐서는, 도 3에 표시한 것 같은 형식의 2중 연사기(11)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연사장치에 대하여 넓게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요하는 청구항 제1항 및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성사가 다른 실보다도 지체하여 텐서 상단부의 축구멍으로 들어가는 일이 없어지고, 실의 갈라짐이나 실의 조각이 방지되어서, 탄성사를 함유하는 복합사의 연사가 실현될 수가 있다. 또 청구항 제3항 및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텐서 상단부를 필요한 거칠은 면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파이프에 별도의 캡을 설치한 구성에 비하여 접촉면적이 작고, 거칠은 면과의 조합에 의한 상승효과에 의해서, 상기한 부착에 의한 실의 갈라짐이나 실의 조각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미리 설치한 연사기 혹은 연사용 텐서에 대해서도 쉽게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5)

  1. 탄성사를 함유한 복합사를 부세부재로 안내하기 위한 가늘고 긴 가이드파이프와, 이 가이드파이프의 상부에서 그 축의 주위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반경방향으로 신장되는 플라이어를 구비하며, 스핀들의 상부 샤프트에 동축과 끼워맞춰지는 연사용 텐서로서, 상기한 복합사에 걸어맞추는 텐서 상단부를 거칠은 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용 텐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칠은 면이, 표면거칠기 4∼15㎛Rmax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용 텐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칠은 면이, 블라스팅가공에 의하여 마무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용 텐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칠은 면이, 설구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용 텐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거칠은 면이, 상기한 가이드파이프의 상단면을 가공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사용 텐서.
KR1019970053824A 1996-12-16 1997-10-20 연사용텐서 KR100345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35868 1996-12-16
JP8335868A JPH10168680A (ja) 1996-12-16 1996-12-16 撚糸用テンサ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527A true KR19980063527A (ko) 1998-10-07
KR100345640B1 KR100345640B1 (ko) 2002-10-11

Family

ID=18293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3824A KR100345640B1 (ko) 1996-12-16 1997-10-20 연사용텐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48093A3 (ko)
JP (1) JPH10168680A (ko)
KR (1) KR100345640B1 (ko)
CN (1) CN11854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19B1 (ko) * 2004-09-15 2006-03-31 최병호 복합사 연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7002091A5 (de) * 2006-10-26 2009-09-17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orrichtung zur Führung oder Behandlung eines multifilen Faden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eramikoberfläche
ITMI20071578A1 (it) * 2007-08-01 2009-02-02 Savio Macchine Tessili Spa Dispositivo di controllo e riduzione del le pulsazioni di tensione nell'alimentaz ione dei fusi a quattro torsioni
CN103243420B (zh) * 2013-05-24 2015-05-20 吴江金时利织造有限公司 倍捻机丝线张力装置及操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73916B (de) * 1954-07-01 1960-01-21 Deering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Pendieton, S. C. (V. St. A.) Sicherheitsvorrichtung für Doppeldraht-Zwirnspindeln
US4028870A (en) * 1974-08-03 1977-06-14 Kabushiki Kaisha Toyoda Jidoshokki Seisakusho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creation of fuzzy fibers of yarn during twisting operation of the multiple twister
WO1987002393A1 (en) * 1985-10-15 1987-04-23 Murata Kikai Kabushiki Kaisha Tenser retracting structure for double twisting mach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19B1 (ko) * 2004-09-15 2006-03-31 최병호 복합사 연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5492A (zh) 1998-06-24
EP0848093A3 (en) 1999-03-31
JPH10168680A (ja) 1998-06-23
KR100345640B1 (ko) 2002-10-11
EP0848093A2 (en) 199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6397A (en) Method and device for increasing the hairiness and the bulkiness of a thread
AUPN838496A0 (en) Reducing end breaks in the spinning or twisting of yarn
KR100345640B1 (ko) 연사용텐서
JP5249953B2 (ja) リング精紡機を用いた短繊維の精紡装置および精紡方法
JP3932487B2 (ja) トーションレース機に使用される付属品
US4195470A (en) False twisting apparatus
US5175983A (en) Yarn splicing device for the knot-free piecing of yarn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yarn ends
US4160532A (en) Knot hole beam
CA1092907A (en) Friction discs for false-twist head
CN209242324U (zh) 工字轮固定装置
CN201250307Y (zh) 空心加捻锭子用锭杆总成
CN108291332B (zh) 纱线退绕喷嘴
US4824043A (en) Yarn tensioning device
JP3218641U (ja) けん玉
US4922706A (en) Device limiting ballooning in the unwinding or winding of a yarn
KR200452405Y1 (ko) 연사기
KR200262307Y1 (ko) 커버링기를 이용하여 합연한 사 제품의 제조장치
US7351455B2 (en) Paraffin ring for paraffining yarn
KR100827552B1 (ko) 지사제조용 연사장치
EP0286591B1 (en) Device for production of fancy effect yarns
KR200195998Y1 (ko) 연사기용 톱 피더
JP3073261U (ja) 天秤と釣仕掛糸
JPH09183570A (ja) 撚糸スピンドルのヤーンガイド
KR200199802Y1 (ko) 연사기용 펀 커버 어셈블리
KR0137626Y1 (ko) 이중합사용 보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