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243A -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 - Google Patents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243A
KR19980063243A KR1019970000711A KR19970000711A KR19980063243A KR 19980063243 A KR19980063243 A KR 19980063243A KR 1019970000711 A KR1019970000711 A KR 1019970000711A KR 19970000711 A KR19970000711 A KR 19970000711A KR 19980063243 A KR19980063243 A KR 19980063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magnet
socket
slid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3121B1 (ko
Inventor
이경일
서영순
Original Assignee
이경일
서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일, 서영순 filed Critical 이경일
Priority to KR1019970000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121B1/ko
Publication of KR19980063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1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에 관한 분야.
2.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6각비트 소켓은 너트나 보울트를 체결하기는 용이하지만 풀어낸 너트를 헤드로부터 인출하기는 용이하지 못하였던 것인바, 그 이유는 너트를 풀어냈을 때 풀어낸 너트가 헤드내부에 설치된 자석에 부착되어 있어 너트를 빼내기가 용이하지 못한 폐단이 따랐던 것임.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자석을 설치한 슬라이드 외주면에 너트를 밀어내는 탈리관을 설치하고, 소켓동체 외주면에는 상기 탈리관과 여러개의 부품으로 연결된 손잡이링을 설치하여 너트를 풀어낸 후 손잡이링을 밀어내면 탈리관이 인출되면서 자석에 부착되어 있는 너트를 밀어내어 탈리시켜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너트나 보울트등을 풀고, 조일때 사용하는 6각비트 소켓임.

Description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
본 발명은 보울트나 너트를 체결하거나 풀고자 할때 사용하는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의 6각비트 소켓은 헤드 내부에 자석을 고정설치한 슬라이드를 압축스프링으로 탄지시켜 보울트나 너트를 풀어내거나 체결하기 용이토록 하였고, 이때 자석은 보울트머리나 너트를 부착시켜 줌으로써 너트를 체결하거나 풀때 분실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인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랐던 것이다.
즉, 너트나 보울트를 체결하기는 용이하지만, 풀어낸 너트를 헤드로부터 인출하기는 용이하지 못하였던 것인바, 그 이유는 너트를 풀어냈을 때 풀어낸 너트가 헤드 부분에 설치된 자석에 부착되어 있어, 너트를 빼내기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를 빼내기 위해서도 6각비트를 잡고 털거나 또는 헤드에 충격을 주어 자석으로부터 너트가 떨어지도록 하여야 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자석을 설치한 슬라이드 외주면에 너트를 밀어내는 탈리관을 설치하고, 소켓동체 외주면에는 상기 탈리관과 여러개의 부품으로 연결된 손잡이링을 설치하여 너트를 풀어낸후 손잡이링을 밀어내면 탈리관이 자석보다 하부로 인출되면서 자석에 부착되어 있는 너트를 밀어내어 탈리시켜주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보다 편리하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로서 손잡이링을 밀어내렸을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요부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6각비트 소켓(2) 압축스프링
(3) 슬라이드(4) 자석
(5)(5') 구멍(6) 탈리관
(7) 압축스프링(8) 스프링케이스
(9)(9') 분할관(10) 고정링
(11) 손잡이링(12) 정지링
(13)(13') 돌부(14)(14') 장공
(15) 너트
내부에 압축스프링(2)으로 탄지된 슬라이드(3)를 설치하고, 슬라이드 하부에 자석(4)을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6각비트 소켓에 있어서, 소켓(1)을 구성하는 슬라이드(3) 외주면에 구멍(5)(5')을 가진 탈리관(6)을 끼우고, 소켓(1) 외주면에는 압축스프링(7)이 내설된 스프링케이스(8)와 두쪽으로 분리된 분할관(9)(9') 및 상기 분할관(9)(9')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고정링(10)과 손잡이링(11)을 분할관(9)(9')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끼우며, 소켓(1) 외주면 상측에는 상측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정지링(12)을 끼워고정시키고 분할관(9)(9')의 하부내측에 돌부(13)(13')를 형성하여, 이 돌부(13)(13')가 소켓(1) 동체에 형성된 장공(14)(14')을 통하여 탈리관(6)의 구멍(5)(5')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링(11)을 밀어내었을때 탈리관(6)이 자석보다 인출되어 자석에 부착된 너트(15)를 탈리시켜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6은 소켓헤드, 17은 고정관체, 18은 스프링 지지부, 19은 결합봉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특히 너트를 푼다음, 풀린너트(15)를 소켓헤드(16)에서 인출할 때 매우 편리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6각비트 소켓(1)으로서 너트(15)를 풀어내면, 너트(15)가 제 1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슬라이드(3) 하부에 설치된 자석(4)에 부착되어 있게되고, 이는 또 소켓헤드(16) 내부에 숨어있는 상태로 되어있게(보울트의 경우에는 나사봉부분이 소켓헤드(16) 밖으로 돌출되게 되어 손쉽게 빼낼 수 있지만, 너트의 경우는 내부에 숨어있는 상태로 되어있어 꺼내기가 쉽지 않았던 것임)되는데, 이때는 소켓(1)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링(11)을 밀어내면, 상기 손잡이링(11)과 연결된 분할관(9)(9'), 고정링(10) 및 탈리관(6)이 일체로 동작하여 자석(4)에 붙어 있는 너트(15)를 떨어뜨려주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손잡이링(11)의 작용으로 너트(15)의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멍 깊숙히 조립되어 있는 너트의 분해도 매우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데, 이는 6각비트 소켓(1) 자체의 형상에 의해서 가능해지는 것이고, 특히 구멍깊숙히 조립된 너트를 분해시 소켓(1) 외주면 상측에 설치고정된 정지링(12)에 의해 손잡이링(11)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6각비트 소켓(1) 양측에 장공(14)(14')을 형성하고, 소켓(1) 내외주면에 탈리관(6)과 분할관(9)(9') 및 고정링(10)과 손잡이링(11) 그리고 정지링(12)을 소켓(1)과 유기적으로 결합작용토록 구성한 것으로서, 너트(15) 분해후, 자석(4)에 부착되어 있는 너트(15)를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분리해낼 수 있으며, 깊은 구멍속의 너트나 보울트를 분해할때도 매우 안정적으로 분해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압축스프링(2)으로 탄지된 슬라이드(3)를 설치하고, 슬라이드 하부에 자석(4)을 설치하여서 된 통상의 6각비트 소켓(1)에 있어서,
    슬라이드(3) 외주면에 구멍(5)(5')을 가진 탈리관(6)을 끼우고, 소켓(1) 외주면에는 압축스프링(7)이 내설된 스프링케이스(8)와 두쪽으로 분리된 분할관(9)(9') 및 상기 분할관(9)(9')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고정링(10)과 손잡이링(11)을 분할관(9)(9')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끼우며, 소켓(1) 외주면 상측에는 상측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된 정지링(12)을 끼워고정시키고 분할관(9)(9')의 하부내측에 돌부(13)(13')를 형성하여, 이 돌부(13)(13')가 소켓(1) 동체에 형성된 장공(14)(14')을 통하여 탈리관(6)의 구멍(5)(5')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링(11)을 밀어내었을때 탈리관(6)이 자석보다 인출되어 자석에 부착된 너트(15)를 탈리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
KR1019970000711A 1996-12-10 1997-01-06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 KR100223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711A KR100223121B1 (ko) 1996-12-10 1997-01-06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109 1996-12-10
KR1019970000711A KR100223121B1 (ko) 1996-12-10 1997-01-06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109 Division 1996-12-10 1996-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243A true KR19980063243A (ko) 1998-10-07
KR100223121B1 KR100223121B1 (ko) 1999-10-15

