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195U - 소변 자동배출기 - Google Patents

소변 자동배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195U
KR19980063195U KR2019970007659U KR19970007659U KR19980063195U KR 19980063195 U KR19980063195 U KR 19980063195U KR 2019970007659 U KR2019970007659 U KR 2019970007659U KR 19970007659 U KR19970007659 U KR 19970007659U KR 19980063195 U KR19980063195 U KR 199800631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connector
centrifugal pump
guid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9844Y1 (ko
Inventor
허정민
Original Assignee
허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정민 filed Critical 허정민
Priority to KR2019970007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9844Y1/ko
Publication of KR19980063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98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98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반신이 마비된 환자나 노약자들과 같이 소변을 가려서 볼수 없는 사람들을 위하여 고안된 소변 자동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저귀는 많은 양의 소변을 수용할 수 없으므로 수시로 기저귀를 갈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소변이 배출된 상태서도 계속 착용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착용감이 나쁘고 악취가 발생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지판(11)의 상·하부에는 밴드(13)가 구비되고, 그 전면부에는 주름부(12a)를 갖는 원통형의 안내구(12)가 돌출 형성된 착용대(10)와, 상기 안내구(12) 선단에 장착된 결합구(21)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22)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23)가 내장된 연결부(20)와, 저장용기(41)의 상부에는 모터(51)로 구동되는 원심펌프(50)가 장착된 저장부(40)와, 상기 연결구(22)와 원심펌프(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0)로 이루어진 소변 자동배출기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착용대(10)가 몸체의 하복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소변을 방사하더라도 소변이 안내구(12)를 통해 연결호스(30)로 배출되면 연결구(22) 내부의 온도감지센서(23)가 이를 감지하여 저장용기(41) 상부에 장착된 원심펌프(50)를 작동시킴에 따라 발생되는 흡입력이 연결호스(30)로 유입된 소변을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저장용기(41)에 저장토록 하는 바, 소변이 자동으로 배출되어 저장되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변 자동배출기
본 고안은 하반신이 마비된 환자나 노약자들과 같이 소변을 가려서 볼수 없는 사람들을 위하여 고안된 소변 자동배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반신이 마비된 환자, 치매 증세를 보이는 노인, 유아,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자의적으로 소변을 볼 수 없는 관계로 직포 내지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별도의 기저귀를 착용하여 소변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기저귀는 많은 양의 소변을 수용할 수 없으므로 수시로 기저귀를 갈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고 소변이 배출된 상태서도 계속 착용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착용감이 나쁘고 악취가 발생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특히, 기저귀에 배출된 소변의 양을 알수 없는 바 수시로 착용된 기저귀를 풀어보아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따랐으며, 종이 내지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1회용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기저귀의 구입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당하였다.
물론 직포로 이루어진 기저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구입비용은 적게들지만 이들의 세탁 및 건조에 상당한 노동이 투자되는 폐단이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별도의 기저귀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소변을 자동으로 배출 및 저장토록 함으로써 기저귀의 사용에 따르는 상당한 비용을 절감시키고, 착용감을 좋게하면서도 악취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소변 자동배출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연질로 이루어진 지지판의 상·하부에는 밴드가 구비되고, 지지판의 전면부에는 주름부를 갖는 원통형의 안내구가 돌출 형성된 착용대와,
상기 안내구 선단에 장착된 결합구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가 내장된 연결부와,
함체로 이루어진 저장용기의 상부에는 모터로 구동되는 원심펌프가 장착되고 그 일측에는 뚜껑이 장착된 저장부와,
상기 연결구와 원심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에 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자동배출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착용대11 : 지지판
12 : 안내구12a : 주름부
13,43 : 밴드13a,43a : 부착구
20 : 연결부21 : 결합구
21a,22a : 나선부22 : 연결구
23 : 온도감지센서30 : 연결호스
40 : 저장부41 : 저장용기
42 : 뚜껑42a : 공기배출구
50 : 원심펌프51 : 모터
52 : 배터리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는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용대(10)는 연질로 이루어진 지지판(11)의 전면에 원통형의 안내구(12)가 돌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직접 몸체에 착용되는 부위이다.
즉, 상기 지지판(11)을 인체의 하복부에 접면시킨 상태에서 지지판(11) 상부에 구비된 밴드(13)를 허리에 감착시키고 지지판(11) 하부의 밴드(13)를 가랑이 사이로 통과시켜 상부 밴드(13)에 고정시키면 착용대(10)가 몸체의 하복부에 견고하게 착용된다.
