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837U - 위조지폐 인식장치 - Google Patents

위조지폐 인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837U
KR19980062837U KR2019970007239U KR19970007239U KR19980062837U KR 19980062837 U KR19980062837 U KR 19980062837U KR 2019970007239 U KR2019970007239 U KR 2019970007239U KR 19970007239 U KR19970007239 U KR 19970007239U KR 19980062837 U KR19980062837 U KR 199800628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unterfeit
bill
image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07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837U/ko
Publication of KR199800628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837U/ko

Links

Landscapes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조지폐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위조된 지폐를 인식해내는 장치에 있어서, 지폐의 일부분에 인쇄된 도안, 문양 또는 글자를 지정하여 해당되는 화상의 정보를 검출해내는 화상정보위치검출기(20)와, 검출된 부분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기(22)와, 상기 촬영기(22)에서 촬영된 화상을 일정배율로 확대시키는 확대기(24)와, 인쇄된 지폐에 관련된 제반 정보가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부(26)와, 상기 확대기(24)와 데이터베이스부(26)에서 각각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기(28)와, 지폐에 인쇄된 은박지의 위치를 검출해내는 은박지위치검출기(30)와, 위조지폐에 대한 진위를 검출해내는 다른 종류의 위폐검출부(40)와, 입력된 논리신호를 비교 및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컴(44)과, 상기 마이컴(44)의 제어신호로 판독된 지폐의 위조에 대한 진위를 표시하는 판독 및 에러표시기(48)가 포함되어 복사기나 스캐너 등을 이용하여 지폐를 무단으로 복제하는 것을 방지 및 판별해내는 것이다.

Description

위조지폐 인식장치
본 고안은 위조지폐를 판별해내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사기나 스캐너 등을 이용하여 지폐를 무단으로 복제한 것을 판별해내는 위조지폐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화폐는 단위별로 10원, 50원, 100원, 500원, 1,000원, 5,000원 및 10,000원권이 있고, 이러한 화폐중에 지폐로 된 것은 1,000원, 5,000원 및 10,000원권이 있다. 산업이 고도로 첨단화 및 정밀화되어 감에 따라 고액의 지폐를 위조하는 경우가 늘어나 사회적인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즉, 컬러복사기나 컬러스캐너 등을 이용하여 복사한 지폐는 육안으로 원래의 지폐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선명한 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유통이 용이하고 고액인 만원권의 위조복사가 빈번해지고 있고, 심지어는 고액의 수표까지 복사해내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만원권 지폐를 위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만원권에는 여러개의 위조방지용 도안이나 문양 등이 인쇄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위조된 지폐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지폐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검출하는 방법, 종이의 두께를 검출해내는 방법, 사용된 인쇄용 잉크의 성분을 검출해내는 방법 및 문양이나 도안의 차이점을 검출해내는 방법 등이 있다.
도 1은 만원권 지폐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으로, 위조방지를 위한 도안 또는문양으로 (1)은 한 선으로 연결된 가는 실선이 원형으로 인쇄된 것으로, 원의 간격 및 그 해상도를 검출해내는 것이고, (2)는 배면에 불빛을 비춰 보았을 때, 내부에 지폐에서 사용된 해당되는 인물의 그림자 유무를 검출해내는 것이며, (3)은 알루미늄 은박지를 인쇄시켜 둠으로써, 무단으로 복사할 때에 복사된 위조지폐에서는 빛의 반사로 인하여 검게 나타나므로, 이를 검출해내는 것이고, (4)는 홀로그램을 이용한 입체적인 '10000' 표시를 하여 위조를 방지하는 것이며, (5)는 철(Fe)성분이 함유된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 여러장의 지폐를 포갠 후에 레이저광을 투과시켰을 때, 레이저광이 투과되어 소정의 문양이 나타나는 가를 판별하는 것으로, 복사되었거나 위조로 인쇄된 지폐가 끼워져 있을 때에는 레이저광이 투과되지 않거나 정상적인 문양이 나타나지 않게되는 것이고, (6)은 용의 문양이 지폐의 전면 및 배면에 동일한 위치에 인쇄되어 있어 불빛에 비춰 보았을 때에 용의 문양이 어긋나는 것을 검출해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이외에도 지폐의 위조를 방지하거나 검출해내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위조한 지폐를 판별하여 검출해내는 방법으로도 위조한 지폐를 용이하게 검출해내기란 여간 쉬운 일이 아니었다. 또한,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도안이나 문양을 인쇄하는 데도 많은 시간 및 고도의 기술 등이 필요로 하고, 위조된 지폐를 검출해내기 위한 장치나 장비 등이 고가이다. 따라서, 지폐를 조폐하는 일이나 위조된 지폐를 가려내는 일 등에 많은 시간 및 금액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컬러 복사기나 컬러 스캐너(Scannr) 등을 이용하여 지폐를 복사할 경우에 원래의 지폐에 대한 해상도보다 복사기나 스캐너의 상대적인 해상도를 판별하여 용이하게 위조지폐를 가려내는 위조지폐 인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 만원권 지폐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조지폐 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a는 본 고안에서 적용된 만원권 지폐가 진폐일 경우에 지폐전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b는 본 고안에서 적용된 만원권 지폐가 위폐일 경우에 지폐전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화상정보위치검출기 22: 촬영기
