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575U -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소켓 - Google Patents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575U
KR19980029575U KR2019960042641U KR19960042641U KR19980029575U KR 19980029575 U KR19980029575 U KR 19980029575U KR 2019960042641 U KR2019960042641 U KR 2019960042641U KR 19960042641 U KR19960042641 U KR 19960042641U KR 19980029575 U KR19980029575 U KR 199800295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nut
magnet
bit socket
fix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9097Y1 (ko
Inventor
이경일
서영순
Original Assignee
이경일
서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일, 서영순 filed Critical 이경일
Priority to KR2019960042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097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5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57Socket or nut ejec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25B23/08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 B25B23/1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screw or nut prior to or during its rotation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25B23/0021Prolongations interposed between handle and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6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너트를 체결하거나 풀어낼 때 사용하는 육각비트소켓의 개량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너트를 풀어낸 다음 너트가 자석에 붙어 있는 관계로 너트를 빼내기가 어려워 시간을 낭비하고 공구를 망가지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핸들(8)의 아래에 당김레바(12)를 설치하고 와이어(4)로 자석(41)이 설치된 유동관체(3)와 연결시켜 자석을 후진시킬 수 있게 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자석이 후진하면 너트가 쉽게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시간낭비와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게됨.

Description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 소켓
본 고안은 고정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거나 볼트로부터 너트를 풀어낼 때 사용하는 육각비트소켓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헤드부의 내부에 설치된 자석을 필요에 따라 뒤로 당길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풀어낸 볼트가 자석에 붙어 잘 빠져나오지 않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육각비트 소켓의 헤드부 내부에는 자석을 삽설해놓고 있는데, 그 이유는 너트체결시 헤드부내에 너트를 넣으면 자석에 의해 달라붙게 되어 떨어뜨리지 않고 편하게 체결작업을 하기위한 것이고, 너트를 풀어낸 후에도 원하지 않는 위치에서 너트를 떨어뜨리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석사용의 장점 이면에는 도리어 불편한점도 있었는데, 그것은 너트를 볼트로부터 완전히 풀어낸후 너트를 헤드부에서 꺼낼 때 너트가 자석에 붙어있기 때문에 육각비트소켓을 흔들거나 두드려야하고 또는 끝이 뾰족한 물체로 끄집어내야하는 등의 불편점인것으로서, 이로인해 작업시간을 불필요하게 소모하는 낭비적인 요소가 있고 공구자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중대한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풀어낸 너트를 육각비트소켓의 헤드부로 부터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기위해 내부의 자석을 뒤로 끌어당길 수 있게 함으로써, 너트를 빼낼때는 너트가 자력을 받지 않게되어 쉽게 빠져나올수 있도록 구성함을 과제로 한 것이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전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전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육각비트소켓(2) 헤드부
(3) 유동관체(4) 와이어
(5) 와이어고정편(6) 삽입구멍
(7) 통공(8) 핸들
(9) 연결관체(11) 장공
(12) 당김레바(13) 당김관체
(14) 핀(15) 와이어고정편
본 고안은 육각비트소켓(1)을 구헝함에 있어서, 헤드부(2) 내에 있는 유동관체(3)의 뒷부분에 와이어(4)가 고정된 와이어고정편(5)을 나사결합하고 삽입구멍(6) 안쪽으로 통공(7)을 형성하여 와이어(4)를 인입시키며, 후단에는 끝단에 핸들(8)이 있는 연결관체(9)를 나사결합하되 핸들(8) 아래의 연결관체(9)에는 장공(11)을 형성하여 당김레바(12)가 돌설된 당김관체(13)를 핀(14)으로 결합하면서 연결관체(9) 내부의 핀(14)에는 와이어(4)의 끝을 와이어 고정편(15)으로 고정시켜 구성하였다.
한편 제 5 도 (가)에 도시된 한실시예는 유동관체(23)에 와이어(24)를 고정시키는 수단에 관한 것으로, 이는 유동관체(23)의 내부에 길이가 짧은 와이어 고정편(25)을 삽입한후 별도의 고정캡(27)을 나사결합시킨 것이다.
또 제 5 도 (나)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와이어(34)의 다른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수단에 관한 것으로, 상부 와이어고정편(35)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서 외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두개의 잠금너트(36)를 체결하고 길이 방향으로 조절장공(37)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된 부호 40은 육각구멍, 41은 자석, 42는 스프링, 43은 고정관체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볼트에 잠겨진 너트를 풀때 헤드부(2)의 육각구멍(40)을 너트에 씌우고 핸들(8)을 회전시켜 너트를 풀어내는데, 이때 풀어진 너트는 헤드부(2)내의 유동관체(3)에 고정된 자석(41) 때문에 헤드부(2)의 육각구멍(40)에 그대로 들어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육각비트소켓(1)을 그대로 이동시켜 너트를 놓아야할 위치에 헤드부(2)를 댄후 당김레바(12)을 이용하여 당김관체(13)를 들어 올리면 되는데, 둘째 및 셋째손가락을 이용하여 당김관체(13)를 당기면 그에 결합된 핀(14)이 장공(11)을 타고 슬라이딩 되면서 와이어 고정편(15)에 의해 와이어(4)가 당겨지는 것이고, 따라서 와이어(4) 끝에 결합된 유동관체(3)가 당겨올라가므로 자석(41)이 너트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며, 결국 너트는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게되어 그대로 낙하하는 것이다.
너트를 떨어뜨린후 당김레바(12)를 놓으면 헤드부(2) 내의 스프링(42) 힘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제 5 도(가)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별도의 고정갭(27)으로 와이어 고정편(25)을 고정시킨 것으로 조립을 편하게 할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고, 제 5 도(나)에 도시된 실시예는 잠금너트(36)의 위치를 이동시키면서 와이어(3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은 너트를 풀어내는 작업시 헤드부(2) 내의 자선(41)에 붙어있는 너트를 분리해 내기 위해 육각비트소켓(1)을 손상시킬 이유가 없어서 오래도록 사용할 수가 있게 되고, 너트를 분리해내는데 시간을 소모하지 않으므로 작업능률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육각비트소켓(1)을 구성함에 있어서,
    헤드부(2)내에 있는 유동관체(3)의 뒷부분에 와이어(4)가 고정된 와이어고정편(5)을 나사결합시키고 삽입구멍(6) 안쪽으로 통공(7)을 형성하여 와이어(4)를 인입시키며, 헤드부(2) 반대측 끝에는 핸들(8)이 있는 연결관체(9)를 나사결합하되, 핸들(8) 아래의 연결관체(9)에는 장공(11)을 형성하여 당김 레바(12)가 돌설된 당김관체(3)를 핀(14)으로 결합하면서 연결관체(9) 내부의 핀(14)에는 와이어(4)의 끝을 와이어고정편(15)으로 고정시켜 당김레바(12)를 당기면 헤드부(2)내의 유동관체(3)가 후진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유동관체(23)에 와이어(24)를 고정시키는 수단에서 유동관체(23)의 내부에 길이가 짧은 와이어 고정편(25)을 삽입한 후 별도의 고정캡(27)을 나사 결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체결용 개략 육각비트 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와이어(34)의 다른 끝단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상부 와이어고정편(35)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서 외면에 나사를 형성하여 두개의 잠금너트(36)를 체결하고 길이 방향으로 조절장공(37)을 형성하여 와이어(34)의 길이를 조절가능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 소켓.
KR2019960042641U 1996-11-25 1996-11-25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소켓 KR2001490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641U KR200149097Y1 (ko) 1996-11-25 1996-11-25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641U KR200149097Y1 (ko) 1996-11-25 1996-11-25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575U true KR19980029575U (ko) 1998-08-17
KR200149097Y1 KR200149097Y1 (ko) 1999-07-01