상기 지지판(11)과 원통형의 안내구(12)는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며, 안내구(12)에는 주름부(12a)가 형성되어 안내구(12) 내부에 삽지되는 성기(性器)의 발기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신축 조절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지지판(11)과 원통형의 안내구(12)는 우레탄 고무와 같이 연질로 형성되어 착용감 및 밀폐력이 양호도록 되어 있으며, 지지판(11)에 구비된 체결용 밴드(13)에는 매직 패스너(일명 찍찍이)와 같이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진 부착구(13a)가 구비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안내구(12) 선단에는 경질로 이루어진 결합구(21)가 장착되어 있고, 이 결합구(21)에는 그 내부에 온도감지센서(23)가 내장된 연결구(22)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결합구(21)와 연결구(22)에는 볼트 너트로 이루어진 나선부(21a)(22a)가 각각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구조이며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22)의 내부에 장착된 온도감지센서(23)는 저장용기(41)에 구비된 원심펌프(50)의 모터(51)와 유선으로 연결되며, 주로 연결구(22)에 접속되는 연결호스(30)를 따라 전선이 배선된다. 전술한 결합구(21)와 연결구(22)는 전체적인 연결부(20)를 이룬다.
상기 저장부(40)는 함체로 이루어진 저장용기(41)의 상부에 모터(51)로 구동되는 원심펌프(50)가 장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저장용기(41)의 일측에는 공기배출구(42a)를 갖는 뚜껑(4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저장용기(41)에도 체결용 밴드(43)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허벅지 내지는 허리벨트 등에 저장용기(41)를 착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암수 한쌍으로 이루어진 부착구(43a)가 밴드(43)의 끝단에 구비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저장용기(41)는 그 내부에 공간부를 갖는 함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비닐팩과 같은 봉지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때에는 저장용기(41)의 상부에 결합되는 원심펌프(5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비닐팩으로 이루어진 저장용기(41)에 소변이 가득차게 되면 비닐팩을 버리고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되어 있다.
상기 연결호스(30)는 그 양단이 연결구(22)와 원심펌프(50)에 각각 접속되어 이들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52는 모터(51)의 일측에 장착되어 모터(51)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배터리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착용대(10)가 몸체의 하복부에 착용되어 원통형 안내구(12)의 내부에 성기가 위치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소변을 방사하면 소변이 안내구(12) 선단에 장착된 결합구(21)와 연결구(22)의 내부를 통해 연결호스(30)로 배출된다.
이때 연결구(22)의 내부에 장착된 온도감지센서(23)가 소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저장용기(41) 상부에 장착된 원심펌프(50)의 모터(51)를 작동시키게 되고, 동시에 원심펌프(50)의 임펠러(공지의 기술구성이므로 도시하지 않았음)가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연결호스(30)로 유입된 소변을 강제적으로 흡입한 후 저장용기(41)에 저장시키게 된다.
이때 원심펌프(50)의 흡입력에 의하여 저장용기(41)로 흡입된 소변은 저장용기(41) 내부에 저장되고, 소변과 함께 흡입된 공기는 뚜껑(42)에 구비된 공기배출구(4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소변을 방사하더라도 연결구(22) 내부의 온도감지센서(23)가 이를 감지하여 원심펌프(50)를 작동시킴에 따라 소변이 저장용기(41) 내부로 배출되는 바, 모든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그 사용이 매우편리한 것이며, 저장용기(41)에 담수된 소변이 가득 차게 되면 뚜껑(42)을 열고 버리면 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기저귀의 구입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종래의 폐단이 해소되어 상당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저장용기(41)에 담수되는 소변의 양은 외부에서도 그 관찰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기저귀에 배출된 소변의 양을 알수 없어서 수시로 착용된 기저귀를 풀어보아야 하는 제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것 착용대(10)에는 전혀 소변이 잔류하지 않으므로 그 착용감을 매우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심펌프(50)의 흡입력에 의하여 소변을 강제적으로 흡입한 후 배출시키는 본 고안은 저장용기(41)를 착용할 때 착용대(10)의 위치보다 높은 허리춤에 착용하여도 무방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소변이 저장되는 저장용기(41)의 연결호스(30)와 접속되는 유입구는 원심펌프(50)의 임펠러에 의하여 막혀지므로 소변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이 임펠러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악취의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지지판(11)의 상·하부에는 밴드(13)가 구비되고, 그 전면부에는 주름부(12a)를 갖는 원통형의 안내구(12)가 돌출 형성된 착용대(10)와, 상기 안내구(12) 선단에 장착된 결합구(21)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22)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23)가 내장된 연결부(20)와, 저장용기(41)의 상부에는 모터(51)로 구동되는 원심펌프(50)가 장착된 저장부(40)와, 상기 연결구(22)와 원심펌프(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0)로 이루어진 소변 자동배출기를 구성토록 함으로써, 착용대(10)가 몸체의 하복부에 착용된 상태에서 소변을 방사하더라도 소변이 안내구(12)를 통해 연결호스(30)로 배출되면 연결구(22) 내부의 온도감지센서(23)가 이를 감지하여 저장용기(41) 상부에 장착된 원심펌프(50)의 모터(51)를 작동시킴에 따라 원심펌프(50)의 흡입력이 연결호스(30)로 유입된 소변을 강제적으로 흡입하여 저장용기(41)에 저장토록 하는 바, 모든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그 사용이 매우편리한 것이며, 저장용기(41)에 담수된 소변은 뚜껑(42)을 열고 버리면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기저귀의 구입에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는 종래의 폐단이 해소되어 상당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연질로 이루어진 지지판(11)의 상·하부에는 밴드(13)가 구비되고, 지지판(11)의 전면부에는 주름부(12a)를 갖는 원통형의 안내구(12)가 돌출 형성된 착용대(10)와,
    상기 안내구(12) 선단에 장착된 결합구(21)에 나사 결합되는 연결구(22)의 내부에는 온도감지센서(23)가 내장된 연결부(20)와,
    함체로 이루어진 저장용기(41)의 상부에는 모터(51)로 구동되는 원심펌프(50)가 장착되고 그 일측에는 뚜껑(42)이 장착된 저장부(40)와,
    상기 연결구(22)와 원심펌프(5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호스(30)에 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자동배출기.