24: 확대기 26: 데이터베이스부
28: 비교기 30: 은박지위치검출기
32: 은박지검출수단 34: 로우패스필터
36: 증폭기 38, 42: 논리곱게이트
40: 다른 종류의 위폐검출부 44: 마이컴
46: 메모리부 48: 판독 및 에러표시기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위조된 지폐를 인식해내는 장치에 있어서, 지폐의 일부분에 인쇄된 도안, 문양 또는 글자를 지정하여 해당되는 화상의 정보를 검출해내는 화상정보위치검출기와, 검출된 부분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기와, 상기 촬영기에서 촬영된 화상을 일정배율로 확대시키는 확대기와, 인쇄된 지폐에 관련된 제반 정보가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확대기와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각각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기와, 지폐에 인쇄된 은박지의 위치를 검출해는 은박지위치검출기와, 은박지의 유무 및 진위를 검출해내는 은박지검출수단과, 상기 은박지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신호의 저역성분만을 저감쇠로 통과시키는 로우패스필터와, 상기 로우패스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일정의 크기로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비교된 신호와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적인 곱으로 연산하여 연산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논리곱게이트와, 위조지폐에 대한 진위를 검출해내는 다른 종류의 위폐검출부와, 상기 제 1논리곱게이트 및 다른 종류의 위폐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논리적인 곱으로 연산하여 연산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2논리곱게이트와, 상기 제 2논리곱게이트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된 논리신호를 비교 및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메모리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로 판독된 지폐의 위조에 대한 진위를 표시하는 판독 및 에러표시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위조지폐 인식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위조지폐 인식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화상정보위치검출기(20)는 지폐의 위조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해당되는 위치를 검출해내는 것으로, 예컨대, 만원권 지폐의 일측에 인쇄된 물시계의 하단에 한국은행이라는 글자의 위치를 검출해내는 것이다. 즉, 화상정보위치검출기(20)는 무조건 지폐의 정해진 위치를 검출해 낸다. 이는 지폐에 인쇄된 도안이나 문양 또는 글자의 위치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촬영기(22)는 상기 화상정보위치검출기(20)에서 위치가 정해지면, 정해진 위치의 화상을 소정의 크기만큼 촬영하는 것이다. 확대기(24)는 상기 촬영기(22)에서 촬영된 화상을 소정의 크기로 확대시키는 것으로, 수천 dpi(dot per inch; 해상도의 단위)까지 확대시킨다. 데이터베이스부(26)는 상기 화상정보위치검출기(20)에서 검출된 위치에 대응되는 화상에 관한 정보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지폐의 전체에 대한 화상정보를 내장하고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부(26)에 내장된 화상정보는 상기 확대기(24)에서 확대된 배율과 대응되는 화상을 담고 있다. 예컨대, 확대기(24)의 배율이 10배라면, 데이터베이스부(26)에 저장된 지폐의 화상에 관한 데이터도 10배로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3a는 본 고안에서 적용된 만원권 지폐가 진폐일 경우에 지폐의 전면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b는 만원권 지폐가 위폐일 경우에 지폐의 전면 일부를 확대한 도면으로, 도 3a의 경우에는 물시계의 하단에 인쇄된 '한국은행'이라는 글자가 선명하게 나타나지만, 도 3b의 경우에는 물시계의 하단에 '한국은행'이라는 글자가 깨어져 보인다. 이와 같이 확대기(24)와 데이터베이스부(26)의 화상에 관한 배율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음은 전문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비교기(28)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26)에 저장되어 있는 기준데이터와 확대기(24)에서 확대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즉, 비교기(28)는 확대기(24)로부터 확대되어 입력된 신호의 해상도와 데이터베이스부(26)에 저장된 기준데이터와의 해상도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에만 비교신호를 출력시킨다.