Family

ID=1947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641U KR200149097Y1 (ko) 1996-11-25 1996-11-25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0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376U (ko) * 2015-10-07 2017-04-17 디에스엠 주식회사 고효율 난방보일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4969B2 (en) 2016-04-27 2021-10-26 Grip Holdings Llc Fastener extractor device
US11590637B2 (en) 2017-04-27 2023-02-28 Grip Holdings Ll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xtracting and dislodging fasteners
US11897099B2 (en) 2018-09-19 2024-02-13 Grip Holdings Llc Fastener extractor and dislodging tool apparatus
US11602828B2 (en) 2019-07-30 2023-03-14 Grip Holdings Llc Multi-grip screw apparatus
US11701757B2 (en) 2018-09-19 2023-07-18 Grip Holdings Llc Anti-slip fastener remover tool
USD966063S1 (en) 2018-03-07 2022-10-11 Grip Holdings Llc Socket
US11161234B2 (en) 2018-03-15 2021-11-02 Grip Holdings Llc Tool holding apparatus
CN109159065B (zh) * 2018-09-30 2020-10-30 瑞安市威孚标准件有限公司 一种锈蚀螺栓快速拆卸方法
US11759918B2 (en) 2019-05-09 2023-09-19 Grip Holdings Llc Anti-slip torque tool with integrated engagement features
WO2021033152A2 (en) * 2019-08-19 2021-02-25 Grip Holdings Llc Foreign object removal socket adapter
USD1026602S1 (en) 2022-03-17 2024-05-14 Grip Holdings Llc Selectable twist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376U (ko) * 2015-10-07 2017-04-17 디에스엠 주식회사 고효율 난방보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9097Y1 (ko)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62419C2 (ru) Сборный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KR19980029575U (ko) 너트체결용 개량 육각비트소켓
KR100307230B1 (ko) 직각바렌치와소켓렌치용핸들을연결하기위한어댑터유니트
RU2003101061A (ru) Сборный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US20090269158A1 (en) Wall Mounted Toggle Hook
JP2005172237A (ja) ねじ付きスタッドに適用するためのファスナ
CA2420352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element sur une structure d'aeronef
JP4196155B2 (ja) 切削工具アセンブリー
DK168618B1 (da) Kobling for fastgørelse af et håndtag til et værktøj
US5052643A (en) Screw and screw releasable strain relief bushing with a non-fall out screw
RU2007116155A (ru) Соединение ручки для руч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или руч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
CS248981B1 (en) Riveting tool for uni-lateral method of rivet nuts' riveting
JP2005066725A (ja) アンカー抜取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ンカー抜取方法
ITMI990444V0 (it) Dispositivo di ancoraggio per manufatti edili in calcestruzzo o simili con elemento di ancoraggio al manufatto ad elevata semplicita' di app
KR200401730Y1 (ko) 너트와 너트 홀더의 구조
KR200248803Y1 (ko) 현관도어용 손잡이의 체결구조
KR100237347B1 (ko) 너트나사 해제 보조기
KR950009887Y1 (ko) 육각구멍붙이볼트용 래치트 스패너(ratchet spanner)
KR100958889B1 (ko) 그랜드 조임툴
KR200321573Y1 (ko) 렌치연장부재
KR20020049474A (ko) 멀티소켓
CA2916714C (en) Wall mounted toggle hook
KR970006256Y1 (ko) 풀림방지용 볼트와 너트
KR200334554Y1 (ko) 소형 복스드라이버
KR19980024206U (ko) 부품의 탈거가 용이한 스터드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