KR2019970007659U 1997-04-14 1997-04-14 소변 자동배출기 KR2001498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59U KR200149844Y1 (ko) 1997-04-14 1997-04-14 소변 자동배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59U KR200149844Y1 (ko) 1997-04-14 1997-04-14 소변 자동배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195U true KR19980063195U (ko) 1998-11-16
KR200149844Y1 KR200149844Y1 (ko) 1999-06-15

Family

ID=1949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659U KR200149844Y1 (ko) 1997-04-14 1997-04-14 소변 자동배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984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253B1 (ko) * 2000-04-17 2002-07-31 주식회사 엠디한 소변 배출기
KR20020082985A (ko) * 2001-04-24 2002-11-01 이재당 자동 인 분뇨 처리기
KR20030046583A (ko) * 2001-12-05 2003-06-18 (주)엠디케어 자동 소변 배출기
KR20210000630A (ko) 2019-06-25 2021-01-05 최형락 소변 배출 장치
KR20240031032A (ko) 2022-08-30 2024-03-07 최형락 팬티형 기저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변 배출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213B1 (ko) 2006-04-17 2007-09-13 이평호 장애인용 소변처리기구
KR100872455B1 (ko) 2007-05-11 2008-12-08 라니쎄인트웰 주식회사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분리부 청결장치
KR102259715B1 (ko) * 2019-06-14 2021-06-02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시착용형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KR102287819B1 (ko) * 2019-07-18 2021-08-09 박찬호 팬티에 부착되는 환자용 소변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253B1 (ko) * 2000-04-17 2002-07-31 주식회사 엠디한 소변 배출기
KR20020082985A (ko) * 2001-04-24 2002-11-01 이재당 자동 인 분뇨 처리기
KR20030046583A (ko) * 2001-12-05 2003-06-18 (주)엠디케어 자동 소변 배출기
KR20210000630A (ko) 2019-06-25 2021-01-05 최형락 소변 배출 장치
KR20240031032A (ko) 2022-08-30 2024-03-07 최형락 팬티형 기저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소변 배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9844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5189B2 (en) Automatic self cleaning bladder relief with battery pad system
US7131964B2 (en) Automatic self cleaning bladder relief system and failsafe
US7135012B2 (en) Automatic self cleaning bladder relief system
KR101432639B1 (ko) 남성용 휴대형 위생 소변기
US20050154360A1 (en) Automatic self cleaning bladder relief and hydration system
US20030163120A1 (en) Automatic bladder relief system
KR200149844Y1 (ko) 소변 자동배출기
US20080208149A1 (en) Male apron for receiving and storing excreted body fluids and associated method
WO2007111181A1 (ja) 尿吸引装置
KR101575140B1 (ko) 인체 맞춤형 배설물 처리장치
WO2021090621A1 (ja) 収集用具
JP2018503494A (ja) 人体に合わせた排泄物処理処置
JP2017525544A (ja) 排泄物洗浄器カップ構造及び排泄物洗浄器
JP3476803B2 (ja) 排泄物処理装置
CN202515843U (zh) 一种能自动辅助行动不便的人的多功能自适应内裤
JP4004380B2 (ja) 使い捨ての着用物品
HUT69484A (en) Pant with absorben pad
WO2002039938A1 (fr) Dispositif d'elimination d'excrements
KR200465001Y1 (ko) 남성 소변전용 기저귀
JPH04288158A (ja) 電子おむつユニット
US42034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eviating physiological conditions by directed spray of liquid toward body tissue
US20020128623A1 (en) Disposal human waste containment contrivance
CN215385055U (zh) 一种集尿装置
CN218420194U (zh) 一种新型的医用冷敷带
JP2001046415A (ja) ストーマ用肌着パン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