또한, 은박지위치검출기(30)는 지폐에 인쇄된 알루미늄 은박지의 위치를 검출해내는 것으로, 알루미늄 은박지가 인쇄된 위치는 거의 정해져 있다. 은박지검출수단(32)은 지폐에 인쇄된 은박지의 진위여부를 판별해내기 위하여 일정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를 은박지가 인쇄된 위치로 출력시켜 은박지에 반사되어 회귀되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은박지의 진위여부를 검출해낸다. 은박지검출수단(32)은 광신호를 발광시키는 발광소자와, 은박지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광신호를 수광하는 수광소자로 이루어진다. 로우패스필터(34)는 상기 은박지검출수단(32)에서 검출된 신호의 저역성분만을 저감쇠로 통과시키는 것으로, 은박지검출수단(32)에서 채터링이나 잡음성분이 포함된 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필터링시켜 주는 것이다. 증폭기(36)는 상기 로우패스필터(34)에서 필터링되어 나온 신호를 일정의 크기로 증폭시키는 것으로, 증폭기(36)로는 트랜지스터의 조합이나 OP앰프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제 1논리곱게이트(38)는 상기 비교기(28)에서 비교되어 입력된 신호와 증폭기(36)에서 증폭된 신호를 논리적인 곱으로 연산하여 그 연산된 값을 출력단으로 출력시킨다.
다른 종류의 위폐검출부(40)는 기존에 위폐를 가려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각종의 위폐검출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연산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이다. 제 2논리곱게이트(42)는 상기 제 1논리곱게이트(38)와 다른 종류의 위폐검출부(40)에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적인 곱으로 연산하여 연산된 결과를 출력단으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마이컴(44)은 상기 제 2논리곱게이트(42)의 출력단을 통해 입력된 논리적인 신호를 비교하고 연산하여 해당되는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으로, 마이컴(44)은 위폐를 검출해내는 부분이나 각종 장치 등을 제어하며, 특히 각 위폐검출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비교하고 판단하는 것이다. 메모리부(46)는 상기 마이컴(44)의 제어신호로 내장된 데이터를 출력시키거나 마이컴(44)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것이다. 판독 및 에러표시기(48)는 상기 마이컴(44)의 제어신호로 지폐의 위조상태를 가시적으로 판독해내는 것으로, 현재 검출중인 지폐의 진위여부를 표시하게 된다. 예컨대, 검출중인 지폐가 진짜 지폐일 경우에는 확인표시를 하고, 위조된 지폐일 경우에는 도시되지 않은 경고수단이나 경고표시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위조지폐 인식장치의 작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위조지폐 인식장치는 기존의 위폐를 검출해내는 장치에 컬러 복사기나 컬러 스캐너 등을 이용하여 지폐를 위조할 경우에 복사기 및 스캐너의 해상도를 판별해내는 것이다.
즉, 위폐여부를 검출하는 장치에 만원권 지폐가 로딩되면, 화상정보위치검출기(20)는 정해진 위치를 검출해낸다. 예컨대, 만원권의 지폐에 인쇄된 물시계의 하단에 인쇄된 '한국은행'이라는 세자(細字)를 검출해낸다. '한국은행'이라는 글자는 육안으로 거의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인식할 위치의 글자가 검출되면, 촬영기(22)는 해당되는 부분을 촬영한다. 촬영기(22)에서 촬영된 글자는 확대기(24)로 입력되어 소정의 배율로 확대된 후에 전기적인 화상신호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변환된 화상신호는 비교기(28)의 입력단으로 입력되고, 비교기(28)의 다른 입력단으로는 데이터베이스부(26)에 내장된 데이터가 입력된다. 즉, 비교기(28)는 데이터베이스부(26)에 내장된 만원권 지폐에 대한 화상신호와, 확대기(24)에서 확대되어 변환된 화상신호를 비교하여 비교신호를 출력시킨다.