Family

ID=6595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711A KR100223121B1 (ko) 1996-12-10 1997-01-06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47B1 (ko) * 1999-12-30 2002-02-16 이계안 퀵타입 커플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47B1 (ko) * 1999-12-30 2002-02-16 이계안 퀵타입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3121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4533A (en) Coupling means for toilet tank and bowl assembly
JP2004025430A (ja) 軸受抜き取り器
KR100575516B1 (ko) 파이프 연결구
KR19980063243A (ko) 6각비트 소켓의 개량구조
KR19980029575U (ko)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소켓
GB2447861A (en) Removable bolt assembly for fastening a toilet seat
US20110072940A1 (en) Wrench having detachable wrench head
KR100923068B1 (ko) 전주근가 설치용 유볼트
CN201090590Y (zh) 可拆卸式防盗螺母
CN209012241U (zh) 一种自锁紧防脱式螺母套
CN220037160U (zh) 一种快拆锁扣
KR20200039397A (ko) 풀림방지용 너트
KR20200059565A (ko) 전동드라이버용 다중 비트 소켓
CN217815353U (zh) 一种方便拆装的管箍
JP2008202778A (ja) 全ネジ着脱用ソケット兼用弛み防止ナット。
KR200415212Y1 (ko) 풀림 방지 너트
CN211308873U (zh) 快拆柄定位结构
CN219298352U (zh) 一种水龙头的快速拆装装置
CN213331937U (zh) 一种快速安装自攻螺钉
CN220037161U (zh) 一种快拆扣
KR19990029105U (ko) 볼 베어링형 볼트 체결용 공구
JP2004122252A (ja) 携帯式工具
KR20080006385U (ko) 분배관 연결구조
KR100893816B1 (ko) 튜브 커넥터
KR200248803Y1 (ko) 현관도어용 손잡이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