이때, 비교기(28)는 두 개의 화상신호를 비교할 때에 데이터베이스부(26)에 내장된 화상신호의 해상도와 확대기(24)를 통해 입력된 화상신호의 해상도를 비교하여 일치하면, 하이(High, +5V)신호를 출력시키고, 확대기(24)를 통해 입력된 화상신호의 해상도가 데이터베이스부(26)에 내장된 화상신호의 해상도보다 작으면, 로우(Low, 0V)신호를 출력시킨다. 따라서, 비교기(28)에서 비교되는 화상신호의 해상도는 통상의 컬러 복사기나 컬러 스캐너로 원본의 지폐를 복사하였을 때에 복사된 지폐의 해상도는 상대적으로 저하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지폐인쇄기로 지폐를 인쇄할 때에는 잉크가 직접 지폐에 닿아 안착되므로, 인쇄된 부분을 확대시켜 보면, '한국은행'이라는 글자의 외곽이 거의 찌그러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지만, 복사된 지폐의 경우에는 복사기나 스캐너의 자체적인 해상도로 인하여 '한국은행'이라는 글자가 찌그러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비교기(28)에서는 데이터베이스부(26)에 인쇄된 지폐의 화상에 관한 정보를 내장하고 있어 확대기(24)에서 확대되어 입력된 화상에 관한 정보와 충분히 비교되는 것이다.
한편, 지폐에 박막으로 인쇄된 은박지는 은박지위치검출기(30)에서 위치가 검출되고, 은박지검출수단(32)에서 은박지를 검출하게 된다. 이때, 은박지검출수단(32)은 은박지위치검출기(30)에서 검출된 위치에서 발광소자로부터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신호가 출력되고, 출력된 광신호는 은박지에서 반사되어 다시 수광소자로 입사된다. 이는 위폐가 아닌 진짜 지폐일 경우에는 은박지에 의해 반사된 광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지만, 복사된 위조 지폐일 경우에는 은박지와 같이 발광소자에서 발광된 광신호를 반사시키지 못하게 된다.
은박지검출수단(32)에서 은박지로부터 반사된 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입력된 신호는 로우패스필터(34)를 통해 저역성분만이 저감쇠로 필터링된다. 이는 은박지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광신호가 외부로부터 간섭되는 광에 의해 산란되거나 잡음성분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대역이하로 필터링시키는 것이다. 로우패스필터(34)에서 필터링된 신호는 증폭기(36)로 인가되어 소정의 크기로 증폭된다. 따라서, 은박지에 의해 광신호가 반사되었을 경우에는 일정크기의 신호가 로우패스필터(34)를 거쳐 증폭기(36)에서 증폭되어 하이신호상태로 입력되지만, 은박지에 의해 반사되지 않거나 반사되는 비율이 거의 미약할 때에는 증폭기(36)를 통해 로우신호가 출력될 것이다.
상기 증폭기(36)에서 출력된 신호와 비교기(28)로부터 출력된 신호는 제 1논리곱게이트(38)의 입력단으로 각각 입력되고, 제 1논리곱게이트(38)는 입력된 신호를 논리적인 곱으로 연산시킨다. 즉, 제 1논리곱게이트(38)는 입력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모두 하이신호일 때에만 출력단으로 하이신호를 출력시키고, 입력되는 신호중에 어느 하나라도 로우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출력단으로 로우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한편, 위조된 지폐인가를 검출하는 다른 종류의 위폐검출부(40)를 통해 해당되는 위폐검출이 이루어진 후에 해당되는 검출상태가 위폐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때에 제 2논리곱게이트(42)를 통해 하이신호가 인가되고, 위폐일 경우에는 로우신호가 인가될 것이다. 또, 제 1논리곱게이트(38)의 출력단에 제 2논리곱게이트(42)의 다른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어 제 1논리곱게이트(38) 및 다른 종류의 위폐검출부(40)로 입력된 신호를 논리적인 곱으로 연산하게 된다. 제 2논리곱게이트(42)의 연산은 상기 제 1논리곱게이트(38)의 연산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 2논리곱게이트(42)로부터 논리연산이 이루어진 후에 전체적으로 위폐가 아님이 검출되면, 제 2논리곱게이트(42)의 출력단으로는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위폐일 경우에는 로우신호를 출력시킨다. 이때, 마이컴(44)은 입력된 신호를 판단하여 지폐의 진위를 판단하게 된다. 마이컴(44)은 지폐의 진위를 판단할 때에 메모리부(46)에 저장된 지폐에 관한 진위여부에 관한 데이터를 불러와 비교한 후에 다시 메모리부(46)에 제어된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마이컴(44)은 지폐에 관한 위조상태를 검출한 결과를 판독 및 에러표시기(48)를 통해 표시하게 되는 데, 위폐일 경우에는 위폐임을 표시하는 내용을 경고하고, 진폐일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는 표시를 각각 하게 된다. 이는 마이컴(44)의 제어신호를 시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일반적인 경우임을 해당분야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위폐인식 감지장치는 여러종류의 위폐검출부에 부가적으로 위폐상태를 감지하는 장치로, 만원권 지폐에 인쇄된 물시계의 하단일측에 '한국은행'이라는 미세한 글자를 확대시켜 그 해상도의 판단으로 지폐의 진위여부를 판별해내는 것으로, 위조된 지폐를 더욱 완벽하게 가려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위조된 지폐를 인식해내는 장치에 있어서,
    지폐의 일부분에 인쇄된 도안, 문양 또는 글자를 지정하여 해당되는 화상의 정보를 검출해내는 화상정보위치검출기와,
    검출된 부분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기와,
    상기 촬영기에서 촬영된 화상을 일정배율로 확대시키는 확대기와,
    인쇄된 지폐에 관련된 제반 정보가 내장된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확대기와 데이터베이스부에서 각각 입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비교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비교기와,
    지폐에 인쇄된 은박지의 위치를 검출해는 은박지위치검출기와,
    은박지의 유무 및 진위를 검출해내는 은박지검출수단과,
    상기 은박지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신호의 저역성분만을 저감쇠로 통과시키는 로우패스필터와,
    상기 로우패스필터에서 필터링된 신호를 일정의 크기로 증폭시키는 증폭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비교된 신호와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입력받아 논리적인 곱으로 연산하여 연산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1논리곱게이트와,
    위조지폐에 대한 진위를 검출해내는 다른 종류의 위폐검출부와,
    상기 제 1논리곱게이트 및 다른 종류의 위폐검출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논리적인 곱으로 연산하여 연산된 신호를 출력시키는 제 2논리곱게이트와,
    상기 제 2논리곱게이트의 출력단으로부터 입력된 논리신호를 비교 및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시키는 메모리부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로 판독된 지폐의 위조에 대한 진위를 표시하는 판독 및 에러표시기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조지폐 인식장치.
KR2019970007239U 1997-04-09 1997-04-09 위조지폐 인식장치 KR199800628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239U KR19980062837U (ko) 1997-04-09 1997-04-09 위조지폐 인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239U KR19980062837U (ko) 1997-04-09 1997-04-09 위조지폐 인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837U true KR19980062837U (ko) 1998-11-16

Family

ID=69673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239U KR19980062837U (ko) 1997-04-09 1997-04-09 위조지폐 인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83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491B1 (ko) * 2005-12-05 2007-06-13 주식회사 안다미로 지폐 및 은행권 인식기, 및 그 인식방법
KR100769676B1 (ko) * 2005-07-01 200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위폐감식기능을 갖는 복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76B1 (ko) * 2005-07-01 2007-10-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위폐감식기능을 갖는 복합기
KR100727491B1 (ko) * 2005-12-05 2007-06-13 주식회사 안다미로 지폐 및 은행권 인식기, 및 그 인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6307A (en) Currency paper verification and denomination device
US5399874A (en) Currency paper verification and denomination device having a clear image and a blurred image
US5371798A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detection of counterfeit financial transaction documents
US5468971A (en) Verification device for currency containing an embedded security thread
US20050169511A1 (en) Document processing system using primary and secondary pictorial image comparison
US610403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security feature in a currency note
KR100661440B1 (ko) 종이류 특징 검출 장치 및 종이류 특징 검출 방법
CN101763681A (zh) 纸币鉴别装置、纸币鉴别方法
KR101707218B1 (ko) 스마트폰 연동형 위조지폐감별장치 및 방법
KR20010009029A (ko) 지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KR101076322B1 (ko) 컨택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지폐의 진위 판단 방법
US7403272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detection of counterfeit documents and banknotes
US8504828B2 (en) Surface profile tracing of a document
KR101812206B1 (ko) 위폐 감별 및 추적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JPH1097663A (ja) 紙葉類識別装置
KR19980062837U (ko) 위조지폐 인식장치
JPH06203243A (ja) 紙葉類の真贋判別装置
KR20020045138A (ko) 위조지폐 판별장치 및 그 판별방법
KR20010076926A (ko) 위폐 감별 방법과 이를 이용한 위폐 감별 장치
TWI378406B (en) Method for performing color analysis operation on image corresponding to monetary banknote
WO2000062258A1 (en) Security document authentication
KR20040090056A (ko) Ccd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이권종 분류 및 위폐 식별계수기
JP4401961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709850B2 (ja) 偽造防止可能なバーコード
KR20080071028A (ko) 위조 방지를 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